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834A -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834A
KR20030006834A KR1020010042780A KR20010042780A KR20030006834A KR 20030006834 A KR20030006834 A KR 20030006834A KR 1020010042780 A KR1020010042780 A KR 1020010042780A KR 20010042780 A KR20010042780 A KR 20010042780A KR 20030006834 A KR20030006834 A KR 20030006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orter
hydraulic cylinder
bearing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복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834A/ko
Publication of KR200300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크레인을 이용한 니들 인출장치를 개선하여, 모터에 체인으로 연결된 중심축의 전후방에 니들 이송부와 니들 포터부를 설치하고 이를 제어부에 연결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제어부를 조작하여 박판 통판용 니들을 인출하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니들 이송부 및 니들 포터부에는 핀결합된 로드를 통하여 유압실린더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가 니들 이송부에 연결된 유압실린더, 모터, 니들 포터부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차례로 작동시키므로써, 니들이 지지테이블 외측으로 자동인출되게 된다. 본 장치는, 종래의 인출장치에 비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크게 감소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수 있으며, 인출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A apparatus for draw-out needle for connecting strip steel}
본 발명은 박판 통판용 니들을 소둔로 출측 지지 테이블 상에서 보다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자동인출하기 위한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테이블 외측에 위치한 중심축과, 이와 결합된 니들 이송부, 상기 니들 이송부와 접하는 니들 포터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니들을 인출할 수 있는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소둔로(100) 출측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박판 통판 작업이 완료된 후, 지지 테이블(300) 상부의 지지롤(400) 위에 있는 니들(200)을 인출하기 위해서 지지 테이블(300)의 길이 방향의 니들(200) 양단에 와이어 로프(600)를 걸고 이를 크레인후크(500)에 걸어 니들을 인출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니들 인출 장치는 작업자가 와이어를 거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화상 우려가 있고,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할 뿐 아니라, 크레인의 이동이 느리고 수작업이 가미된 관계로 니들 인출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하의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고, 다음 공정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니들 인출 작업시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니들 이송부와 니들 포터부에 제어부를 연결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부에 연결된 니들 이송부 및 니들 포터부를 작동시켜 니들을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므로써, 인출작업을 자동화하고 작업자의 안전과 편리성을 추구하며 작업시간의 단축 등으로 생산성과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소둔로 출측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소둔로 출측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니들 이송부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니들 포터부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상기 니들 이송부에 설치되어 있는 니들 터치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이스, 2...중심축,
3...모터, 4...모터측 스프라켓,
5...모터측 체인, 6...종동 스프라켓,
7...베어링, 10...니들 이송부,
11...유압실린더, 12...이송부측 체인,
13...이송부측 스프라켓 15...니들 터치바
16...연결 플레이트, 30...니들 포터부,
32...브라켓, 33...니들 포터,
34...니들 포터 베이스, 50...제어부,
51...솔레노이드 밸브, 100...소둔로,
200...니들, 300...지지 테이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는, 박판을 후단부에 연결하여 소둔로로부터 그 소둔로 출측에 설치된 지지테이블의 지지롤 상부 측으로 배출되는 니들을 상기 지지테이블 외측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력을 체인에 의해 전달받아 니들 이송부의 이송부 스프라켓에 전달하며, 상기 지지 테이블 전면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와의 베어링 결합을 통하여 지지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베이스와의 베어링 결합부분의 내측 양단의 중심축에 베어링 결합되어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 스프라켓 및 이와 이송부측 체인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내장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그 상단에 니들 터치 바가 베어링 결합되는 이송부측 체인 및 상기 체인과 스프라켓들을 감싸는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니들 터치 바의 하부 측의 연결 플레이트와 핀결합되는 로드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가능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중심축을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니들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스프라켓에 접하는 니들 포터와, 상기 니들 포터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지는 경사면을 윗면으로 가지는 니들 포터 베이스와, 상기 지지테이블의 폭방향 쪽의 니들 포터 끝단부와 핀 결합되는 로드에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하여 니들 포터를 니들 포터 베이스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 이동하게 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니들 포터부와;
상기 이송부의 유압실린더와 니들포터 베이스부의 유압실린더를 다운라인과 업라인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페를 통하여 구동시키며, 상기 이송부의 니들 터치 바와 니들의 접촉을 입력신호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연결 플레이트 후미에 위치하며 스프로켓 휠을 지지하는 사각형 축이, 연결 플레이트의 측벽에 용접된 너트에 맞물린 볼트의 전후 방향 운동에 의해 역시 연결 플레이트 후미 측벽에 용접된 가이드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송부측 체인의 장력이 조절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소둔로(100) 출측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니들 이송부(10)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의 니들 포터부(30)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상기 니들 이송부(10)에 설치되어 있는 니들 터치바(1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판용 니들(200)을 측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부(10)와 이로부터 니들(200)을 전달받아 지지 테이블(300) 외측으로 전달하는 니들 포터부(30)가 모터(3)에 연결된 중심축(2)을 기준으로 지지 테이블(3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서, 상기 중심축(2)은 지지 테이블(300) 전면 바닥에 위치한 베이스(1) 상에 체결 위치한 베어링 블럭(7)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바닥에 고정된 모터(3)에 축설되는 모터측 스프라켓(4)에 체인(5)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6)과 그 끝단에서 베어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2)의 내측에는 베어링이 내장된 이송부측 스프라켓(13)이 베어링 결합되어 있고, 이는 이송부측 체인(12)에 의해 이송부 후단의 베어링 내장 스프라켓(14)과 연결되며, 상기 이송부측 체인(12)의 링크(24) 부분에는 니들 터치바(15)가 장착된다.(도 6참조) 이송부측 체인(12)은 연결 플레이트(16)에 의해 감싸지며 연결 플레이트(16)의 양단은 이송부측 스프라켓(13)과 베어링 내장 스프라켓(14)이 결합되어 있다.
니들 터치바(15)가 위치한 연결 플레이트(16) 부분의 하부 측에는 유압실린더(11)에 연결된 로드가 연결 플레이트(16)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 브라켓(19)에 의해 핀결합되어 있으며, 니들 이송부(10)는 상기 로드의 이동에 따라 중심축(2)을 기준으로 외팔보 형태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도 4참조)
연결 플레이트(16)의 후미에는 너트(21)와 고정 가이드(23)가 차례로 연결 플레이트(16) 측벽에 용접되어 있으며, 연결 플레이트(16)의 후방 끝단에 결합된 스프로켓(14)의 휠을 지지하는 사각형축(22)이 상기 너트(21)에 맞물린 볼트(20)와 접해 있다.(도 4참조)
한편, 니들 포터부(30)는 지지 테이블(300) 전면에 위치하며, 니들 포터 베이스(34)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서 보여지듯, 니들 포터(33)는 그 바닥면에 요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37)에 니들 포터 베이스(34)의 윗면(36)이 끼워지게 된다. 니들 포터 베이스부(34)의 윗면은 완만한 경사면(36)을 이루고 있다. 니들 포터(33)의 앞끝단, 즉 지지 테이블(300)의 폭방향 쪽 끝단에는 유압실린더(31)가 결합된 로드가 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니들 이송부(10)의 유압실린더(11)는 다운라인(52)과 업라인(53)을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운라인(52)과 업라인(53)은 솔레노이드 밸브(5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부(5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51)의 개폐를 통하여 다운라인(52),업라인(53)을 거쳐 상기 유압실린더(11)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니들 포터부(30)도 다운라인(52),업라인(53)을 통하여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제어부(50)는 또한 니들 이송부(10)측 체인(12)에 설치된 니들 터치바(15)가 니들(200)과 접촉할 때 이를 입력신호로 하여 모터(3)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니들 터치바(15) 및 모터(3)와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둔로(100)에서 통판 작업이 완료된 후 지지 테이블(300) 상에 니들(200)이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50)로부터 다운라인(52),업라인(53)을 통하여 작동신호가 니들 이송부(10)의 유압실린더(11)에 전달되고, 이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11)에 연결된 로드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에 연결된 니들 이송부(10)가 중심축(2)을 지지축으로 하여 니들 터치바(15)가 지지 테이블(300) 상으로 돌출위치될 때까지 상향 이동하게 된다.
니들 터치바(15)가 지지 테이블(300) 위로 돌출되어 니들(200)에 접하게 되었다는 신호가 제어부(50)에 접수되면 제어부(50)로부터 즉시 모터(3)를 구동시키게 하는 출력 신호가 보내지게 되어 모터(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3)의 회전으로 모터측 스프라켓(4)과 이와 모터측 체인(5)으로 연결된 종동스프라켓(6)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중심축(2) 및 이송부 스프라켓(13)이 회전하게 되어, 결국 이송부측 체인(12)이 회전하게 된다. 이송부측 체인(12)의 회전으로체인 상부의 니들 터치바(15)에 접한 니들(200)이 지지 테이블(300) 외측으로 전진 이동되며, 지지 테이블(300) 전면에 위치한 니들 포터(33) 위로 안착된다.
니들(200)의 안착과 동시에 제어부(50)에 의하여 니들 포터부(30)의 유압 실린더(31)가 작동되어 이에 연결된 로드가 전진 이동(지지 테이블 측으로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니들 포터(33)가 니들 포터 베이스(34) 위에서 전진이동한다. 니들(200)은 니들 포터(33)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 상기 니들(200)은 지지 테이블 (300)및 그 외측의 패스라인 상에서 완전히 취출되고, 이 때, 니들 포터(33) 저면에 형성된 요홈(37)은 니들 포터 베이스(34)의 경사면(36)과 맞물리어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시 니들 포터(33)가 이탈되지 않고 부드러운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니들 이송부(10)의 연결 플레이트(16) 측벽에 있는 너트(21)에 맞물린 볼트(20)는 체인의 장력이 부적절할 경우 이를 조이거나 풀어서 연결 플레이트(16) 후단의 사각형축(22)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이송부측 체인(15)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니들(200)이 완전히 취출되면, 제어부(50)에 의해 상기와 반대 순서로 모든 구성요소들이 윈위치되는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지지 테이블(3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중심축(2)의 양단에 두개씩의 니들 이송부(10), 니들 포터부(30)가 설치되어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이송을 위해 여러 쌍의 이송부 및 포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는, 니들 이송부, 중심축 및 모터, 니들 포터부에 의한 니들 인출작업이 제어부를 통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고온의 니들을 작업자가 직접 인출하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출하는 종래의 인출장치에 비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크게 감소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수 있으며, 인출작업 시간의 단축 및 작업인원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생산성과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박판을 후단부에 연결하여 소둔로(100)로부터 그 소둔로 출측에 설치된 지지테이블(300)의 지지롤(400) 상부 측으로 배출되는 니들(200)을 상기 지지테이블(300) 외측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3)의 회전력을 체인(5)에 의해 전달받아 니들 이송부(30)의 이송부 스프라켓(13,13')에 전달하며, 상기 지지 테이블(300) 전면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1)와의 베어링 결합을 통하여 지지되는 중심축(2)과;
    상기 중심축(2)과 베이스(1)와의 베어링 결합부분의 내측의 중심축(2) 양단에 베어링 결합되어 중심축(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부 스프라켓(13,13') 및 이와 이송부측 체인(12)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내장 스프라켓(14)과, 상기 스프라켓들(13,14)을 연결하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그 상단에 니들 터치 바(15,)가 베어링 결합되는 이송부측 체인(12) 및 상기 체인(12)과 스프라켓들을 감싸는 연결 플레이트(16)와, 상기 니들 터치 바(15)의 하부 측의 연결 플레이트(16)와 핀결합되는 로드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가능한 유압실린더(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11)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중심축(2)을 축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니들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 스프라켓(13)에 접하는 니들 포터(33)와, 상기 니들 포터(33)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37)에 끼워지는 경사면(36)을 윗면으로 가지는 니들 포터 베이스(34)와, 상기 지지테이블(300)의 폭방향 쪽의 니들 포터(33) 끝단부와 핀 결합되는 로드에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하여 니들 포터(33)를 니들 포터 베이스(34)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 이동하게 하는 유압실린더(31)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니들 포터부(30)와;
    상기 니들 이송부(10)의 유압실린더(11)와 니들포터 베이스부(30)의 유압실린더(31)를 다운라인(52)과 업라인(53)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51)의 개페를 통하여 구동시키며, 상기 니들 이송부(10)의 니들 터치 바(15)와 니들(200)의 접촉을 입력신호로 하여 모터(3)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의 연결 플레이트(16) 후미에 위치하며 스프로켓 휠(14)을 지지하는 사각형 축(22)이, 연결 플레이트(16)의 측벽에 용접된 너트(21)에 맞물린 볼트(20)의 전후 방향 운동에 의해 역시 연결 플레이트(16) 후미 측벽에 용접된 가이드(23)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KR1020010042780A 2001-07-16 2001-07-16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KR20030006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780A KR20030006834A (ko) 2001-07-16 2001-07-16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780A KR20030006834A (ko) 2001-07-16 2001-07-16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834A true KR20030006834A (ko) 2003-01-23

Family

ID=2771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780A KR20030006834A (ko) 2001-07-16 2001-07-16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83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59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KR200179923Y1 (ko) * 1999-11-25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이송 장치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59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KR200179923Y1 (ko) * 1999-11-25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이송 장치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372A (en) Paper feeding/piling apparatus for sheet-fed press
CN108788298B (zh) 金属料棒切断圆锯机
CN109015353A (zh) 一种自动送料成型磨床的送料机构
CN107500201B (zh) 一种带轨道的垂直提升布料机
KR20030006834A (ko) 박판 통판용 니들 인출장치
CN213326279U (zh) 一种桶装物料提升机
CN212126802U (zh) 一种落地式拆码垛设备
CN209815619U (zh) 一种翻转工作台
CN210655993U (zh) 一种大小纸卷分离升降机
CN110963694B (zh) 一种浮法玻璃生产线过渡辊台挡帘自动提升装置
CN216105558U (zh) 一种用于三辊开坯机上的人工翻钢吊具
CN219098562U (zh) 一种小方坯上料装置
KR100757187B1 (ko) 미니밀의 워크롤 교환장치 및 워크롤 쵸크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CN205518020U (zh) 一种棒磨机辅助装棒装置
JPS5851764B2 (ja) 竪形圧延機におけるロ−ル組替装置
KR100851876B1 (ko) 레이들의 탑렌스 투입장치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CN218695309U (zh) 一种排焊机及焊接系统
KR200270881Y1 (ko) 압연스탠드 내 절손롤 인출장치
CN215885596U (zh) 一种链条提升螺旋自动送料装置
CN214734128U (zh) 用于转运零件的提升机
CN216442534U (zh) 一种模具放置架
CN211469942U (zh) 一种圆钢提升进料装置
CN218270221U (zh) 台车退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