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01Y1 - 외벽용 판자패널 - Google Patents

외벽용 판자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01Y1
KR200284701Y1 KR2020010040679U KR20010040679U KR200284701Y1 KR 200284701 Y1 KR200284701 Y1 KR 200284701Y1 KR 2020010040679 U KR2020010040679 U KR 2020010040679U KR 20010040679 U KR20010040679 U KR 20010040679U KR 200284701 Y1 KR200284701 Y1 KR 200284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attached
ventilation layer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40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01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외벽용 판자패널로서,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된 패널심재(4)에 방수시트(5)를 개재하여 외벽용 판자(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심재(4)는 4개의 모서리 틀이 조립된 바깥틀을 구비하고, 이 바깥틀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46)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46)은 상기 바깥틀의 상하부에서 각각 바깥틀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평행한 2개의 가로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벽용 판자패널{siding panel}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외벽용 판자패널에 관한 것이다.
유닛 공법의 건물 또는 패널공법의 건물 등의 외벽으로서 외벽용 판자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벽용 판자패널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외벽용 판자패널(11)은 내부에 단열재(13)를 가득 채운패널심재(14)를 구비하고 이 패널심재(14)의 표면측에는 표면재(17)가, 이면측에는 이면재(2)가 각각 못을 박아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표면재(17)에는 방수시트(5)를 개재하여 몸통 테두리(18)가 못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벽용 판자(6)는 못에 의해 몸통 테두리(18)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벽용 판자패널(11)이 외벽으로서 이면재(2)를 건물(10)의 예를들면 들보 등에 밀착시켜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벽용 판자패널(11)에서는 외벽용 판자(6)는 몸통 테두리(18)에 못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패널심재(14)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패널심재(14)에 소정의 내력을 부여하기 위해, 즉 외벽용 판자(11)가 소정의 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패널심재(14)에 이면재(2)의 다른 내력면재로서의 표면재(17)도 부착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외벽용 판자패널(11)에 통기층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몸통 테두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표면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소정의 내력을 갖는 동시에 몸통 테두리가 생략되어도 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외벽용 판자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벽용 판자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외벽용 판자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외벽용 판자패널이 사용된 건물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외벽용 판자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외벽용 판자패널의 심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건물 유닛의 종단면도.
도 7은 외벽용 판자패널의 부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외벽용 판자패널은 건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외벽용 판자패널로서,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된 패널심재에 방수시트를 개재하여 외벽용 판자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심재는 4개의 모서리 틀이 조립된 바깥틀을구비하고, 이 바깥틀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은 상기 바깥틀의 상하부에서 각각 바깥틀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평행한 2개의 가로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외벽용 판자패널이 유닛 공법의 건물을 구성하는 건물 유닛에 외벽으로서 사용되는 예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건물 유닛(30)은 4개의 모서리에 설치된 4개의 기둥(31)과 이들 기둥(31) 상부의 단부들 끼리 및 하부 단부들 끼리를 결합하는 각 4개의 천정들보(32), 마루들보(33)로 된 골조(34)를 구비하며, 이 골조(34)에는 천정재(35)나 마루재(36), 내벽(37) 등이 부착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외벽용 판자패널(1)로 된 외벽이 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용 패널(1)은 이면재(2), 내부에 단열재(3)를 가득 채운 통기층인 슬릿(46)이 형성된 패널심재(4), 방수시트(5), 외벽용 판자(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패널심재(4)는 이면재(2)를 끼워 넣은 건물 유닛(30)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또 패널심재(4)의 표면측에는 외벽용 판자(6)가 방수시트(5)를 개재하여 못으로 직접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심재(4)는 2개의 세로부재(40)와 하부의 가로부재(41)로 4각의 틀로 조립된 바깥틀(44)을 구비하고, 이 바깥틀(44)의 내부에는 2개의 세로대(45)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부의 가로부재(41)는 각각 폭이 넓은 제1부재(42)와 제1부재보다 폭이 좁은 제2부재(43)로 구성되고, 양 부재(42, 43)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 부재(42, 43)의 사이에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단열재(3)는 세로부재(40)와 가로대(45)의 사이에 제1부재(42)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채워 넣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외벽용 판자(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유닛(30)의 천정들보(32), 마루들보(33)에 부착된다. 즉, 건물 유닛(30)이 하층건물 유닛(30A)로서 사용된 경우 그 천정들보(32)에는 소정 간격으로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의 부착장치(20)가 볼트, 너트(2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패널심재(4)측의 상기 세로부재(40) 또는 세로대(45)에는 부착장치(20)에 대응하는 블래킷(22)이 부착되어 있고, 이 블래킷(22)과 부착장치(20)를 볼트, 너트(23)로 결합하여 외벽용 판자패널(1)을 하층 건물 유닛(30A)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마루들보(33)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들보(32)에 부착된 부착장치(20)와 동일한 사양의 부착장치(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장치(20)와 패널심재(4)측에 부착된 상기 동일 사양의 블래킷(22)을 도시하지 않은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이면재(2)에는 세로부재(40) 또는 가로부재(45)에 부착된 블래킷(22)용의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는 건물유닛(30)이 상층 건물유닛(30B)으로서 사용된 경우의 건물 유닛(30B)의 일부가 되어 있으나, 이 상층 건물유닛(30B)의 구조는 하층 건물유닛(30A)과 거의 마찬가지다. 하층 건물유닛(30A)과 동일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상층 건물유닛(30B)과 하층 건물유닛(30A)에 부착된 외벽용 판자패널(1)끼리의 슬릿(46)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의 상하에 연속한 연속 통기층기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또하층 건물유닛(30A)과 상층 건물유닛(30B) 사이의 간격에는 백업재(38)가 삽입되는 동시에 코킹재(39)가 충진되어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침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패널심재(4)에는 방수시트(5)를 개재하여 외벽용 판자(6)가 직접 부착되어 있으므로, 외벽용 판자(6)는 패널심재(4)의 내력면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은 표면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벽용 판자패널(1)은 필요한 내력을 갖게 된다. 또 패널심재(4)의 내부에는 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몸통 테두리를 이용하지 않아도 외벽용 판자패널(1)에 통기층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바깥틀(44)의 상하부에 평행한 제1부재(42)와 제2부재(43)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하면, 그들 사이가 슬릿(46)으로 되므로 통기층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 슬릿(46)의 형성에 있어 제1부재(42)와 제2부재(43)의 폭이 변하는 것에 의해 슬릿(46)의 폭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이면 다음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널심재(4)의 상하부의 가로부재(41)는 제1부재(42)와 제2부재(43)로 구성되어 있고, 양자(42, 43)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으로 슬릿(46)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부의 가로부재(41)를 하나의 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판에 예를들면, 큰 직경의 드릴 등으로 복수의 관통공을 만들고, 이들 관통공을 통기층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릿(46)은 하나로 되어 있으나 슬릿(46)의 수는 예를들면 2개로 설치하여도 좋다.요컨대 패널심재(4)의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널심재(4) 내의 단열재(3)는 세로부재(40)와 세로대(45) 사이에, 또 폭이 넓은 제1부재(42)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되어 채워 넣어져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재(3) 자체가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예를들면 그 폭을 바깥틀(44)과 동일한 폭으로 하고 이것을 세로부재(40)와 세로대(45) 사이에 채워 넣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널심재(4)의 표면측에 외벽용 판자(6)를, 이면측에 이면재(2)를 각각 부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벽용 판자(6)가 패널심재(4)의 내력면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외벽용 판자패널(1)이 요구되는 내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면재(2)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벽용 패널(1)이 외벽으로서 유닛공법의 건물을 구성하는 건물유닛(30)에 부착되어 있으나 패널공법의 건물에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외벽용 판자패널에 의하면, 외벽용 판자가 방수시트를 개재하여 직접 패널심재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외벽용 판자는 패널심재의 내력면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그 때문에 표면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벽용 판자패널은 필요로 하는 내력을 갖게 된다. 또 패널심재의 내부에는 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통테두리를 이용하지 않아도 외벽용 패널에 통기층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건물의 외벽에 사용되는 외벽용 판자패널에 있어서,
    내부에 통기층이 형성된 패널심재(4)에 방수시트(5)를 개재하여 외벽용 판자(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심재(4)는 4개의 모서리 틀이 조립된 바깥틀을 구비하고, 이 바깥틀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46)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층용의 슬릿(46)은 상기 바깥틀의 상하부에서 각각 바깥틀의 두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평행한 2개의 가로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외벽용 판자패널.
KR2020010040679U 2001-12-28 2001-12-28 외벽용 판자패널 KR200284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79U KR200284701Y1 (ko) 2001-12-28 2001-12-28 외벽용 판자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79U KR200284701Y1 (ko) 2001-12-28 2001-12-28 외벽용 판자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01Y1 true KR200284701Y1 (ko) 2002-08-10

Family

ID=7311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679U KR200284701Y1 (ko) 2001-12-28 2001-12-28 외벽용 판자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58A (ko) * 2018-01-11 2019-07-22 주식회사 종이나무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58A (ko) * 2018-01-11 2019-07-22 주식회사 종이나무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패널
KR102127118B1 (ko) * 2018-01-11 2020-06-29 주식회사 종이나무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4701Y1 (ko) 외벽용 판자패널
JP3531855B2 (ja) 間仕切りランナーの取付構造
JP3997161B2 (ja) 基礎上の空隙構造
JPH10299222A (ja) 外壁の化粧構造
JP2829258B2 (ja) 化粧用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0145012A (ja) 建物ユニットの壁材
JP3377565B2 (ja) サイディングパネル
JP3065144B2 (ja) 見切材の取付構造
JP2758842B2 (ja) 水切り板の取付構造
JP2006104769A (ja) 木造建物における断熱材及び表面材の支持ブラケット
JPH11222968A (ja) 建築物
JP2920753B2 (ja) スチールハウスの壁部分構造
JP2000129812A (ja) 壁体内の換気構造
JPH10131355A (ja) 構造用パネル
JPH1072887A (ja) 通気壁構造
JPH1046705A (ja) 壁下地材と床下地材の納め構造
JP2001271432A (ja) 上り框部の気密構造
JPH11256727A (ja) 壁下地材と床下地材の納め構造
JP4664083B2 (ja) 軸組工法におけるファイヤーストップ構造
JP2672789B2 (ja) 付属構築物
JPH108601A (ja) 断熱外壁パネル
JPH0949289A (ja) 貫通孔を有する建築用パネル
JPS62112838A (ja) バルコニー床の支持金具
JPH11236731A (ja) 木造家屋とその羽柄材施工方法
JPH10219881A (ja) 木造建築物の壁体構法及びその壁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