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986Y1 -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986Y1
KR200291986Y1 KR2020020022321U KR20020022321U KR200291986Y1 KR 200291986 Y1 KR200291986 Y1 KR 200291986Y1 KR 2020020022321 U KR2020020022321 U KR 2020020022321U KR 20020022321 U KR20020022321 U KR 20020022321U KR 200291986 Y1 KR200291986 Y1 KR 200291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vehicle
safety
driver
m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택
신선균
Original Assignee
임성택
신선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택, 신선균 filed Critical 임성택
Priority to KR2020020022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986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안전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안전등의 상태를 운전자가 운행 전에 직접 점검하여 이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상부에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7)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직접 시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러(1)가 설치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각종 안전등(7)의 작동상태를 주차장의 상부에 설치된 밀러(1)를 통하여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시야로 직접 확인한 후 운행이 이루어므로써, 본인 및 타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러(1)는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Vehicle Safety In Parking Lo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안전등의 상태를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차시 차량 주변이나 안전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안전등의 상태를 운전자가 운행전에 직접 점검하여 이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설비를 갖춘 장소로, 최근의 국내 상황은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도로교통의 정체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에, 1979년 주차장법의 제정으로, 건설교통부 장관은 이 법률에 의거하여 공공주차장을 정비하기 위한 주차장 정비지구를 지정하고, 그 법률에 맞춰 공공 주차장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장은 그 종류에 따라 노상(路上)주차장, 노외(路外)주차장, 부설주차장 등으로 분류되게 되며, 상기 노상주차장은 주차장 정비지구 내의 도로 노면에 일정한 구역을 정하고 설치하는 주차용 시설로, 일반도로의 갓길 등에 일정간격으로 구획선을 형성하여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방식이다.
그리고, 노외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외에 설치하는 주차시설로, 이러한 노외주차장의 종류는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다계식 주차장과, 지하실 또는 탑 모양의 빌딩에서 차가 회전식으로 격납되는 승강식 주차장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부설주차장은 건축물, 골프연습장, 기타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붙여 설치된 주차장으로 주로 백화점이나 빌딩의 지하 등이 이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장을 이용하여 개인소유의 주차장이 없는 차주가 별도의 이용료를 지불한 후 사용하고 있어 극심한 도로의 정체를 유발시키는 불법주차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차장은 단순히 자동차를 입고시킨 후 일정기간 동안 주차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주차 중인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는 차량의 현 상태를 점검하지 못한 체 운행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예로서 자동차의 전, 후방에는 안전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각종 안전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전등의 작동여부에 따라 차량 운행의 안전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 안전등으로는 야간에 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는 전조등 및 안개등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타인에게 표시하는 방향지시등 등이 있으며, 차량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후미등 또는 차량의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브레이크등 등이 있다.
이러한 안전등 중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그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후미등 또는 브레이크등은 차량이 운행할 경우에만 작동되는 관계로 보조탑승자의 도움 없이는 그 작동상태를 쉽게 식별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의 상태를 운전자의 직접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행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러한 운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질 경우 본인 및 타인의 신변을 위협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의 상태를 운전자가 시야로 직접 확인한 후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차시 차량의 주변이 상황을 시각적으로 점검하여 보다 주차가 용이하고 차량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 주차가 가능하도록 된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소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리프트장치에 의해 승, 하강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밀러 2 - 지지프레임
3 - 브라케트 4 - 보조프레임
5 - 리프트장치 6 - 제어부
7 - 안전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상부에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직접 시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러가 설치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이 주차장의 상부에 설치된 밀러에 반사되어 운전자가 이를 직접 확인한 후 운행을 수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리프트장치에 의해 승, 하강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체적인 형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리프트장치에 의해 승, 하강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의 반사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되어 안전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안전등(7)의 상태를 운전자가 운행 전에 직접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동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상부에 가장자리부위가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러(1)가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러(1)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단면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면이 밀폐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각 부위의 모서리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그 재질은 사물을 정확하게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 중 파손의 위험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파손될 경우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본 고안에서는 하부에 위치한 자동차의 형상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시키는 스테인리스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밀러(1)의 설치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지프레임(2)을 밀러(1)의 측면 양측에 각각 설치한 후 고정용 브라케트(3)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노외주차장 및 부설주차장 등과 같이 천정면이 형성된 주차장의 경우에는 천정면에 직접 밀러(1)를 부착하거나, 별도의 와이어 등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러(1)의 하부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에 운전자가 탑승한 후 안전등(7)을 조작하게 되면,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러(1)의 가장자리 내측면에 안전등(7)의 작동상태가 반사되게 되어 정상작동 여부를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러(1)는 하부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그 높이가 자유로이 변동될 수 있도록 리프트장치(5)에 의해 승, 하강되며, 이러한 밀러(1)를 승, 하강시키는 리프트장치(5)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실린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으로 밀러(1)가 승하강 되어 보다 최적의 높이에서 밀러(1)를 위치시켜 차량의 주변 및 각종 안전등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지지프레임(2)의 내측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는 일측 단부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보조프레임(4)을 설치할 경우 이러한 실린더의 피스톤 작동에 의해 보조프레임(4)이 승, 하강하게 되어 밀러(1)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운전석이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에는 밀러(1)의 승, 하강상태를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도록 리프트장치(5)와 연계된 제어부(6)가 설치되게 된다.
즉, 주차 중인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가 지지프레임(2)에 설치된 제어부(6)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의 내측에 설치된 리프트장치(5)가 작동하여 보조프레임(4)을 승, 하강시키게 되고, 이 보조프레임(4)의 승, 하강에 의해 밀러(1)의 높이가 조절되어 전체적인 자동차의 형상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합차와 같이 대형차량이 밀러(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제어부(6)를 통하여 밀러(1)를 승강시켜 안전등(7)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적 소형의 자동차가 위치될 경우에는 밀러(1)를 하강시켜 그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러(1)를 통해서는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각종 안전등(7)의 작동상태뿐 아니라 자동차에 부착된 각종 장비의 작동상태 등 고정여부를 반사된 자동차의 형상을 통하여 점검할 수 있으며, 주차시 차량과 차량간의 간격 및 주차벽면과의 간격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상태를 최적화시킨 상태에서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운행을 통한 본인 및 타인의 신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주차장에 설치된 밀러를 통하여 시야로 직접 확인한 후 운행이 이루어 지므로써, 본인 및 타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장치를 통하여 밀러의 높이가 자유로이 조절되므로써, 차량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승, 하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시 차량의 주변이 상황을 시각적으로 점검하여 보다 주차가 용이하고 차량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 주차가 가능하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가 주차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상부에 자동차의 전, 후방에 설치된 안전등(7)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직접 시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부위가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밀러(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러(1)는 리프트장치(10)에 의해 승, 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러(1)는 하부에 위치한 자동차의 형상을 운전자에게 반사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KR2020020022321U 2002-07-25 2002-07-25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KR200291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21U KR200291986Y1 (ko) 2002-07-25 2002-07-25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21U KR200291986Y1 (ko) 2002-07-25 2002-07-25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986Y1 true KR200291986Y1 (ko) 2002-10-12

Family

ID=7307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321U KR200291986Y1 (ko) 2002-07-25 2002-07-25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9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20200093828A (ko)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KR20060111187A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100843306B1 (ko) 교측 보도교 고정장치
KR200291986Y1 (ko) 주차장 차량안전 점검장치
ES2794198A1 (es) Sistema de guiado, información y prevención de colisiones en carreteras/autopistas bajo condiciones adversas de visibilidad, como niebla, humo, lluvia y otras
KR101518408B1 (ko) 교통신호 제어기 장치
CN112695670B (zh) 一种能够防撞和快速修复的闪光定位路桩
JP2003027438A (ja) パイプ製安全部材
KR102121063B1 (ko) 보행자 신호 시스템
CN211006402U (zh) 一种组装式的过街安全岛
KR200388818Y1 (ko) 이동식 임시 신호등 및 제어장치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US20040027828A1 (en) Indication apparatus using beam
KR20200002069U (ko) 차량 진입방지용 볼라드
KR102411348B1 (ko)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2596955B1 (ko)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을 위한 볼라드
KR20200014058A (ko) 안전 휀스
KR102455024B1 (ko) 교차로의 교통 신호 통합 제공장치
KR102260837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JP4182478B2 (ja) 交差点照明装置
KR920006451B1 (ko) 간이 공중 주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