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355Y1 -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 Google Patents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355Y1
KR200291355Y1 KR2020020021233U KR20020021233U KR200291355Y1 KR 200291355 Y1 KR200291355 Y1 KR 200291355Y1 KR 2020020021233 U KR2020020021233 U KR 2020020021233U KR 20020021233 U KR20020021233 U KR 20020021233U KR 200291355 Y1 KR200291355 Y1 KR 200291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il
roasting
inlet ho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filed Critical 김병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355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판의 상부를 두 칸으로 구획하여 두 종류의 육류를 혼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동시에 조리하거나 일측에는 육류를 굽고 다른 일측에는 전골, 찌개와 같은 음식을 동시에 조리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두 종류의 음식을 섞이지 아니하도록 분리하여 각각 조리하는 것이 가능한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구이판(11)에 상부면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15)을 일체로서 형성하되 구이판의 중심부에 기름 유입공(13a)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의 바깥 둘레를 구획하는 파이프 형상의 볼트 마개
결합부(15a)를 상기 칸막이 벽(15)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유도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13)를 구이판 저면에 형성하며, 상기 볼트 마개 결합부(15a)에 볼트 마개(16)를 나사 결합하여 기름 유입공(13a)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A roast}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판의 상부를 두 칸으로 구획하여 두 종류의 육류를 혼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동시에 조리하거나 일측에는 육류를 굽고 다른 일측에는 전골, 찌개와 같은 음식을 동시에 조리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거나 전골 등의 찌개 종류를 조리하는 경우에는 구이판 또는 찌개용 조리용기가 사용되며 그중에서도 상기 두 종류의 음식을 모두 조리가 가능하도록 무쇠로 이루어지며 중앙이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구이판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무쇠의 구이판은 일명 솥뚜껑을 뒤집어 어퍼놓은 형태로서 주철로 이루어져 그 구이판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게 제작되므로 고기가 타거나 눌어 붙는 영향이 적어 매우 실용적으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판을 포함하는 찌개 조리가 가능한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에는 한 종류의 음식만을 선택적으로 조리가 가능하였다.
예컨대 고기를 굽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기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풍미가 있으므로 섞이지 않도록 구워야 하는 경우에는 동시 조리가 불가능하여 순차적으로 구워야 하므로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구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고기를 굽거나 찌개를 끓이는 경우, 이들을 동시에 하나의 구이판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이판을 단순히 구획하여 두 종류의 음식이 섞이지 아니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육류 구이시의 기름 배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항시 기름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찌개와 같은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국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육류 구이시 기름 배출이 안돼 기름이 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반된 구조가 필요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단점과 기술적인 제한점을 해소하여 두 종류의 음식을 섞이지 아니하도록 분리하여 각각 조리하는 것이 가능한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구이판에 상부면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을 일체로서 형성하되 구이판의 중심부에 기름 유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의 바깥 둘레를 구획하는 파이프 형상의 볼트 마개 결합부를 상기 칸막이 벽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으로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유도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를 구이판 저면에 형성하며, 상기 볼트 마개 결합부에 볼트 마개를 나사 결합하여 기름 유입공을 개폐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 열전도판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횡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볼트 마개를 개방한 상태의 요부 발췌 A-A 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볼트 마개를 폐쇄한 상태의 요부 발췌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구이판 12 : 구이판 손잡이
13 : 기름 배출구 13a : 기름 유입공
14 : 기름 유입 유도홈 15 : 칸막이 벽
16 : 볼트 마개 17 : 열전도판
18 : 시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를 이루고 점차 커지는 동심원의 홈과 방사상의 홈을 형성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에 상부면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15)을 일체로서 형성하되, 구이판(11)의 중심부에 기름 유입공(13a)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13a)의 바깥 둘레를 구획하며 내경에 나사를 형성한 파이프 형상의 볼트 마개 결합부(15a)를 상기 칸막이 벽(15)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 기름 유도홈과 연통하는 통공(15b)를 다수 천공하며, 상기 유입공(13a)으로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유도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13)를 구이판 저면에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13a)을 개폐하는 볼트 마개(16)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 마개 결합부(15a)에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이판(11)의 저면 중심부에는 열 전도판(17)을 덧대어 결합하여 이룰 수 있으며, 볼트 마개(16)의 상부에는 손잡이(16a)를 형성하여 개폐시 파지하도록 이루되 상기 손잡이는 병따개로서 기능하도록 중앙이 천공된 형태를 갖도록 통상의 병따개 형상으로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볼트 마개 결합부(15a)에는 통공(15b)과 직교하도록 나사를 수직으로 절개하는 홈(15c)을 통공과 동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미 설명 부호로서 17A는 열전도판(17)을 체결 또는 용착에 의해 고정한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 작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이판(11)을 구이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에는 칸막이 벽(15)로 구획된 구이판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종류가 상이한 육류를 얻어 고기가 섞이지 아니하도록 분리시켜 구워 낼 수 있게된다.
상기 고기를 구울 때는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해 도 6도시와 같이 볼트 마개(16)를 풀어 결합부(15a)에서 이격시켜 통공(15b)이 기름 유입공(13a)과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 마개(16)가 마개 하단부와 면접하는 시트(18)에서 이격도니 상태에서 기름 유입 유도홈(14)을 따라 기름이 흘러 내려 모아져 통공(15b)을 통과해 기름 유입공(13a)로 모아져 기름 배출구(13)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구이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작용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을 이용하여 구이판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전골 등의 국물이 있는 찌개류를 각각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 마개(16)를 결합부(15a)의 나사에 결합하여 마개의 단부가 나사 끝단의 시트(18)에 긴밀하게 결합하면 통공(15b)을 통한 국물의 유출이 방지되면서 두 종류의 찌개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섞이지 아니하도록 조리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이판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찌개를 동시 조리가능하게 된다.
물론 찌개와 구이를 동시에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 마개(15a)로서 기름 유입공(13a)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일측에는 찌개를 타측에는 구이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는 구이측에서 발생되는 기름의 배출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기름이 구이판의 중앙부에 몰리게 될 수는 있으나 이는 식빵 또는 휴지 등을 이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기름을 흡수 배출하면 지속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구이판 저면에 결합된 열전도판(17)은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동(銅) 재의 금속을 덧대어 고정 결합하여 이루는 경우에는 조리시 열전도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볼트 마개(16)의 개폐는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나사의 상부에 손잡이(16a)를 형성하여 사용자 인력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는 병따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병마개를 따는 부가적인 작용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손잡이 상부에 작은 접시 모양을 형성하는 등의 변형을 통해 마늘을 굽거나 구워진 고기를 얹을 수 있도록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풍미가 다른 두 종류의 육류를 동시에 분리시켜 구울 수 있고, 국물이 있는 찌개와 같은 음식의 경우에도 각각 분리하여 양측에서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여 두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이와 찌개에 각각 적용이 가능하도록 기름 배출구를 사용자가 손으로 간편하게 개폐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내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를 이루고 점차 커지는 동심원의 홈과 방사산의 홈을 형성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에 상부면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15)을 일체로서 형성하되, 구이판(11)의 중심부에 기름 유입공(13a)을 천공하고, 상기 유입공(13a)의 바깥 둘레를구획하며 내경에 나사를 형성한 파이프 형상의 볼트 마개 결합부(15a)를 상기 칸막이 벽(15)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고,
하단에 기름 유도홈과 연통하는 통공(15b)를 다수 천공하며, 상기 유입공(13a)으로 유출되는 기름을 외부로 유도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13)를 구이판저면에 형성하고,
상기 유입공(13a)을 개폐하는 볼트 마개(16)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 마개 결합부(15a)에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Claims (1)

  1. 상기 구이판(11)의 저면 중심부에는 열 전도판(17)을 덧대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 마개 결합부(15a)에는 통공(15b)과 직교하도록 나사를 수직으로 절개하는 홈(15c)을 통공과 동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2020020021233U 2001-12-10 2002-07-11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2002913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44 2001-12-10
KR20010038844 2001-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355Y1 true KR200291355Y1 (ko) 2002-10-09

Family

ID=730847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233U KR200291355Y1 (ko) 2001-12-10 2002-07-11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2020020023434U KR200294400Y1 (ko) 2001-12-10 2002-08-05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434U KR200294400Y1 (ko) 2001-12-10 2002-08-05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913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62B1 (ko) *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락앤락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4400Y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804B1 (en) Cookware with divider
US20190021537A1 (en) Energy saving safety cooking pot without steam outlet
US6401602B1 (en) Multi-purpose cooking pan
KR200291355Y1 (ko)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KR200370079Y1 (ko) 고기구이 및 전골요리 겸용 조리기구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101640726B1 (ko) 양면 프라이팬
KR20090018422A (ko) 조리장치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0679537B1 (ko) 구이기
WO2009066846A1 (en) Multi-layer cooker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233209Y1 (ko) 다용도 불고기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KR200359736Y1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