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191A -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 Google Patents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191A
KR20030004191A KR1020020072625A KR20020072625A KR20030004191A KR 20030004191 A KR20030004191 A KR 20030004191A KR 1020020072625 A KR1020020072625 A KR 1020020072625A KR 20020072625 A KR20020072625 A KR 20020072625A KR 20030004191 A KR20030004191 A KR 2003000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pipe
connection pipe
wall
drain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102002007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191A/ko
Publication of KR2003000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에 관한 것이며 배수조의 벽면에 접속관의 결합과 배수조에서 접속관을 좌,우 또는 상하의 위치조절을 간편히 하여 시공을 편리하게 하며 제조를 간편히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접속관과 내벽판으로 구성되며 접속관은 결합부와 외부 벽판 및 수개의 체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벽판은 중공지지부와 중공지지부에는 수개의 통공과 벽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벽판의 통공에 나사를 끼워 접속관의 체결구에서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접속관의 돌출되는 지지관에 수개의 탄성홈과 걸림턱을 구비하고 내벽판에는 타공부를 형성한 내측에 환돌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접속관의 걸림턱이 내벽판의 타공부에 끼워져 결합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접속관과 내벽판의 제조가 용이하고 배수조의 벽체 전후에서 접속관과 내벽판을 나사 또는 걸림턱으로 결합하여 접속관의 위치조절이 간편하게 되므로 배수조의 시공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 The connection pipe with location control function of a water tank }
본 발명은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에 관한 것이며 배수조에 설치되는 접속관을 배수조의 벽에서 좌우 및 상하의 위치조절을 간편히 하여 시공을 편리하게 한 것이다.
배수조는 공장, 상업건물, 주택, 집단주거시설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에서 발생되는 각종 찌꺼기가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우수를 하수관으로 유도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동 배수조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형태의 양측벽에 유입구측은 높고 배출구측은 낮은 지점에 각 하수관 접속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수조는 시공시에는 유입구측에서 배수조로 원활히 유입되기 위하여 유입관에 구배를 구비하고 배수조의 배출관은 하수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배를 구성하게 된다.
이 때 시공과정에서 유입관과 배수관에 일정한 구배가 유지되더라도 배수조의 접속지점과 일치되지 못할 경우에는 설치시공이 어려워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원에 의해 발명된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공개특허공보 특2002-70418호, 공개일 2002.09.09.공)이 있으며 동 발명은 배수조의 벽면에 장공을 구비하고 장공의 외측에는 배수유입관과 외벽판을 내측에는 내벽판을 구비하고 배수유입관의 나선과 내벽판의 나선간을 체결하므로서 결합이 이루어지게하여 배수유입관의 높낮이와 좌우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시공을 간편히 하는 수단으로 이는 관의 구경이 200mm이하의 소형관에는 시공이 간편한 특징은 있으나 배수조에 관의 구경이 200mm 이상의 대형관을 연결할때에는 배수조에 배수유입관의 결합수단에 견고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접속관의 제조를 간편히 하고 배수조의 벽면에 타공부에 접속관과 내벽판의 결합을 간단히 하고 견고히 하며 배수조에서 접속관의 위치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도1의 우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도3의 우측면도
도5는 본 발명 도1의 실시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접속관2 : 내벽판
10 : 결합부11 : 외벽판
12 : 체결구20 : 중공지지부
21 : 통공22 : 벽판
30 : 나사40 : 지지관
41 : 탄성홈42 : 걸림턱
50 : 타공부51 : 환돌부
본 발명은 접속관(1)과 내벽판(2)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접속관(1)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관이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선단에는 외벽판(11)을, 내측에는 수개의 체결구(12)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내벽판(2)은 중공지지부(20)와 중공지지부(20)에는 수개의 통공(21)을, 일방 외측으로는 벽판(2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접속관(1)에 내벽판(2)을 부착하며 내벽판(2)의 통공(21)에 나사(30)를 이용 접속관(1)의 체결구(12)에서 체결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접속관(1)은 결합부(10)와 선단에는 외벽판(11)을, 내측에는 돌출되는 지지관(40)을 형성하고 지지관(40)에는 수개의 탄성홈(41)을, 지지관(40) 연부에는 외향되는 걸림턱(42)을 구비하고, 내벽판(2)에는 타공부(50)를 형성한 내측에 환돌부(51)를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배수조, 101은 타공부, 102는 유입관, 103은 배출관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서와 같은 접속관(1)과 내벽판(2)은 각 제조금형에서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하게 되므로 양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접속관(1)과 내벽판(2)은 도5에서와 같이 배수조(100)의 타공부(101) 전후에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배수조(100)의 타공부(101) 외벽에 접속관(1)의 유입 또는 배출관 결합부(10)가 노출되도록 하여 접속관(1)을 부착하고 배수조(100) 내벽에는 내벽판(2)의 중공지지부(20)를 접속관(1)으로 위치시키면 접속관(1)의 외벽판(11)은 배수조(100)의 외벽에 밀착되고, 내벽판(2)의 벽판(22)은 배수조(100)의 내벽에 위치된다.
이 때 나사(30)를 내벽판(2)의 통공(21)으로 끼워 접속관(1)의 체결구(12)에 체결하게 되면 배수조(100)에는 접속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수조(100)를 유입구측에 위치되는 접속관(1)의 결합부(10)에는 유입관(102)을 끼워 배수조(100)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나사(30)를 조여서 접속관(1)과 내벽판(2)을 배수조(100)의 벽면 전후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배출구측에 위치되는 접속관(1)의 결합부(10)에는 배출관(103)을 끼워 배수조(100)에서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30)를 조이게 되면 접속관(1)과 내벽판(2)은 배수조(1)의 벽면 전후에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변형 실시예를 보인 도3 및 도4와 같이 접속관(1)과 내벽판(2)을 각 제조금형에서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하게 되면 양산제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접속관(1)과 내벽판(2)은 배수조(100)의 타공부(101) 전후에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수조의 타공부 외벽에 접속관(1)의 유입 또는 배출관 결합부(10)가 노출되도록 하여 접속관(1)을 부착하고 배수조 내벽에는 내벽판(2)의 타공부(50)의 환돌부(51)를 내측에 위치시켜서 접속관(1)의 지지관(40) 선단에 위치하는 걸림턱(42) 외측으로 타공부(50)가 끼워지게 압입시키면 지지관(40)은 탄성홈(41)에서 외경이 축소되어 타공부(50)에 끼워지면서 지지관(40) 선단의 걸립턱(42)이 내벽판(2)의 타공부(50)의 벽면에 걸리게 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접속관(1)의 외벽판(11)과 내벽판(2)의 벽판(22) 사이에는 배수조의 벽체가 위치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고 접속관(1)에 외력을 가하여 배수조의 벽체에서 상하와 좌우로 위치가 변화되므로 배수조의 유입구측에 위치되는 접속관에는 유입관을 결합하여 접속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또 배수조의 배출구측에 위치되는 접속관에는 배출관을 결합하고 접속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내벽판(2)의 타공부(50) 내측에는 환돌부(51)가 구비되므로 걸림턱(42)이 고정될 때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조의 타공부에 접속관을 결합하여 배수조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접속관을 구비하므로서 배수조의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접속관과 내벽판을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조하게 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배수조에서 조립 사용하므로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수조의 벽면에 타공부를 구비하고 동 지점에 접속관과 내벽판을 결합하여 위치조절기능을 갖게 되므로 배수조의 설치시공이 간편하고 특히 접속관과 내벽판의 조립수단을 나사 또는 걸림턱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유입 또는 배출관의 구경을 200mm이상의 큰 관을 사용할 때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접속관(1)과 내벽판(2)으로 구성되며, 유입 또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결합부(10)와 선단에는 외벽판(11)을, 내측에는 수개의 체결구(12)를 구비하여 접속관(1)을 구성하고, 내벽판(2)은 중공지지부(20)와 중공지지부(20)에는 수개의 통공(21)을, 일방 외측으로는 벽판(22)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내벽판(2)의 통공(21)에 나사(30)를 끼워 접속관(1)의 체결구(12)에서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관(1)의 내측에는 돌출되는 지지관(40)에는 수개의 탄성홈(41)과 걸림턱(42)을 구비하고, 내벽판(2)에는 타공부(50)를 형성한 내측에 환돌부(51)를 구비하고, 접속관(1)의 걸림턱(42)을 내벽판(2)의 타공부(50)에서 결합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체결관
KR1020020072625A 2002-11-21 2002-11-21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KR2003000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625A KR20030004191A (ko) 2002-11-21 2002-11-21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625A KR20030004191A (ko) 2002-11-21 2002-11-21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191A true KR20030004191A (ko) 2003-01-14

Family

ID=2772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625A KR20030004191A (ko) 2002-11-21 2002-11-21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1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44A (ko) * 2004-03-30 2005-10-0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
KR102007220B1 (ko) 2018-05-02 2019-08-05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9970U (ko) * 1975-02-08 1976-08-11
JPS61135990U (ko) * 1985-02-05 1986-08-23
JPH041338A (ja) * 1990-04-18 1992-01-06 Koichi Noguchi 会所桝
JPH08158462A (ja) * 1994-12-01 1996-06-18 Sansen Kasei Kk 会所桝
JPH09133281A (ja) * 1995-11-02 1997-05-20 Tatsuyuki Yamada 上下水道管用円孔部継手構造
JPH09209441A (ja) * 1996-01-31 1997-08-12 Ebata Kk 集水桝
KR19980077463A (ko) * 1997-04-19 1998-11-16 황현호 가변식 맨홀
JP2000008473A (ja) * 1998-06-19 2000-01-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排水桝の敷設方法
KR200268361Y1 (ko) * 2001-12-03 2002-03-16 정명신 상하수 배관용 밀봉링
KR200268599Y1 (ko) * 2001-10-05 2002-03-16 (주)경동기술공사 맨홀 연결 우·오수관 높이조정구조
KR20020041790A (ko) * 2002-02-27 2002-06-03 김하용 하수구 맨홀
JP2002242214A (ja) * 2001-02-16 2002-08-28 Denki Kagaku Kogyo Kk 構造物接続用管位置調整環
KR20020070418A (ko) * 2002-08-20 2002-09-09 김하용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9970U (ko) * 1975-02-08 1976-08-11
JPS61135990U (ko) * 1985-02-05 1986-08-23
JPH041338A (ja) * 1990-04-18 1992-01-06 Koichi Noguchi 会所桝
JPH08158462A (ja) * 1994-12-01 1996-06-18 Sansen Kasei Kk 会所桝
JPH09133281A (ja) * 1995-11-02 1997-05-20 Tatsuyuki Yamada 上下水道管用円孔部継手構造
JPH09209441A (ja) * 1996-01-31 1997-08-12 Ebata Kk 集水桝
KR19980077463A (ko) * 1997-04-19 1998-11-16 황현호 가변식 맨홀
JP2000008473A (ja) * 1998-06-19 2000-01-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排水桝の敷設方法
JP2002242214A (ja) * 2001-02-16 2002-08-28 Denki Kagaku Kogyo Kk 構造物接続用管位置調整環
KR200268599Y1 (ko) * 2001-10-05 2002-03-16 (주)경동기술공사 맨홀 연결 우·오수관 높이조정구조
KR200268361Y1 (ko) * 2001-12-03 2002-03-16 정명신 상하수 배관용 밀봉링
KR20020041790A (ko) * 2002-02-27 2002-06-03 김하용 하수구 맨홀
KR20020070418A (ko) * 2002-08-20 2002-09-09 김하용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44A (ko) * 2004-03-30 2005-10-06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
KR102007220B1 (ko) 2018-05-02 2019-08-05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4191A (ko)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102210653B1 (ko) 오래된 건물의 욕실배수구에 악취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트랩
KR102619605B1 (ko) 트랩배관용 연장형 체결어댑터
KR1019324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관연결장치
US20170051482A1 (en) Trap integrated drain device for washbasin
KR100379896B1 (ko) 침전지 정류벽용 통수공유닛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JP2007023688A (ja) 排水トラップ
CN219261287U (zh) 一种下排地漏
KR200264316Y1 (ko) 오수관 고정구
WO1996010117A1 (en) A water trap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RU22796U1 (ru) Водо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моек
JPH11315621A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305385Y1 (ko) 오수 및 우수 배관용 연결구조
KR200424708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11242Y1 (ko) 하수관의 악취차단장치
KR200176164Y1 (ko) 세면욕조실 배수관 장치
KR200289237Y1 (ko) 배수트랩과 배수밸브 사이의 중간 연결구
KR200243741Y1 (ko) 건물용 배수조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