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102A - 선바이저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102A
KR20030000102A KR1020010035753A KR20010035753A KR20030000102A KR 20030000102 A KR20030000102 A KR 20030000102A KR 1020010035753 A KR1020010035753 A KR 1020010035753A KR 20010035753 A KR20010035753 A KR 20010035753A KR 20030000102 A KR20030000102 A KR 2003000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rm
sun visor
vehicle body
arm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9073B1 (ko
Inventor
강용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0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5Sun vi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바이저 본체와, 선바이저 본체로부터 돌출 절곡된 피봇아암을 갖는 선바이저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봇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수용부와, 아암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를 갖는 아암홀더와; 차체부에 형성되어 후크부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조립 작업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바이저 장착장치{SUNSHADE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바이저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선바이저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운전석 정면 상단 등에는 햇볕 등을 가려서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바이저가 장착된다.
이러한 선바이저를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바이저 장착장치는, 차체프레임(135)에 헤드라이너(141)를 장착한 후, 선바이저 본체(110)와 선바이저 본체(110)로부터 돌출 절곡된 피봇아암(113)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홀더(120)를 차체프레임(135)의 나사관통공(136)에 나사(122)를 체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경우,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차체프레임에 헤드라이너를 조립한 후, 선바이저가 결합된 아암홀더를 나사를 이용하여 차체프레임에 별도로 체결해야 하므로, 즉 헤드라이너에 아암홀더를 미리 장착(가조립)하여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가조립된 헤드라이너를 차체프레임에 한번에 조립하는것이 곤란하므로, 부품의 관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이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수도 많이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바이저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부분적으로 과장되게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바이저 본체와 피봇아암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아암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아암홀더와 회동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아암홀더의 후크부와 회동판의 고정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종래의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선바이저 본체 13 : 피봇아암
20 : 아암홀더 21 : 아암수용부
25 : 지지판 27 : 슬롯
29 : 후크부 30 : 회동판
33 : 고정핀 34 : 차체부
35 : 차체프레임 37 : 후크결합부
41 : 헤드라이너 45 : 고정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바이저 본체와, 상기 선바이저 본체로부터 돌출 절곡된 피봇아암을 갖는 선바이저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수용부와, 상기 아암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를 갖는 아암홀더와; 차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아암수용부는 상기 차체부에 접촉되는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아암수용부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아암수용부 둘레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홀더와 상대 회동하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후크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슬롯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후크부를 상기 차체부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복수의 고정핀을 마련함으로써, 아암홀더를 차체프레임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또한 고정핀에 의해 후크부가 차체부의 후크결합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아암홀더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부에 접촉하며 후크통과공을 가지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부분적으로 과장되게 결합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 장착장치는, 선바이저 본체(11)와, 선바이저 본체(11)로부터 돌출 절곡된 피봇아암(13)과, 피봇아암(13)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수용부(21)와 아암수용부(21)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29)를 갖는 아암홀더(20)와, 아암홀더(20)의 일측에 마련되어 아암홀더(20)와 상대 회동하는 회동판(30)과, 차체부(34)에 형성되어 후크부(29)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37)를 포함한다. 차체부(34)는, 차체프레임(35)과 후술할 아암수용부(21)의 지지판(25, 도 4참조)에 접촉되는 헤드라이너(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프레임(35)과 헤드라이너(41) 사이에는 후크통과공(47)을 가지는 고정판(4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선바이저 본체와 피봇아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선바이저 본체(11)의 일측에는 선바이저 본체(11)를 회동시키는 피봇아암(13)이 마련되어 있다. 피봇아암(13)은 그 일단부가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 절곡된 연장부(15)를 가진다. 연장부(15)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걸림홈(15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홈(15a)은 후술할 아암수용부 본체(23, 도 6참조)의 걸림돌기(23a)에 결합된다.
한편, 도 4는 도 1의 아암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홀더(20)는, 피봇아암(13)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수용부(21)와, 아암수용부(21)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29)를 포함한다.
아암수용부(21)는 피봇아암(13)을 수용결합하는 아암수용부 본체(23)와, 차체부(34)의 헤드라이너(41)에 접촉되는 원형의 지지판(25)을 가진다. 아암수용부 본체(23)는 원통의 측벽을 가지며, 일측 개구에는 반구형의 커버가 폐쇄되어 있으며, 타측 개구는 피봇아암(13)의 연장부(15)가 관통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아암수용부 본체(23)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피봇아암(13)의 걸림홈(15a)과 결합되는 걸림돌기(23a)가 마련되어 있다. 아암수용부 본체(23)의 걸림돌기(23a)가 피봇아암(13)의 걸림홈(15a)에 수용되도록 피봇아암(13)을 아암수용부 본체(23)에 억지끼워맞춰 결합한다. 이로써, 피봇아암(13)의 걸림홈(15a)은 아암수용부 본체(23)의 걸림돌기(23a)를 따라 회동하며 피봇아암(13)은 아암수용부(21)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지지판(25)에는 아암수용부 본체(23)에 결합되는 피봇아암(13)의 연장부(15)가 관통하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5)에는 아암수용부 본체(23)의 축선과 평행하게 판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아암수용부 본체(23) 둘레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후크부(29)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29)는, 지지판(25)의 일측 판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주벽(29a)과, 후술할 차체프레임(35)의 후크결합부(37)의 후크공(37a)에 결합되는 걸림턱(29c)을 가진다. 주벽(29a)은 아암수용부 본체(23)의 축선에 대해 내주면과 외주면이 각각 다른 반경을 가진다. 주벽(29a) 내주면의 각 모서리는 후술할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주벽(29a) 내주면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벽(29a)의 상부영역에는 주벽(29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돌출된 걸림단(29b)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단(29b)의 상부영역은 아암홀더(20)를 차체프레임(35)에 후크결합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주벽(29a)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하향경사면을 가진다. 그리고, 걸림단(29b)의 하부영역에는 지지판(25)의 판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주벽(29a)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상향경사진 걸림턱(29c)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29c)은 지지판(25)의 판면으로부터 헤드라이너(41)와 고정판(45)과 차체프레임(35)의 전체 두께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진다. 이로써, 후크결합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후크부(29) 걸림단(29b)의 하향경사면에 의해 아암홀더(20)를 차체프레임(35)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후크결합해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후크부(29) 걸림턱(29c)에 의해 차체프레임(35)으로부터 아암홀더(2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25)에는 후크부(29)의 반경방향 내측, 즉 아암수용부 본체(23)와 후크부(29)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장공형상의 슬롯(27)이 마련되어 있다. 슬롯(27)은 후크부(29)와 편위되어 있으며, 슬롯(27)에는 후술할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삽입되어 이동한다.
도 7은 도 1의 아암홀더와 회동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수용부(21)의 지지판(25)의 타측 판면에는 아암홀더(20)와 상대 회동하는 회동판(30)이 마련되어 있다. 회동판(30)은, 마름모꼴 형상의 평면을 가지며, 대략 중앙영역에는 피봇아암(13)의 연장부(15)가 관통하는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판(30)에는 관통부(31)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판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아암수용부(21)의 지지판(25)의 슬롯(27)내에서 이동하며 후크부(29)를 차체부(34)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복수의 고정핀(33)이 마련되어 있다. 각 고정핀(33)은 지지판(25)의 슬롯(27)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된다. 고정핀(33)의 내주면은 아암수용부 본체(23)의 외주면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고정핀(33)의 외주면은 후크부(29) 주벽(29a)의 내주면과 동일한 반경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핀(33)의 각 모서리는 전술한 후크부(29)의 주벽(29a) 내주면으로 고정핀(33)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모떼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판(30)은 가장자리를 따라 판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돌출된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최단 대각거리를 갖는 한쌍의 단부 내측에는 지지판(25)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판(25)의 외주면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회동판(30)의 고정핀(33)을 지지판(25)의 슬롯(27) 내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회동판(30)의 단부 내측에 아암홀더(20)의 지지판(2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회동판(30)과 아암홀더(20)는 조립된다.
여기서, 회동판(30)과 아암홀더(20)의 상대 회동에 따른 고정핀(33)과 후크부(29)의 동작관계를 도 9a 및 도 9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30)을 회동시키면, 즉 회동판(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이로써, 후크부(29)는 아암수용부 본체(23)를 향해 젖혀지게 않게 되며, 차체프레임(35)의 후크결합부(37)의 후크공(37a)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아암홀더(2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차체프레임(35)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차체부(34)의 차체프레임(35)에는 아암홀더(20)의 복수의 후크부(29)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37)가 마련되어 있으며, 후크결합부(37)에는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걸림턱(29a)이 걸리는 후크공(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아암홀더(20)와 차체프레임(35)은 후크결합됨과 동시에 아암홀더(20)가 차체프레임(35)의 판면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체프레임의 후크결합부에 후크공을 형성하지 않고, 차체프레임에 아암수용부 본체의 축선에 대해 후크부의 걸림단 가장자리와 주벽 외주면 사이의 반경을 갖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후크부의 걸림턱이 걸리도록 하여 아암홀더와 차체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라이너(41)에는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가 관통하는 후크관통부(43)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관통부(43)에는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가 통과하는 후크공(43a)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관통부(43)의 후크공(43a)은아암홀더(20)와 고정판(45)이 결합된 후에도 소정의 간격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사이즈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헤드라이너(41)와 고정판(45)을 동시에 차체프레임(35)의 후크결합부(37)에 조립할 때, 헤드라이너(41)와 차체프레임(35)의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후크관통부(43)의 후크공(43a)은 후크부(29)의 사이즈 보다 대략 2mm 내지 3mm 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판(45)에는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가 통과하는 후크통과공(47)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통과공(47)에는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가 통과하는 후크공(47a)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통과공(47)의 후크공(47a)은 후크부(29) 주벽(29a)의 외주면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후크부(29)의 주벽(29a)에 형상맞춤결합된다. 이로써, 헤드라이너(41)에 아암홀더(20)의 가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아암홀더(20)가 장착된 헤드라이너(41)를 차체프레임(35)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작업이 간단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암홀더(20)의 슬롯(27) 내에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삽입되도록 아암홀더(20)와 회동판(30)을 결합한다.
다음, 헤드라이너(41)의 후크관통부(43)에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를 관통 결합하고, 관통된 후크부(29)를 고정판(45)의 후크통과공(47)에 결합한다.
그리고, 선바이저 본체(11)가 조립된 피봇아암(13)의 연장부(15)를아암홀더(20)의 아암수용부(21)에 결합하여 선바이저 본체(11) 및 피봇아암(13), 아암홀더(20), 헤드라이너(41), 고정판(45)을 가조립한다.
이어서, 가조립된 선바이저 장착장치를 자동차 조립라인으로 옮겨,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걸림턱(29a)이 차체프레임(35)의 판면에 걸리도록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를 차체프레임(35)의 후크결합부(37)에 결합한다.
그리고, 회동판(30)의 고정핀(33)을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회동시켜,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가 차체프레임(35)의 후크결합부(37)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써, 아암홀더(20)가 차체프레임(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선바이저 장착장치는 조립이 완료된다.
반대로, 회동판(30)의 고정핀(33)이 아암홀더(20)의 후크부(29)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회동판(30)을 회동시켜, 아암홀더(20)가 장착된 헤드라이너(41)를 차체프레임(3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바이저가 결합되는 아암홀더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부를 마련하고, 이 후크부가 차체부의 후크결합부에 맞물리도록 하여, 선바이저 본체가 결합된 아암홀더와 헤드라이너를 미리 가조립한 후, 가조립된 아암홀더와 헤드라이너를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차체프레임에 후크결합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조립작업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작업자의 수를 줄임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후크부가 아암수용부의 지지판에 돌출 형성되어 차체부의 후크결합부에 맞물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후크부가아암수용부 본체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체부의 후크결합부에 맞물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바이저 장착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 작업을 단순화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바이저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선바이저 본체와, 상기 선바이저 본체로부터 돌출 절곡된 피봇아암을 갖는 선바이저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봇아암이 회동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아암수용부와, 상기 아암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를 갖는 아암홀더와;
    차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와 맞물리는 후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수용부는 상기 차체부에 접촉되는 지지판을 가지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아암수용부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아암수용부 둘레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홀더와 상대 회동하는 회동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후크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슬롯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후크부를 상기 차체부에 대해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복수의 고정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장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에 접촉하며 후크통과공을 가지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장착장치.
KR10-2001-0035753A 2001-06-22 2001-06-22 선바이저 장착장치 KR10041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53A KR100419073B1 (ko) 2001-06-22 2001-06-22 선바이저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753A KR100419073B1 (ko) 2001-06-22 2001-06-22 선바이저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102A true KR20030000102A (ko) 2003-01-06
KR100419073B1 KR100419073B1 (ko) 2004-02-19

Family

ID=277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753A KR100419073B1 (ko) 2001-06-22 2001-06-22 선바이저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6B1 (ko) * 2006-08-17 2007-02-12 김재경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493U (ko) * 1997-11-29 1999-06-25 정몽규 차량용 선바이저 피벗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6B1 (ko) * 2006-08-17 2007-02-12 김재경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9073B1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073B1 (ko) 선바이저 장착장치
JP4941816B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US7147334B2 (en) Vehicle mirr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80123239A (ko) 선바이저
JP3690133B2 (ja) 自動車用ランプの取付構造
US9248720B2 (en) Utility part assembly for mounting utility part to vehicular interior part
KR200424038Y1 (ko) 차량용 커버링 셀프패널 조립체
JP2006306295A (ja) サンシェード固定具
US20190248291A1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KR101745197B1 (ko) 차량용 선바이저 피봇 마운팅 기구
KR100570400B1 (ko) 선바이저 어셈블리 체결 구조
KR100759040B1 (ko) 스티어링 휠 운전석 에어백용 로어커버와 운전석 에어백모듈 고정용 볼트홀더 장착구조
CN215097288U (zh) 车辆外后视镜用连接结构及车辆外后视镜
JP3384129B2 (ja) ドアミ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EP4074547B1 (en) Fastening arrangement, rearview device and vehicle
JP3039751B2 (ja) 空気調和機
JP3990597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0124041Y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져의 리테이너 구조
KR200323872Y1 (ko) 자동차 도어용 스위치 조립유니트
JPH0245080Y2 (ko)
JP4375897B2 (ja) 車両用灯具におけるエーミング操作部の保護構造
KR100941606B1 (ko) 차량용 내장부품 고정장치
JP2022123190A (ja) 電子錠取付構造
KR970003665Y1 (ko) 자동차용 휠가드 장착구조
JP2001105860A (ja) サンバイザ用サポート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