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418A -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418A
KR20020070418A KR1020020049082A KR20020049082A KR20020070418A KR 20020070418 A KR20020070418 A KR 20020070418A KR 1020020049082 A KR1020020049082 A KR 1020020049082A KR 20020049082 A KR20020049082 A KR 20020049082A KR 20020070418 A KR20020070418 A KR 2002007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inlet pipe
drainage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013B1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10-2002-004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0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에 관한 것이며 배수조에서 오수가 유입되는 지점의 장공에 배수유입관을 결합하여 배수조에서 배수유입관의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배수조의 시공을 간편히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수유입관, 외벽판, 내벽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배수유입관은 크고작은 환테와 내측관에는 나선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외벽판은 지지부의 내측홈에는 패킹을, 중앙에는 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내벽판은 중앙의 내측관에는 나선을, 내측관 타측의 경사부 선단에는 개폐마개가 위치되도록 개폐마개의 지지축을 지지요홈에 결합하여서 구성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조의 장공 외측에는 배수유입관에 외벽판을 끼워 부착하고 내측에는 내벽판을 부착하여 배수유입관으로 내벽판을 체결하게 되면 결합이 이루어지고 배수유입관을 장공에서 상하 승강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배수조의 시공이 간편하게 되고, 또 사용시 오수가 유입되면 개폐마개가 열리고 유입이 완료되면 닫히게 되어 악취의 발생을 해소하게 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The water inflow pipe with control function of high and low }
본 발명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에 관한 것이며 배수조에서 오수가 유입되는 지점의 장공에 배수유입관을 결합하여 배수유입관의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배수조의 시공을 간편히 한 것이다.
배수조는 공장, 상가건물, 주택, 집단주거시설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할때 주로 사용되며, 생활하수의 찌꺼기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지 않도록 배수조에서 침전되도록 하고 그 침전물은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우수는 배수조로 유입되도록 구성하게 되며, 동 배수조는 유입구측은 높은 위치에 배출구측은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생활하수와 배수조 상부에서 유입되는 우수는 배수조에서 이물질이 침전된 다음 배출구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조는 이물질을 수거 또는 악취를 차단하는등의 기능을 구비하여 이용되고 있으나 유입구와 배출구는 배수조의 제조시 구성되어 위치의 조정이 불가능하여 상태로 제조가 되므로 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배수조의 유입구측관과 배출구측관의 높낮이가 배수조의 유입구 및 배출구의 위치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공에 장애가 발생되고, 또 시공이 되더라도 유입구 측관 또는 배출구측관의 구배가 일정하지 못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하수가 유치된 지점에서는 부패가 심하고 악취와 가스 발생의 요인이 되어 온 폐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배수조의 벽면에 장공을 형성하고 동 장공에 배수유입관을 결합하여 시공할때 배수유입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배수조의 시공을 간편히 하는 배수 유입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을 배수조에서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배수유입관2 : 외벽판
3 : 내벽판10,10a : 환테
11,30 : 내측관12,31 : 나선
20 : 배수유입관 지지부21 : 내측홈
22 : 패킹23 : 통공
32 : 경사부33 :개폐마개
34 : 지지축35 : 지지요홈
본 발명은 배수유입관(1), 외벽판(2), 내벽판(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배수유입관(1)은 크고 작은 환테(10)(10a)의 내측관(11)에는 나선(12)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외벽판(2)은 배수유입관 지지부(20)의 내측홈(21)에는 패킹(22)을, 중앙에는 통공(23)을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내벽판(3)은 중앙의 내측관(30)에는 나선(31)을, 내측관(30)의 타측으로 연장된 선단경사부(32)에는 개폐마개(33)가 위치되도록 개폐마개(33)의 지지축(34)을 지지요홈(35)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은 하수유입관, 60은 배수조, 70은 장공, 80은 배출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수유입구가 위치하는 벽면에 상하로 장공(70)을 구비하는 통상 배수조(60)의 장공(70)에 본 발명 내벽판(3)의 내측관(30)을 위치시키고, 외벽판(2)은 통공(23)을 배수유입관(1)의 내측관(11)에 끼워 환테(10)(10a)의 벽면에 위치시킨 다음 외벽판(2)의 패킹(22)이 배수조(60)의 외벽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수유입관(1)의 내측관(11) 나선(12)을, 내벽판(3)의 내측관(30) 나선(31)에 체결하게 되면 배수유입관(1)의 내측관(11)과 내벽판(3)의 내측관(30)이 한몸통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배수조(60)의 외벽에는 외벽판(2)이, 내벽에는 내벽판(3)이 위치되어져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배수조(60)에서 배수유입관(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때에는 배수유입관(1)과 내벽판(3)의 결합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배수유입관(1) 및 내벽판(3)을배수조(60)의 장공(70)에서 상하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설정 지점에서 배수조(60) 전후에 위치하는 배수유입관(1) 및 내벽판(3)이 한몸통이 되도록 조이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과정에서 배수조(60)의 외벽에 위치한 외벽판(2)은 패킹(22)이 배수조(60)의 벽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져 누수의 요인이 해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공장, 상가건물, 주택, 집단주거시설등지에서 생활하수 하수관을 하수조에 연결할 때 본 발명의 배수유입관을 결합한 배수조(60)를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즉 생활하수의 유입관과 하수조와 연결되는 배출관이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수조(60)를 설치하게 되는데 동 지점에 배수조(60)를 지면에서 매설하고 하수 유입관(50)은 배수조(60)에 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된 배수유입관(1)의 크고 작은 환테(10)(10a)의 일지점에 끼워 결합하고, 타측의 배출구(8)는 하수배출관에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면 배수조(60)의 설치지점에는 하수유입관(50)과 배출관의 구배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하는 배수조(60)는 오수유입관(50)에서 생활하수가 배수유입관(1)을 통하여 유입되면 개폐마개(33)는 생활하수의 유입압력으로 지지요홈(35)의 지지축(34)을 중심으로 열려 배수조(60)내로 유입되어 이물질은 배수조(60)에서 침전이 이루어진 다음 배출구(80)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배수유입관(1)으로 생활하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개폐마개(33)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배수유입관(1)의 악취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수조(60)의 하수가 유입되는 지점에 장공을 구성하여 본 발명의 배수유입관을 결합하여 배수조에서 배수유입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조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또 배수유입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배수조(60)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고 생활하수가 배수조(60)내로 유입시에는 열리고 유입이 완료되면 닫히게 구성하므로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벽판(3)에 개폐마개(33)를 제거하고 배수조(60)의 배출지점의 장공에 결합하게 되면 배출구측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배수조(60)의 장공(70) 보다는 배수유입관(1)에 구비되는 내측관(11)이 외경이 적어야 하고 장공(70)과 내측관(11)간의 공간 범위에 따라 좌우의 위치조절도 가능하게 되므로 배수조의 설치 시공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수유입관, 외벽판, 내벽판을 구성하여 배수조의 장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배수유입관을 구비하므로서 배수조에 설치되는 배수유입구의 높낮이와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조의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배수유입관(1), 외벽판(2), 내벽판(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배수유입관(1)은 크고 작은 환테(10)(10a)의 내측관(11)에는 나선(12)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외벽판(2)은 배수유입관 지지부(20)의 내측홈(21)에는 패킹(22)을, 중앙에는 통공(23)을 형성하여서 구성하고, 내벽판(3)은 중앙의 내측관(30)에는 나선(31)을, 내측관(30)의 타측으로 연장된 선단경사부(32)에는 개폐마개(33)가 위치되도록 개폐마개(33)의 지지축(34)을 지지요홈(35)에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 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KR10-2002-0049082A 2002-08-20 2002-08-20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KR10047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82A KR100478013B1 (ko) 2002-08-20 2002-08-20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82A KR100478013B1 (ko) 2002-08-20 2002-08-20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725U Division KR200299984Y1 (ko) 2002-08-20 2002-08-20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18A true KR20020070418A (ko) 2002-09-09
KR100478013B1 KR100478013B1 (ko) 2005-03-22

Family

ID=2772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082A KR100478013B1 (ko) 2002-08-20 2002-08-20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91A (ko) * 2002-11-21 2003-01-14 김하용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324B1 (ko) 2008-12-26 2009-11-04 주식회사 퍼팩트 악취차단 오수받이
KR102007220B1 (ko) 2018-05-02 2019-08-05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2567882B1 (ko) * 2022-11-28 2023-08-17 주식회사 티지에프 오·폐수 받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160U (ko) * 1974-01-25 1975-08-23
JPS556852Y2 (ko) * 1975-02-08 1980-02-15
CA2047354A1 (en) * 1990-07-18 1992-01-19 Rodney E. Brancher Flexible entry seal arrangement
KR19980077463A (ko) * 1997-04-19 1998-11-16 황현호 가변식 맨홀
JPH1193191A (ja) * 1997-09-19 1999-04-06 Fuji Koatsu Concrete Kk マンホール等と管路の接続構造
JP3722624B2 (ja) * 1998-06-19 2005-11-30 三菱樹脂株式会社 排水桝の敷設方法
KR200218232Y1 (ko) * 2000-10-05 2001-03-15 김하용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100415140B1 (ko) * 2001-10-24 2004-01-16 변무원 나선형 배선관의 맨홀 접속구조 및 그 접속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91A (ko) * 2002-11-21 2003-01-14 김하용 배수조에 설치되는 위치 조절기능을 갖는 접속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013B1 (ko) 200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3396A1 (en) One piece plumbing vent, drain pipe
CA2059811A1 (fr) Fosse septique toutes eaux a collecteur de liquide incorpore
CN102330453A (zh) 防返溢管道接入装置
KR10047801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CA2419028A1 (en) Toilet flange assembly
KR200299984Y1 (ko)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배수유입관
KR20100033034A (ko) 욕실의 배수시스템
CN108049484A (zh) 一种地漏及其施工方法
KR200265310Y1 (ko) 오수. 우수 구분 배수트랩
CN2250378Y (zh) 新型排水装置
JP3988927B2 (ja) 防臭ます
CN102330458B (zh) 防返溢防淤泥管道接入装置
JPS6016692Y2 (ja) 洗面器配管ユニツト
JPH07268945A (ja) 管継手をもつトラップます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204329Y1 (ko) 배수트랩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CN220058204U (zh) 一种易排后置下水器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CN210827723U (zh) 防臭弯头
CN202124904U (zh) 防返溢防淤泥管道接入装置
KR200166993Y1 (ko) 베란다용 하수관의 y형 연결구
CN2274657Y (zh) 多功能排水装置
CN202124902U (zh) 防返溢管道接入装置
CN2334813Y (zh) 带有自动翻板的排污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