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549B1 -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549B1
KR101008549B1 KR1020080103476A KR20080103476A KR101008549B1 KR 101008549 B1 KR101008549 B1 KR 101008549B1 KR 1020080103476 A KR1020080103476 A KR 1020080103476A KR 20080103476 A KR20080103476 A KR 20080103476A KR 101008549 B1 KR101008549 B1 KR 10100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horizontal
sliding rail
roll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368A (ko
Inventor
고진성
Original Assignee
고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성 filed Critical 고진성
Priority to KR102008010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5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60Industrial applications, e.g. pipe inspection vehicles
    • B60Y2200/66Containers; Pallets; Sk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과, 이 슬라이딩 레일 내부에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 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롤러와, 이 제1 및 제2 수평 롤러 사이에 기립 배열된 제1 수직 롤러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도어패널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L자형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핀결합된 회동 브라켓으로 이루어져서,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롤러들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회동하면서 구름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면 폭과 롤러 간의 유격이나 끌림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 시 개폐감이 항시 유지되는 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슬라이딩 도어패널, 슬라이딩 레일, 지지플레이트, 회동 브라켓, 롤러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Rotary typed Roller System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과, 이 슬라이딩 레일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회동 브라켓을 구비하여,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롤러들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회동하면서 구름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레일의 내측면 폭과 롤러 간의 유격이나 끌림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 시 개폐감이 항시 유지되도록 한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의 승강구에는 도어패널이 설치되는데, 이는 화물의 승하차 시 승강구를 개폐하고,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외부의 이물질, 즉 빗물이나 먼지 등이 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특장 차량의 경우 개구부가 넓어 화물을 상차 및 하차하기가 편리하고, 차량 측면의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서도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패널이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로어 롤러 구조는 제 1, 2 롤러가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통상의 슬라이딩 레일은 정밀도가 낮아 이 제 1, 2 롤러와 슬라이딩 레일 간의 틈새가 클 경우 이 틈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패널이 개폐 중 유동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도어패널과 차체 간에 간격 관리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반면에 제 1, 2 롤러와 슬라이딩 레일 간의 틈새가 너무 작으면 제 1, 2 롤러가 회전할 경우 구름면이 아닌 반대면에 의한 불필요한 끌림 유동에 기인한 마모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도어패널의 장기간 사용 시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는, 슬라이딩 레일의 롤러 접속구 사이에서 마모를 촉진하는 역할을 미끄럼 유동을 파생하게 되어 개폐감의 저하 및 소음의 발생을 가속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딩 레일의 롤러 접속구 측면의 마모를 더욱 촉진한다.
그 결과, 슬라이딩 레일의 접속구의 마찰력의 증가로 온도의 상승을 유발하여 열화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롤러나 슬라이딩 레일의 파손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 을 내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에 있어서,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과, 이 슬라이딩 레일 내부에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 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롤러와, 이 제1 및 제2 수평 롤러 사이에 기립 배열된 제1 수직 롤러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도어패널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L자형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핀결합된 회동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롤러를 수평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 중 한쪽 측면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고, 이 절곡부에는 제2 수직 롤러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핀결합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레일과 롤러 간의 끌림 유동 등을 방지하여 주행하는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감을 개선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이동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끌림 유동의 발생으로 인한 소음을 규제하고 또한 장기간 개폐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장비가 활용되는 사용처는 슬라이드 도어로서, 차체나 컨테이너 측부에 설치한 개구(11)에 대하여 상기 측부의 외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반자동 도어장비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는, 택배차량이나 구급차량과 같은 소형 탑차용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을 개폐하는 바,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철판을 이용하여 상하부개방형으로 프레싱 가공형성된 콘테이너 본체의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40)에 이 역시 철판으로 프레싱 가공형성되고 또 일면 양측에 제1 및 제2 수평롤러를 지지플레이트(30)를 매개로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을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은 도어의 전면 양측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축부재나 도 1의 손잡이를 통해 개폐 가능케 연결구성된다.
도 1의 하부는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10)의 상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40)에 롤러들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상하부에 고정결합된 지지플레이트(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브라켓(100)에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평면 구조도로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의 주요구성요소에 대한 확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동 브라켓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포크 형상의 회동 브라켓(100)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탑차용 슬라이드 도어에 채용되는,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는,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20)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40)과, 이 슬라이딩 레일(40) 내부에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와, 이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 사이에 기립 배열된 제1 수직롤러(R3)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도어패널(20)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L자형 지지플레이트(30)에 지지되도록 핀결합된 회동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를 수평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101, 103) 중 한쪽 측면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105)와 이 돌출부(105)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07)를 구비 하고, 이 절곡부(107)에는 제2 수직롤러(R4)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4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20)의 폐쇄 작동 시에는 도어 장착부와 밀착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고, 또 도어패널의 초기 개방 작동 시에는 보다 스무스한 도어패널(20)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하게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1)와, 상기 경사부(41)에 의해 상기 롤러들이 경사방향으로 가이드된 후, 도어 패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수평부(4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됨에 있어, 이 수평부(45)와 경사부(41) 사이의 용이한 상기 롤러들의 구름이동이 구현되도록 상기 수평부(45)와 경사부(4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곡형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차체에 개방된 도어 장착부(10)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레일(40)은 양 측면이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절곡되어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한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 제1 및 제2 수직롤러(R3, R4)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상기 롤러들의 구름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한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상하부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회동 브라켓(100)이 장착되고, 이 회동 브라켓(100)은 단부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101, 103)에 직교하여 고정되는 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의 접속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구름 이동하여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을 원활하게 개폐 작동시키는 축지지 베어링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1 수직롤러(R3)는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단부 양측 사이에 하방향 절곡된 주면(102)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핀을 매개로,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의 슬라이딩 운동을 조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롤러(R4)는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단부 양측 중 한쪽으로, 주로 상기 도어 패널(20)의 개방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돌출된 돌출부(105)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07)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핀을 매개로, 상기 회동 브라켓(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한 제1 수직롤러(R3)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의 슬라이딩 운동을 조력하는 바, 특히 상기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이 개폐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롤러(R3, R4)와 제2 수평롤러(R2)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이동할 경우, 상기 제2 수평롤러(R2)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의 내측면 한 측에 밀착되고, 내측면 타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롤러(R3, R4)가 밀착된 상태로 구름 이동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들 사이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40)의 접속부 내면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슬 라이드 도어패널(20)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레일(40) 상을 활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개방형으로서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이 갖는 직경이 작은 제1 및 제2 수평롤러(R1, R2)가 슬라이딩 레일(40)로부터 상시 이탈우려가 있던 고질적인 결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패널(20)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에 따르면,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롤러들이 슬라이딩 레일(40)을 따라 회동하면서 구름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레일(40)의 내측면 폭과 롤러 간의 유격이나 끌림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슬라이드 도어패널(20)의 개폐 시 개폐감이 항시 유지되는 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상부는 도어장착부와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장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그의 하부는 차체의 개방된 도어장착부의 상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에 롤러들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상하부에 고정결합된 지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브라켓에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평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의 주요구성요소에 대한 확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지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회동 브라켓에 롤러들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삼각투상도, 및
도 5는 도 1의 A부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장착부 11 : 개구
20 : 슬라이딩 도어패널 30 : 지지플레이트
40 : 슬라이딩 레일 100 : 회동 브라켓
101 : 제1 수평지지부 102 : 주면
103 : 제2 수평지지부 105 : 돌출부
107 : 절곡부 R1 : 제1 수평롤러
R2 : 제2 수평롤러 R3 : 제1 수직롤러
R4 : 제 2 수직롤러

Claims (3)

  1. 차체나 컨테이너에 개방된 도어패널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레일과, 이 슬라이딩 레일 내부에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패널의 개폐 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롤러와, 이 제1 및 제2 수평 롤러 사이에 기립 배열된 제1 수직 롤러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도어패널의 측면에 고정결합된 지지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핀결합된 회동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롤러를 수평지지하는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 중 한쪽 측면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하고, 이 절곡부에는 제2 수직 롤러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 장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패널의 폐쇄 작동 시에는 도어 장착부와 밀착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고, 또 도어패널의 초기 개방 작동 시에는 보다 스무스한 도어패널의 개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완만하게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롤러들이 경사방향으로 가이드된 후, 도어 패널부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수평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가이드됨에 있어, 이 수평부와 경사부 사이의 용이한 상기 롤러들의 구름이동이 구현되도록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곡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롤러 회동 장착 장치.
  3. 삭제
KR1020080103476A 2008-10-22 2008-10-22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KR10100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76A KR101008549B1 (ko) 2008-10-22 2008-10-22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476A KR101008549B1 (ko) 2008-10-22 2008-10-22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368A KR20100044368A (ko) 2010-04-30
KR101008549B1 true KR101008549B1 (ko) 2011-01-14

Family

ID=4221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476A KR101008549B1 (ko) 2008-10-22 2008-10-22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64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395A (ko) * 2002-10-11 2002-11-18 (주)대동정비 탑차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395A (ko) * 2002-10-11 2002-11-18 (주)대동정비 탑차의 슬라이드 도어 개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464A (ko)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를 위한 롤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368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33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扉開閉装置
JP4885252B2 (ja) 車両の扉
CN109017833B (zh) 铁路车辆
US115050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CN207360351U (zh) 一种铁路货车车厢及其顶盖开闭机构
JP3942346B2 (ja) 扉装置
KR101008549B1 (ko) 슬라이드 도어 롤러 회동장치
RU2395408C2 (ru) Люк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борудованное таким люком
CN114735041B (zh) 一种滑座机构、导引装置、敞口车厢及货运列车
CN209921016U (zh) 一种后掀背式滑门装置及具有其的厢式物流车
US8919860B2 (en) Slide door movement system without center rail
JP201001321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12249061B (zh) 车厢及具有其的车辆
JP2008038391A (ja) 引き戸装置
JP5014102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引き戸装置
CN206950666U (zh) 玩具卡车车厢门开合结构及玩具卡车
GB2572145A (en) A vehicle sliding door
JP7371304B2 (ja) 扉開閉装置
KR100394951B1 (ko)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구조
JP2007137142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
KR20110088110A (ko) 승하차시 머리 부딪힘이 방지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KR20180000978U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 장치
JP2014047066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1865961B1 (ko) 버스 도어용 브러시
JP4285922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