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610B1 - 자동 이득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610B1
KR100190610B1 KR1019960018182A KR19960018182A KR100190610B1 KR 100190610 B1 KR100190610 B1 KR 100190610B1 KR 1019960018182 A KR1019960018182 A KR 1019960018182A KR 19960018182 A KR19960018182 A KR 19960018182A KR 100190610 B1 KR100190610 B1 KR 10019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gain control
tuner
input
pin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512A (ko
Inventor
이용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1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610B1/ko
Publication of KR97007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이득제어전압으로 감쇠기 및 증폭기를 제어할뿐만아니라 최대감쇠시에 증폭기의 이득을 다시 조절하여 최대의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이득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튜너의 입력동조회로와 안테나단사이에 구비되어, 수신된 고주파신호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튜너에서의 감도저하 및 포화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이득 제어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치증폭기 D1 : 핀다이오드
Q1 : 트랜지스터 L1, L2 : 고주파차단코일
R-~R7 : 저항 C1, C2 : 콘덴서
12 : 구동회로부
본 발명은 자동이득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이득제어전압으로 감쇠기 및 증폭기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최대감쇠시에 증폭기의 이득을 다시 조절하여 최대의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이득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파를 타고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텔레비젼의 영상수신회로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채널을 선국수신하고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된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신호증폭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검파된 영상신호의 이득에 따라 튜너 및 영상신호증폭부의 증폭도를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수신회로에 있어서 튜너는 안테나단에 연결되어 선국된 채널 주파수 대역에 동조하는 입력동조부와, 상기 입력동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자동이득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득제어전압에 따른 증폭도(즉, 검파된 영상신호의 전압레벨이 높으면 증폭도를 낮추고, 검파된 영상신호의 전압레벨이 낮으면 증폭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절)로써 증폭하는 고주파증폭부와, 상기 고주파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고주파신호를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일정 대역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변환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검파된 영상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서 단지 튜너의 고주파증폭부의 이득만을 조절하여, 수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때문에, 수신된 고주파신호가 강전계일경우 상기 증폭기에 포화현상이 발생하거나 약전계신호일경우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비선형적인 특성으로 인해 이득조절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감쇠기 및 전치 증폭기를 구비하여 자동이득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감쇠기의 감쇠비와 전치증폭기의 증폭비를 동시조절함으로써 튜너의 감도특성 및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도록 튜너의 전단에 구비되는 자동이득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안테나와 튜너의 입력동조회로사이에 구비되는 자동이득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튜너로 입력되는 이득제어전압을 입력받아 감쇠수단 및 증폭수단에 동시에 감쇠 및 증폭도를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안테나로 수신된 고주파신호의 레벨을 감쇠시키는 감쇠수단과,
상기 감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득제어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로써, 그 음(-)극이 안테나단자에 연결되며, 또한 직렬구성되는 코일(L1) 및 저항(R1)을 통해 접지되도록 연결된 핀다이오드(D1)와, 상기 핀다이오드(D1)의 양(+)극에 콘덴서(C1)을 통해 그 입력측이 연결되고, 그 출력측은 입력동조부(도시생략)에 연결되는 전치증폭기(11)와, 상기 핀다이오드(D1)의 양(+)극과 그라운드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고주파차단을 위한 코일(L2), 상기 핀다이오드(D1)의 전류제어를 위한 저항(R3) 및 전원전압에 포함된 교류를 바이패스하기 위한 콘덴서(C2)와, 튜너의 고주파증폭부(도시생략)로 인가되는 이득제어전압(AGC전압)이 저항(R6)를 통해 그 베이스에 인가되고, 그 콜렉터에 전원(B+)을 인가받고, 그 에미터는 저항(R5)를 통해 상기 저항(R3)과 콘덴서(C2)의 접점에 연결되며 또한, 저항(R4)를 통해 상기 전치증폭기(11)의 이득제어신호입력단에 연결되면서 또 저항(R7)을 통해 접지되도록 구성된 트랜지스터(Q1)을 구비한 구동회로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 안테나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수신신호를 핀다이오드(D1)의 음극으로 입력되고, 구동회로부(12)로부터 저항(R3) 및 코일(L2)을 통해 제어신호(전압)을 인가받아서 상기 핀다이오드(D1)에 걸린 역전압에 의하여 나타나는 저항값에 비례아ㅎ여 감쇠된 신호가 핀다이오드(D1)의 양극측에 나타난다. 상기 감쇠된 고주파 신호는 직류차단용 바이패스 콘덴서(C1)를 통해 전치증폭기(11)로 입력되어, 핀다이오드(D1)과 동시에 구동회로부(12)로부터 저항(R4)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전압)에 따른 이득만큼 증폭된 후, 튜너의 입력동조회로(미도시)로 출력된다.
상기에서, 구동회로부(12)는 튜너로 인가되는 자동이득제어전압(VAGC)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받는다. 이에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는 저항(R6)를 통해 인가된 그 베이스전압에 비례한 전압(V2)이 나타난다. 상기 전압 V2는 감쇠 및 증폭의 제어전압이다.
상기 전압(V2)은 핀다이오드(D1)의 양(+)극에 인가되는데, 상기 핀다이오드(D1)의 음극으로는 저항(R1)과 저항(R2)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V1)이 걸려 있어, 이 핀다이오드(D1)에는 음극전압(V1)을 기준으로 양극전압(V2)에 따라서 역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역전압에 비례하여 저항성분이 커진다. 그러므로, 양극전압(V2)를 크게할수록, 핀다이오드(D1)이 역전압이 작아지면서 감쇠비도 낮아지고, 양극전압(V2)가 작아질수록 역전압이 커지면서, 감쇠비는 높아진다.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나타나는 전압(V2)는 저항(R4)를 통해 전치증폭기(11)의 이득제어신호입력단에 인가되므로, 전치증폭기(11)는 상기 전압(V2)에 비례하여 이득을 갖게 되고, 그러므로 상기 전압(V2)가 커질수록 전치증폭기(11)의 증폭도는 높아지고, 상기 전압(V2)가 낮아질수록 전치증폭기(11)의 증폭도도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핀다이오드(D1)이 최대 감쇠비를 갖는 경우, 즉, 상기 핀다이오드(D1)이 차단상태일때에,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연결된 저항(R5)에 흐르는 전류는 아주 미소한 값을 갖게되는데, 상기 핀다이오드(D1)이 차단상태가 되므로, 그 미소전류는 저항(R7)로 흘러, 전치증폭기(11)의 이득제어신호입력단에 인가되는 제어전압은 더욱 낮아진다. 그 결과, 전치증폭기(11)의 증폭도가 더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강전계의 고주파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핀다이오드(D1)에 의한 감쇠비를 높이면서, 추가로 전치증폭기(11)의 증폭도를 더 낮추어 더 효과적인 신호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튜너로 입력되기 전에, 튜너로 인가되는 자동이득제어전압에 의하여 고주파수신신호를 감쇠 및 증폭시킴으로써, 튜너의 고주파증폭부에서 자동이득제어와는 독립된 이득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주파증폭부에서의 이득제어외에 별도로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자동이득제어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인하여 튜너의 신호특성 및 감도특성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안테나와 튜너의 입력동조회로사이에 구비되는 자동이득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튜너로 입력되는 이득제어전압을 입력받아 감쇠수단 및 증폭수단에 동시에 감쇠비 및 증폭도를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안테나로 수신된 고주파신호의 레벨을 감쇠시키는 감쇠수단과,
    상기 감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증폭시키는 증폭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이득제어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수단은
    그 일단이 안테나에 연결되는 핀다이오드(D1)와,
    상기 핀다이오드의 안테나와 연결된 일단과 그라운드사이에 구비되는 직렬구성된 코일(L1) 및 저항(R1)과,
    상기 직렬연결된 코일(L1)과 저항(R1)의 접점과 전원(B+)단사이에 구비되는 저항(R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득제어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튜너로 인가되는 이득제어전압이 저항을 통해 그 베이스단에 입력되고 그 콜렉터단은 전원(B+)단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저항(R4)를 통해 증폭수단의 이득제어신호입력단에 연결되고, 또한 직렬구성된 저항(R3) 및 고주파 차단 코일(L2)를 통해 상기 핀다이오드(D1)의 양극에 연결되는 저항(R5)와,
    상기 저항(R5) 및 상기 증폭수단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저항(R4)의 접점과 접지사이에 구비되는 고임피던스 저항(R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득제어회로.
KR1019960018182A 1996-05-28 1996-05-28 자동 이득 제어 회로 KR10019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182A KR100190610B1 (ko) 1996-05-28 1996-05-28 자동 이득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182A KR100190610B1 (ko) 1996-05-28 1996-05-28 자동 이득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12A KR970078512A (ko) 1997-12-12
KR100190610B1 true KR100190610B1 (ko) 1999-06-01

Family

ID=1945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182A KR100190610B1 (ko) 1996-05-28 1996-05-28 자동 이득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61B1 (ko) * 2000-03-28 2009-05-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KR101448811B1 (ko) * 2008-01-24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61B1 (ko) * 2000-03-28 2009-05-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KR101448811B1 (ko) * 2008-01-24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12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7486A2 (en) Amplifier circuit and multistage amplifier circuit
US4393513A (en) Input signal level control device for receiver
US6111466A (en) Amplifier with feedback to provide bias adjustment
US5884153A (en) Delaye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229707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7548116B2 (en) High-frequency circuit of reduced circuit scale
KR100190610B1 (ko) 자동 이득 제어 회로
JP3335079B2 (ja) Agc回路
US7345556B2 (en) Variable attenuation circuit having large attenuation amount with small circuit size
US4048569A (en) Receiver automatic gain control system
US3823379A (en) Televis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ry providing for compatible control of vhf tuner and uhf tuner
EP0232560A1 (en) UHF amplifier-mixer circuit
US5243300A (en) High frequency amplifying apparatus
JPS6046133A (ja) ラジオ受信機
JP3761298B2 (ja) 受光回路
KR100254882B1 (ko) 에스. 엔. 비가 개선되는 알. 에프. 자동이득제어기
JPH0718192Y2 (ja) テレビチューナ
KR100254881B1 (ko) 2입력 형태의 알.에프.자동 이득제어기
KR19990058812A (ko) 자동 레벨 제어 장치
KR810001211B1 (ko) 블랭커 억제회로
JPH021944Y2 (ko)
KR960012499B1 (ko) Catv 튜너의 rf 앰프의 agc 회로
KR930000649Y1 (ko) Tv세트의 비트발생 및 새튜레이션 발생 억제회로
KR0153853B1 (ko) 영상기기용 튜너
JPS6453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