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002Y1 -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 Google Patents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002Y1
KR200282002Y1 KR2019960067378U KR19960067378U KR200282002Y1 KR 200282002 Y1 KR200282002 Y1 KR 200282002Y1 KR 2019960067378 U KR2019960067378 U KR 2019960067378U KR 19960067378 U KR19960067378 U KR 19960067378U KR 200282002 Y1 KR200282002 Y1 KR 200282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amplifier
signal
antenna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186U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67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0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002Y1/ko

Link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에 관한 것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주파수신호가 인가되는 스위칭 다이오드부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회로의 동작전압을 제공받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스위칭회로부 및 상기 안테나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증폭기를 가지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이득제어용 부스터회로에 있어서,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고주파이득 보상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전계 입력시에 스위칭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고역 감쇄 현상을 제거하여 전대역에 걸쳐 일정한 주파수이득을 얻는 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
본 고안은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폭기 회로의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 고용량의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귀환시켜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고주파이득을 보상하는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득 제어용 부스터는, 안테나를 통하여 약전계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회로 동작전압이 제공되어 스위칭회로부를 통하여 증폭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증폭시키고, 강전계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회로 동작전압이 차단되어 스위칭회로부의 동작을 차단하여 증폭부에 전류를 인가하지 못하므로 신호주파수를 증폭시키지 못하고 출력시킨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증래 기술에 의한 이득제어용 부스터를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부스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득 제어용 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는 스위칭 다이오드부(30)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을 제공받는 스위칭회로부(40)와, 상기 스위칭회로부(40) 및 상기 안테나(10)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증폭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테나(10)는 콘덴서(C1)를 통하여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와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 다이오드(D1)는 제2스위칭 다이오드(D2)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저항(R6, R7)을 통하여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콘덴서(C7)에 연결되는 동시에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며, 콘덴서(C7)는 접지된다.
한편, 상기 저항(R6)과 저항(R7)의 사이에는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이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컬렉터는 저항(R5)을 통하여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이미터와 바이패스 콘덴서(C6)가 동시에 연결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는 콘덴서(C1)를 통하여 안테나(10)의 신호가 연결되는 동시에 인덕터(L1)가 연결되고, 인덕터(L1)에는 저항(R1)과 콘덴서(C3)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컬렉터에는 인덕터(L3)과 저항(R4)를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B+)이 인가되고, 저항(R4)은 콘덴서(C4)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된다.
이때, 컬렉터에 연결되는 인덕터(L3)와 저항(R4)의 사이에는 콘덴서(C4)가 연결되어 출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인덕터(L2)가 연결된다.
이 인덕터(L2)는 저항(R3)에 연결되고, 저항(R3)에는 콘덴서(C2)와 저항(R2)이 각각 병렬 연결되어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에 공통으로 접지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의한 이득제어용 부스터회로의 동작을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신호가 스위칭 다이오드부(30)에 인가된다.
이때, 안테나(10)를 통하여 인가된 주파수가 약전계이면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역전압이 걸려 오프상태가 되고,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이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증폭기(TR2)는 온상태가 되어 컬렉터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저항(R5)를 통하여 증폭 신호를 증폭부(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는 안테나(10)를 통하여 제공받고 바이어스 전압(B+)을 인가받아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증폭된 신호는 콘덴서(C5)를 통하여 출력된다.
한편, 안테나(10)를 통하여 강전계의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가 온상태가 되고, 스위칭 회로 동작전압(CB+)은 오프상태가 되어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신호를 인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가 오프상태가 되므로 저항(R5)을 통하여 증폭부(20)에 전류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로는 안테나(10)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고, 바이어스전압((B+)을 인가받아도 오프상태가 되어 신호를 증폭시키지 못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신호주파수를 증폭되지 못하고 그대로 출력된다.
이때,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은 콘덴서(C7)를 통하여 바이패스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와 같이 약전계시 통과특성이 나타나고 강전계시 통과특성은 「나」 와 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득제어용 부스터의 회로는 강전계의 신호가 인가되면 신호를 증폭시키지 못하게 되어 고역의 주파수대역에서 이득이 낮아지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이득을 보상하는 고주파이득 보상회로를 갖는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부스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이득 조절용 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부스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이득 조절용 증폭기의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이득 보상용 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이득 보상용 증폭기의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20 : 증폭부
30 : 스위칭 다이오드부 40 : 스위칭 회로부
50 : 고주파이득 보상부 R1~R8 : 저항
L1, L2, L3 : 인덕터 C1~C7 : 콘덴서
D1 : 제1스위칭 다이오드 D2 : 제2스위칭 다이오드
TR1, TR2 : 트랜지스터 증폭기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고조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는,
입력신호의 제공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스위칭회로부의 출력을 인가받는 저항과, 상기 저항을 통하여 제공된 전류를 이미터를 통하여 인가받고 안테나를 통하여 제공된 입력신호를 베이스에 인가받으며 바이어스전압을 컬렉터에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 증폭기와, 이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득제어용 부스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의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컬렉터와 이미터사이에 고용량의 저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는 고주파이득 보상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주파수 대역에서 안정된 주파수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부스터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이득 보상용 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이득 보상용 증폭기의 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0)와, 상기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는 스위칭 다이오드부(30)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을 제공받는 스위칭회로부(40)와, 상기 스위칭회로부(40) 및 상기 안테나(10)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증폭기를 구비하는 증폭부(20)를 포함하는 이득제어용 부스터회로에 있어서,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고주파이득 보상부(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테나(10)는 콘덴서(C1)를 통하여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와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에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칭 다이오드(D1)는 제2스위칭 다이오드(D2)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저항(R6)과 (R7)을 통하여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콘덴서(C7)에 연결되는 동시에 출력단에 직접 연결되며, 콘덴서(C7)는 접지된다.
한편, 상기 저항(R6)과 저항(R7)의 사이에는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이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컬렉터는 저항(R5)을 통하여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 이미터와 바이패스용 콘덴서(C6)가 동시에 연결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는 콘덴서(C1)를 통하여 안테나(10)와 연결되는 동시에 인덕터(L1)가 연결되고, 인덕터(L1)에는 저항(R1)과 콘덴서(C3)가 각각 병렬 연결되어 접지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컬렉터에는 인덕터(L3)와 저항(R4)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B+)이 인가되고, 저항(R4)의 타단에는 콘덴서(C4)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된다.
이때, 인덕터(L3)와 저항(R4)의 사이에는 콘덴서(C5)가 연결되어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컬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을 타단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인덕터(L2)가 연결된다.
이 인덕터(L2)는 저항(R3)에 연결되고, 저항(R3)에는 콘덴서(C2)와 저항(R2)가 각각 병렬 연결되어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베이스에 공통으로 접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의 이미터는 고용량의 저항(R8)을 통하여 콘덴서(C4)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의 동작을 도 4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테나(10)를 통하여 주파수신호가 스위칭 다이오드부(30)에 인가된다.
이때, 안테나(10)를 통하여 인가된 주파수가 약전계이면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는 역전압이 걸려 오프상태가 되며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이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증폭기(TR2)는 온상태가 되어 컬렉터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저항(R5)를 통하여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는 안테나(10)을 통하여 신호를 제공받고 컬렉터를 통하여 바이어스전압(B+)을 인가받아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는 콘덴서(C5)를 통하여 출력된다.
한편, 안테나(10)를 통하여 강전계의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가 온상태가되고, 스위칭회로 동작전압(CB+)은 오프상태가 되어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베이스에 신호를 인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회로부(4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2)가 오프상태가 되므로 저항(R5)을 통하여 증폭부(20)에 전류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증폭부(20)의 트랜지스터 증폭기(TR1)는 안테나(10)를 통하여 베이스에 신호가 입력되고 컬렉터를 통하여 바이어스전압을 인가받아도 오프상태가 되어 신호를 증폭시키지 않는다.
이때,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30)의 제1스위칭 다이오드(D1)와 제2스위칭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신호주파수가 증폭되지 못하고 그대로 출력된다.
이때,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은 콘덴서(C7)를 통하여 바이패스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컬렉터에 걸리는 전압은 고용량을 가지는 저항(R8)을 통하여 귀환되므로 임피던스가 높은 트랜지스터 증폭기(TR2)의 이미터에는 역 누설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고역의 주파수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감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의 주파수특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전계가 인가될 경우는「가」와 같고 강전계가 입력될 경우는 「나'」와 같이 나타나게 되어 안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는, 신호를 인가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주파수 신호가 인가되는 스위칭 다이오드부와, 상기 스위칭 다이오드부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스위칭회로 동작전압을 제공받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스위칭회로부 및 상기 안테나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증폭기를 가지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이득제어용 부스터회로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의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컬렉터와 이미터사이에 고용량의 저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입력시 발생하던 고역감쇄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특정대역에 관계없이 일정한 주파수이득을 얻게되는 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신호의 제공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상기 스위칭회로부의 출력을 인가받는 저항과, 상기 저항을 통하여 제공된 전류를 이미터를 통하여 인가받고 안테나를 통하여 제공된 입력신호를 베이스에 인가받으며 바이어스전압을 컬렉터에 인가받아 입력신호를 증폭시키는 트랜지스터 증폭기와, 이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득제어용 부스터회로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이미터와, 상기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컬렉터에서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컬렉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콘덴서의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어 고역 감쇄 현상을 제거하는 고주파이득 보상용 저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이득 보상 부스터회로.
KR2019960067378U 1996-12-31 1996-12-31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KR200282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78U KR200282002Y1 (ko) 1996-12-31 1996-12-31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78U KR200282002Y1 (ko) 1996-12-31 1996-12-31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86U KR19980054186U (ko) 1998-10-07
KR200282002Y1 true KR200282002Y1 (ko) 2002-12-11

Family

ID=5400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378U KR200282002Y1 (ko) 1996-12-31 1996-12-31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0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541B1 (ko) * 2005-05-31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신호 감쇄 조절기능을 갖는 tv 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86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511B2 (en) Controllable attenuator
BR9909467A (pt) Comutador de antena
WO1999059243A1 (fr) Circuit a semi-conducteur
US4158814A (en) Automatic overload protection system
US6417734B1 (en) High-frequency amplifier circuit with negative impedance cancellation
US6163222A (en) Buffer amplifier with frequency selective mechanism
KR200282002Y1 (ko) 고주파이득보상부스터회로
JP2002217648A (ja) バイパス回路内蔵型増幅器
JP2000078046A (ja) ダイオ―ドによる増幅器バイパス回路
JP2606165B2 (ja) インピーダンス整合回路
JP3970454B2 (ja) 高周波アイソレーションアンプ
JP3020389B2 (ja) チューナ回路
US6388517B1 (en) Input change-over type amplifier and frequency change-over type oscillator using the same
JP2909671B2 (ja) 広帯域増幅器
JP3242707B2 (ja) チューナ回路
KR200203698Y1 (ko) 고주파 수신기의 전계보상회로
KR100190610B1 (ko) 자동 이득 제어 회로
JPH1188082A (ja) 増幅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3653495B2 (ja) 増幅器を高周波ケーブルに適合させる回路配列および上記回路配列の使用
KR100190608B1 (ko) 팔방식 고주파 변조모듈의 부스터단회로
JPH0983268A (ja) 高周波増幅器
JPH05291842A (ja) 電力回路
JPH08340226A (ja) Rfスイッチ機能付き増幅器
JP2020114007A (ja) 低雑音増幅装置
JPS63185211A (ja) モノリシツクマイクロ波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