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251Y1 -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 Google Patents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251Y1
KR200292251Y1 KR2020020021421U KR20020021421U KR200292251Y1 KR 200292251 Y1 KR200292251 Y1 KR 200292251Y1 KR 2020020021421 U KR2020020021421 U KR 2020020021421U KR 20020021421 U KR20020021421 U KR 20020021421U KR 200292251 Y1 KR200292251 Y1 KR 200292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food
open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복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돼지 filed Critical (주)복돼지
Priority to KR2020020021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251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단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본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덮개로 구성되는 조리구에 있어서, 개구부의 끝단 내측면에 개구부 전주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단면에 계단형 형상의 본체 절곡부가 형성되어있는 대류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덮개가 본체의 개구부에 덮여졌을 때 대류판의 상단면 전체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계단형 형상의 덮개 절곡부가 형성되어있는 안착부를 끝단에 구비하고 수평으로 돌출된 대류판 끝단의 전체와 밀착됨과 동시에 대류판의 하단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길게 뻗어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밀착부를 내측면에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Cooker preventing the overflowing of food}
본 고안은 액상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조리중인 음식이 외부로 넘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된 조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가장 보편적으로 상용되는 방법은 냄비와 같이 액상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리구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조리구를 가열함으로써 조리구 내부의 음식물에 열을 전달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조리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맞출 때에는 덮개로 조리구의 개구부를 덮고 음식물을 조리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종래의 조리구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조리구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리구(10)는 액상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본체(20)와, 음식물을 조리하는 도중에 본체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2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덮개(30)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본체(20)에는, 덮개(30) 끝단의 안착부(3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측 전주에 걸쳐 수평방향의 턱을 두도록 형성된 덮개 거치부(22)를 구비한다.
그런데, 조리구(10)를 가열함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끓게되면, 본체(20) 내부의 공기 및 음식물의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게되어 도 1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본체(20) 벽면을 따라 본체(20) 외부로 넘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고, 음식물이 본체(20)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30)를 열어 본체(20) 내부의 공기 및 음식물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게되면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온도가 변하게되므로 맛과 영양이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넘처 흐른 음식물에 의해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껴지는 경우 미연소 가스가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가스폭발 및 화재위험이 상존하며 예기치 못했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의 액상 음식물이 끓게 되더라도 본체 외부로 넘치지 아니하고 내부의 열기가 원활히 대류되는 조리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리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덮개가 덮여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덮개가 덮여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체와 덮개의 밀착 면적을 굴절시킨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대류판
112 : 본체 절곡부 200 : 덮개
210 : 손잡이 220 : 안착부
222 : 덮개 절곡부 230 : 밀착부
240 : 증기 배출구 250 : 음식물 고임부
300 : 내부 대류경로 310 : 벽면 대류경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는 상단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있으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덮개로 구성되는 조리구에 있어서, 개구부의 끝단 내측면에 개구부 전주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대류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덮개가 본체의 개구부에 덮여졌을 때 대류판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를 끝단에 구비하고 수평으로 돌출된 대류판 끝단의 전체와 밀착됨과 동시에 대류판의 하단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길게 뻗어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밀착부를 내측면에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류판 상단면과 안착부 하단면의 접촉면적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대류판은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절곡부를 상단면에 구비하고 안착부는 본체 절곡부의 전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 절곡부를 하단면에 구비한다.
또한, 본체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본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덮개가 열리고 음식물이 조리구 외부로 넘치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의 중심부와 밀착부 사이에 덮개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증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증기배출구의 상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음식물 고임부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덮개가 덮여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정면도이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210)를 구비하는 덮개(200)를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b는 덮개가 덮여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평면 형상은 음식물을 내부에 담는 본체(100)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210)와 본체(100) 내부의 고온 고압의 공기를 조리구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증기배출구(240)를 구비하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의 조리구의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도 2a의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는, 상단에 형성되어있는 개구부의 끝단 내측면에 개구부 전주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대류판(110)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대류판(11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220)를 끝단 전주에 걸쳐 구비하고 수평으로 돌출된 대류판(110)의 끝단 전체에 밀착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밀착부(230)를 내측면에 구비하는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의 개구부에 덮개(200)를 덮었을 때 밀착부(230)가 안착부(220)의 하단면 전체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부(230)는 안착부(220)의 하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밀착부(230)의 끝단이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0) 내부에 액상 음식물을 넣고 덮개(200)를 덮은 후 본체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음식물이 끓게되어 음식물이 본체(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올라가게 되더라도 대류판(110)에 간섭되어 본체(100)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대류판(110)을 따라 본체(100) 내부에서 대류작용을 하게되어 본체 내부로 다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 벽면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의 열이 본체(100) 내측면에 구비된 대류판(110)에 의하여 본체(100) 중심으로 원활하게 대류되므로 열의 손실도 적어지고 본체(100) 내부의 온도도 균등하게 유지된다. 이때, 본체(100)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증기 및 음식물의 진행방향이 본체(100) 내부방향으로 굴절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본체(100) 벽면으로부터 중심부로 돌출되는 대류판(110)의 돌출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 되도록한다.
본체(100)의 내부에 도시된 화살표는 음식물을 가열할 때 가열된 공기와 액상 및 기상 음식물의 대류 경로를 나타낸다.
본체(100)에 액상 음식물을 넣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덮은 후 본체(100)를 가열하게되면, 본체(100) 내부의 공기와 액상 음식물은 본체(100)의 바닥과 벽면을 통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다. 가열된 본체(100) 내부의 공기와 음식물은 가열된 본체(100)의 벽면부위를 따라 상승하다가 대류판(210) 및 밀착부(230)에 간섭되어 더 이상 위로 상승하지 못하게되므로 본체(100) 중심부 쪽으로 유동하여 본체(100) 바닥으로 하강하는 경로를 반복하게된다. 이와 같은 대류경로가 도 3에 도시된 내부 대류경로(300)이다. 또한, 음식물이 고온의 본체(100) 벽면에 의해 가열되면서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가열된 음식물은 본체(100)의 벽면을 타고 올라가다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대류판(110)에 간섭됨으로써 밀착부(230)쪽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밀착부(230)쪽으로 이동하던 음식물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밀착부(230)에 간섭되어 밀착부(230)를 따라 하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이와 같은 대류경로가 도 3에 도시된 벽면 대류경로(310)이다.
또한,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본체(10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덮개(200)가 열리고 음식물이 조리구 외부로 넘치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20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증기배출구(240)를 덮개(200)에 구비한다. 덮개(200)에 구비된 증기배출구(240)를 통하여 높은 압력의 본체(100) 내부 공기가 조리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의 압력과 본체(100) 외부의 압력이 같아지게 되므로, 조리구 내, 외부의 압력차로 인한 덮개(200)의 열림이 방지된다.
또한, 높은 압력의 본체(100) 내부 공기가 증기배출구(240)를 통하여 조리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 본체(100) 내부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물이 함께 유출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기배출구(240)의 상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음식물 고임부(250)를 구비한다. 따라서, 고온 고압으로 가열된 음식물이 증기배출구(240)를 통하여 유출되더라도 곧바로 덮개(200)의 외측면을 타고 덮개(200) 끝단 쪽으로 흘러 내려가지 아니하고 음식물 고임부(250)에 고이게 되는데, 이때 음식물은 대기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온도와 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온도와 압력이 떨어진 음식물은 증기배출구(240)를 통해 다시 본체 내부로 유입되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고임부(250)가 덮개(200)의 중앙부를 중심점으로 하여 덮개(200)의 중앙과 증기배출구(240)간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자기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자전시키며 형상을 만들어 나가는 도자기의 제조과정 특성상 덮개(200)의 일부만 오목하도록 덮개(200)를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4는 본체와 덮개의 밀착 면적을 굴절시킨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체(100)와 덮개(200)간의 틈새를 통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 및 음식물의 유출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대류판(110)의 상단면에 계단형 형상의 본체 절곡부(112)를 구비하고 안착부(220)의 하단면에 본체 절곡부(112)에 밀착될 수 있는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 절곡부(22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대류판(110)과 안착부(220)의 접촉면 형상이 계단형으로 이루어지면, 대류판(110)과 안착부(220)의 접촉면 사이로 유출되는 증기는 본체 절곡부(112) 및 덮개 절곡부(222)에 부딪혀 액화되고, 이에 따라 대류판(110)과 안착부(220)의 접촉면에는 수막이 형성되어 밀폐수막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체(100) 내부의 가열된 공기 및 음식물이 대류판(110)과 안착부(220) 사이로 인입되더라도 대류판(110)과 밀착부(230) 사이에 형성된 수막에 간섭되어 조리구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를 사용하면, 음식물이 끓더라도 조리구 외부로 넘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리 도중에 음식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리구의 덮개를 열어야할 필요가 없고, 조리구 내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열을 조리구 내부 전체에 고르게 대류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조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식의 맛과 영양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상단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있으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덮개로 구성되는 조리구에 있어서,
    개구부의 끝단 내측면에 개구부 전주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있는 대류판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덮여졌을 때 상기 대류판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를 끝단에 구비하고, 수평으로 돌출된 상기 대류판의 끝단 전체와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대류판의 하단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길게 뻗어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밀착부를 내측면에 구비하는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증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증기배출구가 형성된 상단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음식물 고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판은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절곡부를 상단면에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 절곡부의 전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계단형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 절곡부를 하단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KR2020020021421U 2002-07-18 2002-07-18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KR200292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21U KR200292251Y1 (ko) 2002-07-18 2002-07-18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21U KR200292251Y1 (ko) 2002-07-18 2002-07-18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251Y1 true KR200292251Y1 (ko) 2002-10-18

Family

ID=7312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21U KR200292251Y1 (ko) 2002-07-18 2002-07-18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200397260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US5658128A (en) Boiling pot overflow prevention apparatus
KR200292251Y1 (ko) 음식물 넘침 방지 조리구
JP3962357B2 (ja) 吹きこぼれ及び蒸気圧の制御システムを具えたマイクロウェーブ調理器
KR20200123629A (ko) 당질 저감 밥솥
JP4340781B2 (ja) 間接加熱式調理板
KR101538588B1 (ko) 구이용 불판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0312275Y1 (ko) 패킹이 장착된 조리구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KR200350347Y1 (ko) 냄비뚜껑
CN209032010U (zh) 煎烤机及其烤盘组件
KR200361903Y1 (ko) 직화 조리기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KR20190138162A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102648107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가진 진공 조리기
CN211795832U (zh) 一种多功能锅
KR200278443Y1 (ko) 조리기구
KR20100128400A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0393652Y1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