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72Y1 - 숯불구이 판 - Google Patents

숯불구이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72Y1
KR200284172Y1 KR2020020006000U KR20020006000U KR200284172Y1 KR 200284172 Y1 KR200284172 Y1 KR 200284172Y1 KR 2020020006000 U KR2020020006000 U KR 2020020006000U KR 20020006000 U KR20020006000 U KR 20020006000U KR 200284172 Y1 KR200284172 Y1 KR 200284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at
plate
present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화
Original Assignee
이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화 filed Critical 이기화
Priority to KR2020020006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72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 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숯불구이 판 자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파형을 이루게 설치한 다수개의 장공, 및 그 장공들의 각 사이마다 형성한 장홈을 구비함에 의해,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고기 맛을 좋게 하고, 그 질을 연하게 한다.

Description

숯불구이 판{a charcoal fire meat roasted}
본 고안은 숯불구이 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구이 판에 파형(波形)으로 이루어진 파형 장공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게 함으로써 고기 맛을 더욱 좋게 함은 물론 고기의 질을 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 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숯불구이 판은, 숯불이나 가스레인지 등의 위에 얹혀져 아래쪽에서 공급되는 숯불이나 가스 불에 의해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숯불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인체에 좋은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고기를 구울 때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에는 그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종래의 숯불 구이판은 고기가 상기 구이판의 상면에 완전 밀착되어지도록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고기를 굽기 때문에 상기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전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숯불구이 판에 형성된 관통 공들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숯불과 고기가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숯불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고기의 맞을 저하시킴은 물론, 고기를 연하게 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숯불 구이판에 파형으로 이루어진 파형공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에 골고루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맛을 좋게 하고, 그 질을 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 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숯불구이 판에 있어서, 상기 숯불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파형(波形)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파형 공들; 및 상기 파형 공들의 사이에 기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한 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숯불구이 판 12 : 파형 장공
14 : 장홈 16 : 배출 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 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 구이판(10)은 숯불이나 가스레인지 등의 위에 올려놓고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관은 원형이며 중앙부분이 상부로 완만하게 돌출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종래의 숯불구이 판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외관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숯불구이 판(10)에는 장공(1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장공(12)를 파도 모양 즉, 파형(波形)을 이루게 하여, 폭 방향으로의 넓이를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숯불(미 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은 상기 파형 장공(12)를 통하여 구이 판(10)의 고기 측으로 보다 균일하게 골고루 가해지게 된다. 즉, 상기 파형 장공(12)에 의해 고기와 숯불로부터 발생되는 화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이유는, 지그재그형의 상기 파형 장공(12)위에 고기가 위치됨으로서 일자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장공에 비해 그 접촉면적이 넓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또, 상기 구이판(10)에 있어서 각 파형의 장공(12)의 사이마다 그 구이판(10)의 하방을 향하여 얕게 패인 구조의 장홈(長溝)(14)(도3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홈(14)는 고기를 구울 시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장홈(14)의 내부로 고이게 함은 물론 구이 판(10)위에 올려지는 고기와 구이 판(10)과의 접촉면적을 작게하여 고기가 구이 판(10)에 눌러 붙어서 타게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장홈(14)는 구이 판(10)위에 고기를 굽기 위해 올려놓게 되는 고기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줌으로써, 그 간격으로 하여금 숯불이 전달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고기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게 한다.
상기 장홈(14)의 각 끝(端)에는 그 장홈(14)과 연락되게 한 배출공(16)이 상기 숯불구이 판(10)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장홈(14)를 타고 흐르게 되는 기름은 상기 배출공(16)을 통하여 일정 곳으로 빠지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 판에 의하면,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 열이 파형 장공과 그 사이의 장홈에 의해, 굽고자 하는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어 흡수 될 수 있도록 한 구조에 의해, 고기의 맛을 좋게 하고, 그 질을 연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숯불 구이 판에 있어서,
    숯불이 고기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상기 숯불구이 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파형(波形)을 이루게 설치한 다수개의 장공; 및
    상기 파형 장공들의 사이마다 그 숯불구이 판의 하방으로 오목히 들어간 형태로 설치되어 고기를 구울시 발생되는 기름을 모여지게 한 다수개의 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 판.
KR2020020006000U 2002-02-28 2002-02-28 숯불구이 판 KR200284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00U KR200284172Y1 (ko) 2002-02-28 2002-02-28 숯불구이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000U KR200284172Y1 (ko) 2002-02-28 2002-02-28 숯불구이 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849A Division KR20030071241A (ko) 2002-02-28 2002-02-28 숯불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72Y1 true KR200284172Y1 (ko) 2002-07-31

Family

ID=7311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00U KR200284172Y1 (ko) 2002-02-28 2002-02-28 숯불구이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80B1 (ko) * 2014-11-26 2015-04-28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구이판
KR102389711B1 (ko) 2020-11-25 2022-04-22 손영길 고기 구이용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80B1 (ko) * 2014-11-26 2015-04-28 효성하나로 주식회사 구이판
KR102389711B1 (ko) 2020-11-25 2022-04-22 손영길 고기 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875B2 (en) Cooking grate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200284172Y1 (ko) 숯불구이 판
KR20140139860A (ko) 기름이 분리 배출되는 이중팬
KR1020591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238657Y1 (ko) 구이판
KR200234075Y1 (ko) 육류 구이판
KR20030071241A (ko) 숯불 구이판
KR200239785Y1 (ko) 고기구이판
KR200397294Y1 (ko) 구이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KR200252253Y1 (ko) 숯불구이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KR200379979Y1 (ko) 고기구이판
KR102230922B1 (ko) 구이판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KR102585935B1 (ko) 기름 배출과 열전달이 용이한 직화구이용 원형구이판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KR20110139468A (ko) 주름판식 구이판
KR200212904Y1 (ko) 육류 구이판
KR200252240Y1 (ko) 불판
KR200277101Y1 (ko) 숯불용 구이판
KR200241605Y1 (ko) 저면 환턱이 형성된 고기구이 판
KR200409879Y1 (ko) 구이판
KR200217696Y1 (ko) 고기구이 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