KR20030007088A -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088A
KR20030007088A KR1020020039868A KR20020039868A KR20030007088A KR 20030007088 A KR20030007088 A KR 20030007088A KR 1020020039868 A KR1020020039868 A KR 1020020039868A KR 20020039868 A KR20020039868 A KR 20020039868A KR 20030007088 A KR20030007088 A KR 2003000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passages
fixing device
passage
low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래쓰리 클리스텔
카에린 라우렌트
슈네이더 쥬그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케스 드' 에바우체스
Publication of KR2003000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4Fastening the dials to the clock or watch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케이스의 하부요소 또는 케이싱링위에 다이알(3)이 고정된다. 상기 하부요소(10)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통로(12)들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들은 네크부분(15)에 의해 제 2 부품(17,18)으로부터 분리된 다이알(3)의 측부위에 개구부(14)를 형성하는 제 1 부품(13)을 가지고, 상기 관통통로(12)에 구성된 제 2 부품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1 부품의 전체가 적어도 다이알(3)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구성재료에 대해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재료로 충진된다.

Description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SECURING A DIAL IN A WATCHCASE}
본 발명은 외부의 시계부품들을 장착하기 전에 시계무브먼트 및 다이알이 예비조립될 수 있도록 시계케이스 또는 다른 시계부품내에 다이알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다이알이 케이싱링에 고정되는 상기 형태의 장치에 관련된다.
시계케이스의 구성요소들위에 또는 그사이에서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이미 제안되었다. 판, 케이싱링 또는 중간 부품과 같은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하부요소들 또는 플랜지, 수정 또는 베젤고 같은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상부요소들사이에서 다이알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장치들이 관련된다. 상기 형태의 장치들이 사람에 의한 조립작업에 양호하게 적용될 지라도, 외부의 시계요소들이 조립되기 전에, 무브먼트, 다이알 및 표시장치의 예비조립품이 필요한 자동 또는 반자동식 조립작업에서 상대적으로 덜 만족스럽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해결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판의 하부 또는 케이싱링위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위치들에서 다이알을 나샅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특허출원 제 1467/96호에 의하면, 핸드파이프를 위한 통로를 가진 중심부에서 볼트연결부가 구성된다. 미국특허제 4, 320, 483호에 의하면, 상기 다이알 및 판사이에 자석 커플링장치가 공개된다.
다수의 변형예들을 제공하는 다른 해결방법에 의하면, 다이알의 하부면에 고정된 하측부를 제공하고, 상기 하측부가 용접, 나사체결 또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요소내에 고정된다. 구속부와 관련하여, 유럽특허 제 0 465 988호에 의하면, 다이알의 모든 하측부는 근접한 위치에서 리벳이음된 포스트에 의해 상기 판내부로 구속된다.
스위스특허 제 485 259호에 공개된 더욱 간단한 해결방법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링내부에 배열된 하우징들내부에 다이알하측부들이 접착된다. 다이알이 하측부를 가지지 못하고 상기 케이싱링의 상부면위에 접착이 형성되는 더욱 간단한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케이싱링 또는 다른 하부연결요소의 구성재료 및 다이알의 구성재료를 접착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가장 흔한 경우이지만, 종종 충분한 접착작용을 가진 접착제가 최근에 제공되지 못하는 합성재료에 의해 상기 케이싱링이 구성될 때, 상기 제품을 발견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케이스의 하부요소 특히 케이싱링과 다이알을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계의 무브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의 하부요소 또는 무브먼트내부에 포함된 하부요소위에 다이알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장치에 의하면, 상기 하부요소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들은 네크부분에 의해 제 2 부품으로부터 분리된 다이알의 측부위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 1 부품을 가지고, 상기 관통통로에 구성된 제 2 부품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1 부품의 전체가 적어도 다이알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구성재료에 대해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재료로 충진되는 특징이 제공된다.
하기 설명에 의하면, 상기 네크부분이 서로 다른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통로의 제 1 및 제 2 부품들이 케이스의 평면 즉 다이알에 대하여 수직인 제네레이터를 가진 경로들을 형성한다. 하부요소들을 통해 관통통로들을 배열하기 위한 공간에 적합하게 구성된 윤곽이 상기 경로들에 구성되는 것이 분명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통로들에 구성된 제 1 및 제 2 부품들의 축들이 파선을 형성한다.
상기 무브먼트에 대하여 다이알의 예비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하부요소는 시계무브먼트의 판에 형성된 판의 하부의 반경방향연장부 또는 케이싱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다이알이 케이싱링위에 고정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고정장치가 유리하다. 마찰계수가 매우 작아서,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케이싱링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재료들중 한 개가 Derlin®이라는 상표로 Duport사에 의해 시판중인 폴리옥시메틸렌이다. 불행하게도 사기 재료는 접착작업이 극도로 곤란하거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따르는 상기 장치에 의하면, 다이알을 고정시키는 하측부와 같이 특수한 구성을 불필요하고 다이알과 접착될 수 있는 동시에 마찰특성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하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비제한적인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이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은 직사각형 다이알을 가진 시간기록 시계의 평면도.
도 2는 다이알 및 케이싱링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1 의 화살표Ⅱ-Ⅱ를 따라 도시되며 12시내지 6시 라인을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 내지 6도는 도 2에 도시된 관통통로에 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3 ... 다이알4 ... 손목밴드
10 ... 케이싱링12 ... 관통통로
13 ... 제 1 부품15 ... 네크부분
도 1에 도시된 시간 기록시계의 케이스가 직사각형의 중간부품(1)을 가지고, (수정 베젤 또는 중간부품의 연장부분과 같은 )상부의 밀폐요소들이 도시되지 않는다. 손목밴드(4)가 고정될 수 있는 호온(2)이 상기 중간부품(1)에 제공된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직사각형의 다이알(3)은 투명한 것으로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라, 시간기록시계는 예를 들어, 6시위치에서 초침(6c), 시침 및 분침(6a,6b) 에 의해 유사한 표시장치를 정확한 시간으로 설정하기 위한크라운(5)을 가진다. 두 개의 푸시버튼(7a, 7b)들에 의해 시간기록기능이 제어되고, 측정된 시간이 중간의 초침(8), 분 계수기(9a) 및 초계수기(9b)의 십분의 일표시에 의해 표시된다. 시간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무브먼트 및 시간기록기능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을 구성하지 않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무브먼트일 수 있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 다. 대부분의 경우에, 케이싱링(10)내부에 수용된 둥근 켈리버가 무브먼트를 구성한다. 중간부품(1)의 내부윤곽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으로 외부윤곽이 형성되면, 상기 케이싱링이 폭넓게 이용된다. 따라서 도 2를 참고하여, 하기 다이알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네 개의 데드영역(11)들이 상기 구성에 형성된다.
다이알(3)을 고정하기 전에 상기 단면의 좌측부가 제공되고, 또한 접착재료(19)에 의해 접착된 후에 우측부가 플러그를 형성한다. 도면을 참고할 때, 모든 관통통로는 두 개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제 1 부품(13)이 다이알(3)의 측부위에서 개구부(14)를 형성하고, 제 2 부품(17)이 상기 제 1 부품(13)에 연결되고, 네크(neck)부분(15)을 형성한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부품의 내부표면들의 제네레이터들이 다이알(3)과 수직이고, 개구부(14)의 단면은 제 2 부품의 단면보다 작아서, 제 1 부품(13) 및 제 2 부품(15)사이의 변부에 의해 상기 네크부분(15)이 형성된다.
도 3의 변형예를 참고할 때, 제 1부품 및 제 2 부품(17)이 정확하게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두 개의 부품들을 분리시키는 리브(15a)에 의해 상기 네크부분(15)이 형성된다.
도 4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13, 17)의 제네레이터들이 비스듬하게 배열되고, 상기 네크부분을 형성하는 변부(15a)로부터 다이알(3)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물론 제 1 부품(13)의 제네레이터들이 다이알(3)의 평면과 수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심지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부품(17)의 제네레이터들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며, 다음에 개구부(14)의 변부(15c)에 의해 상기 네크부분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되고 경미하게 상이한 변형예에 따르면, 관통통로(12)들에 구성된 제 1 부품(13), 제 2 부품(18)의 축들이 평행하지 않지만대시에 파선을 형성하여, 두 개의 축들사이에 위치한 굴곡점에 의해 상기 네크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축들이 수직이고, 상기 관통통로의 제 2 부품이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케이싱링의 한 쪽 측부를 향해 개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들에 무관하게 관통통로를 충진하는 재료가 관통통로의 제 2 부품의 일부분을 충진할 때, "플러그(plug)"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들에 있어서, 시간표시바늘들을 위한 축들의 통로에 대한 유일한 구멍들을 포함하고 완전하게 평평한 다이알(3)이 적어도 다이알(3)의 내부면에 대한 강력한 접착력에 의해 관통통로(12)내부로 재료(19)를 삽입하여 접착작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접착재료가 상기 관통통로(12)의 모든 제 1 부품(13)을 충진하고 네크부분(15)을 너머 제 2 부품(17)내부로 유출되도록 삽입된 접착재료(19)의 상태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케이싱링(10)이 Derlin®으로 제조될 때와 같이,관통통로(12)의 벽들에 대하여, 상기 접착재료(19)가 영 또는 낮은 접착력을 가질지라도, 제거될 수 없는 플러그를 형성하도록 접착재료(19)는 도포될 때, 액상이고 대기온도에서 고상이 되도록 접차재료(19)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접착재료(19)가 특히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 서모멜트(thermomelt)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열가소성재료들 또는 페폭시 형태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직사각형의 다이알에 대하여 관통통로(12)들이 삼각형단면을 가진다. 타원형의 다이알에 대하여 콩모양의 단면이 제공된다. 둥근 다이알이 이용되면, 개구부(14)의 단면크기는 더욱 작아져야 하지만, 관통통로(12)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원형피드(feed)에 의해 모든 하부부품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케이싱링(10)위에 다이알(3)을 고정시키는 대신에, 상기 설명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다이알(3)은 무브먼트판 또는 무브먼트의 연장부의 하부와 같은 또 다른 하부요소위에 고정될 수 있다. 경미한 차이가 관통통로(12)의 깊이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의 하부에 대해 이용되고 금속에 부착될 수 있는 재료가 제공되면, 본 발명의 방법이 유리하다. 사실상 금속에 대한 접착력은 표면마무리에 관해 요구되는 주의에 의존하고 금속에 대하여, 대기조건 및 특정습도에 상당히 의존하는 접착지속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최종제품에 대해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으로서 접착프라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 다른 실시예들이 당업자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3)

  1. 시계의 무브먼트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의 하부요소 또는 무브먼트내부에 포함된 하부요소(10)위에 다이알(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요소(10)가 적어도 두 개의 관통통로(12)들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들은 네크부분(15)에 의해 제 2 부품(17,18)으로부터 분리된 다이알(3)의 측부위에 개구부(14)를 형성하는 제 1 부품(13)을 가지고, 상기 관통통로(12)에 구성된 제 2 부품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 1 부품의 전체가 적어도 다이알(3)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구성재료에 대해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재료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요소(10)의 마주보는 하부면 및 다이알측부위에서 관통통로(12)의 개구부들이 상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관통통로(12)의 제 1 및 제 2 부품(13,17)에 구성된 내부면들이 다이알(3)측부에서 개구부(14)를 제한하고 다이알(3)과 수직인 제네레이터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14)의 단면적이 마주보는 측면위에서 개구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13, 17)들사이에 형성된 돌출측부에 의해 상기 네크부분(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다이알(3)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 제 1 및 제 2 부품들의 제네레이터의 방향과 상관없이 상기 관통통로(12)의 두 개의 부품들(13,17)들사이의 연결부에서 모든 관통통로(12)의 제 2 부품(17)내부의 근접한 하부영역의 단면적보다 상기 제 1 부품(13)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다이알(3)측부위에서 개구부의 변부와 상기 네크부분(15)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부품(13) 및 제 2 부품(18)의 축들이 파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를 포함하는 하부요소(10)가 케이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관통통로(12)를 포함하는 하부요소(10)가 무브먼트너로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연장부에 의해 판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서모멜트 또는 열성형 복합체 및 에폭시형태의 접착재료로부터 접착재료(19)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요소(10)를 형성하는 재료에 대해 접착재료(19)가 영 또는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1. 케이싱링(10)의 외부윤곽이 케이스의 내부윤곽과 일치하는 케이싱링에의해 원형의 시계무브먼트를 수용하고 다이알(3)을 성형케이스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케이싱링이 네 개의 관통통로들을 가지고, 마주보는 측면위에서 제 2 붚무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진 다이알측부위에서 상기 관통통로들이 제 1 부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직사각형이고, 상기 관통통로들이 1시위치, 5시위치, 7시위치 및 11시위치에서 데드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접착재료가 상기 케이싱링을 형성하는 재료에 대해 영 또는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020039868A 2001-07-12 2002-07-10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KR200300070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285/01 2001-07-12
CH12852001 2001-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88A true KR20030007088A (ko) 2003-01-23

Family

ID=456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868A KR20030007088A (ko) 2001-07-12 2002-07-10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81924B2 (ko)
JP (1) JP4195251B2 (ko)
KR (1) KR20030007088A (ko)
CN (1) CN100380249C (ko)
HK (1) HK1054085A1 (ko)
SG (1) SG98485A1 (ko)
TW (1) TW538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3939B1 (fr) * 2012-04-20 2017-08-30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Cadran pour pièce d'horlogerie
WO2015144382A1 (fr) * 2014-03-25 2015-10-01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ece d'horlogerie pourvue d'un cadran et methode de fixation associee
US20230013124A1 (en) * 2019-11-26 2023-01-19 Rolex Sa Connecting ring for a timepiece dial, plate and timepiece dial, assembly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676A (ja) * 1984-02-29 1985-09-17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表示板の固定方法
JPH08304563A (ja) * 1995-04-25 1996-11-22 Eta Sa Fab Ebauches 文字板固定手段を有する腕時計
JPH09274089A (ja) * 1996-04-05 1997-10-21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のムーブメント固定構造
KR20000071405A (ko) * 1999-03-05 2000-11-25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발광체, 장식 또는 다른 적용된 요소를 포함하는 다이얼과상기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33986A (fr) * 1956-10-26 1958-11-15 Fontainemelon Horlogerie Dispositif de fixation d'un cadran à une platine de pièce d'horlogerie
US4150538A (en) * 1977-11-08 1979-04-24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Dial attaching device for watch
CH622661B (fr) * 1978-11-30 Ebauches Bettlach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cadran d'horlogerie sur la platine d'un mouvement de montre.
CH679628B5 (ko) * 1990-07-12 1992-09-30 Sonceboz Ebauches Fab
CH683582B5 (fr) * 1992-06-30 1994-10-14 Ebauchesfabrik Eta Ag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élément fixé rigidement sur une pièce de base en matière plastique.
US5265071A (en) * 1993-02-02 1993-11-23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watch dial support and connector assembly
WO1999005233A1 (fr) * 1997-07-22 1999-02-04 Citizen Watch Co., Ltd. Procede de fixation de tres petits art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676A (ja) * 1984-02-29 1985-09-17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表示板の固定方法
JPH08304563A (ja) * 1995-04-25 1996-11-22 Eta Sa Fab Ebauches 文字板固定手段を有する腕時計
JPH09274089A (ja) * 1996-04-05 1997-10-21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のムーブメント固定構造
KR20000071405A (ko) * 1999-03-05 2000-11-25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발광체, 장식 또는 다른 적용된 요소를 포함하는 다이얼과상기 요소를 고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21560A (ja) 2003-04-23
CN1397853A (zh) 2003-02-19
US6781924B2 (en) 2004-08-24
SG98485A1 (en) 2003-09-19
JP4195251B2 (ja) 2008-12-10
CN100380249C (zh) 2008-04-09
HK1054085A1 (en) 2003-11-14
US20030012086A1 (en) 2003-01-16
TW538324B (en) 200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984A (en) Timepiece including a receiving and/or transmitting antenna for radio broadcast signals
JP4763200B2 (ja) フレキシブル・リストバンド中に組み込まれたプリント回路を含んでいる電子腕時計
US6666576B2 (en) Watch case assembled via the bezel
KR19990088460A (ko) 밴드및리스트장치
WO2000017715A1 (fr) Structure de montage de lunette tournante et horlogerie avec structure de montage
KR20030007088A (ko) 시계케이스내부에 다이알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US5696741A (en) Timepiece including a fluid resistant container assembled in a metallic case
EP0169623B1 (en) A clock
US20200301368A1 (en) Timepiece dial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decoration
BR9906725A (pt) Relógio e cronÈmetro com mostradores de acionamento digital e analógico separado, sobrepostos
EP4343299A1 (en) Sensor device and timepiece
US4241439A (en) Substrate board/carrier frame assembly
JP2001100642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時計
CN219065996U (zh) 一种玻璃防水手表壳
CN111722516B (zh) 世界时手表的表盘
JPH082637Y2 (ja) 小型指針表示式水晶時計
JP3236870B2 (ja) 腕時計の構造
JPH0720266A (ja) 指針式時計
JP2023086384A (ja) ケース及び時計
CN115453846A (zh) 钟表以及钟表外壳
JP2006177831A (ja) 電子時計
GB1530073A (en) Watch module for a small electronic timepiece
JPH0961550A (ja) 文字板の取付構造
JP2596768Y2 (ja) 圧力センサ付き電子時計
JPS59155781A (ja) 液晶表示式電子腕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25

Effective date: 201107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