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239A -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239A
KR20180123239A KR1020170057181A KR20170057181A KR20180123239A KR 20180123239 A KR20180123239 A KR 20180123239A KR 1020170057181 A KR1020170057181 A KR 1020170057181A KR 20170057181 A KR20170057181 A KR 20170057181A KR 20180123239 A KR20180123239 A KR 2018012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etachable housing
elastic clip
car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750B1 (ko
Inventor
신한
김지아
김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5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선바이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는,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며, 차량의 천장부에 결합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탈착 하우징; 상기 탈착 하우징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하는 탄성클립;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탈착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클립에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카드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바이저{SUNVISOR OF VEHICLES}
본 발명은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클립과 탄성클립을 고정하기 위해 카드클립을 포함함으로써, 외관 파팅을 최소화하면서 원터치로 탈착 가능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바이저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앞에 부착되어 차실내로 유입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눈부심을 방지해 주는 것으로, 루프 프론트 코너부에 피봇구조로써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윈드쉴드그랠스쪽과 윈도우글래스쪽 양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면서 적절히 유입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량용 선바이저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 본체(10)의 상부에 매설된 암(11)의 일측을 노출시켜 피봇부(12)를 형성하고, 상기 피봇부(12)를 커버(13)의 중앙 회전할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커버(13)는 헤드라이닝(16)을 경유하여 루프 인너 레일(17)에 고정하며, 한편 상기 선바이저 본체(10)의 피봇부(12) 반대편에는 선바이저 본체(10)를 절취하여 지지부(14)를 형성하여 헤드라이닝(16)에 설치한 리테이너(15)에 지지토록 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선바이저는 커버(13)를 루프 인너 레일(17)에 결합하면 커버의 면적이 크므로 외관이 아름답지 못하고, 또한 커버본체(20)를 결합하기 위하여 2개의 너트(29a)(29b)를 용접함과 아울러 2개의 스크류(30a)(30b)가 소요되고 또한 2개의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소요되어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c와 같이 스프링클립(14)과 스프링클립(14)를 고정하기 위한 쐐기부재(16)를 별물로 제작하였으나, 쐐기부재를 샤프트브래킷(10)에 고정 시 외관 파팅(parting)이 발생하고, 쐐기부재를 제거 후에도 별도 공구를 사용하여 스프링클립을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15-101194호(2015.06.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클립과 탄성클립을 고정하기 위해 카드클립을 포함함으로써 외관 파팅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원터치로 선바이저를 탈착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는,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며, 차량의 천장부에 결합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탈착 하우징; 상기 탈착 하우징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하는 탄성클립;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탈착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클립에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카드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탈착 하우징은, 탄성클립이 결합하는 결합홈; 상기 카드클립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거리부; 및 상기 탄성클립의 후단부의 하부가 걸림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부의 결합판넬과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은, 하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카드클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카드본체;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카드본체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에 결합시,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탈착 하우징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 부터 분리시,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탈착 하우징의 이동거리부를 미리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 부터 분리시,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개구부측으로 갈수록 측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탄성클립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결합판넬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를 통해 카드클립을 삽입함으로써 외관 파팅의 노출을 최소화하며, 카드클립만을 이동시켜 탈착 하우징을 마운팅부로부터 원터치로 탈착할 수 있어, 탈착을 위한 별도의 공수가 발생하지 않고 탈착을 위한 추가적인 부품을 구성하지 않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선바이저의 장착 상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바이저의 분해사시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바이저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클립과 탄성클립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탈거를 위한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클립의 행정 거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클립과 탄성클립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는, 탈착 하우징(110), 탄성클립(120), 카드클립(130), 지지관(140), 암(150), 피봇부(160)를 포함한다.
탈착 하우징(110)은 탄성클립(120)과 카드클립(130)이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고 차량의 천장부에 결합하는 마운팅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탈착 하우징(110)의 중앙부에는 암(150)이 결합하는 지지관(140)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탈착 하우징(110)은 측면부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탈착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개구부(117)가 형성되어 카드클립(13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탈착 하우징(110)은 외형을 형성하며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11), 카드클립(130)의 연장부(131)가 안착되는 안착부(113), 탄성클립(120)이 결합하는 결합홈(116), 카드클립(130)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거리부(119), 탄성클립(120)의 후단부의 하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부(115)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홈(113)은 안착부(113)와 안착부(113)와 단차를 두고 형성된 결합판(118)에 의해 형성되어, 탄성클립(120)의 제2 결합부(123)가 결합하는 것이다.
탄성클립(120)은 탈착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도 4a와 같이 제1 결합부(125)를 통해 마운팅부(200)의 결합판넬(210)에 결합하며, 카드클립(130)의 이동에 따라 결합판넬(210)과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성클립(120)은 횡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점점 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탄성클립(120)은 상부(121)와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양 측부(127), 측부(127)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마운팅부(200)의 결합판넬(210)과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제1 결합부(125), 하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홈(116)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카드클립(130)은 탈착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클립(120)에 탄성변형을 일으켜 탄성클립(120)의 제1 결합부(125)를 마운팅부(200)의 결합판넬(2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카드클립(130)은, 카드클립(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131), 연장부(131)의 후단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카드본체(137), 연장부(131)와 카드본체(137) 사이에 형성된 슬릿(133) 및 탈착 하우징(110)을 마운팅부(200)에 결합시, 개구부(117)를 관통하여 탈착 하우징(110)의 걸림부(115)가 안착되는 걸림홈(139)을 포함한다.
슬릿(133)은 카드본체(137)와 연장부(131)의 사이에 두 개로 형성된 것으로, 탈착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지 않고, 카드클립(130)의 후단부로 갈수록 슬릿(133)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 지도록 형성된다.
카드클립(130)이 개구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후, 미리 설정된 거리 'c'만큼 이동될 경우, 슬릿(133)을 통해 탄성클립(120)의 양 측부(127)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탄성클립(120)은 탄성변형된다.
도 2a의 상태는 선바이저의 탄성클립(120)이 마운팅부(200)의 결합판넬(210)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의 상태는 카드클립(130)이 개구부(117)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c' 만큼 이동되어 탄성클립(120)이 결합판넬(2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a는 도 2a의 상태에 대응되며, 단순히 탄성클립(120)의 하부에 카드클립(1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b는 도 2c의 상태에 대응되며, 카드클립(130)이 미리 설정된 거리 'c'만큼 이동되어 탄성클립(120)이 탄성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탈거를 위한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클립의 행정 거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탈착 하우징(110)이 탄성클립(120)에 의해 마운팅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 경우 카드클립(130)은 개구부(117)을 관통하여 탄성클립(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 때, 연장부(131)의 전단은 이동거리부(119)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탄성클립(120)의 측부(127)는 슬릿(133)에 결합되지 않아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공구에 의해 개구부(117)를 통해 카드클립(130)이 밀려 지게 되면, 연장부(131)는 이동거리부(119)를 도 4c와 같이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 측부(127)의 일부는 슬릿(133)에 결합되어 개구부(117)쪽으로 측부(127)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에,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탄성클립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결합판넬과 분리되어, 탈착 하우징(110)은 마운팅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를 통해 카드클립을 삽입함으로써 외관 파팅의 노출을 최소화하며, 카드클립만을 이동시켜 탈착 하우징을 마운팅부로부터 원터치로 탈착할 수 있어, 탈착을 위한 별도의 공수가 발생하지 않고 탈착을 위한 추가적인 부품을 구성하지 않아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 탈착 하우징
120: 탄성클립
130: 카드클립
140: 지지관
150: 암
160: 피봇부
200: 마운팅부

Claims (10)

  1. 내부에 슬롯이 형성되며, 차량의 천장부에 결합하는 마운팅부를 포함하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탈착 하우징;
    상기 탈착 하우징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하는 탄성클립;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탈착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클립에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부터 분리시키는 카드클립;을 포함하는 선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하우징은,
    탄성클립이 결합하는 결합홈;
    상기 카드클립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거리부; 및
    상기 탄성클립의 후단부의 하부가 걸림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운팅부의 결합판넬과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은, 하단부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카드클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카드본체;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카드본체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에 결합시,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탈착 하우징의 걸림부가 안착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 부터 분리시, 상기 카드클립은 상기 탈착 하우징의 이동거리부를 미리 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하우징을 상기 마운팅부로 부터 분리시,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개구부측으로 갈수록 측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의 측부의 일부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탄성클립의 제1 결합부는 상기 마운팅부의 결합판넬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KR1020170057181A 2017-05-08 2017-05-08 선바이저 KR10234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81A KR102347750B1 (ko) 2017-05-08 2017-05-08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181A KR102347750B1 (ko) 2017-05-08 2017-05-08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239A true KR20180123239A (ko) 2018-11-16
KR102347750B1 KR102347750B1 (ko) 2022-01-06

Family

ID=6456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181A KR102347750B1 (ko) 2017-05-08 2017-05-08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719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마바산업 틸팅 구조의 차량 선바이저
KR20230129718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마바산업 차량 선바이저
KR102447960B1 (ko) 2022-03-31 2022-09-28 광성기업 주식회사 연락처 일체형 선바이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46A (ja) * 1993-08-09 1995-02-28 Gebr Happich Gmbh 車両サンバイザのための旋回支承ブロック
US20110169295A1 (en) * 2010-01-08 2011-07-14 David Huelke Adjustable mounting system for vehicular body components
CN202782595U (zh) * 2012-09-13 2013-03-13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遮阳板安装装置
JP2015101194A (ja) 2013-11-25 2015-06-04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ーの取付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646A (ja) * 1993-08-09 1995-02-28 Gebr Happich Gmbh 車両サンバイザのための旋回支承ブロック
US20110169295A1 (en) * 2010-01-08 2011-07-14 David Huelke Adjustable mounting system for vehicular body components
CN202782595U (zh) * 2012-09-13 2013-03-13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遮阳板安装装置
JP2015101194A (ja) 2013-11-25 2015-06-04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ーの取付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750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2093B1 (en) Automotive sun visor device
EP2145789B1 (en) Vehicle-mountable sun visor
KR20180123239A (ko) 선바이저
WO2014132569A1 (ja) 支持ユニット
JP4797512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9255669A (ja) 車両用ドア
CN107531137B (zh) 机动车辆上的窗玻璃的导向装置
KR100394949B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KR100397120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리테이너
JP6896571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5647928B2 (ja) テールライト取付構造
JP2018177227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固定構造
JP2018021370A (ja) 自動車ドアガラス用ホルダ
JPH08310299A (ja) 車両用マップランプ配設部構造
US20200254854A1 (en) Mirror unit
JP6674659B2 (ja) ミ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3633846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の保持具
KR100928282B1 (ko) 자동차용 모듈 클립
JP2023034152A (ja) 車載装置
CN110733413A (zh) 后阅读灯总成和汽车
JP2006035894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KR20050042325A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 고정용 브라케트
KR0127086Y1 (ko) 차량용 차양판
KR100891932B1 (ko) 자동차용 마운팅 클립 어셈블리
KR19980020250U (ko) 자동차용 보조 선바이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