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4307Y1 -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4307Y1
KR200294307Y1 KR2020020023326U KR20020023326U KR200294307Y1 KR 200294307 Y1 KR200294307 Y1 KR 200294307Y1 KR 2020020023326 U KR2020020023326 U KR 2020020023326U KR 20020023326 U KR20020023326 U KR 20020023326U KR 200294307 Y1 KR200294307 Y1 KR 200294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ansfer
alignment
welding
bu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윤
신인승
Original Assignee
대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3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4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4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4307Y1/ko

Links

Landscapes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맞대기 정렬방식의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 두께가 서로 다른 동종 및 이종재질의 판재를 정렬할 때 두 판재 사이의 간격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판재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정확히 용접라인에 정렬하도록 하는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접 테이블(100) 상부의 용접라인(101)에 두개의 용접용 판재(S)가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되도록 용접라인(10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판재(S)를 전진 및 좌우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120)와, 상기 판재 이송부(120)에 의하여 판재(S)의 전진 이송량을 제한하는 맞대기 정렬부(140)와 좌우 이송량을 제한하는 측면 정렬부(160)가 각각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판재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 이송부(120)는 판재(S)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이송 프레임(123)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실린더(124)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121)이 용접 테이블(100)의 측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123)의 일단에 고정된 좌우 이송 실린더(126)에 의하여 판재(S)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샤프트(125)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25)의 중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전후 이송 실린더(128)가 구비된 2개의 이송 헤드(127)가 설치되고, 상기 전후 이송 실린더(129)에 연결되어 판재(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됨과 동시에 이송 프레임(123)의 하강시 판재(S)를 흡착하는 진공 패드(128)가 설치되며,
상기 맞대기 정렬부(140)는 용접 테이블(100) 하부의 지지 프레임(146)에 고정된 승하강 실린더(142)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맞대기 정렬 핀(141)이 일렬로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을 잇는 접선 중 하나가 용접 라인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정렬부(160)는 승하강 실린더(162)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1개의 원통형 측면 정렬 핀(161)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142)는 서보 모터(164)에 의하여 판재(S)의 폭에 상응하는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루(163)에 연결되어 엘엠 가이드(165)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CENTERING APPARATUS OF PLATES FOR LASER WELDING}
본 발명은 맞대기 정렬방식의 레이저 용접을 수행하기 위해 두께가 서로 다른 동종 및 이종재질의 판재를 정렬할 때 두 판재사이의 간격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판재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정확히 용접라인에 정렬하도록 하는 판재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러드 블랭크 레이저 용접은 두께가 다른 두 판재 사이에 간격이나 단차가 없어야 하기 때문에 판재를 정확히 정렬시킨 후 용접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종래의 판재 정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고정구상에 고정된 좌우정렬스토퍼(11)와, 공압실린더(13)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중앙정렬스토퍼(12)와, 공압실린더(14)와 푸셔(15)로 구성되어 용접용 판재(S)를 측면 방향으로 미는 측방푸쉬장치(16)와 공압실린더(17)와 푸셔(18)로 구성되어 용접용 판재(S)를 전방으로 미는 전방푸쉬장치(19)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용접용 판재(S)가 스토퍼(11, 12)에 접촉된 후에도 푸셔(15, 18)가 계속 밀게 되므로 용접용 판재(S)가 손상되며, 좌우정렬스토퍼(11)가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용접용 판재(S)의 크기가 다를 경우 용접고정구의 중앙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맞대기 레이저용접용 판재 정렬장치(1997년 특허출원 제78409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고정구상에서 용접용 판재(S)의 좌우위치를 결정하는 좌우정렬스토퍼(21)와, 용접용 판재(S)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판재(S)를 상기 좌우정렬스토퍼(21) 쪽으로 미는 측방푸쉬장치(22)와, 하부고정구에 장착된 볼부쉬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접용 판재(S)의 전후방향으로의 중앙정렬시에만 상승하여 용접용 판재(S)의 전후위치를 결정하는 중앙정렬스토퍼(23)와, 용접용 판재(S)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판재를 상기 중앙정렬스토퍼(23)로 미는 전후방푸쉬장치(24)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측방 및 전후방푸쉬장치(22, 2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용 판재(S)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전자석(25)과, 상기 전자석(25)을 고정시키는브래킷(26)과, 상기 브래킷(26)을 로드(27)의 단부에 설치한 공압실린더(28)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또 다른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측방 및 전후방푸쉬장치(22, 24)의 전자석(25)이 용접용 판재(S)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공압실린더(28)에 의하여 용접용 판재(S)가 좌우 및 중앙정렬스토퍼(21, 23)에 닿은 후 전자석(25)이 용접용 판재(S)의 하부면에서 미끄러지는 과정에서 용접용 판재(S) 하부면 표면에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스크래치가 발생된다.
특히, 전자석(25)이 미끄러지면서 용접용 판재(S)가 좌우 및 중앙정렬스토퍼(21, 23)에 가하는 충격의 일부는 완화되지만, 용접용 판재(S)의 자중에 의한 충격력이 매우 크므로 반복적인 작업에 의하여 중앙정렬스토퍼(21, 23)의 변형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둘째, 좌우 정렬을 위한 최소 2개의 측방푸쉬장치(22)와 중앙 정렬을 위한 최소 2개의 전후방푸쉬장치(24)가 용접용 판재(S)의 하부에 판재(S)의 중량을 분산시키도록 배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되는 부품 수의 증가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좌우 정렬과 중앙 정렬이 각각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정렬 시간이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셋째, 후판 및 박판에 대한 정렬이 완료된 후 실시되는 레이저 용접 작업 중 용접부를 투과하는 레이저에 의하여 중앙정렬스토퍼(23) 상단의 변형이 발생되는경우 결과적으로 용접용 판재(S)가 중앙정렬되는 위치가 변동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직사각형이 아닌 판재(S)에 대한 측면 정렬을 위하여 판재(S)를 측방으로 밀게 되면 판재(S)의 비스듬한 면이 좌우정렬스토퍼(21)중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어 후속 작업인 중앙 정렬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판재의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을 위하여 종래와 유사한 스토퍼 역할을 하는 맞대기 정렬 핀과 측면 정렬 핀을 사용하되 판재를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하강시 판재를 진공 패드로 흡착한 상태에서 전후 및 좌우로 판재를 이송시킴으로서 판재를 정렬시키며, 상기 진공 패드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맞대기 정렬시 판재에 의하여 맞대기 정렬 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한편, 측면 정렬시 진공 패드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받으면서 측면 정렬 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또한 정렬작업이 완료된 후 레이저 용접 중 방사되는 레이저에 의하여 맞대기 정렬 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맞대기 정렬 핀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b는 도 2a의 측방 및 전방푸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평면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부분 상세도.
도 6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정렬부의 정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정렬부에 보호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정렬부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 판재 100 : 용접 테이블
101 : 용접 라인 120 : 판재 이송부
121 : 수직 프레임 123 : 이송 프레임
124, 142, 162 : 승하강 실린더 125 : 샤프트
126 : 좌우 이송 실린더 127 : 이송 헤드
128 : 진공 패드 129 : 전후 이송 실린더
130 : 스토퍼 131 : 스프링
140 : 맞대기 정렬부 141 : 맞대기 정렬 핀
144 : 보호 커버 145 : 커버 구동 실린더
160 : 측면 정렬부 161 : 측면 정렬 핀
163 : 볼 스크루 164 : 서보 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는,용접 테이블 상부의 용접라인에 두개의 용접용 판재가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되도록 용접라인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판재를 전진 및 좌우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하여 판재의 전진 이송량을 제한하는 맞대기 정렬부와 좌우 이송량을 제한하는 측면 정렬부가 각각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판재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 이송부는 판재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이송 프레임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실린더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이 용접 테이블의 측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된 좌우 이송 실린더에 의하여 판재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중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전후 이송 실린더가 구비된 2개의 이송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전후 이송 실린더에 연결되어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됨과 동시에 이송 프레임의 하강시 판재를 흡착하는 진공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맞대기 정렬부는 용접 테이블 하부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승하강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맞대기 정렬 핀이 일렬로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을 잇는 접선 중 하나가 용접 라인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정렬부는 승하강 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1개의 원통형 측면 정렬 핀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판재의 폭에 상응하는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루에 연결되어 엘엠 가이드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송 헤드는 이송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엘엠 가이드에 의하여 전후진이 유도되며, 각각의 이송 헤드 양측의 샤프트상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측면 정렬 핀 방향의 이송 헤드 일측의 샤프트 외주면으로 스프링이 삽입되어 진공 패드에 흡착된 판재가 측면 정렬 핀을 미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신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커버 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판재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되면서 맞대기 정렬 핀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평면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부분 상세도이고, 도 6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정렬부의 정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정렬부에 보호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정렬부의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라인(10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판재(S)를 전진 및 좌우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120)와, 상기 판재 이송부(120)에 의하여 판재(S)의 전진 이송량을 제한하는 맞대기 정렬부(140)와, 판재(S)의 좌우 이송량을 제한하는 측면 정렬부(16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일반적인 레이저 용접시스템의 구성요소이나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도 4의 용접라인(101)이 표시된 지면 밖으로 레이저 용접기(미도시)가 설치되며,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이 완료된 판재(S)의 레이저 용접을 위하여 각각의 판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부(1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판재(S) 외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프레임(121)이 설치되고, 이 수직 프레임(121)과는 연결 암(122)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되 판재(S)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123)은 수직 프레임(121)의 상단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124)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되는데, 이러한 승하강은 엘엠가이드(미도시)에 의하여 유도된다.
상기 이송 프레임(123)의 일단에는 판재(S)의 폭 방향으로 길게 샤프트(125)가 연결된 좌우 이송 실린더(126)가 고정 설치되고, 샤프트(125)의 중간에는 판재(S)의 좌우 무게중심을 이루도록 2개의 이송 헤드(127)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 헤드(127)에는 판재(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송 실린더(129)가 설치되며, 전후 이송 실린더(129) 로드에는 판재(S)의 상부면을 향하는 진공 패드(128)가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진공 패드(128)는 승하강 실린더(124)에 의하여 이송 프레임(123)의 하강시 판재(S)의 상부면을 흡착한 상태에서 전후 이송 실린더(129)에 의하여 판재(S)를 전진시켜 맞대기 정렬시킴과 동시에 좌우 이송 실린더(129)에 의하여 판재 (S)를 측방으로 이송시켜 측면 정렬을 시키게 된다.
상기 진공 패드(128)는 러버(rubber)와 같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되어 판재(S)의 정렬시 판재(S)가 맞대기 정렬 핀(141)에 가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또한 판재(S)의 측면 정렬시 측면 정렬 핀(16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헤드(127)는 이송 프레임(123)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엘엠 가이드(132)에 의하여 전후진이 유도되며, 각각의 이송 헤드(127) 양측의 샤프트(125)상에 스토퍼(130)가 설치되고, 측면 정렬 핀(161) 방향의 이송 헤드(127) 일측의 샤프트(125) 외주면으로 스프링(131)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패드(128)에 흡착된 판재(S)가 측면 정렬 핀(161)에 접촉되어 측면 정렬 핀(161)을 미는 과정에서 스프링(131)은 압축되고, 그에 따라 측면 정렬 핀(161)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30)는 스프링(131)을 의 압축공간을 제한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맞대기 정렬부(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테이블(100) 하부의 지지 프레임(146)에 설치된 승하강 실린더(142)에 의하여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맞대기 정렬 핀(141)이 일렬로 설치되는데, 이때 각각의 맞대기 정렬 핀(141)의 외주면을 잇는 접선 중 하나가 용접 라인(101)에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맞대기 정렬되는 판재(S)의 전단면이 용접 라인(101)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맞대기 정렬 핀(141)의 개수는 판재(S)의 폭과, 중량을 고려하여 설치되는데 도면에 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경 12φ가 되는 5개의 열처리강을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맞대기 정렬 핀(141)은 레이저 용접중 맞대기 정렬된 판재(S) 하부에 위치하므로 방사되는 레이저가 판재(S) 사이로 투과되어 발생되는 맞대기 정렬 핀(141) 상단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46)에 고정 설치된 커버 구동 실린더(145)에 의하여 판재(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되어 레이저 용접 작업 중에는 맞대기 정렬 핀(141) 상부를 폐쇄하고, 레이저 용접 작업이 완료되면 맞대기 정렬 핀(141) 상부를 개방하는 보호 커버(144)가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정렬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S)의 측면 정렬을 위하여 승하강 실린더(162)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1개의 원통형 측면 정렬 핀(161)이 설치되고, 공급되는 판재(S)의 폭 변화에 상응하여 판재(S)의 일측면에 측면 정렬 핀(161)이 위치하도록 상기 승하강 실린더(142)가 서보 모터(16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루(163)에 연결되어 엘엠 가이드(165)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측면 정렬 핀(161)의 공급되는 판재(S)의 종류에 따른 폭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서보 모터(164)에 의하여 좌우로 이송됨으로써 판재(S)에 크기에 관계없이 측면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판재(S)가 진공 패드(128)에 흡착된 상태에서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이 한꺼번에 이루어지므로 비스듬한 측면을 갖는 판재(S)에 대한 측면 정렬시에도 판재(S)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1개의 측면 정렬 핀(161)만으로도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비스듬한 측면을 갖는 판재(S)의 측면 정렬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미설명된 102는 케이블 베이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판재의 정렬작업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판과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재(S) 중 후판에 대하여 정렬작업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는데, 외부의 판재 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용접 테이블(100)로 후판으로 된 판재(S)가 공급되면 각각의 승하강 실린더(142, 162)에 의하여 맞대기 정렬 핀(141)과 측면 정렬 핀(161)이 상승하게 된다.
그 후, 승하강 실린더(124)에 의하여 이송 프레임(123)이 하강하여 2개의 진공 패드(128)가 판재(S)의 상부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정지된 후, 진공 펌프(미도시)에 의하여 판재(S)를 흡착시키게 된다.
진공 패드(128)에 흡착된 판재(S)는 전후 이송 실린더(129)에 의하여 맞대기 정렬 핀(141)까지 이동되어 맞대기 정렬된 후, 좌우 이송 실린더(126)에 의하여 측면 정렬 핀(161)까지 이동되어 측면 정렬됨으로써 판재(S) 중 하나의 정렬이 완료된 후, 판재(S)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클램프(미도시)가 하강하여 판재(S)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 패드(128)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맞대기 정렬시 충격력을 완화시키고, 이송 헤드(127) 사이의 샤프트(125) 외주면에 삽입된 스프링(131)이 측면 정렬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박판으로 된 판재(S)의 정렬이 완료된 후, 각각의 승하강 실린더(142, 162)에 의하여 맞대기 정렬 핀(141)과 측면 정렬 핀(161)이 하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용접 라인(101)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용접 테이블(100)로 박판으로 된 판재(S)가 공급되면 반대편에 설치된 측면 정렬 핀(161)이 승하강 실린더(162)에 의하여 상승된다.
그 후, 승하강 실린더(124)에 의하여 이송 프레임(123)이 하강하여 2개의 진공 패드(128)가 판재(S)의 상부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정지된 후, 진공 펌프(미도시)에 의하여 판재(S)를 흡착시키게 된다.
진공 패드(128)에 흡착된 판재(S)는 전후 이송 실린더(129)에 의하여 후판으로 된 판재(S)의 단면까지 이동되어 맞대기 정렬된 후, 좌우 이송 실린더(126)에 의하여 측면 정렬 핀(161)까지 이동되어 측면 정렬됨으로써 판재(S) 중 박판에 대한 정렬이 완료된 후, 판재(S)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클램프(미도시)가 하강하여 판재(S)를 고정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구동 실린더(145)에 의하여 보호 커버(144)가 맞대기 정렬 핀(141) 상부를 덮은 다음, 클램프(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된 판재(S)에 대한 레이저 용접이 실시한 후, 클램프(미도시)가 상승하고 용접된 판재(S)가 배출하게 됨으로써 판재(S)의 레이저 용접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를 사용하면, 판재를 진공 패드로 흡착한 상태에서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을 한꺼번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판재를 신속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진공 패드 자체의 재질이 신축성이 있으므로 공급되는 판재의 전면이 용접 라인에 평행한 위치에서 약간 벗어나더라도 맞대기 정렬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정렬시 판재 및 맞대기 및 측면 정렬 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측면이 비스듬하게 형성된 비직사각형 판재의 경우에도 측면 정렬시 맞대기 정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판재에 대한 용접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 헤드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측면 정렬시 판재 및 측면 정렬 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 커버를 설치하여 레이저의 용접중 용접면 사이로 투과되는 레이저로부터 맞대기 정렬 핀을 보호함으로써 설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용접 테이블(100) 상부의 용접라인(101)에 두개의 용접용 판재(S)가 맞대기 정렬 및 측면 정렬되도록 용접라인(10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판재(S)를 전진 및 좌우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120)와, 상기 판재 이송부(120)에 의하여 판재(S)의 전진 이송량을 제한하는 맞대기 정렬부(140)와 좌우 이송량을 제한하는 측면 정렬부(160)가 각각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는 판재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 이송부(120)는 판재(S)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이송 프레임(123)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실린더(124)가 장착된 수직 프레임(121)이 용접 테이블(100)의 측부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123)의 일단에 고정된 좌우 이송 실린더(126)에 의하여 판재(S)의 폭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샤프트(125)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25)의 중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전후 이송 실린더(128)가 구비된 2개의 이송 헤드(127)가 설치되고, 상기 전후 이송 실린더(129)에 연결되어 판재(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됨과 동시에 이송 프레임(123)의 하강시 판재(S)를 흡착하는 진공 패드(128)가 설치되며,
    상기 맞대기 정렬부(140)는 용접 테이블(100) 하부의 지지 프레임(146)에 고정된 승하강 실린더(142)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맞대기 정렬 핀(141)이 일렬로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을 잇는 접선 중 하나가 용접 라인에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면 정렬부(160)는 승하강 실린더(162)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1개의 원통형 측면 정렬 핀(161)이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142)는 서보 모터(164)에 의하여 판재(S)의 폭에 상응하는 회전수만큼 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루(163)에 연결되어 엘엠 가이드(165)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헤드(127)는 이송 프레임(123)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엘엠 가이드(132)에 의하여 전후진이 유도되며, 각각의 이송 헤드(127) 양측의 샤프트(125)상에 스토퍼(130)가 설치되고, 측면 정렬 핀(161) 방향의 이송 헤드(127) 일측의 샤프트(125) 외주면으로 스프링(131)이 삽입되어 진공 패드(128)에 흡착된 판재(S)가 측면 정렬 핀(161)을 미는 과정에서 스프링(131)이 수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46)에 설치된 커버 구동 실린더(145)에 의하여 판재(S)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되면서 맞대기 정렬 핀(141)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 커버(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용접용 판재 정렬장치.
KR2020020023326U 2002-08-05 2002-08-05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KR200294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26U KR200294307Y1 (ko) 2002-08-05 2002-08-05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326U KR200294307Y1 (ko) 2002-08-05 2002-08-05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307Y1 true KR200294307Y1 (ko) 2002-11-04

Family

ID=7312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326U KR200294307Y1 (ko) 2002-08-05 2002-08-05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43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74A (ko) * 2002-11-11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커팅기용 판넬 고정지그
KR100938228B1 (ko) 2009-04-09 2010-01-22 여흥레이저텍(주) 레이저가공 공작물을 지지하는 장치
KR101279142B1 (ko) * 2011-11-24 2013-06-26 (주)케이아이테크 수직판재 용접용 지지장치
KR101914612B1 (ko) * 2018-04-03 2018-11-02 송광열 광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정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74A (ko) * 2002-11-11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커팅기용 판넬 고정지그
KR100938228B1 (ko) 2009-04-09 2010-01-22 여흥레이저텍(주) 레이저가공 공작물을 지지하는 장치
KR101279142B1 (ko) * 2011-11-24 2013-06-26 (주)케이아이테크 수직판재 용접용 지지장치
KR101914612B1 (ko) * 2018-04-03 2018-11-02 송광열 광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정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3969A1 (ja) ピストン供給装置及びピストン供給方法
KR200294307Y1 (ko)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EP2471628A1 (en) Work positioning apparatus, method of positioning works and work positioning apparatus for butt welding
CN208083754U (zh) 一种汽车门环加工定位工装
CN109940300A (zh) 一种快速多工位焊接的柔性焊接生产线
KR20200097080A (ko) 프레임 용접용 지그
CN115070209A (zh) 移料机构及焊接装置
US6698573B2 (en) Apparatus for centering preferably flat objects
CN211102388U (zh) 定位装置及焊接设备
JP3288555B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KR100953414B1 (ko) 파이프 롱 심 밀링 장치
JP4194985B2 (ja) タイヤ組立体のフィッティング装置及びフィッティング方法
EP1057580A1 (en) Device for butt laser welding of metal sheets (tailored blanks), having a locating template which is offset relative to the welding axis
KR100461278B1 (ko) 용접 대상물의 위치규제 및 취출장치
CN112355510B (zh) 一种压缩机焊接装置
KR100314268B1 (ko) 액정표시소자의유리기판압착용지그반송시스템
JP4338286B2 (ja) トランスファー型切削加工機
JPH11254165A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このレーザ加工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2353208B1 (ko) 기판 절단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48061B1 (ko) 동시구동클램프가 형성된 파레트
JPH06298355A (ja) 部品保持装置
JP3482636B2 (ja) シーム溶接線自動倣い装置のハンドリング治具
KR100394507B1 (ko) 엘씨디(lcd) 핸들러용 프리-얼라인 장치
KR200147789Y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 디스크 및 스페이서 삽입장치
KR970067453A (ko) 전자총의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