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044A -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044A
KR20030007044A KR1020020039279A KR20020039279A KR20030007044A KR 20030007044 A KR20030007044 A KR 20030007044A KR 1020020039279 A KR1020020039279 A KR 1020020039279A KR 20020039279 A KR20020039279 A KR 20020039279A KR 20030007044 A KR20030007044 A KR 20030007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rrection
image signal
signa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829B1 (ko
Inventor
아오키도루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보정 테이블(TBL1∼TBL3)은 보정 데이터를 기억한다. 직선 보간 회로(314)는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데이터(Din)의 데이터 값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한다. 래치 회로군(315)은 직선 보간 회로의 각 출력 데이터를 블럭 신호(SWP)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래치한다. 선택기(316)는 어드레스 신호(ADR)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Ha∼Hf)를 선택하여 가산 회로(312)에 출력한다. 가산 회로(312)는 지연된 지연 화상 데이터(Dt)와 선택된 보정 데이터(Ha∼Hf)를 가산하여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전개에 따르는 각 계통간의 오차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 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 OPTICAL DEVICE, AN IMAGE PROCESSING CIRCUIT, A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COMPENSATION DATA}
본 발명은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기 광학 장치에 적합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 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의 주요부는 광원, 액정 표시 패널 및 렌즈로 구성된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입력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소마다 투과율이 조정된 액정 표시 표시 패널 및 렌즈를 거쳐서 스크린에 표시된다. 표시 화상의 분해능은 액정 표시 패널의 화소 피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화소 피치를 좁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은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을 간극(間隙)을 두고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간극에는 액정이 충전되어 있다. 대향 기판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는 한편, 소자 기판에는 복수개의 주사선과, 복수개의 데이터선과,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화소 전극 및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다. 그리고, 1 수평 기간마다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1개의 주사선을 선택하고 있는 기간 동안에 각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이것을 화소 전극에 기입하는 것이 실행된다.
화소 피치를 좁게 하면, 화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데이터선의 개수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에 기입하기 위한 기간이 짧아지게 된다. 데이터선에는 기생 용량이 부수되고 있기 때문에, 기록기간이 짧으면 데이터 신호를 충분히 기입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복수개의 데이터선을 한꺼번에 묶어서 선택하고, 각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병렬로 공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꺼번에 묶어서 선택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을 블럭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컨대, 1 블럭이 6개의 데이터선으로 구성된다고 한다면, 1 계통의 화상 신호를 6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을 6배로 신장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신호의 기록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하는 경우, 이득 등의 전달 특성이 계통간에 고르지 않으면, 표시 화상에는 블럭 주기의 표시 불균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표시 불균일은 표시 계조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다. 이것은 액정으로의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이 변화하는 비율이 인가 전압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에 이용하는 액정이, 인가 전압이 2V에서 투과율이 0%로 포화하고, 인가 전압이 5V에서 투과율이 100%로 포화하며, 인가 전압이 3.5V에서 투과율이 50%로 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인가 전압에 대한 투과율이 변화의 비율은 인가 전압이 3.5V일 때가 가장 크고, 인가 전압이 2V 또는 5V에 근접해감에 따라 변화의 비율은 감소한다. 따라서, 각 계통 사이에서 0.1V의 오차가 있었다해도, 목표 전압이 3.5V인 경우와 2.5 V인 경우에 있어서 사람의 눈으로 느끼는 계조 오차의 정도는 다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블럭 주기의 표시 불균일을 해소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는,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각 데이터선에 대응하는 상전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에 근거하여 생성된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하기 전에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를 소거할 수 있어,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는,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는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에 근거하여 생성된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각 데이터선에 보정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전개를 하는 과정에서, 각 계통마다 오차를 상쇄하는 보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상 신호 처리 회로는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생성하고, 상기 각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수단과,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된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각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때문에,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를 소거할 수 있어,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 보정 신호는 래치된 뒤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입력 화상 신호에 보정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을 역전시킨 경우에도 각 계통에 대응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처리 회로는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의 화상 신호로 상전개하는 상전개 수단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생성하고, 상기 각 화상 신호에 보정을 실행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각 보정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기 때문에,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를 소거할 수 있어,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를 각각 합성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각 보정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를 각각 합성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생성하는 복수의 합성 회로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상기 복수의 합성 회로에 공급하는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 계통으로 분할된 뒤 각 신호에 보정을 실시하는게 되어, 각 계통마다의 오차를 소거할 수 있으며, 표시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술한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수단과,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선택된 블럭에 속하는 데이터선의 각각에 공급하는 블럭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예컨대, 비디오 프로젝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등이 해당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은,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패널을 갖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블럭 주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 블럭에 대하여 측정 레벨에 대응하는 계조를 스크린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측정 블럭 사이에 삽입된 상기 측정 블럭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의 기준 블럭에 대하여 기준 레벨에 대응하는 계조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시키고, 상기 스크린상의 화상을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측정 레벨과 상기 기준 레벨을 판별할 수 있는 임계값과 상기 화상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블럭을 검지하고,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표시 화상 중, 측정 블럭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어느 세로 라인이 어느 데이터선에 대응하는지를 검지하여, 그것에 따른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블럭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블럭 고스트의 영향을 받지 않는 블럭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평균화하여 얻은 평균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 신호를 평균화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하여, 정확한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상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평균화하여 얻은 평균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스크린의 좌측 상단 코너 영역, 우측 상단 코너 영역, 좌측 하단 코너 영역, 우측 하단 코너 영역 및 중앙 영역 중 전부 혹은 몇 개를 적절히 조합한 영역에 위치하는 측정 블럭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모든 측정 블럭에 대하여 화상 신호의 평균화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연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프로젝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동(同) 프로젝터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동 액정 표시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동 프로젝터에 이용하는 보정 회로의 블럭도,
도 5는 동 프로젝터에 이용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동 프로젝터에 의한 테스트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동 프로젝터에 있어서의 전송 방향과 입력 화상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 동 프로젝터에 이용하는 보정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9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인 경우, 동 프로젝터에 이용하는 보정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동 프로젝터에 있어서의 상전개 회로(320)로부터 데이터선(114a∼114f)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11은 실시예 2 따른 프로젝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동 프로젝터에 이용하는 보정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전자 기기의 일례인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유기 전자 발광(electro luminescence) 장치의 기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 패널112 : 주사선
114a∼114 : 데이터선116 : TFT
118 : 화소 전극300A, 300B : 화상 처리 회로
320, 320' : 상전개 회로310, 310' : 보정 회로(보정 수단)
312, 312-1∼312-6 : 가산 회로(합성 회로)
316, 316' : 선택기(선택 회로, 공급 회로)
TBL1∼TBL3 : 보정 테이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의 일례로서, 액티브·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실시예 1>
<1-1 : 프로젝터의 전체 구성>
도 1은 프로젝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100)는 3장의 액정 표시 패널(100R, 100G, 100B)과, 타이밍 발생 회로(200)와, 화상 처리 회로(30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각 액정 표시 패널(100R, 100G, 100B)은 R(빨강), G(초록), B(파랑)의3원색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 각 패널은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유지(挾持)하게 되며, 표시 영역 외에, 데이터선 구동 회로 및 주사선 구동 회로가 소자 기판의 주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색에 공통되는 설명을 하는 경우, 액정 표시 패널에는 부호「100」을 붙이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타이밍 발생 회로(200)는 주사선 구동 회로나 데이터선 구동 회로, 혹은 화상 처리 회로(300)에 각종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에, 화상 처리 회로(300)는, 10 비트의 입력 화상 데이터(Din)에 근거하여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를 생성하여 각 액정 표시 패널(100R, 100G, 100B)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1개의 입력 화상 데이터(Din)와 1개의 화상 처리 회로(3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RGB 각 색에 대응하는 3개의 화상 처리 회로가 마련되고 있고, 3종류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외부에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젝터의 기계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 프로젝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100) 내부에는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램프 유닛(110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 사출(射出)된 투사(投射)광은 광 가이드(1104) 내에 배치된 4장의 미러(1106) 및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1108)에 의해서 RGB의 3원색으로 분리되어,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 밸브로서의 액정 표시 패널(100R, 100B 및 100G)에 입사된다. 액정 표시 패널(100R, 100B 및 100G)에는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R, G, B의 화상 신호로 각각 구동된다. 그런데, 이들의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서 변조된 광은 다이크로익 프리즘(1112)에 3 방향에서 입사된다. 이 다이크로익 프리즘(1112)에 있어서는 R 및 B의 광이 90°로 굴절하는 한편, G의 광이 직진한다. 따라서, 각 색의 화상이 합성되는 결과, 투사(投射) 렌즈(1114)를 거쳐 스크린 등에 컬러 화상이 투사(投寫)되게 된다. 액정 표시 패널(100R, 100B, 100G)에는 다이크로익 미러(1108)에 의해, R, G, B의 각 원색에 대응하는 광이 입사하기 때문에, 대향 기판에 컬러 필터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이 프로젝터의 사용 형태로서는, 바닥면에 장치를 거치(据置)하여 사용하는 형태와, 장치의 저면(低面)을 천정을 향하게 하여 천정으로부터 매달아 늘어뜨려 사용하는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 형태를 변경하면, 스크린에 대한 액정 표시 패널(100)의 위치 관계가 상하좌우 역전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 DIRY)에 근거하여, 주사 방향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역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 : 액정 표시 패널>
다음에, 액정 표시 패널(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액정 표시 패널(100)은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이 간극을 두고 대향하며, 이 간극에 액정이 봉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소자 기판과 대향 기판은 석영 기판이나, 하드 글래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소자 기판에 있어서는, 도 3에 있어서 X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개의 주사선(112)이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이것과 직교하는 Y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개의 데이터선(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데이터선(114)은 6개를 단위로 하여 블럭화되어 있고, 이들을 블럭(B1∼Bm)으로 한다. 이후 설명의 편의상, 일반적인 데이터선을 지적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를 "114"로 하여 표시하지만, 특정한 데이터선을 지적하는 경우에는 그 부호를 "114a∼114f"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주사선(112)과 데이터선(114)의 각 교점에 있어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예컨대, 각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고 칭함)(116)의 게이트 전극이 주사선(112)에 접속되는 한편, TFT(116)의 소스 전극이 데이터선(114)에 접속됨과 동시에, TFT(116)의 드레인 전극이 화소 전극(11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화소는, 화소 전극(118)과, 대향 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과, 이들 양 전극 사이에 유지된 액정에 의해 구성되며, 주사선(112)과 데이터선(114)의 각 교점에 있어서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또, 이 외에 유지 용량(도시 생략)이 각 화소 전극(118)에 접속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사선 구동 회로(120)는, 소자 기판상에 형성되어, 타이밍 발생 회로(200)로부터의 클럭 신호(CLY)나, 그 반전 클럭 신호(CLYINV), 전송 개시 펄스(DY),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Y) 등에 근거하여, 펄스적인 주사 신호를 각 주사선(112)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주사선 구동 회로(120)는, 수직 주사 기간의 최초에 공급되는 전송 개시 펄스(DY)를 클럭 신호(CLY) 및 그 반전 클럭 신호(CLYINV)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시프트하여 주사선신호로서 출력하고, 이것에 의해 각 주사선(112)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Y)는 주사선(112)의 선택을 위에서부터 밑으로 실행할지, 혹은 밑으로부터 위로 실행할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주사선 구동 회로(120)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Y)에 따라서 주사선(112)의 선택 방향을 전환한다.
한편, 샘플링 회로(130)는, 샘플링용의 스위치(131)를 각 데이터선(114)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각 데이터선(114)마다 구비하는 것이다. 이 스위치(131)는 마찬가지로 소자 기판상에 형성된 TFT로 이루어지고, 이 스위치(131)의 소스 전극에는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블럭(B1)의 데이터선(114a∼114f)에 접속된 6개의 스위치(131)의 게이트 전극은 샘플링 신호(S1)가 공급되는 신호선에 접속되고, 블럭(B2)의 데이터선(114a∼114f)에 접속된 6개의 스위치(131)의 게이트 전극은 샘플링 신호(S2)가 공급되는 신호선에 접속되며, 이하 마찬가지로, 블럭(Bm)의 데이터선(114a∼114f)에 접속된 6개의 스위치(131)의 게이트 전극은 샘플링 신호(Sm)가 공급되는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샘플링 신호(S1∼Sm)는 각각 수평 유효 표시 기간내에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를 블럭마다 샘플링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는 마찬가지로 소자 기판 상에 형성되어, 타이밍 발생 회로(2O0)로부터의 클럭 신호(CLX)나, 그 반전 클럭 신호(CLXINV), 전송 개시 펄스(DX),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 등에 근거하여, 샘플링 신호(S1∼Sm)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는 수평 주사기간의 최초에 공급되는 전송 개시 펄스(DX)를 클럭 신호(CLX) 및 그 반전 클럭 신호(CLXINV)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시프트함과 동시에, 이들 시프트한 신호의 펄스폭을 인접하는 신호끼리 겹치지 않도록 좁혀, 샘플링 신호(S1∼Sm)로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는 데이터선(114)의 선택을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실행할지, 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실행할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에 따라서 데이터선(114)의 선택 방향을 전환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샘플링 신호(S1)가 출력되면, 블럭(B1)에 속하는 6개의 데이터선(114a∼114f)에는 각각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샘플링되고, 이들의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현시점의 선택 주사선에 있어서의 6개의 화소에 해당 TFT(116)에 의해서 각각 기록되게 된다.
그 다음, 샘플링 신호(S2)가 출력되면, 이번에는 블럭(B2)에 속하는 6개의 데이터선(114a∼114f)에 각각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샘플링되고, 이들의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그 시점의 선택 주사선에 있어서의 6개의 화소에 해당 TFT(116)에 의해서 각각 기록되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샘플링 신호(S3, S4, ..., Sm)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 블럭(B3, B4, ..., Bm)에 속하는 6개의 데이터선(114a∼114f)에는 각각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샘플링되고, 이들의 상전개 화상 신호 (VID1∼VID6)가 그 시점의 선택 주사선에 있어서의 6개의 화소에 각각 기록되게 된다. 그리고, 그 후, 다음 주사선이 선택되어, 블럭(B1∼Bm)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기록이 반복하여실행되게 된다.
이 구동 방식에서는 샘플링 회로(130)에 있어서의 스위치(131)를 구동 제어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의 단수(段數)가 각 데이터선을 점(点)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에 비해 1/6로 저감된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140)에 공급해야 할 클럭 신호(CLX) 및 이 반전 클럭 신호(CLXINV)의 주파수도 1/6이면 되기 때문에, 단수의 저감화와 더불어 저소비 전력화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3 : 화상 처리 회로>
다음에 화상 처리 회로(3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회로(300A), 보정 회로(310), 상전개 회로(320), D/A 변환 회로(330) 및 증폭 반전 회로(340)를 구비한다. 이 중, 보정 회로(310)는 상전개 회로(320)로부터 증폭·반전 회로(340)까지의 전달 특성을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를 생성한다.
상전개 회로(320)는 1 계통의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를 입력하면, 이것을 N상(相)(도면에 있어서는 N= 6)의 데이터로 전개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상전개 회로(320)의 출력 데이터는 D/A 변환기(330)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뒤, 증폭·반전 회로(34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증폭·반전 회로(340)는, 입력 신호를 이하의 조건으로 극성 반전시켜 적절히 증폭하고 나서, 상전개된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로서 액정 표시 패널(1OO)에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극성 반전이란, 화상 신호의 진폭 중심 전위를 기준 전위로 하여 그 전압 레벨을 교대로 반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반전 여부에 대해서는, 데이터 신호의 인가 방식이 ① 주사선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 ② 데이터 신호선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 ③ 화소 단위의 극성 반전인지에 따라 정해지며, 그 반전 주기는 1 수평 주사 기간 또는 도트 클럭 주기로 설정된다.
<1-4 : 보정 회로>
다음에, 도 4는 보정 회로(31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정 회로(310)는 보정 테이블(TBL1∼TBL3)을 구비하고 있다. 보정 테이블(TBL1)에는 백(白) 레벨에 대응하는 6개의 보정 데이터(HWa∼HWf)가 기억되어 있다. 보정 테이블(TBL2)에는 중간 레벨에 대응하는 6개의 보정 데이터( HGa∼HGf)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보정 테이블(TBL3)에는 흑(黑) 레벨에 대응하는 6개의 보정 데이터(HBa∼HBf)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보정 데이터(HWa, HGa, HBa)는 데이터선(114a)에 대응하고, 보정 데이터(HWb, HGb, HBb)는 데이터선(114b)에 대응하며, 보정 데이터(HWc, HGc, HBc)는 데이터선(114c)에 대응하고, 보정 데이터(HWd, HGd, HBd)는 데이터선(114d)에 대응하며, 보정 데이터(HWe, HGe, HBe)는 데이터선(114e)에 대응하고, 보정 데이터(HWf, HGf 및 HBf)는 데이터선(114f)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각 보정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정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0)은, 프로젝터(1100), CCD 카메라(500),퍼스널 커퓨터(600) 및 스크린(S)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터(1100)는 보정 회로(31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S)에는 프로젝터(1100)로부터 투사된 화상이 그대로 나타난다. CCD 카메라(500)는 스크린(S)의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Vs)로서 퍼스널 컴퓨터(600)에 공급한다. 퍼스널 컴퓨터(600)는 화상 신호(Vs)를 해석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상의 보정 데이터 생성 시스템(1000)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신호 발생기로부터 프로젝터(11OO)에 테스트 화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 테스트 화상 데이터는, 예컨대, 4 블럭마다 흑 일색 또는 백 일색의 기준 라인(기준 블럭)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도 6은 스크린(S)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백 레벨에 대응하는 6개의 보정 데이터(HWa∼HWf)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먼저, 기준 라인(기준 블럭)을 흑 일색으로 함과 동시에 다른 영역(측정 블럭)을 백 레벨로 하는 테스트 화상 데이터를 프로젝터(1100)에 공급한다. 두 번째로, 퍼스널 컴퓨터(600)는 화상 신호(Vs)를 수신하고, 화상 신호(Vs)를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기준 라인을 검지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기준 라인의 표시 레벨을 기준 레벨로 하고, 다른 영역의 표시 레벨을 측정 레벨로 했을 때, 기준 레벨과 측정 레벨을 판별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세 번째로, 퍼스널 컴퓨터(600)는 기준 라인에 인접하지 않는 블럭의 계조를 데이터선(114a∼114f)마다 측정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블럭(Bj, Bj+4)이 기준 라인이지만, 블럭(Bj+1, Bj+3)은 인접하는 기준 라인에 인접하는 블럭이 된다. 한편, 블럭(Bj+2)은 기준 라인에 인접하지 않는 블럭이다. 따라서, 보정 데이터는 블럭(Bj+2)의 화상 신호(Vs)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백 레벨과 실제로 측정된 화상 신호(Vs)의 차분(差分)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입력 화상 데이터에 가산했을 때, 오차가 소거되도록 보정 데이터의 값을 정한다. 여기서, 데이터선(114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a, 데이터선(114b)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b, 데이터선(114c)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c, 데이터선(114d)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d, 데이터선(114e)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e, 데이터선(114f)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가 HWf로 된다.
다음에, 중간 레벨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HGa∼HGf)도 마찬가지로 생성한다. 한편, 흑 레벨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HBa∼HBf)는 기준 라인을 백 일색으로 하여 표시시킨다.
이것은, 기준 라인 이외의 영역에 흑 레벨을 표시시키기 위해, 기준 라인과 다른 영역을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HWa∼HWf, HGa∼HGf, HBa∼HBf)는 각 보정 테이블(TBL1∼TBL3)에 저장된다. 또, 보정 데이터는 스크린(S)에 투영된 전체 화면에 관한 오차를 평균하여 생성해도 무방하고, 또는, 좌측 상단 코너 영역, 우측 상단 코너 영역, 중앙 영역, 좌측 하단 코너 영역 및 우측 하단 코너 영역과 같은 소정의 영역에서 얻어진 오차를 평균하여 생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4로 되돌아가서, 보정 회로(310)의 설명을 계속한다. 휘도 레벨 판정 회로(313)는 입력 화상 데이터(Din)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판정 신호를 출력한다. 본 예에서는, 보정 데이터(HGa∼HGf)를 생성할 때에 이용되는 중간 레벨을 기준 레벨로 한다.
다음에, 직선 보간 회로(314)는, 판정 신호에 근거하여, 보정 테이블(TBL1∼TBL3) 중에서 2개의 테이블을 선택하고, 각 테이블로부터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하며, 그것들을 입력 화상 데이터(Din)에 근거하여 보정하여, 보정 데이터(Ha∼Hb)를 각각 생성한다.
다음에, 래치 회로군(315)은 블럭 신호(SWP)에 동기하여 직선 보간 회로(314)의 각 출력 데이터를 래치한다. 블럭 신호(SWP)의 주기는 도트 클럭 신호의 주기의 6배이며, 블럭의 교체 타이밍에서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천이하는 신호이다.
다음에, 선택기(316)는 래치 회로군(315)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데이터(Ha∼Hf)를 어드레스 신호(ADR)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이것을 가산 회로(312)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신호(ADR)의 지시값이(000), (001), …, (101)일 때, 보정 데이터(Ha, Hb, ..., Hf)를 선택한다.
다음에,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는 업다운 카운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럭 신호(CK)를 카운트하여, 그 계수값을 어드레스 신호(ADR)로서 출력한다. 또한, 그 계수값은 블럭 신호(SWP)에 의해서 리세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에 근거하여, 업 카운트·다운 카운트의 동작이 제어됨과 동시에, 리세트시의 초기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초기값(000)에서 업 카운트를 개시하는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의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초기값(101)부터 다운 카운트를 개시한다.
FIFO(311)는 클럭 신호(CK)에 의해서 동작하는 선입선출(先入先出) 메모리이며, 10 비트의 래치 회로를 6단 세로로 연이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FIFO(311)로부터 출력되는 지연 화상 데이터(Dt)는 1 블럭에 상당하는 기간을 지연한 것으로 되어 있다. FIFO(311)에 의해서 1 블럭 기간의 지연을 부여한 것은 직선 보간 회로(314)의 처리에는 연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가산 회로(312)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보정 데이터는 입력 화상 데이터(Din)에 대하여 지연되므로, 그것과 시간을 맞추기 위함이다.
여기서,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에 근거하여, 어드레스 신호(ADR)의 발생순서를 제어하는 이유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전송 방향이 도 7의 상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에는, 데이터선 114a → 114b →, ... ,→ 114f의 순서로, 입렵 화상 데이터 Din1 → Din2 →, ...,→ Din6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한편, 전송 방향이 도 7의 하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인 경우에는, 데이터선 114f → 114e →, ..., → 114a의 순서로, 입력 화상 데이터 Din1 → Din2 →, …, → Din6에 상당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된다. 한편, 보정 데이터는 각 데이터선(114a∼114f)에 대응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보정 데이터와 입력 화상 데이터의 대응을 취하기 위해서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에 따라 어드레스 신호(ADR)의 발생 순서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이다.
<1-5 : 프로젝터의 동작>
다음에, 프로젝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보정 회로(3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에 있어서의 보정 회로(3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며, 도 9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인 경우에 있어서의 보정 회로(31O)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우선,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를 생각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화상 데이터(Din)는 클럭 신호(CK)에 동기하고 있고, 또한, FIFO(311)의 출력 데이터인 지연 화상 데이터(Dt)는 입력 화상 데이터(Din)에 대하여 클럭 신호(CK)의 6주기만큼 지연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블럭 신호(SWP)의 1주기만큼 지연되어 있다.
이 결과, 기간(T)에 있어서는 지연 화상 데이터(Dt)로서, D1n, D2n, …, D6n이 얻어진다. 한편, 기간(T)에 있어서 래치 회로군(315)으로부터는 보정 데이터(Han∼Hfn)가 출력된다. 여기서, 기간(t1)에 있어서 블럭 신호(SWP)가 액티브로 되면,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의 계수값은 리세트되기 때문에, 어드레스 신호(ADR)는 (000)으로 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가 클럭신호(CK)에 근거하여 카운트 업함으로써, 어드레스 신호(ADR)는 (001), (010), …, (101)로 증가된다.
따라서, 기간(t1∼t6)에 있어서 선택기(316)로부터는 보정 데이터(Han∼Haf)가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이들과 지연 화상 데이터(Dt(D1n∼D6n))가 가산 회로(312)에 의해서 가산되어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가 얻어진다. 예컨대, 기간(t1)에 있어서는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로서, 「D1n+ Han」이 출력된게 된다.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간(t1)에 있어서 블럭 신호(SWP)가 액티브로 되면,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의 계수값은 리세트되고, 어드레스 신호(ADR)는 (101)로 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신호 생성 회로(317)가 클럭 신호(CK)에 근거하여 카운트 다운함으로써, 어드레스 신호(ADR)는 (101), (100), …, (000)로 감소된다.
따라서, 기간(t1∼t6)에 있어서 선택기(316)로부터는 보정 데이터(Hfn∼Han)가 순차적으로 출력되고, 이들과 지연 화상 데이터(Dt(D1n∼D6n))가 가산 회로(312)에 의해서 가산되어,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가 얻어진다. 예컨대, 기간(t1)에 있어서는,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로서 「D1n+ Hfn」이 출력되게 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상전개 회로(320)로부터 데이터선(114a∼114f)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전개 회로(320)는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에 직렬-병렬 변환을 실시하여,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를 블럭 신호(SWP)의 주기로 6 계통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상전개 회로(320)의 출력 단자(1) ∼ 출력 단자(6)로부터는 6 계통의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에 따라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순서가 다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전개 회로(320)의 출력 단자(1, 2, …, 6)로부터, DVID1n, DVID2n, …, DVLD6n이 출력된다.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전개 회로(320)의 출력 단자(1, 2,… ,6)로부터, DVID6n, DVID5n, … , DVID1n이 출력된다.
이들의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330)를 거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다시, 증폭·반전 회로(340)에 의해서 증폭·반전된 뒤,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로서 액정 표시 패널(100)에 공급된다.
다음에, 액정 표시 패널(100)에 있어서는 6개의 데이터선(114a∼114f)가 블럭화되어 있고, 각 블럭에 속하는 데이터선(114a∼114f)에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가 동시에 공급된다. 예컨대,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1n)에 근거하는 상전개 화상 신호(VID1)가 데이터선(114a)에 공급된다. 여기서, DVID1n은 도 8에 나타내는 기간(t1)의 데이터「D1n+ Han」에 상당한다. 「Han」은 데이터선(114a)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에근거하여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보정 완료의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114a)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정 완료 화상 데이터(DVID6n)에 근거하는 상전개 화상 신호(VID1)가 데이터선(114a)에 공급된다. DVID6n은 도 8에 나타내는 기간(t6)의 데이터「D6n+Han」에 상당한다. 「Han」은 데이터선(114a)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보정 완료의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114a)에 공급되게 된다.
복수의 데이터선(114)을 한꺼번에 묶어서 선택하는 경우, 1 계통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화상 데이터에 D/A 변환, 증폭·반전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D/A 변환이나 증폭·반전의 처리에 있어서 이득 등의 전달 특성에 오차나 편차가 있더라도, 미리 오차나 편차를 소거하도록 생성된 보정 데이터를 입력 화상 데이터(Din)에 가산하고 있기 때문에, 블럭 주기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S)의 화상을 반전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선(114)의 선택 방향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 보정 데이터를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좌우를 반전시킨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블럭 주기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 데이터의 데이터 값은 입력 화상 데이터(Din)의 데이터 값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입력 화상 데이터(Din)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둔다고 한다면 대용량의 보정 테이블을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몇 개의 대표값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중간값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는 직선 보간에 의해 산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정 테이블의 기억 용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관계되는 프로젝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의 프로젝터는 화상 처리 회로(300A) 대신에 화상 처리 회로(300B)를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그 전기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프로젝터와 마찬가지다. 또한, 실시예 2의 프로젝터의 기계적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프로젝터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프로젝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회로(300B)는 입력 화상 데이터(Din)를 D/A 변환기(31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뒤, 상전개, 보정, 증폭·반전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전개 회로(320')는 아날로그 신호를 취급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신호를 취급하는 도 1에 나타내는 상전개 회로(320)와 다르다. 단, 1 계통의 화상 신호를 6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을 6배로 신장한다는 점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다.
다음에, 도 12는 보정 회로(3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보정 회로(310')는 선택기(316) 대신에 선택기(316')를 이용한다는 점, D/A 변환기(318)를 구비한다는 점, 가산 회로(312-1∼312-6)를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보정 회로(3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316')는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에 입력 단자(IN1, IN2,…, IN6)에 공급되는 각 보정 데이터(Ha, Hb, …, Hf)를 출력 단자(OUT1, OUT2, …, OUT6)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인 경우에 입력 단자(IN1, IN2,…, IN6)에 공급되는 각 보정 데이터(Ha, Hb, …, Hf)를 출력 단자(OUT6, OUT5,…, OUT1)로부터 출력한다.
여기서, 각 보정 데이터 Ha, Hb, …, Hf를 A/D 변환하여 얻은 보정 신호를 ha, hb, …, hf라고 하면,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인 경우에, 가산 회로(312-1, 312-2, …, 312-6)의 출력 신호 vid1', vid2', …, vid6'는, 「vid1+ ha」, 「vid2+ hb」, …, 「vid6+ hf」로 된다. 한편, 전송 방향 제어 신호(DIRX)가 나타내는 전송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인 경우에는 출력 신호 vid1', vid2', …, vid6'는 「vid1+ hf」, 「vid2+ he」, …, 「vid6+ ha」로 된다. 이 결과, 데이터선(114)의 선택 방향을 역전시킨 경우에도 적절한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D/A 변환이나 증폭·반전의 처리에 있어서, 이득 등의 전달 특성에 오차나 편차가 있더라도, 미리 오차나 편차를 소거하도록 생성된 보정 신호를 상전개된 화상 신호에 가산하고 있기 때문에, 블럭 주기의 노이즈를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정 신호를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좌우를 반전시킨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블럭 주기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몇 개의 대표값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중간값에 대응하는 보정 데이터는 직선 보간에 의해 산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정 테이블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3. 응용예>
(1)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각 블럭(B1∼Bm)을 순차적으로 선택함과 동시에 선택된 하나의 블럭에 속하는 6개의 데이터선(114a∼114f)에 대하여, 6개의 상전개된 상전개 화상 신호(VID1∼VID6)를 동시에 샘플링하여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상전개의 수 및 동시에 공급하는 데이터선의 수(즉, 하나의 블럭을 구성하는 데이터선의 수)는 「6」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블럭을 구성하는 데이터선수를 3개나, 12개, 24개, … 등으로 하고, 데이터선에 대하여 3 상전개나, 12상전개, 24 상전개 등으로 병렬 공급된 화상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2)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산 회로(312, 312-1∼312-6)를 이용하여 화상 신호나 화상 데이터의 보정을 하였다. 그러나, 보정을 가산으로 실행할 것인지, 감산으로 실행할 것인지는 보정 데이터나 보정 신호의 극성에 의존한다. 요는, 노이즈 성분을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화상 신호 또는 화상 데이터에 보정 신호 또는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해 두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가산 회로는 화상 신호와 보정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 회로, 또는 화상 데이터와 보정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 회로라도 무방하다.
(3)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크린(S)에 표시된 화상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화상 처리 회로(300A, 300B)의 입출력 특성을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더라도 무방하다.
(4)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프로젝터에 적용한 것을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특징은 어떤 방법에 의해서 미리 생성한 보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나 화상 신호를 보정한다는 점에 있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 광학 물질을 갖는 전기 광학 패널을 이용한 각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모바일형의 컴퓨터에, 화상 처리 회로(300A, 300B) 및 액정 표시 패널(100)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있어서, 컴퓨터(1200)는, 키보드(1200)를 구비한 본체부(1204)와 액정 모니터(120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 모니터(1206)는 앞서 말한 액정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백라이트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 외에도, 액정 텔레비젼이나, 뷰 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호출기,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휴대 전화, 화상 전화기,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들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로서 TFT를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 소자로서(TFD(Thin Film Diode : 박막 다이오드))를 이용한 것이나, STN 액정을 이용한 패시브형 액정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발광 소자 등, 각종의 전기 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표시를 하는 표시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4에, 전자·발광 소자를 이용한 예로서, 유기 전자 발광 장치의 기본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패널의 기판 상에, 복수의 주사선(510)과 이들 복수의 주사선(51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선(512)과, 이들 데이터선에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선(514)이 형성되어 있다. 주사선(510)과 데이터선(512)이 교차하는 교차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유기 전자 발광 소자(550)와, 유기 전자 소자 소자(550)에 소스 또는 드레인이 접속된 트랜지스터(520)와, 게이트 및 소스 또는 드레인의 각각이 주사선(510)과 데이터선(51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516)와, 트랜지스터(520)의 게이트에 접속된 용량 소자(518)가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51O)은 주사선 드라이버(556)(예컨대, 시프트 레지스터 및 레벨 시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선(512)은 신호선 드라이버(503)(예컨대 시프트 레지스터, D/A 컨버터, 레벨 시프터, 비디오 라인, 래치 회로,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트랜지스터(516)를 온 상태로 하는 신호가 주사선(510)을 거쳐서 트랜지스터(516)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것에 의해 트랜지스터(516)는 온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데이터선(512)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용량 소자(518)에 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한 전하량이 축적된다. 용량 소자(518)에 축적된 전하량에 따라 트랜지스터(520)의 도통 상태가 결정되고, 유기 전자 발광 소자(5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결정된다. 그 전류량에 따라 유기 전자 발광 소자(550)가 발광한다.
이러한 전자 발광 소자를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도,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의 블럭마다 상전개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면 좋다. 또한,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한 후에 각 상전개 화상 신호를 보정하더라도 무방하다. 또, 전자 발광 소자를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반전 회로는 불필요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전개의 각 계통마다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여, 표시 화상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相展開)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각 데이터선에 대응하는 상전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에 근거하여 생성된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구동 방법.
  2.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 계통마다의 오차에 근거하여 생성된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각 데이터선에 보정된 상전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구동 방법.
  3.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하는 화상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생성하고, 상기 각 보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수단과,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시간축으로 신장하여, 복수 계통으로 상전개된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하는 화상 처리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의 출력 신호와 상기 입력 화상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보정 완료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7. 전자 기기로서,
    청구항 3에 기재된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수단과,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선택된 블럭에 속하는 데이터선의 각각에 공급하는 블럭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장치에 이용하는 화상 처리 회로에 있어서,
    입력 화상 신호를 복수 계통의 화상 신호로 상전개하는 상전개 수단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 동기하여 생성하고, 상기 각 화상 신호에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를 각각 합성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합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에 따라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각 보정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각 보정 신호를 상기 블럭의 선택 주기에서 래치하는 래치 회로군과,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와 상기 각 화상 신호를 각각 합성하여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합성 회로와,
    상기 데이터선의 선택 방향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래치 회로군의 각 출력 신호를 상기 복수의 합성 회로에 공급하는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회로.
  12. 전자 기기로서,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 처리 회로와,
    상기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주사선 구동 수단과,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전개 화상 신호를 선택된 블럭에 속하는 데이터선의 각각에 공급하는 블럭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점에 대응하여 마련된 스위칭 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에 대응하여 마련된 화소 전극을 갖고, 각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주사선이 선택된 기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을 복수개씩 묶은 블럭마다 상전개 화상 신호를 인가하는 전기 광학 패널을 갖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블럭 주기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측정 블럭에 대하여 측정 레벨에 대응하는 계조를 스크린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측정 블럭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측정 블럭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복수의 기준 블럭에 대하여 기준 레벨에 대응하는 계조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시켜,
    상기 스크린 상의 화상을,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레벨과 상기 기준 레벨을 판별가능한 임계값과 상기 화상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 블럭을 검지하고,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블럭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평균화하여 얻은 평균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선마다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상의 일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측정 블럭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평균화하여 얻은 평균화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002-0039279A 2001-07-09 2002-07-08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KR100519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8476 2001-07-09
JPJP-P-2001-00208476 2001-07-09
JP2002139085A JP3606270B2 (ja) 2001-07-09 2002-05-14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画像処理回路、電子機器、および補正データ生成方法
JPJP-P-2002-00139085 2002-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044A true KR20030007044A (ko) 2003-01-23
KR100519829B1 KR100519829B1 (ko) 2005-10-06

Family

ID=2661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79A KR100519829B1 (ko) 2001-07-09 2002-07-08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43765B2 (ko)
JP (1) JP3606270B2 (ko)
KR (1) KR100519829B1 (ko)
TW (1) TW5820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32B1 (ko) * 2004-06-18 2007-06-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383B2 (ja) 2003-10-31 2008-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152934B2 (ja) * 2003-11-25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GB0328584D0 (en) * 2003-12-10 2004-01-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data signal correction
JP4103886B2 (ja) * 2003-12-10 2008-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信号の補正方法、補正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85314B2 (ja) * 2004-04-22 200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JP3792246B2 (ja) * 2004-05-13 2006-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クロストーク解消回路、液晶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060092329A1 (en) * 2004-10-29 2006-05-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rrection apparatus thereof
JP4923473B2 (ja) * 2005-08-05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887977B2 (ja) * 2005-11-21 2012-02-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圧モニタ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70171165A1 (en) * 2006-01-25 2007-07-26 Ching-Yun Chuang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iming sequences for displays of such devices
JP4400593B2 (ja) * 2006-05-19 2010-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582349B2 (ja) * 2007-07-24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DE102007038817A1 (de) * 2007-08-16 2009-02-19 Wisag Service Holding Gmbh & Co. K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Projektion virtueller stehender oder bewegter Bilder und / oder Raumobjekte auf eine reale Projektionsfläche
CN101644919A (zh) * 2008-08-04 2010-02-10 施耐德电器工业公司 工业人机界面视觉检测系统和方法
JP2011043766A (ja) * 2009-08-24 2011-03-03 Seiko Epson Corp 変換回路、表示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2687195B (zh) * 2009-10-30 2015-03-25 三星电子株式会社 二维/三维图像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JP5507992B2 (ja) 2009-12-15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97215A (ja) * 2010-03-18 2011-10-06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6239288B2 (ja) * 2013-07-11 2017-11-29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液晶表示ドライバic
KR102099281B1 (ko) * 2013-10-25 2020-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E102017220810A1 (de) * 2017-11-22 2019-05-23 Robert Bosch Gmbh Laserprojektionsvorrichtung
CN112188181B (zh) * 2019-07-02 2023-07-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设备、立体图像处理电路及其同步信号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66016A5 (ko) * 1972-12-14 1975-08-29 Nigg Juerg
JP3123095B2 (ja) * 1991-03-29 2001-0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の画面欠点検出方法
JPH0527701A (ja) 1991-07-19 1993-02-05 Seiko Epson Corp 映像信号補正回路
EP1377111A1 (en) * 1993-12-24 2004-01-02 Sharp Kabushiki Kaisha Image-information storage regenerating device
JP3672586B2 (ja) * 1994-03-24 2005-07-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補正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070013C (zh) * 1994-12-14 2001-08-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有校正亮度不均匀性的电路的投影型图像显示装置
JPH08223519A (ja) 1994-12-14 1996-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画像表示装置
EP0718816B1 (en) * 1994-12-20 2003-08-0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KR100264506B1 (ko) * 1995-08-30 2000-09-01 야스카와 히데아키 화상 표시 장치와 화상 표시 방법과 표시 구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JPH09269754A (ja) * 1996-03-29 1997-10-1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3132444B2 (ja) 1997-10-31 2001-02-0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多相化された画像信号によって表示が行なわれる液晶表示装置に対する多相化された画像信号の供給装置
JP4189062B2 (ja) * 1998-07-06 2008-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274548B1 (ko) 1998-09-03 2000-12-15 윤종용 표시 장치 및 그의 방법
TW530287B (en) * 1998-09-03 200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JP3525762B2 (ja) * 1998-09-28 2004-05-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659065B2 (ja) * 1999-01-29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0305532A (ja) * 1999-04-23 2000-11-02 Hitachi Ltd 画像処理装置
TW564388B (en) * 1999-05-11 2003-12-01 Toshiba Corp Method of driving flat-panel display device
JP3991677B2 (ja) * 2001-12-26 2007-10-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を作成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ファイル作成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32B1 (ko) * 2004-06-18 2007-06-2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99016A (ja) 2003-04-04
US7598969B2 (en) 2009-10-06
US6943765B2 (en) 2005-09-13
US20030011585A1 (en) 2003-01-16
KR100519829B1 (ko) 2005-10-06
TW582007B (en) 2004-04-01
JP3606270B2 (ja) 2005-01-05
US20050206601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829B1 (ko)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자 기기,및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KR100490765B1 (ko)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화상 처리 회로,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KR100716480B1 (ko) 화상 보정량 검출 장치, 전기 광학 장치용 구동 회로,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85305B1 (ko) 휘도 편차의 보정 방법, 휘도 편차의 보정 회로,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8191561A (ja)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202613B2 (ja) 色むら補正装置
KR100392973B1 (ko)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4887977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圧モニタ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60284683A1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58164B1 (ko) 화상 신호의 보정 방법, 보정 회로, 전기광학장치, 및전자기기
US20080111925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JP5023740B2 (ja) 電気光学装置、データ信号の供給回路、供給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6184762A (ja) 表示駆動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駆動装置の駆動制御方法
JP2003091270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画像処理回路、電子機器、および補正データ生成方法
JP3612912B2 (ja) 表示装置及びガンマ補正方法
KR100716481B1 (ko) 화상신호의 보정방법, 보정회로, 전기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CN100524401C (zh) 电光装置及其驱动方法、电压监视方法以及电子设备
JP2008040125A (ja) 電気光学装置、表示データの処理回路、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665328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6276119A (ja) データ信号供給回路、供給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21510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JP5298944B2 (ja) 液晶パネルの温度検出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063604A (ja) 電気光学装置、そのデータ処理回路、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1118048A (ja) 液晶装置、温度検出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8203882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