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513A -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513A
KR20030000513A KR1020010036327A KR20010036327A KR20030000513A KR 20030000513 A KR20030000513 A KR 20030000513A KR 1020010036327 A KR1020010036327 A KR 1020010036327A KR 20010036327 A KR20010036327 A KR 20010036327A KR 20030000513 A KR20030000513 A KR 2003000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door
bus
door
roller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4951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9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스의 플랩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도 버스의 측면 차체에서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좁은 장소에서도 플랩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는,버스 화물실 상부의 양단에 위치되며 화물실 입구를 향하여 수평되게 연장 설치된 두 개의 레일; 상기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끝단에는 롤러가 마련되고 타측끝단은 버스의 플랩도어와 힌지 연결된 힌지암; 상기 힌지암의 일측과 화물실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암에 상방으로 향하는 추력을 제공하는 리프터;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부 내표면에서 화물실 내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고 끝단에 롤러가 마련된 도어가이드; 상기 도어가이드의 롤러가 끼워지며 그 롤러가 이동되는 궤적에 대응되게 화물실의 일측면 필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A Flap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Bus}
본 발명은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다운 방식의 플랩도어가 개방될 때 버스의 차체에서 최소한의 거리로 돌출되도록 하여 좁은 장소에서도 플랩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플랩도어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서, 버스의 측면바디 하부 양측에는 승객들이 소지하고 탑승하기에는 비교적 큰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실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장거리를 운행하는 고속버스의 경우에 이 화물실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많은 승객들이 이 화물실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물실에 수납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 역할을 하는 플랩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바, 이 플랩도어는 개방되는 방식에 따라 스윙(swing) 타입과 업-다운(up-down) 타입으로 나뉜다.
스윙 타입의 플랩도어는 화물실의 상단부와 플랩도어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경첩에 의해 회동되는 방식으로서 구형의 버스나 저급형 버스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던 것이었고, 현재의 통상적인 버스에는 힌지암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고 차체에 평행하게 이동되는 업-다운 방식의 플랩도어가 많이 적용된다.
상기 업-다운 방식의 플랩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암(10)의 일측 끝단은 화물실 근처의 필라(pillar)(p)의 양단에 회전 중심축(11)이 되도록 고정되고, 그 힌지암(10)의 타측 끝단은 플랩도어(1)의 양측단에 역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12) 결합된다.
또한, 플랩도어(1)가 개방되었을 때 플랩도어(1)에 설치된 힌지(12)를 중심축으로 플랩도어(1)가 상하로 자유 회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랩도어(1)의 하단부에는 보조암(13)이 차체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플랩도어(1)는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암(10)과 차체 사이에는 리프터(14)가 설치되어 플랩도어(1)가 개방될 때 힌지암(10)에 소정의 힘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플랩도어 개폐구조에서는 힌지암축(11)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필연적으로 힌지암 고정축(11)에서 힌지암(10) 끝단의 플랩도어측 힌지(12)까지의 직선거리만큼 플랩도어(1)가 버스의 차체에서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버스의 화물실에서 화물을 꺼내고자 할 때 플랩도어를 개방하면 플랩도어가 차체로부터 많이 돌출되므로 고속버스터미널과 같이 차간거리가 좁은 장소에 정차된 버스에서 플랩도어를 열게 되면 플랩도어가 옆 차량에 간섭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스의 플랩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도 버스의 측면 차체에서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좁은 장소에서도 플랩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플랩도어 개폐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랩도어20 : 힌지암
21 : 레일 22 : 힌지암 롤러
23 : 플랩도어 힌지24 : 리프터
25 : 도어가이드 26 : 도어가이드 롤러
27 : 가이드홈BR : 화물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는,버스 화물실 상부의 양단에 위치되며 화물실 입구를 향하여 수평되게 연장 설치된 두 개의 레일; 상기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끝단에는 롤러가 마련되고 타측끝단은 버스의 플랩도어와 힌지 연결된 힌지암; 상기 힌지암의 일측과 화물실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암에 상방으로 향하는 추력을 제공하는 리프터; 상기 플랩도어의 하단부 내표면에서 화물실 내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고 끝단에 롤러가 마련된 도어가이드; 상기 도어가이드의 롤러가 끼워지며 그 롤러가 이동되는 궤적에 대응되게 화물실의 일측면 필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및 그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상의 도면에서 살펴보면, 버스 화물실(BR) 상부측 양단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두 개의 레일(21)이 화물실(BR) 입구를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설치된다.
한편, 소정의 각도로 굴절된 힌지암(20)의 일측 끝단에는 레일(21)과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롤러(22)가 마련되어 상기 레일(21)에 끼워지고, 상기 힌지암(20)의 타측 끝단은 화물실(BR)을 개폐하는 플랩도어(1)의 양측단에 힌지(23)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암(2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롤러(22)는 레일(21)에 끼움설치되어 일정길이만큼 슬라이딩될 뿐만 아니라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플랩도어(1)의 이동 궤적에 따라 회전되기도 하는 힌지암(20)의 회전중심축이 된다.
즉, 롤러(21)가 플랩도어(1)와 연결된 힌지암(20)의 회전 중심축이 되어 필요에 따라 레일(21)내에서 슬라이딩되기도 하고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암(20)에는 플랩도어(1)가 상부로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힌지암(20)을 들어올려 주고, 플랩도어(1)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플랩도어(1)를 최대 개방위치에서 처지지 않고 유지되도록 도와주는 리프터(24)가 힌지암(20)의 중간단과 힌지(24a)를 매개로 연결되어 화물실(BR)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24b)에 결합된다.
힌지암(20)과 화물실(BR)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리프터(24)는 통상의 가스식 리프터나 유압식 리프터 중 어느 것이나 다 가능하고 내부에 압축 봉입된 유체가 들어있어서 플랩도어(1)와 연결된 힌지암(20)이 들어 올려질 때 설정된 크기만큼의 추력을 힌지암(20)에 제공하여 플랩도어(1)가 보다 용이하게 상승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랩도어(1)가 개폐될 때 화물실(BR)이 마련된 버스의 측면에서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지 않고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랩도어(1)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끝단에 롤러(26)가 설치된 도어가이드(25)가 마련된다.
물론, 상기 도어가이드(25)의 롤러(26)가 대응되는 위치의 화물실(BR) 일측 필라에는 상기 롤러(26)의 이동경로를 따라 가이드홈(2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27)에 도어가이드(25)의 롤러(26)가 끼움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도어가이드(25)는 플랩도어(1)가 차체 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지 않게 하는 기능 외에도 힌지암(20)과 연결된 힌지(23)를 중심으로 플랩도어(1)가 자유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 화물실(BR)에 적재된 화물을 꺼내기 위하여 플랩도어(1)를 앞으로 약간 잡아 당기면 힌지암(20)의 회전축인 롤러(22)가 레일(21)내에서 약간 회전되면서 플랩도어(1)에 일체로 형성된 도어가이드(25)의 롤러(26)가 가이드홈(27)을 따라 수평하게 약간 이동되다가 가이드홈(27)의 수직한 면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랩도어(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차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7)을 따라 플랩도어(1)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힌지암(20)과 연결된 힌지(23)를 매개로 차체 측면과 평행하게 슬라이딩되고, 이 플랩도어(1)가 측면 차체로부터 아주 작은 거리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힌지암(20)의 회전축인 롤러(22)는 레일(21)을 따라 화물실(BR) 안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플랩도어(1)의 이동궤적만큼 회전된다.
또한, 상기 플랩도어(1)를 들어올릴 때 필요한 힘은 플랩도어(1)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기 시작하는 초기에만 필요하고 그 이후에는 힌지암(20)에 연결된 리프터(24)에 의하여 스스로 플랩도어(1)가 개방된다.
한편, 플랩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도어(1)는 리프터(24)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플랩도어(1)는 차체 측면으로부터 아주 미소한 거리만큼만 돌출된 상태로 완전 개방된다. 이것은 종래 플랩도어 구조와 대비하여 볼 때 버스의 측면차체와 플랩도어(1)간에 감소된 이격거리만큼 힌지암(20)의 회전축이 레일(21)을 따라 화물실(BR) 안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에 의하면, 플랩도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암축이 화물실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플랩도어를 상방으로 개방하여도 버스의 측면 차체에서 크게 돌출되지 않아 좁은 장소에서 플랩도어의 사용이 용이해진 특유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버스 화물실(BR) 상부의 양단에 위치되며 화물실 입구를 향하여 수평되게 연장 설치된 두 개의 레일(21); 상기 레일(21)에 끼워져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끝단에는 롤러(22)가 마련되고 타측끝단은 버스의 플랩도어(1)와 힌지(23) 연결된 힌지암(20); 상기 힌지암(20)의 일측과 화물실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암(20)에 상방으로 향하는 추력을 제공하는 리프터(24); 상기 플랩도어(1)의 하단부 내표면에서 화물실 내측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고 끝단에 롤러(26)가 마련된 도어가이드(25); 상기 도어가이드(25)의 롤러(26)가 끼워지며 그 롤러(26)가 이동되는 궤적에 대응되게 화물실의 일측면 필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7); 으로 구성된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KR10-2001-0036327A 2001-06-25 2001-06-25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KR10039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27A KR100394951B1 (ko) 2001-06-25 2001-06-25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27A KR100394951B1 (ko) 2001-06-25 2001-06-25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13A true KR20030000513A (ko) 2003-01-06
KR100394951B1 KR100394951B1 (ko) 2003-08-19

Family

ID=2771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27A KR100394951B1 (ko) 2001-06-25 2001-06-25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9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74B1 (ko) * 2011-11-2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이송장치
KR20160059351A (ko) * 2014-11-18 201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랩도어를 위한 오픈 유지 부재
FR3141130A1 (fr) * 2022-10-25 2024-04-26 Alstom Holdings Véhicule à panneau mobile d’accès à une zone sous châssi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74B1 (ko) * 2011-11-2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화물 이송장치
KR20160059351A (ko) * 2014-11-18 201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랩도어를 위한 오픈 유지 부재
FR3141130A1 (fr) * 2022-10-25 2024-04-26 Alstom Holdings Véhicule à panneau mobile d’accès à une zone sous châssis
EP4360984A1 (fr) * 2022-10-25 2024-05-01 ALSTOM Holdings Véhicule à panneau mobile d'accès à une zone sous châs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4951B1 (ko)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5439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 sliding door
US115050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101430950B1 (ko)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KR100394951B1 (ko)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US4265183A (en) Upper closure for an end door of a rail car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KR0130128Y1 (ko) 버스용 접이문의 스토퍼구조
US3045746A (en) Method and means for mounting and operating hingedly interconnected panel elements for closing hatchways, railway cars and like open spaces
GB2573504A (en) A vehicle sliding door
CA1303096C (en) Glider doors
KR20020039862A (ko) 상용차량의 백도어 개폐장치
KR102665461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KR101008549B1 (ko)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KR200166213Y1 (ko) 2단 롤러를 갖는 버스용 도어
KR20100062162A (ko) 자동차용 도어의 체커장치
KR100328987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CN117585299A (zh) 一种防胀箱箱门自动开合用传动装置
JP2572927Y2 (ja) 全開可能な引戸式開閉戸
JP3558447B2 (ja) 二折型扉の開閉装置
KR20200144011A (ko)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구조
JP2012020874A (ja) エレベータの籠ドア装置
KR19980058611A (ko) 백도어
KR20060020276A (ko) 차량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WO2007125274A1 (en) Sliding plug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