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344Y1 -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 Google Patents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344Y1
KR200290344Y1 KR2020020018839U KR20020018839U KR200290344Y1 KR 200290344 Y1 KR200290344 Y1 KR 200290344Y1 KR 2020020018839 U KR2020020018839 U KR 2020020018839U KR 20020018839 U KR20020018839 U KR 20020018839U KR 200290344 Y1 KR200290344 Y1 KR 200290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ring member
document
r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민중
Original Assignee
김성환
김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김민중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020018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344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공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을 보호하기 위한 접철식의 외부 덮게, 천공된 서류의 측면에 체결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분리/결합식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덮게의 중앙 접철부에 장착되어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서류철 바인더로서,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는, 서류를 천공할 수 있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커팅부로부터 상향 외면에 오목부가 부설되어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 부재상에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는 별도의 서류 천공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서류를 용이하게 바인더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서류를 철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Documents Binder With The Punching Function}
본 고안은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류를 철하는 바인더에서, 링 부재의 단부에 날카로운 커팅부와 체결홈이 구비되어있어서, 별도의 천공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류를 바인더에 용이하게 철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현대 사회는 정보 사회로 불릴 정도로 엄청난 량의 정보가 생산되고 또한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흐름의 하나로서 다수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가 이제는 거의 필수적인 사무기기로서 자리잡고 있다. 컴퓨터는 정보의 전산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인터넷은 개인용 컴퓨터에 기반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정보 사회의 미래 모습이 종이의 사용이 극도로 억제된 무지(none-paper) 시대로 예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통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종이의 사용은 오히려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이러한 정보의 상당량을 종이에 옮겨놓고 언제라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유발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정리용 사무기기로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서류철 바인더이다.서류철 바인더의 특징은 정보가 기록된 종이(이하, 서류라 약칭함)를 수시로 정리하여 철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서류철 바인더의 일반적인 구조는, 내용을 보호하기 위한 접철식의 외부 덮게, 천공된 서류의 측면에 체결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분리/결합식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덮게의 중앙 접철부에 장착되어있는 고정 부재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다수의 링 부재에 상응하는 서류에 구멍을 뚫고, 링 부재를 분리(예를 들어, 개봉)하며, 링 부재에 서류를 삽입한 뒤, 다시 결합하는 방법으로 바인더에 서류를 철하게 된다.
이때, 서류의 천공 작업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천공 위치가 다르므로, 이를 정확히 재조정하여 천공하여야 한다. 또한, 천공 도구가 부득이 준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깨끗한 상태로 서류를 철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천공 도구가 없이도 서류를 용이하게 철할 수 있는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의 펼친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에서 링 부재의 분리/조립 단부와 그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의 체결 홈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a를 기본 구조로 하고 변형된 링 부재를 채용한 서류철 바인더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a에서 변형 링 부재의 분리/조립 단부와 그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의 체결 홈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서류철 바인더
200: 덮게
300: 서류
400: 고정 부재
500: 링 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천공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는,
내용을 보호하기 위한 접철식의 외부 덮게, 천공된 서류의 측면에 체결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분리/결합식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덮게의 중앙 접철부에 장착되어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서류철 바인더로서,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는, 서류를 천공할 수 있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커팅부로부터 상향 외면에 오목부가 부설되어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 부재상에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체결을 원하는 서류를 바인더의 덮게 안쪽에 놓고, 상기 서류의 한쪽 면을 고정 부재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링 부재를 누르면, 분리/결합 단부의 커팅부에 의해 서류가 천공되고, 천공을 위해 하향된 분리/결합 단부는 원상태로 회복되다가 고정 부재의 체결 홈에 상기 오목부가 걸리면서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본 고안의 서류철 바인더는 바람직하게는 서류의 천공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서류의 크기별로 표시된 설장표시부를 덮게의 안쪽면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장표시부는 덮게에 단순히 인쇄된 평면의 형태이거나 또는 돌출된 입체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분리/결합 단부의 커팅부는 원통형 외면과 돌출형 내면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원통형 외면은 서류상에 원형의 구멍을 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돌출형 내면은 천공된 작은 종이쪽들이 원통형 외면에 끼지 않고 제거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링 부재는 전체적으로 원형 구조이거나 사각형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일반적으로 상정할 수 있지만, 분리/결합 단부의 커팅부에 의한 서로의 천공이 용이하고 서류의 체결에 바람직한 구조라면, 그것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링 부재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굵기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결합 단부쪽의 굵기를 가장 굵게하고 그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가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구성은, 분리/결합 단부의 커팅부에 의해 천공된 서류가 링 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그것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때, 천공 구멍의 크기에 비해 링 부재의 굵기가 작기 때문에, 이동 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더욱 많은 량의 서류를 철할 수 있도록 가변식 링 부재와 변형 고정 부재를 구비한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에 있어서, 가변식 링 부재의 단부에 커팅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가변식 링 부재와 체결되도록 덮게상에 장착된 링 체결 부재상에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는 변형 고정 부재가 일정한 크기의 판상 구조이고 체결홈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의 구조는 도 6b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는 이러한 지렛대식 바인더에 있어서, 가변식 링 부재에 기설명된 커팅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고, 체결 홈이 형성되어있는 변형 고정 부재가 판상 구조로서 링 체결 부재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판상의 고정 부재를 링 체결 부재상의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하고, 다량의 서류를 판상의 고정 부재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레를 사용하여 가변식 링 부재를 하강시켜 서류를 천공한 뒤, 이들 모두를 덮게 위치까지 하강시키기거나 또는 서류와 판상의 고정 부재를 링 체결 부재로부터 제거한 다음서류만을 링 체결 부재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판상의 고정 부재는 링 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대편 덮게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100)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있다. 접철식의 양 덮게(200)는 서류(300) 보다 큰 크기를 가지므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마분지, 얇은 합판, 경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되어있다. 양 덮게(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철부위(220)에는 고정 부재(400)가 장착되어있으며, 이러한 고정 부재(400)에는 다수의 링 부재(500)가 설치되어있다. 한편, 덮게(200)의 내면에는 체결된 서류의 크기에 따라 천공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장표시부(110)에 다수 돌출되어있다.
도 2a 및 2b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2a는 서류를 천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b는 천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링 부재(500)는, 완전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덮게(200)의 접철부위(220)에 장착되어있는 고정 부재(400)에 체결 단부(510)는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되어있으며, 반대쪽 분리/결합 단부(520)는 고정 부재(400)에 분리(도 2a) 및 결합(도 2b)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우선, 체결 단부(510)는 링 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스프링(430)에 의해 지지되어있으며, 작동(천공과정) 중에 고정 부재(400)상의 홈(410)에서 약간의 가변적인 위치변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분리/결합단부(520)는, 서류(300)의 체결 과정에서, 서류(300)를 천공하면서 고정 부재(400)의 체결 홈(420)에 걸리게 된다. 체결 과정에서, 링 부재(500)가 눌리면서 홈(420)의 약간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체결 단부(510)는 스프링(430)을 압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링 부재(500)의 분리/결합 단부(520)는 고정 부재(400)로부터 분리되려고 하는 복원력을 받게 된다.
고정 부재(4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며, 가운데에 판막이부(440)가 설치되어있어서, 한편으로는 스프링(430)을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류(300)로부터 절단된 작은 종이편(320)들이 스프링(430)의 작동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고정 부재(400)는 적어도 종이편(320)들이 위치하는 내부의 양측면이 개봉되어있어서, 용이하게 제거될 있다.
도 3에는 도 2a의 서류철 바인더에서 링 부재(500)의 분리/결합 단부(520)와 그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400)의 체결 홈(42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분리/결합 단부(520)는 날카로운 원통형의 외면(522)과 돌출형의 내면(524)으로 구성된 커팅부(526)와, 커팅부(526)의 상향 외면에 고정 부재(400)의 체결 홈(420)의 모서리에 걸리는 오목부(528)를 가지고 있다. 분리/결합 단부(520)가 체결 홈(4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링 부재(500) 자체의 탄력성과 스프링(430)의 복원력에 의해, 분리/결합 단부(520)는 화살표들로 표시된 방향으로 동시에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528)는 체결 홈(420)을 이루는 고정 부재(400)의 모서리에 자연스럽게 걸리게 된다. 오목부(528)를 체결 홈(4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링 부재(500)를 약간 압축하기만 하면 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도 2a에서의 링 부재(500)가 원형이 아닌 사각형에 가깝게 변형된 링 부재(500')를 채용한 서류철 바인더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4a는 서류를 천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천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의 서류철 바인더에 대한 도 6a의 서류철 바인더의 차이점은 링 부재(500')의 형상이 사각형이 가깝고, 체결 단부(510')가 거의 수평으로 위치하며, 체결 단부(510')를 지지하는 스프링(430')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의 링 부재(500')는, 도 4b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분리/결합 단부(520')에 의해 서류(300')를 천공할 때 거의 수직으로 천공 과정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링 부재(500')의 수직 방향 압축에 의해 스프링(430')이 수직으로 압축되고, 그에 따라 복원력도 수직으로 작용하게 된다. 기타 구조는 도 2a 및 2b와 동일하다.
도 5에는 도 4a에 있어서 링 부재(500')의 분리/결합 단부(520')와 그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400')의 체결 홈(42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분리/결합 단부(520')에 있어서, 원통형 외면(522')과 돌출형 내면(524')의 커팅부(526'), 체결 홈(420')의 모서리에 걸리는 오목부(528') 등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3의 분리/결합 단부(520)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분리/결합 단부(520')가 체결 홈(420')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며, 오목부(528')가 체결홈(420')에 체결되는 수평 화살표 방향의 힘이 작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120)의 작동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더욱 많은 량의 서류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의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있는바, 그 원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덮게(201)의 한쪽 면에 돌출식으로 설치되어있는 지지 부재(601)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있는 "ㄷ" 자형 지렛대(701)는, 그것의 각진 압축부(721)의 움직임에 의해, 가변식 링 부재(501)가 덮게(201)에 장착되어있는 링체결 부재(511)와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가변식 링 부재(501)가 설치되어있는 하면판(502)은 지지 부재(601)의 하면판(602)과 경첩식으로 결합되어있어서, 지렛대(701)의 움직임에 의해 분리되거나 접하게 된다. 가변식 링 부재(501)의 분리/결합 단부(503)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커팅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a 및 6b에서의 고정 부재(400)는 본 서류철 바인더(120)에서는 링 체결 부재(511)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필요에 따라 고정될 수 있는 변형 고정 부재(401)로서, 이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작동부(411), 가변식 링 부재(501)의 분리/결합 단부(503)가 삽입되며 링 체결 부재(511)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체결 홈(421)이 형성되어있는 일정한 두께의 고정 본체부(431), 및 서류가 놓일 수 있는 일정한 크기의 판상부(441)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변형 고정 부재(401)를 링 체결 부재(511)상의 일정한 높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한 다음, 그 위에 서류(300)를 올려놓고, 지렛대(701)를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가변식 링 부재(501)의 분리/결합 단부(503)가 서류(300)를 천공하면서 링 체결 부재(511)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삽입 홈(403)을 통해 변형 고정 부재(401)가 링 체결 부재(511)에 고정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분리/결합 단부(503)에 의해 천공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고정 본체부(431)는 그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천공된 상태에서는 변형 고정부재(401)를 서류(300)와 함께 그래도 하강시켜 체결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6b에서와 같이 변형 고정부재(401)를 제거한 다음 서류(300)를 하강시킨 뒤, 재차 링 체결 부재(511)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된 내용 및 도면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류철 바인더는 별도의 서류 천공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량의 서류를 용이하게 바인더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서류를 철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4)

  1. 내용을 보호하기 위한 접철식의 외부 덮게, 천공된 서류의 측면에 체결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분리/결합식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덮게의 중앙 접철부에 장착되어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서류철 바인더로서,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는, 서류를 천공할 수 있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커팅부로부터 상향 외면에 오목부가 부설되어있으며;
    상기 링 부재의 분리/결합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고정 부재상에는 체결 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바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류의 천공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서류의 크기별로 표시된 설장표시부가 덮게의 안쪽면에 포함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바인더.
  3. 제 1 항에 있어서, 링 부재에서 상기 분리/결합 단부의 커팅부는 원통형 외면과 돌출형 내면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바인더.
  4. 제 1 항에 있어서, 더욱 많은 량의 서류를 철할 수 있도록 가변식 링 부재와 변형 고정 부재를 구비한 지렛대식 서류철 바인더에서, 가변식 링 부재의 단부에 커팅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가변식 링 부재와 체결되도록 덮게상에 장착된 링 체결 부재상에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는 상기 변형 고정 부재가 일정한 크기의 판상 구조이고 체결홈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철 바인더.
KR2020020018839U 2002-06-21 2002-06-21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KR200290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39U KR200290344Y1 (ko) 2002-06-21 2002-06-21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839U KR200290344Y1 (ko) 2002-06-21 2002-06-21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344Y1 true KR200290344Y1 (ko) 2002-09-27

Family

ID=7312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839U KR200290344Y1 (ko) 2002-06-21 2002-06-21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3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4043A1 (en) Instrument of binding papers
KR101202513B1 (ko) 링 바인더용 백 플레이트 및 파일 커버
JP4647381B2 (ja) バインダー及びその締結部材
JPH0760695A (ja) 多穴孔明けパンチ
JPH0839497A (ja) 孔明けパンチ一体形リングバインド用治具
KR200290344Y1 (ko) 천공 기능을 구비한 서류철 바인더
US5810498A (en) Fastener assembly for a file
KR200381777Y1 (ko) 제본기능을 갖는 천공기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JP4436277B2 (ja) 綴じ具
JP5807152B2 (ja) 冊子及び綴じ機
KR101859490B1 (ko) 펀칭핀에 낀 칩 제거장치
KR200372842Y1 (ko) 서류 화일용 클립
JP3134106B2 (ja) パンチ装置及びロック装置付綴込具
JP7034572B1 (ja) 綴じ具用の押さえ具及び綴じ具
US20120039664A1 (en) Binder having structure for punching document
US6394685B1 (en) Structure of a paper binder
JP2020097086A (ja) 穴開けパンチ
JPS6021195Y2 (ja) 紙葉の穿孔治具
JP4218466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KR100912718B1 (ko) 펀칭 및 바인딩이 원스톱 진행되는 서류바인더
JP3108799B2 (ja) 孔明けパンチ用紙押え
US5618121A (en) File clip with punching function
JP4375137B2 (ja) ファイル及び綴じ具取付部材
JP3141354U (ja) ファイリング用穿孔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