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393A -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393A
KR20030004393A KR1020027014991A KR20027014991A KR20030004393A KR 20030004393 A KR20030004393 A KR 20030004393A KR 1020027014991 A KR1020027014991 A KR 1020027014991A KR 20027014991 A KR20027014991 A KR 20027014991A KR 20030004393 A KR20030004393 A KR 2003000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data
interface device
data interface
service consol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토시 나가이
모토미치 가토
이타루 엔구치
도시유키 다나카
나루아키 아카이
마사노리 니시카와
기요시 세키야
순이치 나라모토
미노루 홋타
마사루 기쿠카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5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43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5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43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03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176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222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349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34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3350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3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 A61B2562/226Connectors or couplings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the connector, e.g. to prevent incorrect connection to s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3Radio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4Telephone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콘솔(1),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31, 32, 33)들을 수용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 안에 정의된 부착 저장실(3), 부착 저장실(3)의 윗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 상에 장착되는 뚜껑(11), 및 상기 뚜껑(11)의 위쪽 표면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BIODATA INTERFACING SYSTEM}
위에서 언급한 종류의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1999년 2월 2일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5,865,745호와 2000년 1월 11일에 공고된 제6,014,432호를 참조하라. 전형적인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별개의 두 스테이션인 환자 스테이션 및 건강 관리 공급자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환자 스테이션은 환자의 체온, 혈압, 맥박, 뇌파 및/또는 심장 박동과 같은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과, 떨어진 곳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이들 생체 데이터를 무선 또는 공공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를 포함한다. 환자 스테이션은 건강 관리 공급자로부터 진단 결과 및/또는 지침을 각각 수신하고 표시하기 위한 수신기와 디스플레이 유닛도 포함한다.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환자가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건강 관리 공급자를 방문할 필요가 없으며 건강 관리 공급자는 받은 생체 데이터에 따라 빠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효율적이고 편리하다.
위에서 및 이하에서 사용되는 "건강 관리 공급자"라는 용어는 병원 또는 의사 뿐만 아니라 건강 및/또는 환자의 치료 상태 또는 환자 스테이션의 다른 사용자를 돌보도록 의뢰받거나 요청받은 건강 관리 또는 일용직(day-service) 간호사 또는 그외 사람 또는 시설을 포함하는 의도로 사용된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제 아래에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home biodata interfacing device)로 불려질 표준 환자 스테이션이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 안에 도시된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비스 콘솔(201), 비록 체온계(202)만 도시되어 있지만 체온, 혈압 및 맥박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센서들,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수치들의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하며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203), 환자의 체온을 체온계(202)로부터 서비스 콘솔(201)로 전송하기 위해 체온계(202)와 서비스 콘솔(201)을 연결하는 리드선(lead line)(204), 및 선택적으로 공공 원격 통신망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선(205)을 포함한다.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사용중일 경우, 집에 있는 환자 또는 사용자(그의 또는 그녀의 가족 구성원 또는 방문중인 건강 관리 간호사)는 체온계(202)로 가정에서 체온을 측정할 수 있고, 그 다음 측정된 체온은리드선(204)을 통해 서비스 콘솔(201)로 전송되며, 그 후에 그것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03) 상에 표시되고/표시되거나 예를 들어 공공 전화 시스템과 같은 공공 원격 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된다.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콘솔(200)로부터 측정된 환자의 체온을 수신할 때, 건강 관리 공급자는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을 떨어진 위치에서 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체형(built-in) 전송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전화선(205)이 공공 전화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서비스 콘솔(200)은 환자 및/또는 사용자에게 맞는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3)은 환자 및/또는 사용자가 호감을 갖는 방식으로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 및/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창을 바라보는데 어렵다는 점에서 지금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문제가 있다.
지금 사용되고 있는 어떤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뚜껑 또는 덮개가 서로 분리되는 구성 요소들을 구성하기 때문에,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자체가 필요 이상으로 부피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외관상 덜 미려하고 이동하기 쉽지 않으며 저장 및 운송하기에 불편하다. 뚜껑 또는 덮개가 없으면 센서들이 서비스 콘솔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이것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불유쾌한 것이다.
또한, 뚜껑 또는 덮개가 열려져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창을 볼 수 없게 된다. 이것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센서들을 사용하지 않고 과거 측정값들의 재확인에만 사용될 경우에는 특히 매우 불편한 것이다.
디자인 측면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한가지 형태의 생체 데이터 측정치에 각각 할당된 작동 단추들이 다소 포함된다. 작동 버튼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작동 버튼들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고 불편해진다. 만일 작동 버튼들이 제한된 장소에 밀집되도록 배치된다면, 잘못 입력(key-in)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잘못 입력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각 작동 버튼들의 크기가 커지면/커지거나 인접하는 작동 버튼들 사이 공간이 넓어지면, 결국 서비스 콘솔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안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노트 크기의 PC의 케이스와 비슷한 뚜껑 또는 덮개와 함께 작동하는데, 이것은 키패드의 키들에 기능적으로 대응하는 터치에 예민한 복수의 영역들이 있는 터치 스크린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접근은 뚜껑 또는 덮개가 개방되거나 기립 위치(erected position)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 경우, 콘솔 바디에 대해 90도 또는 둔각인 기립 위치로 유지되고 있다고 추정하며, 터치에 예민한 영역들 중 선택된 하나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지지 표면 예를 들어 데스크 탑 위로 콘솔 바디가 들어 올려지는데, 서비스 바디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서비스 콘솔은 결국 뒤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콘솔 바디와 뚜껑 또는 덮개가 서로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뚜껑 또는 덮개가 열려있는 상태로 있게 허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 경우 먼지가 콘솔 바디 위에 쌓일 수 있고/있거나 물을 콘솔 바디 위에 흘릴 수 있다. 이것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능성에 해로운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만일 뚜껑 또는 덮개가 콘솔 바디에 대해 과도하게 개방되면 뚜껑 또는 덮개와 콘솔 바디 사이의 연결이 손상될 것이라는 부가적인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콘솔 바디에 센서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소켓들은 일반적으로 앞에서 뒤로 뻗어가는 줄로 정열되도록 콘솔 바디의 마주보는 측벽들 중 하나에 설치된다. 만일 사용자에 가장 가까우며 기립 디스플레이 유닛과 마주보는 관계에 있는 위치를 차지하는 커넥터 소켓들 중 하나가 센서들 중 하나의 플러그-인(plug-in) 커넥터에 의해 차지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나머지 커넥터들을 바라보거나/바라보고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 이것은 다른 플러그-인 커넥터와 나머지 커넥터 소켓들 중 하나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을 주거나 실수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뚜껑 또는 덮개를 열면 뜻밖의 충돌이 유발하며, 그 때문에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또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뒤쪽에 위치한 대상체에 손상을 가한다.
건강 관리 공급자가 건강 관리 공급자 스테이션에 의해 또는 거기서 제공되는 생체 데이터를 참조하여 진단 또는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예를 들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먼 곳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건강 관리 공급자가 충분한 진단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건강 관리 공급자는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환자의 안색, 상처 또는 피부의 상태와 같은 생체 데이터를 확보하고 싶은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건강 관리 공급자가 건강 관리 공급자 스테이션에 있는 시청각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듣고/듣거나 볼 수 있게 해주는 음성 및/또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음성 및/또는 영상 전송 수단을 특별히 필요로 한다.
더욱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살고 있는 노인들에 의해 매우 필요로 할 것이며, 이 노인들 대부분은 가정용 의료 장치들 및 컴퓨터 단말기를 다루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다. 한편, 의료 장치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의사 또는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사용하는 심전계 또는 청진기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환자가 직접 사용하는 경우 틀린 데이터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환자 또는 사용자는 사용 설명서 또는 메뉴얼을 다시 보아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노안이 아닌 노인들에게 사용 설명서 또는 메뉴얼 뿐 아니라 커넥터 소켓의 유형을 표시하기 위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엠보싱된 또는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기에 쉽지 않을 것이다. 틀린 조작 및 선의 연결은 잘못된 생체 데이터의 표시를 야기하며, 따라서 건강 관리 공급자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정용 건강 관리 시스템(home health care system)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의 또는 그녀의 가정용 건강 관리로 사용하기 위해 및/또는 원격 진단하기 위해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health care provider)에게 전송하기 위해 집에 있는 환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리 정보(이하, 생체 데이터(biodata)라 함)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한 건강 관리 정보 인터페이스 시스템(health care information interfac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일부는 제거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자 혈압계를 사용하여 혈압이 어떻게 측정되는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떻게 보이는지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인터페이스 장치의 뚜껑의 안쪽 표면에 장착되었을 경우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부품들을 구성하는 서비스 콘솔 및 뚜껑 사이의 힌지 연결 중 하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힌지 연결들이 사용되었을 경우 뚜껑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1변경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3은 제2 내지 제6변경을 각각 나타낸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인-박스 접시가 서비스 콘솔에 놓여져 있을 경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인-박스 접시가 서비스 콘솔 위로 들어올려질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4C는 도 14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인-박스 접시가 서비스 콘솔로부터 밖으로 제거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A 및 도 14B와 각각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실시예의 제1변경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두 인-박스 접시들을 가지는 제2실시예의 제2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A는 제2실시예의 제3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인-박스 접시가 서비스 콘솔 위로 들어올려질 경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인-박스 접시가 서비스 콘솔 안에 놓여져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
도 17C는 도 17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17B의 펜라이트(penlight)가 차지하는 칸 안에 수용되는 소변 검사 키트를 나타낸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7A 내지 도 17C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경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9는 제2실시예의 제5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제2실시예의 제6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21은 제2실시예의 제7변경인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2A 내지 도 22C는 제2실시예의 제7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2D 내지 도 22F는 도 22A 내지 도 22C와 각각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실시예의 제8변경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제3실시예의 제1변경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도 23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사용되는 회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6은 제3실시예의 제2변경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7은 제3실시예의 제3변경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카메라 유닛의 개략적인 전개도,
도 29는 제3실시예의 제4변경을 나타낸 카메라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30은 도 29에서 도시한 카메라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 단면도,
도 31은 도 29의 카메라 유닛이 어떻게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2는 도 31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부분 측면 단면도,
도 33 및 도 34는 도 3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마이크 및 음성 입력 측정 장치를 지지하는 방법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5A와 도 35B는 음성 입력 측정 장치를 위한 다른 지지 부재들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사용되는 회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7은 본 발명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연결 터미널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연결 터미널 유닛의 수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39는 종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현재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발견된 많은 불이익들 및불편함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이며 크기가 소형이고 사용이 쉬우며 디스플레이 유닛이 보기 쉬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센서들을 쉽게 수용하는 대 용량이며 센서들이 먼지들로 오염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청각 및/또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여 여러가지 생체 데이터를 확실하게 전송할 수 있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틀린 조작 및 틀린 선 연결을 피하는데 효과적이며 향상된 조작성(operativity)을 갖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과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해,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비스 콘솔,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센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 안에 정의된 부착 저장실(attachment storage compartment), 부착 저장실의 위쪽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 위에 배치되는 뚜껑, 및 뚜껑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뚜껑의 윗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유닛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소형(compact)이고 가볍게 조립될 수 있고, 따라서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곳에서 저곳으로 쉽게 운송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은 매우 많은 편리함을 예측할 수 있다. 동시에, 센서들의 어떤 가능한 오염이 예방되어 위생적인 요인을 향상시킨다.
사용자는 심지어 뚜껑이 닫혀 있더라도 즉 장치 저장실(instrument storage compartment)의 개구를 닫는 위치에서도 디스플레이 유닛을 볼 수 있으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아니라 센서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과거 생체 데이터를 재확인하고/재확인하거나 약의 조제 시간을 인식하기 위해서도 스스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뚜껑은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자 위치 쪽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어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됨과 함께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들을 보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부가적으로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의 부가적인 사용은 없을 경우에 필요한 버튼들의 작동 횟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이것은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되게 하며 이와 함께 그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미는 힘이 수평으로 작용될 경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뒤쪽으로 회전하는 가능성이 줄어들며, 이렇게 되어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콘솔과 뚜껑 사이의 간격을 부분적으로 증가시키는 리세스의 사용은 서비스 콘솔과 외부 센서 사이로 뻗어 있는 연결 케이블의 어떠한 가능한 물림을 피하는데 효과적인데, 이것은 방지되지 않으면 뚜껑의 완전한 닫힘을 방해하고 결국 연결 케이블을 손상시킬 것이다.
서비스 콘솔은 서비스 콘솔의 윗면 상에 제공되는 터미널 유닛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센서들이 서비스 콘솔과 서비스 통신에서 외부에 위치한다. 특히, 이것은 커넥터 소켓들 중에서 기립해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마주보는 위치를 차지하는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하나가 센서들 중 하나의 플러그-인 커넥터에 의해 점유될 경우 사용자가 나머지 커넥터들을 바라보고/바라보거나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를 피하는데 특히 유익하며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콘솔과 뚜껑은 힌지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뚜껑이 이 힌지 연결 주위로 서비스 콘솔에 대해 상대 회전(pivot)한다. 이 경우, 힌지 연결이 감쇠 기구(damping mechanism)를 포함하고 있다면, 일단 열린 뚜껑은 개방된 상태로 있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서비스 콘솔 안쪽에 먼지가 쌓일 가능성과 서비스 콘솔 안으로 물을 엎지를 가능성이 없다.
뚜껑이 뚜껑과 서비스 콘솔 사이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정의되는 한계까지 회전하기 전에 뚜껑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도록 서비스 콘솔과 간섭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돌출부가 뚜껑과 서비스 콘솔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경우, 힌지 연결에 어떤 가능한 손상이 유익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장치용기(instrument canister)가 제공되는데, 장치 용기는 센서들이 장치 용기 안에 수용되는 형태로 부착 저장실 안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장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복수의 센서들이 언제든지 부착 저장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센서들이 장치 용기 안에 수용될 때 정돈되게 저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익하다.
장치 용기는 각 센서의 모양에 대응하게 윤곽을 각각 가진 다수의 주머니들을 가질 수 있어서, 센서들이 장치 용기 안에 있는 전용 리세스들 안에 아늑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일단 센서들이 해당 주머니들 안에 수용되면, 센서들은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곳에서 저곳으로 운송되는 동안 서비스 콘솔 안에서 제멋대로 움직이고/움직이거나 서로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센서들에 어떤 가능한 손상이 유익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심지어 장치 용기가 장치 저장실로부터 제거된다 하더라도, 센서들이 장치 용기 상에 정돈되게 정열되어 유지된다.
장치 용기는 센서들의 특정 조합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인-박스(in-box) 접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들의 조합이 다른 조합으로 바뀌는 경우, 현재 센서들 조합을 수용하고 있는 인-박스 접시를 새로운 센서들 조합을 수용하고 있는 다른 인-박스 접시와 교체하는 것은 새로운 센서들의 조합이 이러한 다른 인-박스 접시에 의해 장치 저장실 안에 수용될 수 있게 하는데 충분하다. 따라서, 센서들의 다른 조합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인-박스 접시들을 만들 수 있다면, 단일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지 인-박스 접시를 다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다른 조합의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대안으로, 장치 용기가 센서들 중 하나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인-박스 접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들 중 하나에 변경이 있더라도, 이러한 센서들 중 하나로 인-박스 접시를 교체하는 것은 새로운 센서를 수용하는데 충분하다.
장치 용기는 홈들 안에 제거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구획 수단과 함께 적어도 한 쌍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여 센서들 중 하나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인 구획실을 정의한다. 이러한 경우, 구획 수단을 저장하는 것은 장치 용기 안의 구획실의 부피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에 유효하여,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특정 센서의 모양에 적합하게 된다.
장치 용기의 적어도 그 일부는 그 높이 방향으로 쌓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장치 용기 안에 수용될 수 있는 센서들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장치 용기 안에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개수가 증가된 센서들을 수용하는 능력은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 될 수 있는 한 많은 센서를 사용하길 원하는 사람들에게 사용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을 생기게 한다.
만일 공간이 장치 용기와 서비스 콘솔 안에 있는 부착 저장실 사이에 정의된다면 센서들은 서비스 콘솔 안에 장착되는 장착 구성 요소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열응력이 없어진다. 이것은 센서들이 열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어서 결국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치 용기는 부착 저장실로부터 장치 용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용기는 장치 용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식별 수단을 읽기 위해 서비스 콘솔 안에 제공되는 판독 수단과 함께 작동한다. 이 경우, 서비스 콘솔 안에 장착되는 모드 오버라이드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식별 수단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동 모드를 변경할 것이다. 장치 용기의 교체는 자동으로 작동 모드들 중 하나를 효과적으로 선택하게 하며, 따라서 비록 센서들의 조합이 변경되더라도 수동 전환 작동이 필요 없다.
다시, 본 발명의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카메라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카메라 유닛은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 상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된다.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는 것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측정된 생체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환자의 안색을 영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카메라 유닛은 서비스 콘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환자의 환부를 화상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마이크가 서비스 콘솔 안에 제공될 수 있어서, 의사가 요구한다면 예를 들어 환자의 환부에 대한 음성 설명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찍힌 화상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위치를 바꾸지 않으면서 어떠한 장소에서라도 이미지를 찍는데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 유닛은 서비스 콘솔의바깥 표면의 장착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유닛에 제공된 손잡이에 의해 서비스 콘솔로부터 카메라 유닛을 분리할 수 있으며, 손잡이로 분리할 수 있게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에 결합된다. 또한, 카메라 유닛은 유지부(holding portion)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또는 그 조합으로 카메라 유닛의 손잡이는 사용자가 바깥쪽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grip)을 그 안에 갖는다. 만일 이 그립이 일반적으로 원통인 형상이며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 안에 삽입됨으로써 분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자는 카메라 유닛을 편안하게 잡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카메라 유닛은 어떠한 방향으로도 편리하게 조준될 수 있다.
대안으로,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 바디와 카메라 지지물을 포함하는데, 카메라 바디는 카메라 지지물 위에 제거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적어도 카메라 바디, 카메라 지지물 및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 저장실 안에 함께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는 사람 목소리와 마이크 주변에 위치한 센서의 음성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다. 마이크가 사용될 경우, 마이크는 서비스 콘솔 안에 차례로 고정되는 탄성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의 사용은 외부 소음 또는 진동이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마이크는 음성 신호를 잡음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 장치는 센서를 지지하기 위해 마이크 앞에 위치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사용자가 음성들을 전송할 때 그의 또는 그녀의 손으로 음성 출력 장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음성을 잡음 없이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 앞에 위치한 지지 부재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센서의 형상에 따라 제거될 수 있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음성 출력 장치가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이 지지 부재는 제거되고 어딘가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의 존재가 방해물이나 눈에 거슬리는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심지어 음성 출력 장치의 크기가 작거나 크게 변경되더라도, 지지 부재가 미끄러질 수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작거나 큰 음성 출력 장치를 수용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는 생체 데이터 장치는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 생체 데이터를 물리적 신호들로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 센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며 생체 데이터를 그로부터 메인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및 작동 유닛과 메인 제어 유닛과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그들 사이를 중개(interface)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작동 유닛으로 센서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메인 제어 유닛은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 중 하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들을 물리적 신호들로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 센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들을 포함하며 생체 데이터를 그로부터 메인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사용자가 그것을 통해 메인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작동 유닛, 및 연결 단자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작동 유닛으로 센서들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메인 제어 유닛은 발광소자들 중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하나를 켜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을 물리적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의료 측정 장치, 의료 측정 장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연결 단자들을 가지며 그곳으로부터 메인 제어 유닛으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및 사용자가 그것을 통해 메인 제어 유닛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작동 유닛과 음성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작동 유닛으로 의료 측정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메인 제어 유닛은 음성 출력 유닛을 사용하여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 중 선택된 의료 측정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표시를 음성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 다른 경우, 터미널 유닛은 다수의 연결 단자들 및 연결 단자들 주위에 배치되며 각 연결 단자들 중 하나를 위한 다수의 유색 표시(colored indica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메인 제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사용자에게 유색 표시들 중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하나를 알리는 기능을 갖는다. 대안으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각 센서들은 센서 바디와, 적어도 그 일부가 소정 색깔로 채색되며 연결 단자와 센서 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며, 여기서 단자 유닛은 접속되는 연결 단자들 주위에 각각의 부분들을 가지며, 이 곳은 센서들의 이들 부분들의 대응하는 색에 대응하는 색을 갖는다.
다시, 대안으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센서들의 연결 케이블들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은 대응하는 다른 형상을 가져서, 연결 케이블 하나의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서로 연결될 경우에만, 연결 케이블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전기적으로 함께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아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같은 구성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콘솔(1), 다수의 예를 들어 체온 및 혈압 센서(2) 및 그 외 갖가지 부속물들을 깔끔하게 수용하기 위한 부착 저장실(3), 수집된 생체 데이터가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달되는게 요구될 때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스위치(4), 및 수치 값들이 입력될 경우 사용되는 입력 스위치(5)를 포함하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참조 번호 '6'은 서비스 콘솔(1)과 센서들(2) 중 하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을 나타낸다. 이 연결 케이블(6)은 각 연결 플러그(7)가 제공되는 반대편 끝을 가지며, 센서(2)들에서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서비스 콘솔(1)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서비스 콘솔(1)은 연결 케이블(6)의 연결 플러그(7)들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인 소켓(8)을 갖는데, 반면 센서(2)들은 모두 연결 케이블(6)의 연결플러그(7)들 중 다른 것들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 플러그-인 소켓(9)을 갖는다.
유사하게, 참조 번호 '10'은 전화 케이블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생체 데이터가 서비스 콘솔(1)에 의해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먼 거리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하려고 할 때 사용되며, 각 연결 플러그(7)와 같이 제공되는 반대편 끝들을 갖는 연결 케이블(6)과 유사한 구조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14)들 예를 들어 힌지들에 의해 정의되는 힌지 축 둘레에서 폐쇄 및 개방 위치들 사이를 운동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은 서비스 콘솔(1)의 꼭대기에 장착되며 회전하게 지지되는 뚜껑(11)을 포함한다. 뚜껑(11)은 서로 마주보는 바깥 및 내부 표면들을 가지며, 그 바깥 표면에 제공되는 액정 표시 패널(12)을 포함하는데, 이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이 함께 포함된다. 도 1과 도 4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 유지될 경우 뚜껑(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2)이 바깥으로 노출된 상태로 부착 저장실(3)을 덮는다.
센서(2)들 중 한 예는 도 3에 도시한 전자 혈압계(혈압 게이지)(15)이다. 이 전자 혈압계(15)는 측정 단추(16)와 그것에 의해 측정된 생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요구될 때 사용되는 전송 단추(17)가 있는 케이싱, 혈압을 측정하는 동안 팔 주위에 둘러지는 완대(manchette or cuff), 및 연결 케이블(6)로부터 이어진 연결 플러그(7)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인 소켓(9)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아래 설명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환자 또는 그의 또는 그녀의 가족이 건강 관리 공급자로부터 의료적인 검사 또는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센서(2)를 사용할 필요가 생긴다. 이 경우, 뚜껑(11)이 위쪽으로 당겨져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힌지 축(14)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센서(2)는 그의 또는 그녀의 시야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부착 저장실(3)로부터 센서(2)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는, 센서(2)로서 전자 혈압계(15)의 사용으로 언급될 것이다.
사용자가 혈압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그 또는 그녀는 적절한 위치에 그의 또는 그녀의 또는 환자의 팔 둘레에 완대를 착용해야만 한다. 이어서 측정 단추(16)의 조작으로 전자 혈압계(15) 안에 있는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완대를 부풀려 팔에 압력을 가한다. 펌프는 가한 압력이 소정 값이 되면 자동으로 멈추며, 완대(18) 안에 있는 공기는 맥박의 영향을 받아 완대 안에 있는 압력의 미세 변량으로 감소 밸브(reducing valve)를 통해 누설된다. 미세한 압력 변량을 감지함으로써, 혈압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혈압이 측정된 후, 사용자는 연결 케이블(6)의 커넥터 플러그(7)들을 전자 혈압계(15)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1)에 있는 대응 플러그-인 소켓(9)들에 연결해야만 하며, 그리고 전송 버튼(17)을 조작하여 측정된 혈압이 전자 혈압계(15)로부터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되게 한다. 그 다음 전화 케이블(10)을 공공 전화 시스템과 연결하고 전송 스위치(4)를 조작하면 혈압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린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린을 바라볼 때, 최소화된 색 변량으로 높은 콘트라스트 비율과 높은 광도의 영상들이 보여질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액정 패널 또는 음극선관 중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것과 무관하게 사실이다. 특히, 도 4를 참조할 때,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E 위치로, 디스플레이 패널(12) 상의 임의로 선택된 위치를 O 점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수직인 방향으로 O 점을 통과하는 선을 A 선으로 표시한다면, A 선과 E 위치와 O 점 사이의 선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θ)가 작을수록 가독성(viewability)이 높아진다. 물론,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경우 각도(θ)가 영이 된다.
도 4에서, A"로 나타낸 선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에 수직한 방향을 나타낸다. 이 경우, A" 선과 O 점 사이의 선 사이의 각도 θ보다 크다.
앞에서 설명했던 관점에서, 만일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갖고 있는 뚜껑(11)이 사용자의 위치 쪽 방향으로 아래로 기울어지게 디자인 및 구성된다면, 뚜껑(11)이 사용자의 위치 쪽으로 아래로 기울어지지 않는 것과 비교할 때 높은 콘트라스트와 높은 광도의 영상으로 높은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이 얻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를 위해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전송 스위치(4)와 입력 스위치(5)는 기계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12)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의 터치-민감 영역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패널의 터치-민감영역들은 모두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된 틈새로 서로 직면하는 관계로 배치된 두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사용자가 터치-민감 영역에 외부적으로 손가락 압력을 가하는 경우, 그 표면 물질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위쪽 표면 상의 전극이 아래 표면 상의 전극과 접속되게 하여 그들 사이의 전자 회로를 연결한다. 터치 패널 상의 어떤 점에서도, 고유 전압이 접촉점에서 전극들 사이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위치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터치 패널의 원리이다.
노트-크기의 PC가 있다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19)은 뚜껑의 안쪽 표면 상에 놓여진다. 이러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1)이 열려 있는 동안 터치 패널(19)의 터치-민감 영역들 중 선택된 하나에 손가락 압력이 수평으로 가해지면, 서비스 콘솔(1)은 위쪽으로 들리는 경향이 있으면서 개방 위치에 있는 뚜껑(11)은 뒤쪽으로 기울어질 것이고, 최악의 경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스스로 결국 뒤로 넘어갈 것이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뚜껑(11)의 바깥 표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12) 상에 장착되어 특히 뚜껑(11)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바깥으로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여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손가락 압력이 수평 방향으로 가해졌을 경우 그 결과로 발생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도 6은 서비스 콘솔(1)과 뚜껑(11) 사이의 힌지 연결들 중 하나를 도시한 것인데, 이것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그림에서, 참조 번호 '22'는 힌지를 나타내는데, 힌지는 힌지 핀(23)과 힌지 핀(23) 둘레에 회전하게 장착되며 서비스 콘솔(1)과 뚜껑(11)에 각각 견고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힌지 부재(24, 25)로 구성된다. 제1힌지 부재(24)는 셋 나사에 의해 서비스 콘솔(1)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따라서 뚜껑(11)이 서비스 콘솔(1)과 회전 연결된다. 힌지 핀(23)은 감쇠 기구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A 위치와 B 위치에서 뚜껑(11)은 힌지에 의해 지지되어 거기에 정지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C 위치 아래의 어느 곳에서는, 힌지 핀(23)에 의해 구현된 감쇠 기구의 효과에 의해 뚜껑(11)은 한 방향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뚜껑(11)이 폐쇄 위치로 될 때까지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핀 힌지(23)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비록 이 실시예에서 감쇠 기구 힌지 핀(23) 안에 구현되어 있다고 설명되었지만, 심지어 힌지 핀(23)과 독립적인 감쇠 기구라 할지라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필요하다고 기대되는 수준은 뚜껑이 자중에 의해 확고하게 폐쇄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1)에는 뚜껑(1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위치를 정하는 돌기(26)가 제공된다. 만약 서비스 콘솔(1)로부터 또는 서비스 콘솔(1) 안으로 센서(2)를 제거 또는 저장하기 위해 쉽게 뚜껑을 열기 위해 환자 또는 사용자가 뚜껑(11)을 밀 경우, 뚜껑의 이동량이 보통이고 뚜껑(11)이 위치를 정하는 돌기(26)와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뚜껑(11)의 이동량이 일정 한계를 넘어 과도하면, 위치를 정하는 돌기(26)가서비스 콘솔(1)과 간섭하여 뚜껑(11)이 너무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비록 위치를 정하는 돌기(26)가 뚜껑(11) 안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서비스 콘솔(1)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1)의 반대편 측벽들 중 하나에 연결 케이블(6)의 그를 통한 통로를 위해 리세스(27)가 형성되어 있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연결 케이블(6)이 서비스 콘솔(1)과 센서(2) 사이에 연결되게 남겨두고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것이다. 이 경우, 센서(2)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6)은 필수적으로 서비스 콘솔(1)로부터 밖으로 꺼내져야 한다. 뚜껑(11)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27)가 없다면, 서비스 콘솔(1)로부터 바깥으로 뻗어 있는 연결 케이블(11)은 뚜껑과 서비스 콘솔 사이에 물리게 된다.
그러나, 연결 케이블(10)의 일부가 물리게 될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뚜껑(11)의 측벽에 리세스(27)가 있는 것은 유익하다. 결과적으로, 뚜껑(11)이 서비스 콘솔(1)에 대해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손을 포함하여 연결 케이블(10)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유익하게 피할 수 있어서 잘못된 데이터 전송을 줄이며, 따라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신뢰성과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뚜껑(11)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27) 대신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세스(27a)가 서비스 콘솔(1)의 임의로 선택된 비스듬한 부분에 형성될 수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콘솔(1)의 플러그-인 소켓(8)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6)은 리세스(27a)를 통해 바깥으로 뻗어나가게 되어 그 다음 센서(2)의 플러그-인 소켓과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소켓(8)들이 서비스 콘솔(1)의 비스듬한 위쪽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비스듬한 표면은 뚜껑(11)이 힌지가 장착된 곳에서 사용자 쪽으로 아래로 기울어져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실직적으로 한번에 커넥터들의 각 부분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독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손상 및 생체 데이터의 잘못된 수집을 피할 수 있을 것인데, 이것들은 잘못된 연결로부터 기인할 것이다.
대안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콘솔(1)의 경사진 위쪽 표면(28)에는 리세스(27b)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플러그-인 소켓(8)들은 이 리세스(27b) 안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넥터들의 위치들의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심지어 뚜껑(11)이 폐쇄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도 연결 케이블(8)을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플러그-인 소켓(8)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뚜껑(11)은 도 1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뚜껑(11)이 폐쇄 위치로 유지될 때, 연결 부재(14)들 앞쪽으로 정의되고 배치된 정점(29)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힐 형상을 나타낸다. 달리 표현하면, 정점(29)의 각각 옆인 뚜껑(11)의앞뒤 영역은 정점(29)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지지 표면 예를 들어 벽에 기대어 놓여진 데스크 탑 위에 놓여져서 도 13처럼 벽에 인접한 위치를 차지하고 사용자가 뚜껑(11)을 위쪽으로 밀어서 뚜껑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기는 것으로 생각하면, 뚜껑(11)의 정점(29)은 뚜껑(11)의 열림이 어느 정도 수준이 되었을 때 벽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일단 뚜껑(11)의 정점(29)이 벽과 접촉하게 되면, 뚜껑(11)은 더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뚜껑(11)의 바깥 표면의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앞 영역 상의 위치를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손상되지 않을 것인데, 이것은 그렇지 않다면 벽과 맞부딪히게 될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 14A 내지 도 15B에 도시하였다. 여기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뚜껑(11)을 포함하는 서비스 콘솔(1)에 부가하여 다수의 측정 장치와 장치 용기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한 측정 장치는 작동 스위치(30), 혈압계(31), 체온계(32) 및 혈당 시험기(33) 및 인-박스 접시(34)를 구비한 장치 용기를 포함한다.
측정 장치(31, 32, 33)들과 인-박스 접시(34)는 서로 분리된 방식으로 도 14B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이 서비스 콘솔(1)에 대해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주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박스 접시(34)는 서비스 콘솔(1)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편안하고 깔끔하게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되도록 디자인된다.
도 14A와 도 14B에 도시한 인-박스 접시(34)를 사용하는 유형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사용될 때, 만일 뚜껑(1)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인-박스 접시(23)를 제거하고 그것을 도 14C에 도시한 서비스 콘솔(1)로 대체한다면 모든 측정 장치(31, 32, 33)들은 서비스 콘솔(1)로부터 단번에 제거될 수 있다. 인-박스 접시(34)와 함께 제거되는 측정 장치(31, 32, 33)들은 반듯하게 정렬되며, 그것의 사용이 정말 편리하다. 측정한 후, 그들은 인-박스 접시(34)와 함께 서비스 콘솔(1) 안에 반듯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데, 즉 측정 장치(31, 32, 33)들이 서비스 콘솔(1) 안에 반듯하게 수용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2)은 뚜껑(11)의 바깥 표면 상에 장착되며, 측정 장치(31, 32, 33)들은 쉽고 부드럽게 서비스 콘솔(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심지어 그들이 서비스 콘솔(1)로부터 제거되더라도 인-박스 접시(34) 안에 반듯하게 정렬된 채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것은 구조상 소형이며 다루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다.
앞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비록 측정 장치들이 혈압계(31), 체온계(32) 및 혈당 시험기(33)를 포함한 것으로 열거되었지만,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공급되며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 측정 장치들 중 하나가 함께 또는 여러 관계있는 부속품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 용기는 인-박스 접시(34)의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장치 용기는 항상 인-박스 접시(34)에 한정하지 않으며,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될 수있는 형상 및 구조의 것이고 측정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 용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로써, 인-박스 접시(34)는 그물 접시(플라스틱 또는 금속 그물 종이로부터 성형된 접시) 또는 철사-그물(wire-net) 또는 프레임-구조(frame-structured) 접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A 와 도 15B는 장치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그 바닥 패널이 복수의 예를 들어 세 개의 포켓들로 구성된 인-박스 접시(35)의 형태를 갖는 것이며, 세 포켓들은 보통 각각 대응하는 측정 장치들 즉 혈압계(31), 체온계(32) 또는 혈당 시험기(33)의 바깥 주변에 맞게 윤곽을 가지며, 따라서 그것을 안락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5B에 잘 나타나 있듯이, 포켓(35a, 35b)들은 혈압계(31)와 완대(18)를 그 안에 수용하는데 사용되며, 포켓(35c)은 체온계를 그 안에 수용하는데 사용되며, 포켓(35d, 35e)들은 혈당 시험기(33)와 그와 관계된 구성 부품들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5A와 도 15B에 도시한 인-박스 접시(35)를 사용하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이점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점들을 가지면서 측정 장치(31, 32, 33)들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송되는 동안 포켓(35a 내지 35e)들 안에 고정되어 임의로 이동 및/또는 구르지 않게 한다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따라서, 심지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다소 이송 중에 거칠게 다뤄지더라도,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측정 장치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부딪힐 가능성이 없다.
인-박스 접시(35)의 바닥에 있는 포켓들의 형성은 추가적인 이점들을 야기한다. 특히, 포켓(35a 내지 35e)들 중 하나 또는 일부가 비어 있음은 대응하는 측정 장치가 아직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또한, 포켓(35a 내지 35e)들 중 이러한 하나 또는 일부의 형상 또는 윤곽과 함께 포켓(35a 내지 35e)들 중 하나 또는 일부가 비어 있는 것은 포켓(35a 내지 35e)들 중 이러한 하나 또는 일부 안에 딱 맞는 측정 장치의 하나 또는 일부가 아직 저장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한 후 하나 또는 일부 측정 장치를 저장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유익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일부 측정 장치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장치가 어떤 장소에서 측정하기 위해 이송될 때 그 장소에 남겨질 가능성이 없다.
장치 용기의 또다른 예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장치 용기는 단번에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되는데 적용되는 인-박스 접시(35, 36)들 2개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인-박스 접시(35)는 도 15A와 도 15B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혈압계(31), 체온계(32) 및 혈당 시험기(33)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며, 인-박스 접시(36)는 인-박스 접시(35)와 구조상 실질적으로 유사하나 혈중 산소 포화도 시험기(blood oxygen saturation tester)(37), 체온계(32) 및 소변 시험 키트(38)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도 16에서 인-박스 접시(35, 36)들이 서비스 콘솔(1)에 대해 서로 각각에 대해 옆으로 인접한(side-by side) 관계로 위치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인-박스 접시(35, 36)들의 크기가 같아서,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서비스 콘솔(1) 안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에서 이다. 환언하면,수행될 것으로 요구되는 측정의 특징에 의존하여, 그 안에 대응하는 측정 장치가 수용되어 있는 인-박스 접시(35, 36)들 중 하나가 그들 중 다른 것을 대신해서 서비스 콘솔(1) 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된 예에서, 인-박스 접시(35)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할 환자가 혈압계(31)와 체온계(32) 및 혈당 시험기(33)를 사용할 경우 사용되는 반면, 인-박스 접시(36)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할 환자가 혈액내 산소 포화도 시험기(37), 체온계(32) 및 소변 검사 키트(38)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여러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입원해 있는 병원에서, 인-박스 접시(36)와 서비스 콘솔(1)의 조합은 다른 질병의 다른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인-박스 접시(35)와 서비스 콘솔(1)의 조합이 특정 질병의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측정 장치들의 여러 조합들이 대응하는 인-박스 접시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쉽게 만들어진다면, 그리고 대응하는 인-박스 접시와 함께하는 이러한 조합들 중 특정한 경우의 하나에 의존하여 선택된다면, 단일 서비스 콘솔(1)은 다른 상황에 맞게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 본원 발명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대적으로 사용상 넓은 범위의 융통성을 갖는다. 더욱이, 새로운 의료 장치들이 발명되고 실용화된다 하더라도, 새로운 의료 장치를 수용하기에 유효하게 현재 인-박스 접시를 새롭게 설계된 인-박스 접시로 교체하는 것은 그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단일 서비스 콘솔(1)용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말 장래성이 있다. 그것으로서, 인-박스 접시들의 개수는 도시한 것처럼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한 변경에서, 여기에 도시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 16에 도시한 인-박스 접시들과 다른 인-박스 접시(39)가 적용되며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부착 저장실(3) 안에 수용되게 적용된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명확히 나타나 있듯이 포켓(39a)의 마주보는 벽들은 각각의 홈(40)들과 함께 형성되어 있어서 각 홈(40)들 안에 수용된 구획판(41)의 마주보는 옆 끝들로 포켓(39A)을 2개 방으로 구분하는 구획판(41)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39)의 깊이를 확인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는 점에서 인-박스 접시(39)는 도 16에 도시된 인-박스 접시 또는 접시들과 다르다.
구획판(41)이 도 17B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펜라이트(42)와 같은 연장된 장치가 포켓(39a)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펜라이트(42)는 실질적으로 편안하게 포켓(39a) 안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임의로 움직이거나 구르지 않을 것이다. 펜라이트(42)가 요구되지 않고 대신 소변 검사 키트(38) 및 이와 관계된 부속품들이 필요한 경우, 구획판(41)은 소변 검사 키트(38)와 그 부속품들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포켓(39a) 안에 두 방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으로서, 인-박스 접시(39) 안에 있는 측정 장치들이 무질서하게 되지 않을 확률이 없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나타낸 변경에 따르면, 심지어 다른 측정 장치들과 그에 관계되는 부속품들을 수용할 필요성이 생기더라도 포켓(39a)이 그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2개 방으로 나눠진 포켓(39a)의 용량은 효과적이고 유익하다. 이 디자인의 인-박스 접시(39)는 제조비를 늘리지 않으며 다른 측정 장치들이 하나 또는 둘 단번에 수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융통성이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한 변경을 설명하면서 한 쌍의 마주보는 홈(40)들이 한 포켓 즉, 포켓(39a) 안에 사용된다고 기술되어 있는 반면, 마주보는 홈(40)들 한 쌍은 모든 포켓들 안에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마주보는 홈(40)들의 다수 쌍들이 포켓들 중 하나 또는 모두 안에 똑같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구획판 대신 그 목적에 맞다면 구획 수단으로써 구획 그물 또는 구획 봉이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또다른 변경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도시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다수의 예를 들어 4개의 분리된 인-박스 접시(44, 45, 46, 47)들을 포함하는 장치 용기를 사용하는데, 이들 접시들은 모두 도 18A에 나타낸 방식으로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부착실(3) 안에 반듯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인-박스 접시(44 내지 47)들은 특정 형상의 측정 장치들을 수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켓들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면, 비록 필요할만한 측정 장치는 그 안에 수용될 수 있지만, 인-박스 접시(44)는 혈압계(31)와 완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인-박스 접시(45)는 체온계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인-박스 접시(46)는 혈당 시험기(3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인-박스 접시(47)는 갖가지 부속물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변경은 도 18C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혈압계(31)를 사용하지 않고 혈액내 산소 포화도 시험기(37)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혈압계(31)를 수용하고 있는 인-박스 접시(44)는 혈액내 산소포화도 시험기(37)에 적합하게 디자인된 새로운 인-박스 접시(38)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익하다. 유사하게, 심지어 구식 혈압계(31)가 새로 개발된 복잡한 소형 혈압계로 대체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단지 구식 장치(31)를 위한 인-박스가 새 장치를 수용하도록 디자인된 새로운 인-박스 접시로 대체함으로써 이 새로운 모델이 수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인-박스 접시(44 내지 47)들 모두가 동일한 폭을 갖는다면,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가 바라는 대로 이들 인-박스 접시들을 요망되는 조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별개의 인-박스 접시(44 내지 47)들은 어떠한 적합한 고정 요소들에 의해 옆으로 인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들 인-박스 접시(44 내지 47)들은 모두 서비스 콘솔(1)로부터 한번에 제거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변경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것들에 유사한 이점들과 효과들에 부가하여, 추가적인 인-박스 접시(44 내지 47)가 최소의 교체 비용으로 하나 이상의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이점이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안에 있는 인-박스 접시들과 함께 수용된 측정 장치들 중 하나가 구식이고 크기가 다른 새로운 모델이 거래되었을 경우, 각 인-박스 접시를 새로운 모델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된 새로운 인-박스 접시로 교체하는 것은 충분할 것이며, 따라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단지 이러한 교체에 의해 최신식으로 될 수 있다. 심지어 이러한 교체 비용은 최소화 될 것이다.
비록 전술한 변경에서 별개의 인-박스 접시들은 각 측정 장치에 대해 하나가사용되지만, 별개의 인-박스 접시들은 모두 2개 이상의 측정 장치들을 수용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9에 보통 '49'로 나타낸 인-박스 접시의 변경된 형태는 이전에 그들 중 하나는 '52'로 나타낸 것들과 유사한 다수의 포켓을 포함한다. 이 인-박스 접시(49)는 포켓(50)의 개구를 닫기 위해 포켓(52) 상에 덮여지게 사용되는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를 더 포함한다.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는 혈당 시험기(33)를 수용하기 위해 그 안에 정의되어 있는 하나 이상 예를 들어 포켓 2개를 갖는다. 이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가 포켓(52) 위에 덮여질 때, 예를 들어 약 용기(51)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는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의 바닥과 포켓(52)의 바닥 사이에 그대로 있는다.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가 포켓(52) 상에 덮여지도록 하기 위해, 포켓(52)의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 부분은 안쪽으로 '52a'에서 기울어져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가 포켓(52) 상에 덮여질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쇼울더를 정의한다. 지지 쇼울더(52a)는 포켓(52) 상에 덮여질 때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가 인-박스 접시(49)의 위쪽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게 유지하도록 허용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쇼울더(52a) 대신 사용될 수 있는 포켓(52)의 깊이 또는 결합된 뚜껑 및 접시(50)보다 길이가 짧은 4개의 코너 다리들이 포켓(52) 상에 장착될 때 인-박스 접시(49)의 위쪽 표면 상에 놓여지는 갈매기 날개 같은 플렌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마찰 지지 시스템과 같은 어떠한 지지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도 19에 도시된 변경에서 상상되어지는것과 같은 "2층 포켓"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인-박스 접시(49) 안에 남아있는 포켓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각 결합된 뚜껑 및 접시를 갖도록 유사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2층 포켓" 디자인은 인-박스 접시(49) 안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 효율을 최대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변경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 도시된 것처럼, 서비스 콘솔(1)은 그 안에 인-박스 접시(53)가 장치 용기로써 수용되어 있는 부착 저장실(3)을 갖고 있다. 측정 장치 예를 들어 혈압계(31)는 인-박스 접시(53) 안에 넣어진다.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54, 55)들이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된다.
도 20에 나타낸 구조에 따르면, 혈압계(31)는 부착 저장실(3)을 정의하는 벽과 접촉하지 않으며, 인-박스 접시(53)에 의해 그 안에 수용된다. 이 인-박스 접시(53)는 그 바닥 벽(59)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코너 다리(56, 57)들을 가지는데, 코너 다리(56, 57)들은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될 때 부착 저장실(3)의 바닥(58) 상에 놓여진다. 인-박스 접시(53)의 바닥 벽(59)과 부착 저장실(3)의 바닥(58) 사이에서 코너 다리(56, 57)들에 의해 정의된 공간은 단열 공간 역할을 하는데, 이 단열 공간에 의해 전자 회로(54, 55)에 의해 인-박스 접시(53) 안으로 전달되는 열의 전달이 유익하게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장치들의 특성에 있어서 온도에 의존하는 어떤 가능한 변화가 최소화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만일 많은 양의 열이 전자 회로(54, 55)들로부터 인-박스 접시(53) 안으로 전달될 경우엔 발생할 것이다. 측정 장치들이 정밀한 장치인 것을 고려한다면 이것은 특히 중요하다.
비록 단열 공간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코너 다리(56, 57)들이 사용되었지만, 예를 들어 갈매기 날개 형상 플렌지와 같은 어떠한 스페이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하는데, 여기서 갈매기 형상 플렌지로 인-박스 접시(53)가 서비스 콘솔(1)의 맨 위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또다른 변경에서, 측정 장치들을 수용하기 위한 인-박스 접시(60)에는 핸들(61)들이 제공되어 인-박스 접시(60)를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부착 저장실(3)로부터 쉽게 제거하는 것을 수월하게 한다. 따라서, 핸들(61)들의 사용은 노인들과 같이 잡는 힘이 약한 사용자나 정밀한 손재주가 없는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할 것이다.
비록 핸들(61)들이 채널(channel) 형상 봉으로 도시되었지만, 그들은 손가락 구멍들, 그립 돌기들 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어떠한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 내지 도 22F에 도시된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콘솔(1)은 한번에 다른 인-박스 접시(62, 63) 2개를 수용하게 디자인되었다. 이제까지 설명하였듯이, 이 디자인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며, 인-박스 접시(62, 63)들은 수행될 측정 유형에 의존하여 서비스 콘솔(1) 안에서 사용하기 위해 단번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2A 내지 도 22F에 도시한 디자인은 한 손에는 각 식별자가 다른 인-박스 접시(62, 63)들에 제공되며 다른 한손에는 일반적인 식별자 판독기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한 것과 다르다.
특히, 서비스 콘솔(1) 안에 사용되는 식별자 판독기가 누름 단추 스위치(65)의 형태로 사용된 것으로 도시된 반면, 인-박스 접시들의 하나 예를 들어 인-박스 접시(63)는 인-박스 접시(63)와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동 통(actuating tongue)(64)의 형태로 사용되어서 그로부터 옆 바깥으로 돌출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콘솔(2) 안에 있는 인-박스 접시(63)가 부착 저장실(3) 안에 수용될 경우 구동 통(64)이 누름 단추 스위치(65)를 눌러 구동시킬 수 있도록 그런 위치에 배치된다. 다른 인-박스 접시(62) 안에 있는 식별자는 빈 또는 널(null)로 나타내져서 누름-단추 스위치(65)는 구동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인-박스 접시(62)는 도 22A 내지 도 22C에서 나타낸 것처럼 사용될 때 누름 단추 스위치(65)는 구동되지 않을 것이나, 인-박스 접시(63)가 도 22D 내지 도 22F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될 때 누름 단추 스위치(65)는 구동될 것이다. 누름 단추 스위치(65)가 작동되었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사용자는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방법으로 인-박스 접시(62, 63)들 중 하나가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부착 저장실(3) 안에 수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 회로 구성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과 함께 사용되어서, 인-박스 접시(62)가 부착 저장실(3) 안에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사용되는 한 누름 단추 스위치(65)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따라서 "혈압", "체온" 및 "혈당 값"과 같은 문자를 가진 디스플레이 창(66)은 도 22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인-박스 접시(63)가 부착 저장실(3) 안에서 사용될 때 또는 사용되는 한, 누름 단추 스위치(65)는 구동 통(64)과 접촉하여 작동하며 따라서 "산소 포화도", "체온" 및 "혈당 값"과 같은 문자들을 가진 디스플레이 창(67)이 도 22F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디스플레이 패널(1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도 22A 내지 도 22F에 나타낸 변경에 따르면, 누름 단추 스위치(65)가 작동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창(66, 67)들이 단번에 표시될 수 있어서 그 당시 부착 저장실(3) 안에 수용되어 있는 인-박스 접시(62, 63)들 중 하나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가 어떤 사용자에게 사용된 후에 다른 사용자가 같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고자 시도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또 '62' 및 '63'으로 나타내어진 다른 인-박스 접시들이 이러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각각 사용된다면,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동 모드들은 특정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이러한 인-박스 접시들 중 어느 하나의 교체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구동 통(64)과 누름 단추 스위치(65)는 식별자와 판독기로써 각각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코드 열(array)과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하는 광학 판독 시스템 또는 코일과 공명 회로를 갖는 유도 판독 시스템 구동 통(64)과 누름 단추 스위치(65)의 조합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판독기와 식별기의 조합의 개수는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하나에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개 인-박스 접시들이 단일 서비스 콘솔(1)안에서 사용될 때 다수의 식별자-판독기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사용자들이 단일 서비스 콘솔(1)로 한번에 동일한 측정 장치들을 가진 같은 형상 및 구성의 각 인-박스 접시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고, 따라서 이러한 환경하에서 이러한 인-박스 접시들 중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하나가 놓여짐에 반응하여 각각 특정 사용자에게 유일한 작동 모드들을 전환하는 아이디어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오버라이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서비스 콘솔(1) 안에서 함께 작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오버라이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단일 서비스 콘솔(1)은 그 또는 그녀의 독특한 인-박스 접시의 놓임에 응답하여 특정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작동 모드에 적합하게 구성된 전자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일 서비스 콘솔(1) 안에서 오버라이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은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각 인-박스 접시에 대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효과적인데, 이것은 사용자 뿐 아니라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도 편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 상에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된 TV 또는 비디오 카메라 유닛(68)이 제공된다. 비디오 카메라 유닛(68)은 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서비스 콘솔(1)과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케이블(69)을 포함한다. 서비스 콘솔(1)은 부착 저장실(3)의 바닥 영역 안에 배치된 제어 유닛(1A)을 포함한다.
카메라 유닛(68)은 아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환자의 또는 사용자의 건장 상태에 관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기 원할 때, 그 또는 그녀가 뚜껑(11)을 열고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 안에 수용되어 있는 측정 장치들을 제거한다. 측정 후에, 환자 또는 사용자는 연결 플러그(7)를 정보 수신 포트(7A)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케이블(6)을 서비스 콘솔(1)과 연결한다. 이 연결에서, 센서(2)들에 의해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서비스 콘솔(1)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서비스 콘솔(1)로부터 안내된 전화 케이블(10)이 공공 전화 시스템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여 생체 데이터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유닛(68)에 의해 찍힌 비디오 영상들은 전송 스위치(4)가 작동되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유사하게 전송된다.
카메라 유닛(68)이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 상에 장착되는 한, 그것에 의해 찍힌 비디오 영상은 카메라 유닛(68)을 둘러싼 장소의 이미지 예를 들어 환자 또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일 것이다. 반면, 만일 카메라 유닛(68)이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으로부터 제거되어 환자의 환부 쪽으로 접근하게 된다면, 환부의 부분적인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환자가 침대 위에 누워 있는 경우, 간호사는 카메라 유닛(68)을 누워있는 환자 쪽으로 향하게 해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안색 및/또는 환부의 영상들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콘솔(1)과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유닛(68)이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 상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의 출력인 생체 데이터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 안색의 전체 영상,환자 환부의 부분적 영상 및/또는 만일 카메라 유닛(68)이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으로부터 제거된다면 누워있는 환자의 이미지가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동시에 전송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상태의 확실한 원거리 진단이 달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 포트(70)가 그 뒤에 마이크(71)가 배치된 채로 서비스 콘솔(1)의 앞쪽 벽에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71)가 사용되는 경우, 환자와/환자나 간호사가 말한 음성 메세지들 및/또는 음성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마이크 포트(70)의 앞쪽으로 장착된 측정 장치(2A)에 의해 발생한 음성 신호는 마이크(71)에 의해 감지된 후에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2)에 의해 측정된 생체 데이터, 카메라 유닛(68)에 의해 찍힌 비디오 영상 및 음성으로 된 건강 관리 정보는 모두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진단을 하려는 의사에게 요구되는 정보는 의사에게 전달되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가능한 정확하게 진단을 수월하게 한다.
마이크(71)는 서비스 콘솔(1)의 앞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의사와 양방향 통신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이 조작되는 동안에 말해진 음성 메세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단일 마이크(71)의 사용하는 것이 말하여진 메세지 뿐만 아니라 측정 장치(2A)로부터의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충분하다.
도 27과 도 28은 카메라 장착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 변경에서 카메라 유닛(68)은 카메라 지지 브라켓(68B) 상에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된 카메라바디(68A)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3에 도시한 것과 다른 카메라 장착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카메라 지지 브라켓(68B)은 교대로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 상에 카메라 지지 브라켓(68B)의 일부를 구성하는 볼 부재(72)에 의해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착 프레임(13)은 구형으로 파인 베어링 포켓(73)을 가지는데, 이 안에 볼 부재(72)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되어 있다.
이 카메라 장착 시스템에서, 볼 부재(72)가 베어링 포켓(73) 안에서 자유롭게 마찰 운동하므로, 카메라 유닛(68)은 볼 부재(72)의 중심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콘솔(1)을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단순히 카메라 유닛(68)을 어떠한 원하는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어떠한 원하는 각도로 찍힌 환자의 원하는 영역의 비디오 영상들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28에 가장 잘 나타내었듯이, 카메라 지지 브라켓(68B)은 거의 U-형상 프레임으로 만들어지고 U 형상의 바닥에 대응하는 브라켓(68B)의 부분에는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다리를 통해 볼 부재(72)가 제공된다. 지지 브라켓(68B)의 마주보는 자유로운 끈 부분들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그로부터 돌출한 각각의 베어링 돌기(7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응하는 베어링 돌기(74)들을 수용하기 위해 안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카메라 바디(68A)의 마주보는 측벽에는 각각의 베어링 리세스(76)들이 카메라 바디(68A)의 반대편 측벽(75)들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68B)에 의해 나타나는 복원력의 영향에 의해 결합하는 베어링 리세스(76)들 안에 맞물리는 베어링 돌기(74)들로, 카메라 바디(68A)는 지지 브라켓(68B)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68B)에 대해 위쪽으로 카메라바디(68A)를 강제로 당기면 결국 지지 프레임(68B)으로부터 카메라 바디(68A)를 분리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카메라 바디(68A)는 쉽게 지지 브라켓(68B) 상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비디오 영상도 쉽게 전송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에 나타낸 것처럼 비록 카메라 유닛(68)이 홀더(77)와 결합되어 있지만, 도 27과 도 28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회전 지지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카메라 바디(68A)와 홀로 영상을 찍기 위한 홀더(77)로부터 카메라 바디(68A)가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바디(68A)와 함께 홀더(77)가 서비스 콘솔(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홀더(77)를 사용하는 것은 카메라 바디(68A)가 카메라 바디(68A) 자체로는 접근하기 곤란한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전송될 영상들을 다양하게 한다.
도 29 내지 도 32는 변경된 카메라 장착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에 나타낸 것처럼, 카메라 바디(68A)는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지지 브라켓(68B) 상에 분리될 수 있게 장착되는데, 이것은 교대로 도 27과 도 28에 또한 도시한 회전 지지 시스템에 의해 홀더(77) 상에 회전 장착된다. 그러나, 도 29 내지 도 31에 나타낸 변경에서 볼 부재(72)가 홀더(77) 안에 정의된 베어링 리세스 안에 회전하게 수용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77)는 사용자에게 좋은 그립 느낌을 제공하도록 인간 공학적으로 구성되며, 도시된 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이 보통 라운드되어 형성된 그립(79)을 갖는다.
카메라 유닛(68)과 홀더(77) 또는 서비스 콘솔(1) 상에 홀더(77)만을 포함한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것은 단지 홀더(77)를 도 31과 도 32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플레이 지지 프레임(13) 안에 정의된 홀더 브라켓(78)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만일 그립(79)이 거의 원통 형상이라면 홀더(77)를 잡기가 더욱 쉬워질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유닛(68)은 영상이 필요한 영역들에서 이곳저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결국 건강 관리 공급자에게 더욱 쉽게 전송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요망된다면, 카메라 바디(68A) 자체 또는 카메라 유닛(68)과 홀더(77)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도 18A 내지 도 18C에 나타낸 인-박스 접시(47) 안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케이블(69)이 서비스 콘솔(1)로부터 연결이 끊겨진 후, 카메라 바디(68A) 또는 카메라 어셈블리(68, 77)가 인-박스 접시(47) 안에 저장될 수 있고 그 다음 부착 저장실(3)에 저장되며, 카메라 유닛은 눈에 거슬리지 않게 될 것이데, 만일 서비스 콘솔(1) 상에 외부로 장착된 채 남아 있다면 눈에 거슬릴 것이다. 더욱이, 카메라 바디(68A) 또는 카메라 어셈블리(68, 77)는 서비스 콘솔(1) 안에 집어 넣어지고, 뚜껑(1)을 닫음으로써 그것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와 동시에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전체로서 심미적인 외관을 제공한다.
도 33은 마이크(71)가 장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마이크(71)는 탄성 재료(80)에 의해 에워싸이는데, 이 재료는 차례로 서비스 콘솔(1) 안에 유지된다.책상(81)의 윗면상에 있는 이러한 서비스 콘솔(1)을 지지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의 바닥에 견고하게 된 지지 다리(82)들도 또한 탄성 재료(80)로 되어 있다.
마이크(71)가 탄성 재료(80)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기 때문에, 서비스 콘솔(1) 안에서 발생하고/발생하거나 그쪽으로 외부적으로 전달된 진동은 탄성 재료(80)에 의해 완충되고 따라서 마이크(71)로 전달되지 않을 것이며, 이것은 잡음이 없는 음성 신호들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다리(82)들이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콘솔(1)은 책상(81)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진동에 덜 민감하다.
도 34는 서비스 콘솔(1) 안에 있는 마이크(71)의 전면의 음성 입력 측정 장치(2A)를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 콘솔(1)의 바닥 표면(84)에 고정된 일반적으로 L-형상인 지지 부재(83)의 사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함으로써, 측정 장치(2A)는 지지 부재(83)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마이크(71) 앞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측정 장치(2A)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서비스 콘솔(1)로 전달될 때 사용자는 측정 장치(2A)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측정 장치(2A)는 지지 부재(83)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측정 장치(2A)가 마이크(71) 앞쪽 위치에서 제거되지 않으면서 음성 신호가 최소 잡음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5A와 도 35B에 나타낸 것처럼, 지지 부재(83)는 철사 부재 형태로 만들어져 일반적으로 L-형상 구성으로서 그 맞은편 자유 끝부분(83a)들이 바닥 표면(84) 상에 형성된 각각의 베어링(85) 안으로 눌려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서 지지 부재(83)는 서비스 콘솔(1)에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되거나 미끄럼 연결된다.
특히, 지지 부재(83)와 베어링(85)이 도 35A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된 경우, 지지 부재(83)가 서비스 콘솔(1)의 바닥 표면(84) 상의 베어링(85)들 안으로 삽입될 때, 음성 입력 측정 장치(2A)가 지지 부재(83)에 의해 서비스 콘솔(1)의 앞쪽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만일 필요하게 되면 지지 부재(83)는 베어링(8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 부재(83)와 베어링(85)이 도 35B에 도시한 것처럼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심지어 다른 크기의 많은 음성 입력 측정 장치(2A)가 있는 경우에도, 지지 부재가 서비스 콘솔(1)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 장치(2A)들 중 어느 것이라도 지지 부재(83)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음성 신호는 잡음이 최소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36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91'은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중앙 처리 유닛(CPU)과 램(RAM)과 음성 안내를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메인 제어 유닛을 나타내며, 참조 번호 '92'는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 단자(95)를 갖는 터미널 유닛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93'은 체온계, 혈압계 또는 다른 것일 수 있으며 연결 케이블(94)을 통해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하는 의료 측정 장치들을 나타낸다. 연결 케이블(94)과 연결 단자(95)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생체 데이터는 메인 제어 유닛(91)으로 입력될 수 있다.
메인 제어 유닛(91)이 소정의 제어 법칙에 따라 입력된 생체 데이터를 통신 규약으로 변환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모뎀 기능이 있는 통신 수단(96)을 통해 데이터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데이터 베이스(7)에 축적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97)는 다수의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지원할 수 있고 연장된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생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다용도 컴퓨터를 사용하는 의사는 데이터 베이스(7)에 접근할 수 있고 진료 목적으로 환자들 각각의 생체 데이터를 재검토할 수 있다.
참조 번호 '98'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며, 참조 번호 '99'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형식으로 된 작동 패널이다. 사용자는 의료 측정 장치(93)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작동 패널(99)을 사용할 것이고 연결 케이블(94)을 연결 단자(95)들에 연결함으로써 측정을 초기화할 것이다. 이 시점에, 선택된 의료 측정 장치(93)와 대응하는 연결 단자들의 사용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 영상 안내에 의해 제공된다.
도 37은 가정용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안에 사용된 터미널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터미널 유닛(92)에서, 참조 번호 '100'은 체온계 연결 단자를, 참조 번호 '101'은 체온계 라벨을, 참조 번호 '102'는 체온계 LED를, 참조 번호 '103'은 혈압계 연결 단자를, 참조 번호 '104는 혈압계 라벨을, 참조 번호 '105'는 혈압계 LED를 나타낸다. 체온계 라벨(101)은 하얀 색 바탕에 빨간 색으로 인쇄된 "체온" 문자를 가지는 반면, 혈압계 라벨(104)은 하얀색 바탕에 빨간 색으로 인쇄된 "혈압" 문자를 갖는다. 한편, 체온계는 체온계 바디(106)와 빨간 색인체온계 연결 케이블(107)을 포함하는 반면, 혈압계는 혈압계 바디(108)와 파란색인 혈압계 연결 케이블(109)을 포함한다.
예들 들어 작동 패널(99)을 통해 체온계가 선택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98)는 연결 케이블(107)과 연결 단자(100) 사이의 연결 사진과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에 더하여 연결 방법을 표시한다. 또한, 체온계 LED(102)는 켜지고 대응하는 음성 안내인 "체온 측정이 준비되었습니다. 적색 케이블과 적색 단자를 연결하세요."가 들려진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케이블과 단자 사이의 잘못된 연결을 피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나타낸 것처럼, 체온계 연결 단자(100)를 둘러싼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멈춤쇠 리세스들 2개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혈압계 연결 단자(103)를 둘러싼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멈춤쇠 리세스들 3개가 형성되어 있다. 반면, 체온계 연결 케이블(107)의 자유로운 끝부분에는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멈춤쇠 돌기들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연결 케이블(107)이 정확한 연결 단자 즉 단자(100)에 꼽혀질 때 두 멈춤쇠 돌기들이 대응하는 멈춤쇠 리세스들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혈압계 연결 케이블(109)의 자유로운 끝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멈춤쇠 돌기들 3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 케이블(109)이 정확한 연결 단자 즉 단자(103)에 꼽혀질 때 이들 멈춤쇠 돌기들 3개는 대응하는 멈춤쇠 리세스들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체온계 연결 케이블(107)은 단자(103)에 꼽혀질 수 없으며, 유사하게 혈압계 연결 케이블(109)은 단자(100) 안으로 꼽혀질 수 없다.
따라서, 심지어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고 원시 때문에 터미널 유닛 부근에 인쇄되거나 엠보싱된 작은 문자들을 읽기 힘들다고 느끼더라도, 정확한 생체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고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의사에게 전달될 수 있어서 의사는 정밀하고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것임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그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음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44)

  1. 서비스 콘솔;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센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정의된 부착 저장실;
    상기 부착 저장실의 윗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콘솔 상에 장착된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위쪽 표면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자가 있는 위치 쪽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그 위에 제공되는 터치 작동 패널을 가지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결국 상기 서비스 콘솔과 상기 뚜껑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콘솔의 끝 면 상에 리세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비스 콘솔은 터미널 유닛을 가지며, 서비스 외부에 배치된 상기 센서들은 이 터미널 유닛을 통해 서비스 콘솔과 통신하며, 상기 터미널 유닛은 서비스 콘솔의 위쪽 표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서비스 콘솔의 끝 면에 형성된 리세스 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콘솔과 상기 뚜껑은 힌지 연결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은 상기 서비스 콘솔에 대해 상기 힌지 연결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은 감쇠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그 단면이 일반적으로 상기 힌지 연결 앞쪽에 위치하며 정의된 정점을 갖는 힐과 같은 형상이며, 상기 정점으로부터 아래로 기울어진 상기 정점의 각 옆에 앞쪽 및 뒤쪽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과 상기 서비스 콘솔 사이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정의되는 한계까지 회전하기 전에 상기 뚜껑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뚜껑은 상기 서비스 콘솔과 간섭하게 작동할 수 있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상기 뚜껑과 상기 서비스 콘솔 사이의 힌지 연결에 의해 정의되는 한계까지 회전하기 전에 상기 뚜껑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콘솔은 상기 뚜껑과 간섭하게 작동하는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장치 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 용기는 상기 장치 용기 안에 수용되는 형태로 상기 센서들이 상기 부착 저장실 안에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4. 서비스 콘솔;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정의된 부착 저장실;
    상기 서비스 콘솔 위에 장착되며 상기 부착 저장실의 위쪽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 및
    상기 센서들이 장치 용기 안에 수용되는 형태로 상기 부착 저장실 안에 수용되도록 하는 장치 용기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는 그 안에 정의된 다수의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들은 대응하는 센서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각 센서들의 윤곽과 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의 형상은 센서들의 조합에 의존하여 정해지고 센서들의 특정 조합에 맞게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는 인-박스 접시를 하나 가지거나 각각이 센서들의 조합용인 다수의 인-박스 접시들을 가지며, 상기 장치 용기는 하나 이상의 부착 저장실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장치 용기는 적어도 한 쌍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들 안에 제거할 수 있게 결합되는 구획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들 중 하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구획실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는 적어도 그 일부가 그 높이 방향으로 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와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있는 상기 부착 저장실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저장실에서 제거하는 것이 수월해지도록 상기 장치 용기에는 핸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용기에는 상기 장치 용기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식별 수단을 판독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제공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한 상기 식별 수단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 오버라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3.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 상에 분리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 상의 장착 영역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콘솔로부터 상기 카메라 유닛을 분리하는 것은 상기 카메라 유닛에 제공되는 홀더에 의해 수행되며, 맞물림은 상기 홀더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유지 부분에서 회전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의 상기 홀더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잡을 수 있으며 그 안에 정의된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상기 서비스 콘솔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 안에 삽입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 바디와 카메라 지지물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카메라 지지물 상에 제거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저장실은 그 안에 카메라 바디, 상기 카메라 지지물 및 상기 홀더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사람 목소리와 마이크 주변에 위치한 센서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마이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에워싸 있으며, 이 탄성 부재는 상기 서비스 콘솔 안에 차례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인터페이스 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센서를 지지하기 위해 마이크 앞쪽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앞쪽에 배치된 상기 지지 부재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센서의 형상에 따라 제거할 수 있거나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6.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을 물리적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 상기 센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들을 가지며 상기 메인 제어 유닛으로 그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작동 유닛, 및 상기 메인 제어 유닛과 사용자를 인터페이스하고 그들간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 유닛을 통해 상기 센서들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상기 메인 제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여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 중 하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7.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는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을 물리적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 상기 센서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들을 가지며 그로부터 상기 메인 제어 유닛으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사용자가 이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작동 유닛, 상기 연결되어 있는 단자들 주변에 배치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작동 유닛을 통해 상기 센서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메인 제어 유닛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 중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하나를 켜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유닛은 다수의 연결 단자와, 연결 단자들 주변에 배치되며 각 연결 단자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다수의 유색 지시를 가지며, 메인 제어 유닛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선택된 센서에 대응하는 유색 지시들 중 하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모두 센서 바디와, 적어도 그 일부가 소정 색으로 채색되며 상기 센서 바디를 상기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유닛은 센서들의 그 부분들의 대응하는 색에 대응하는 다른 색으로 채색되며 결합되는 연결 단자에 인접하는 각각의 부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모두 센서 바디와, 적어도 그 일부가 소정 색으로 채색되며 상기 센서 바디와 연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유닛은 센서들의 그 부분들의 대응하는 색에 대응하는 다른 색으로 채색되며 결합되는 연결 단자에 인접하는 각각의 부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1. 메인 제어 유닛;
    환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을 물리적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다수의 측정 장치;
    상기 측정 장치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들을 가지며 생체 데이터를 그로부터 상기 메인 제어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 유닛;
    사용자가 이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작동 유닛 및 음성 입력 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 유닛을 통해 상기 측정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상기 메인 제어 유닛은 상기 음성 입력 유닛을 사용하여 선택된 측정 장치에 대응하는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의 상기 연결 케이블들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은 대응하는 다른 형상을 가져서 한 연결 케이블의 형상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만 연결 케이블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의 상기 연결 케이블들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은 대응하는 다른 형상을 가져서 한 연결 케이블의 형상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만 연결 케이블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의 상기 연결 케이블들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 터미널 유닛의 연결 단자들은 대응하는 다른 형상을 가져서 한 연결 케이블의 형상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만 연결 케이블과 대응하는 단자 부재가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27014991A 2000-05-09 2001-05-08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030004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35691 2000-05-09
JP2000135690A JP2001314379A (ja) 2000-05-09 2000-05-09 生体情報収集装置
JPJP-P-2000-00135690 2000-05-09
JP2000135691A JP2001314380A (ja) 2000-05-09 2000-05-09 生体情報収集装置
JPJP-P-2000-00203380 2000-07-05
JP2000203380A JP2002017684A (ja) 2000-07-05 2000-07-05 データ収集装置
JPJP-P-2000-00222283 2000-07-24
JP2000222283A JP2002034935A (ja) 2000-07-24 2000-07-24 生体情報収集装置
JPJP-P-2001-00033432 2001-02-09
JP2001033432A JP2002233508A (ja) 2001-02-09 2001-02-09 生体情報収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393A true KR20030004393A (ko) 2003-01-14

Family

ID=2753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991A KR20030004393A (ko) 2000-05-09 2001-05-08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75904B2 (ko)
EP (2) EP1282379B1 (ko)
KR (1) KR20030004393A (ko)
CN (1) CN1253125C (ko)
AT (2) ATE291370T1 (ko)
AU (1) AU2001252690A1 (ko)
CA (1) CA2405171A1 (ko)
DE (2) DE60118634T2 (ko)
TW (1) TW503095B (ko)
WO (1) WO2001085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938A1 (en) * 2000-11-03 2002-11-07 Applied Materials, Inc. Facilities connection bucket for pre-facilitation of wafer fabrication equipment
US7032614B2 (en) 2000-11-03 2006-04-25 Applied Materials, Inc. Facilities connection box for pre-facilitation of wafer fabrication equipment
JP2003245255A (ja) * 2002-02-26 2003-09-02 Nippon Colin Co Ltd 血圧測定装置および下肢上肢血圧指数測定装置
AU2003243345A1 (en) * 2002-05-31 2003-12-19 The Texas A And M University System Communicating medica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A2500651C (en) 2002-10-01 2011-07-12 Nellcor Puritan Bennett Incorporated Headband with tension indicator
US7698909B2 (en) 2002-10-01 2010-04-20 Nellcor Puritan Bennett Llc Headband with tension indicator
US20040122476A1 (en) * 2002-12-24 2004-06-24 Peter Wung Emergency medical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US7378955B2 (en) 2003-01-03 2008-05-27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biometric trends with a related temporal event
US20050043615A1 (en) * 2003-02-04 2005-02-24 Natsumi Gary Shigeru Portable, low-profile integrated computer, screen and keyboard for computer surgery applications
US7047056B2 (en) 2003-06-25 2006-05-16 Nellcor Puritan Bennett Incorporated Hat-based oximeter sensor
US8412297B2 (en) 2003-10-01 2013-04-02 Covidien Lp Forehead sensor placement
US20060094935A1 (en) * 2004-10-20 2006-05-04 Coulbourn Instruments, L.L.C. Portable psychophysiolog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70249389A1 (en) * 2004-10-25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ellular Phone Device
US7370763B1 (en) * 2004-12-08 2008-05-13 Pascucci Cheryl L Health management kit
WO2007038647A2 (en) * 2005-09-27 2007-04-0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equipment to the facilities of a manufacturing location
EP1774904B1 (en) * 2005-10-17 2012-10-17 General Electric Company Patient monitor
CA2623616A1 (en) 2005-11-29 2007-06-07 Surgi-Vision, Inc. Mri-guided localization and/or lead placement systems, related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070167692A1 (en) * 2006-01-17 2007-07-19 Kim Brian S Refrigerator with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0778116B1 (ko) * 2006-10-02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벡터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US8038614B2 (en) * 2007-05-22 2011-10-18 Eastman Kodak Company Establishing baseline data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20080294018A1 (en) * 2007-05-22 2008-11-27 Kurtz Andrew F Privacy management for well-being monitoring
US20080294012A1 (en) * 2007-05-22 2008-11-27 Kurtz Andrew F Monitoring physiological conditions
US7972266B2 (en) * 2007-05-22 2011-07-0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data normalization for a monitoring system
US8831299B2 (en) 2007-05-22 2014-09-09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Capturing data for individual physiological monitoring
US8038615B2 (en) * 2007-05-22 2011-10-18 Eastman Kodak Company Inferring wellness from physiological conditions data
US8175677B2 (en) * 2007-06-07 2012-05-08 MRI Interventions, Inc. MRI-guided medical interventional systems and methods
US8315689B2 (en) 2007-09-24 2012-11-20 MRI Interventions, Inc. MRI surgical systems for real-time visualizations using MRI image data and predefined data of surgical tools
WO2009042130A2 (en) 2007-09-24 2009-04-02 Surgivision, Inc. Mri-guided medical interventional systems and methods
KR101068914B1 (ko) * 2008-07-03 2011-09-3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장치
US8257274B2 (en) 2008-09-25 2012-09-04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364220B2 (en) 2008-09-25 2013-01-29 Covidien Lp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352007B2 (en) * 2008-11-12 2013-01-08 Smiths Medical Asd, Inc. Oximeter device
US8515515B2 (en) 2009-03-25 2013-08-20 Covidien Lp Medical sensor with compressible light barrie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781548B2 (en) 2009-03-31 2014-07-15 Covidien Lp Medical sensor with flexible componen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659650B2 (en) 2009-06-19 2014-02-25 Smartmatic International Corporation Portable apparatus for biometric and biographic data collection, storage and delivery, and method therefor
US8382657B1 (en) * 2009-10-05 2013-02-26 Integrated Medical Systems International, Inc Endoscope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FR2951350B1 (fr) * 2009-10-12 2012-03-30 Transvideo Ecran video a ouverture laterale et connexions interieures
US20110237960A1 (en) * 2010-03-25 2011-09-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tients
DE102010061531A1 (de) 2010-12-23 2012-06-28 Rainer Grünter Verfahren zur Gewährleistung der schnellstmöglichen fachgerechten medizinischen Versorgung eines Individuums
DE202011104692U1 (de) 2011-08-22 2012-11-30 EDV Service GmbH Putbus Anordnung zur optischen Erfassung von Körperregionen eines Patienten
US9844417B2 (en) * 2011-09-08 2017-12-19 Mobilize Rrs Llc Medical tool kit
US9192446B2 (en) 2012-09-05 2015-11-24 MRI Interventions, Inc. Trajectory guide frame for MRI-guided surgeries
US20140235963A1 (en) * 2013-02-15 2014-08-21 Welch Allyn, Inc. Remote Health Care System
BE1022003B1 (nl) * 2013-04-23 2016-02-03 Vrije Universiteit Brussel Systeem voor diagnose op afstand van een beroerte
USD739401S1 (en) * 2013-10-01 2015-09-22 Amos M. Cohen Electronic guestbook console
CN104856657A (zh) * 2015-04-01 2015-08-26 吕少萍 脑血栓预防检测装置
DE102015117053A1 (de) 2015-10-07 2017-04-13 Reiner Grünter Verfahren zur Gewährleistung einer schnellstmöglichen, medizinischen Versorgung eines Individuums
US9561753B1 (en) * 2015-10-20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ole bin assembly with a removable tray
US10905497B2 (en) 2017-04-21 2021-02-02 Clearpoint Neuro, Inc. 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112017007668A5 (de) 2017-06-22 2020-03-05 Vladan Petrovic Verfahren zur gewährleistung einer schnellstmöglichen medizinischen versorgung eines individuums
US11475571B2 (en) * 2019-03-13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10835106B1 (en) 2020-02-21 2020-11-17 Ambu A/S Portable monitor
US11166622B2 (en) 2020-02-21 2021-11-09 Ambu A/S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10980397B1 (en) 2020-02-21 2021-04-20 Ambu A/S Video processing device
US11776688B2 (en) 2020-11-16 2023-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pturing user constructed map of bodily region of interest for remote telemedicine navigation
US11813046B2 (en) * 2021-08-19 2023-11-14 Ke Li Method of cuff storage case for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994A (en) 1984-12-20 1986-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5441047A (en) * 1992-03-25 1995-08-15 David; Daniel Ambulatory patient health monitoring techniques utilizing interactive visual communication
US5345362A (en) * 1993-04-29 1994-09-06 Medtronic, Inc. Portable computer apparatus with articulating display panel
US5496257A (en) * 1994-04-22 1996-03-05 Kelly Medical Products, Inc.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applic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5919141A (en) 1994-11-15 1999-07-06 Life Sensing Instrument Company, Inc. Vital sign remote monitoring device
US6151012A (en) * 1995-11-16 2000-11-21 Bullister; Edward Multifuncti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special housing
US5701904A (en) * 1996-01-11 1997-12-30 Krug International Telemedicine instrumentation pack
JP3581512B2 (ja) * 1996-04-25 200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895354A (en) * 1996-06-26 1999-04-20 Simmons; Paul L. Integrated medical diagnostic center
EP0857456A1 (en) 1996-11-15 1998-08-12 HealthTech Services Corporation Interactive medication delivery system with visual patient monitoring
US5865745A (en) 1996-11-27 1999-02-02 Eastman Kodak Company Remote health care information input apparatus
GB9709737D0 (en) * 1997-05-14 1997-07-02 Chase Advanced Technologies Portable presentation device
KR100303082B1 (ko) * 1997-10-13 2001-11-22 윤종용 휴대용컴퓨터를이용한멀티미디어기기
US5931791A (en) 1997-11-05 1999-08-03 Instromedix, Inc. Medical patient vital signs-monitoring apparatus
US6014432A (en) 1998-05-19 2000-01-11 Eastman Kodak Company Home health care system
KR100284300B1 (ko) * 1998-10-16 2001-03-02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US6083156A (en) * 1998-11-16 2000-07-04 Ronald S. Lisiecki Portable integrated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6116426A (en) * 1999-10-11 2000-09-12 Slonim; Charles B. Emergency eye kit
US6400903B1 (en) * 1999-12-23 2002-06-04 Paul Conoval Remote camera relay 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8634T2 (de) 2006-08-24
US20010047126A1 (en) 2001-11-29
AU2001252690A1 (en) 2001-11-20
US6575904B2 (en) 2003-06-10
CA2405171A1 (en) 2001-11-15
WO2001085020A1 (en) 2001-11-15
DE60118634D1 (de) 2006-05-18
TW503095B (en) 2002-09-21
DE60109596D1 (de) 2005-04-28
CN1427691A (zh) 2003-07-02
EP1282379A1 (en) 2003-02-12
ATE322216T1 (de) 2006-04-15
EP1510170A2 (en) 2005-03-02
CN1253125C (zh) 2006-04-26
DE60109596T2 (de) 2006-02-09
ATE291370T1 (de) 2005-04-15
EP1510170A3 (en) 2005-03-23
EP1282379B1 (en) 2005-03-23
EP1510170B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4393A (ko) 생체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US6800059B2 (en) Vital sign box, medium, and information aggregation
CA2547835C (en) Handheld analysis instrument having acoustic output of measurement results
KR10047209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및 그 측정치를인터넷상의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
US6571114B1 (en) Medical measurement apparatus
US8092396B2 (en) Electronic auscultation device
WO2003001423A1 (fr) Systeme de transmission de donnees
US20060122466A1 (en) Telemedicine system comprising a modular universal adapter
US6077223A (en) Ambulatory recorder having control screen to present dual interface for dual users
WO2009126399A1 (en)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KR102029037B1 (ko) 소변 검사장치
JPWO2006004049A1 (ja) 情報端末及び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CN211460182U (zh) 一种健康一体机
JP4056626B2 (ja) 体脂肪計及び体脂肪率測定システム
JP2002034935A (ja) 生体情報収集装置
JP4477929B2 (ja) 健康管理端末器
JPH11197121A (ja) 健康診断装置
CN220655673U (zh) 带有显示屏或平板电脑的妇检镜使用收纳一体盒
CN217338578U (zh) 一种下蹲检测装置及体检机
JPS63234943A (ja) 医療ビフオアサ−ビステレホン
JP2002325737A (ja) 生体情報検査装置
CA2330843A1 (en) Vital sign box, medium, and information aggregation
JP2002311024A (ja) 生体情報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