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961B1 -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 Google Patents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961B1
KR100895961B1 KR1020027012776A KR20027012776A KR100895961B1 KR 100895961 B1 KR100895961 B1 KR 100895961B1 KR 1020027012776 A KR1020027012776 A KR 1020027012776A KR 20027012776 A KR20027012776 A KR 20027012776A KR 100895961 B1 KR100895961 B1 KR 10089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antenna
diodes
impedan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104A (ko
Inventor
라단트한스요하임
슐체랄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2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3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continuously variable impedance elements
    • H03G1/0052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continuously variable impedance elements using diodes
    • H03G1/0058PIN-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3F1/56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indu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24Frequency- independent attenuators
    • H03H7/25Frequency- independent attenuators comprising an element controlled by an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
    • H03H7/253Frequency- independent attenuators comprising an element controlled by an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 the element being a diode
    • H03H7/255Frequency- independent attenuators comprising an element controlled by an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 the element being a diode the element being a PIN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22A circuit being added at the in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in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4Diode used as protection means in an amplifier, e.g. as a limiter or as a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Attenu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용 안테나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테나 증폭기는 신호 증폭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PIN 다이오드를 구비한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뿐 아니라, 이 조정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증폭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안테나 증폭기는 주변 온도(여름/겨울)의 매우 높은 온도 차이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보상하며, PIN 다이오드 접속점은 최적화되며 제어 영역은 최대화된다.
Figure R1020027012776
안테나 증폭기, 신호 증폭기, PIN 다이오드, 조정 소자

Description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Controllable adjusting element and antenna amplifier}
본 발명은 신호 증폭기, 제어 증폭기 및 임피던스의 정합과 안테나 신호 감쇠를 위한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adjusting element)를 포함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가 불량하게 정합되거나 및/또는 낮은 안테나 효율을 갖는 경우, 이동식 수신을 위한 무선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되는 초단파(FM) 안테나 증폭기는 공지되어 있다. 송신기 근처에서의 수신 시에 안테나 증폭기와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카오디오에는 매우 높은 레벨이 발생한다. 상기의 높은 레벨은 상호변조(intermodulation)를 야기하며, 이러한 상호변조는 상호변조의 적(product)의 주파수가 선택된 수신 채널과 일치하면 수신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방해를 막기 위해 레벨 조정 소자를 구비한 안테나 증폭기가 증폭기 입력(amplifier input)에 이용된다. 이것은 설정된 제어 문턱값(control threshold)에 도달하면, 비록 입력 레벨이 계속해서 높아지더라도, 즉 계속해서 증가하더라도, 조정 소자 출력에서의 레벨과 상호변조의 적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오직 회로 내에 실현된 제어 영역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제어 영역을 넘어서면 출력 레벨이 입력 레벨과 동일한 정도로 증가한다.
전술한 특징들을 가지는 증폭기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특히 상기 증폭기들은 미국 수출용 자동차에 이용된다. 공지된 증폭기들은 다음과 같은 근본적 단점을 갖는다:
제어되는 출력 레벨의 값은 주변 온도에 심하게 의존한다. 또한 제어 영역, 즉 입력 레벨이 증가할 때, 출력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다.
주변 온도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해, 안테나 증폭기에 예컨대 -40℃의 온도가 발생할 수 있는 추운 겨울과, 안테나 증폭기의 온도가 대략 90℃로 증가할 수 있는 더운 여름에 제어되는 출력 레벨이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큰 신호 영역(large-signal range)을 통과할 때, 수신 시스템의 특성은 계절에 의존한다.
불충분한 제어 영역이라는 것은 입력 레벨이 조정 소자 내부에서 단지 몇 데시벨 정도 감쇠됨을 의미한다. 그럼으로써 상호변조가 약간만 억제되기 때문에 수신이 개선되지 않는다.
도 5는 출력 레벨이 제어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안테나 증폭기는 신호 증폭기(V), PIN 다이오드(PIN)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RS), 안테나 신호를 위한 입력(HF-E) 및 증폭된 신호를 위한 출력(HF-A)을 구비한 안테나 어댑터(A)(antenna adapter)를 포함하고 있다. 신호 증폭기(V)의 출력신호로부터, 출력의 작은 부분이 정류기(Dg, Rg, Cg)로 분기된다. 정류 전압(Ug)은 제어 회로(RS)에 있어서 제 1 연산 증폭단(OP1)(operating amplifier stage)에서 증폭되며, 제 2 단(OP2)에서 적분된다. 출력 신호는 PIN 다이오드(PIN)를 제어하며, 이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양의 전압에 접속되며, 고주파로 커패시터를 통해 접지에 접속된다. 상기 다이오드(PIN)는 만약 완전히 도통된다면, 고주파 전압을 접지로 단락시킨다. 온도 의존성은 고주파 정류기의 다이오드(Dg) 내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순방향 전압의 큰 변동 영역이 기능결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어 문턱값의 크기는 발생하는 정류 전압이 온도에 기인한 순방향 전압의 변동 영역에 비해 크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공지된 증폭기 장치의 해결책은 출력 전압이 높은 직렬 공진회로(Ls/Cs)의 고전위점에서 픽 오프(pick off)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전압은 높은 임피던스로 인해 증폭기 출력 부근에서보다 높다. 그러나 그런 다음 정류기의 다이오드(Dg)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며, 그 곳에서 상기 전압은 상호변조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영역의 크기 및 그로 인한 PIN 다이오드(PIN)에 의해 달성 가능한 최대 감쇠는 안테나 임피던스에 의존하며,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는 PIN 다이오드(PIN)와 더불어 분압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분압기의 비율은 안테나 신호의 높은 감쇠를 야기할 수 있을 만큼 커야만 한다. 이것은 안테나의 높은 소스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지만, 그러나 상기의 임피던스는 매우 강하게 주파수에 의존하여 변한다. 임피던스의 변동과 더불어 PIN 다이오드 전류가 최대일 때 생성되는 감쇠의 주파수 응답 또한 불균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기재한 유형의 안테나 증폭기와 안테나 신호를 정합시키는 회로를 생성하여, 제어 영역내의 상호변조의 간격(separation)을 확대시키고, 제어되는 출력 레벨의 주변 온도에의 의존성을 확실히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조정 소자 및 청구항 제 6 항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 어댑테이션(antenna adaptation)은 적어도 하나의 PIN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정 소자에서 2단계로 실행된다. 제 1 단계에서는 모듈로 구현된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에서 PIN 다이오드에 대한 안테나의 어댑테이션이 실행되며, 이의 목적은 적은 주파수 응답으로 가능한 한 큰 감쇠를 달성하는 것이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2 어댑테이션 회로 내에 직렬로 접속된 제 2 모듈 내 증폭기의 임피던스에 대한 정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PIN 다이오드는 병렬 또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이오드가 병렬로 접속된 경우, 안테나 임피던스는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에 의해 고저항(high-resistance) 영역으로 변환된다. 다이오드가 직렬로 접속된 경우, 안테나 임피던스는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에 의해 저저항(low-resistance) 영역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에서 상기 안테나 증폭기는 신호 증폭기, 안테나 임피던스를 상기 신호 증폭기 임피던스에 정합시킬 뿐 아니라 안테나 신호를 감쇠하기 위한 조정 소자 및 제어 증폭기를 포함하며, 조정 소자의 PIN 다이오드는 제어 증폭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신호 증폭기의 출력에 인가되는 고주파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는 제어 증폭기에는 정류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류기는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 온도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의 2개의 다이오드들은 열적으로 상호간에 접속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정류기에서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은 공통의 지지 소자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PIN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정 소자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PIN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정 소자의 블록 회로도.
도 3은 PIN 다이오드의 병렬 접속 및 직렬 접속을 위한 PIN 다이오드 및 안테나의 복합 반사 팩터.
도 4는 비례- 내지 적분-정류기-제어 증폭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
도 5는 선행기술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
조정 소자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하나의 PIN 다이오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국한된다. T- 또는 Pi-소자 또는 세미 소자로서 장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PIN 다이오드에 비해 하나의 PIN 다이오드가 갖는 장점은 제어가 단순하다는 것이다. 다만 조정 소자 내 하나 이상의 PIN 다이오드의 이용은 배제되지 않으며, 이 경우 PIN 다이오드들의 전류는 상하로 상호간에 일치되어야 하며, 그리고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들은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에 대하여 180°위상변위 되면서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하나의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해결 방법에 비해 제어가 더 복잡해진다.
도 1은 안테나 임피던스(ZA)를 가지는 안테나(1)와 입력 임피던스(ZV)를 갖는 안테나 증폭기(3) 사이의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2)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조정 소자(2)는 병렬로 접속된 PIN 다이오드(4)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오드(4)의 전방 내지 후방에 각각 어댑테이션 시스템(5 내지 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소자(2)는 제어 입력(7)을 포함한다. 안테나 증폭기(3)의 임피던스(ZV)에의 안테나 임피던스(ZA)의 정합은 2개의 단계를 거치는데, 즉 PIN 다이오드(4)의 임피던스(ZPP)에 정합하기 위해 안테나 임피던스가 제 1 중간 임피던스(ZAP*)로 변환되는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5)과, PIN 다이오드(4)를 안테나 증폭기(3)의 임피던스(ZV)에 정합하기 위해 제 1 중간 임피던스(ZAP*)가 제 2 중간 임피던스(ZV*)로 변환되는 제 2 어댑테이션 시스템(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낮은 주파수 응답을 이용한 최대 감쇠를 위해 안테나 임피던스(ZA)는 도 1 내의 병렬 PIN 다이오드(4)에서 실제 축선에 대해 대칭이 되는 방식으로 고저항 영역으로 변환되어야 한다(ZAP*).
도 3은 병렬 접속시에 PIN 다이오드 임피던스(ZPP)에 접속된 증폭기의 변환된 입력 임피던스(ZV*)로부터 도 3에서는 ZPP//ZV*로서 생성되는 그러한 임피던스에 대하여 실례에 따른 안테나 임피던스 곡선(ZAP*)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임피던스비(impedance ratio)의 경우, 만약 다이오드(4)가 스위치 온 되면, 임피던스(ZAP*)를 가지는 일정 전류원과 임피던스(ZPP//ZV*)를 갖는 부하간의 부정합이 최대이며, 그리고 출력 파워(output power)는 최소이다. 감쇠 최대값은 전송 주파수 영역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러한 조치로 전체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은 감쇠되지 않은 경우에도 계속 균일할 뿐 아니라(이러한 점은 두 어댑테이션 모듈 모두가 공동으로 야기한다), 앞서 기술한 감쇠된 경우에도 계속해서 균일하다. 화살표들로 명시된 중심 주파수의 도면 부호는 (fm)이다.
도 2는 PIN 다이오드(4)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또한 조정 소자(2)는 안테나(1)와 증폭기(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조정 소자(2)는 PIN 다이오드(4)에 안테나 임피던스(ZA)를 정합시키는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5)과 증폭기 임피던스(ZV)에 PIN 다이오드(4)를 정합시키는 제 2 어댑테이션 시스템(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소자(2)는 제어 입력(7)을 포함하며, 이 제어 입력은 인덕터(8)를 통해 다이오드(4)의 애노드와 접속된다. 캐소드 측면에 있어서는 추가의 인덕터(9)가 접지와 접속된다.
직렬 접속시에 다이오드(4)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도 그때 그때의 임피던스비에 따르는 자신의 최종 컨덕턴스로 인해 적어도 0.5 ~ 2 dB의 신호 감쇠를 야기하며, 그로 인해 신호/노이즈비를 동일한 값만큼 악화시킨다. 다른 한편, 일반적으로 병렬접속시 보다 높은 감쇠값은 PIN 다이오드(4)가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 달성된다.
직렬의 경우, 최대 감쇠는 다이오드(4)가 차단된 경우 달성된다. 그러므로, 직렬 PIN 다이오드(4)의 스위치 오프시 최대 감쇠를 위해 안테나 임피던스(ZA)는 실제 축선에 대해 대칭이 되는 방식으로 저저항 영역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더욱이 도 3에서 실례에 따라 변환된 안테나 임피던스(ZAS*)는 직렬 접속시 도 2의 직렬의 경우에 PIN 다이오드 임피던스(ZPS)와 변환된 증폭기 입력 임피던스(ZV*)로부터 생성된 임피던스, 즉 ZPS + ZV*에 대조된다. 도시된 임피던스비에 있어서, 만약 다이오드(4)가 스위치 오프 상태라면, 임피던스(ZAS*)를 가지는 소스와 임피던스(ZPS + ZV*)를 가지는 부하간의 부정합은 최대이며 결과적으로 출력 파워는 최소이다.
증폭기(3)가 접속되는 경우, 입력 임피던스는 병렬 PIN 다이오드(4)에서 뿐 아니라, 직렬 PIN 다이오드(4)에서 달성 가능한 최대 감쇠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입력 임피던스는 병렬 접속시에는 PIN 다이오드 임피던스에 비해 크며, 직렬 접속시 PIN 다이오드 임피던스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다수개의 PIN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조정 소자를 이용할 경우에 몇몇 다이오드들의 전류가 상호간에 일치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 마지막으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는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에 대하여 180°위상변위 되면서 제어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용을 증가하며, 그로 인해 차량 안테나 증폭기들의 경우 하나의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만을 이용하는 해결방법이 선호된다. 다수 개의 PIN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회로의 경우는 Pi-소자 또는 T-소자 또는 Pi 또는 T-세미 소자가 고려될 수도 있다.
도 4는 신호 증폭기(3), 제어 증폭기(10) 및 조정 소자(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조정 소자(2)의 PIN 다이오드(4)는 제어 증폭기(1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의 안테나 증폭기는 안테나의 신호용 입력(HF-E)(도시되어 있지 않음)뿐 아니라 증폭된 신호를 위한 출력(HF-A)을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도 4의 제어 증폭기(10)에 있어서 상부에 저항(R2)은 접속되지만 커패시터(C2)는 접속되지 않은 경우가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증폭기(10)는 비례-정류기-제어 증폭기로서 기능한다. 연산 증폭기(OP)는 4개의 저항 소자들(R1, R2, R1*, R2*)과 함께, 입력측(E2)에 입력 전압(U1)을 갖고, 입력측(E1)에 합전압(U1 + Uref)을 갖는 감산기를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항 소자들(R1과 R1*) 및 저항 소자들(R2와 R2*)은 동일하다. 제어 문턱값 이하의 연산 증폭기(OP)의 출력 전압(Ua)의 경우, 만약 상기의 연산 증폭기(OP)에 접지 변위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작동 전압이 인가된다면, Ua = - Uref ·(R2/R1)이다. 오직 양의 작동 전압에서 Ua = 0 Volt이다. 2개의 다이오드들(D1과 D2)은 연산 증폭기(OP)의 입력에 직렬로 접속되는 전압원을 나타낸다. 상기의 2개의 다이오드에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유휴 전류(quiescent current)가 흐르는데, 상기 유휴 전류는 실제로 Uref가 U1에 비해 작은 전압(U1과 Uref)과 저항(Rg)에 의해 결정된다. 열적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D1과 D2)은 동일한 하우징 내부에 또는 동일한 칩 상에 위치하며, 그로 인해 거의 동일한 온도계수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주변 온도가 변화할 경우에 다이오드들(D1, D2)의 순방향 전압은 동일한 정도로 변화한다. 출력 전압은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증폭기(3)의 출력에서 출력된 고주파 전압(UHF)은 다이오드(D1)에서 정류 전압(UR)을 생성하며, 이 정류 전압은 계수(R2/R1)에 의해 증폭된다. 제어 문턱값은 저항(Rref)을 이용하여 조정되며, - UR > Uref가 될 때에 비로소 연산 증폭기(OP)의 양의 출력 전압이 생성되며- 그로 인해 PIN-다이오드(4)를 흐르는 전류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어 특성곡선의 기울기는 저항비(R2/R1)에 의해 조정된다. 제어 특성곡선의 기울기는 제어 영역 내에서 고주파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고주파 출력 전압의 상승에 대한 기준이다. 이러한 제어 원리에서 표준 편차는 획득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그러나 제어는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는데, 왜냐하면 오직 고주파 정류기 내 커패시터(Cg)이 충전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만약 도 4에 따른 안테나 증폭기에서 내부의 저항 소자(R)에 제어 증폭기(10)가 아니라 커패시터(C2)가 접속되어 있다면, 적분-정류기-제어 증폭기(10)를 가지는 안테나 증폭기가 제공된다. 적분기 내에서는 정류 전압이 아래의 공식에 따라 적분 및 증폭된다:
Figure 112008066420910-pct00006
상기 적분기는 표준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즉, 이는 안테나 증폭기의 제어되는 출력 레벨이 제어 영역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적분-정류기-제어 증폭기(10)의 출력 전압은 고주파 레벨의 경우 제어 문턱값 이하에서 Ua = 0V에 위치한다. 제어되는 출력 전압의 값은 Uref를 이용하여 조정되며, - 차이(Uref-UR)가 양의 값을 제공할 때 비로소, 연산 증폭기(OP)의 출력 전압 또한 양의 값이 되며 그리고 PIN 다이오드(4)를 통과하는 전류가 생성된다.
저항(Rv)은 정류기로 분기되는 출력을 감소시키며, 그로 인해 상호변조 왜곡율을 개선시킨다.

Claims (11)

  1. 안테나(1) 임피던스(ZA)를 신호 증폭기(3)의 임피던스(ZV)에 정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PIN 다이오드(4)를 포함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2)에 있어서,
    상기 조정 소자(2)는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ZA)를 상기 PIN 다이오드(4)의 임피던스(ZPS, ZPP)에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를 제 1 중간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5)과, 상기 PIN 다이오드(4)의 상기 임피던스를 상기 증폭기(3)의 상기 임피던스(ZV)에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중간 임피던스를 제 2 중간 임피던스로 변환하는 제 2 어댑테이션 시스템(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IN 다이오드(4)는 병렬 또는 직렬 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4)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ZA)는 상기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5)에 의해 고저항 영역(ZAP*)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4)가 직렬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ZA)는 상기 제 1 어댑테이션 시스템(5)에 의해 저저항 영역(ZAS*)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소자(2)는 Pi- 또는 T-소자 또는 Pi- 또는 T-세미 소자들로서 다수의 PIN 다이오드들(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6. 신호 증폭기(3), 안테나 임피던스(ZA)를 상기 신호 증폭기의 임피던스(ZV)에 정합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정 소자(2), 및 상기 조정 소자(2)를 제어하는 제어 증폭기(10)를 포함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증폭기(10)는 정류 전압을 처리하기 위한 정류기와 상기 정류 전압을 증폭시키는 연산 증폭기(O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제어 증폭기(10)의 상기 연산 증폭기(OP)는 4개의 저항들(R1, R2, R1*, R2*)과 함께, 상기 제어 증폭기의 제 2 입력측(E2)에 제 1 입력 전압(U1)을 갖고, 상기 제어 증폭기의 제 1 입력측(E1)에 제 2 입력 전압(U1+Uref)을 갖는 감산기를 구성하며,
    -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들측에 직렬로 접속되고, 각 다이오드에는 동일한 크기의 유휴 전류(quiescent current)가 흐르고, 상기 유휴 전류는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의 입력 전압들(U+, U-)과 저항들(Rg)에 의해 결정되며,
    -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은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이 동일한 온도 계수를 갖도록 기계적 방식으로 열적 결합되며,
    - 상기 증폭기(3)의 출력측에서 출력된 HF 전압(UHF)은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 중 한 다이오드(D1)에서 계수(R2/R1)에 의해 증폭되는 정류 전압(UR)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9.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연산 증폭기(OP)는 3개의 저항들(R1, R1*, R2*) 및 커패시터(C2)와 함께, 상기 제어 증폭기(10)의 제 1 입력측(E1)에 입력 전압(U1)을 갖고, 상기 제어 증폭기(10)의 제 2 입력측에 제 2 입력 전압(U1+Uref)을 갖는 적분 감산기를 구성하며,
    -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입력들측에 직렬 접속되고, 각 다이오드에는 동일한 크기의 유휴 전류가 흐르고, 상기 유휴 전류는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의 입력 전압들(U+, U-) 및 저항들(Rg)에 의해 결정되며,
    -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D1, D2)은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이 동일한 온도 계수를 갖도록 기계적 방식으로 열적 결합되며,
    - 상기 신호 증폭기의 출력측에서 출력된 HF 전압(UHF)은 상기 2개의 다이오드들 중 한 다이오드(D1)에서 계수(R2/R1)에 의해 증폭되는 정류 전압(UR)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증폭기는 상기 2개의 다이오드의 유휴 전류를 설정하는 저항(Rr)과 제어 문턱값을 설정하는 저항(Rre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제어 증폭기(10)로 분기되는 출력을 감소시키는 저항(Rv)을 포함하는, 이동식 초단파(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증폭기.
KR1020027012776A 2000-03-28 2001-03-09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KR100895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5315.1 2000-03-28
DE10015315.1A DE10015315B4 (de) 2000-03-28 2000-03-28 Antennenverstärker und regelbares Stellglied
PCT/DE2001/000882 WO2001073946A1 (de) 2000-03-28 2001-03-09 Antennenverstä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104A KR20030022104A (ko) 2003-03-15
KR100895961B1 true KR100895961B1 (ko) 2009-05-07

Family

ID=763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76A KR100895961B1 (ko) 2000-03-28 2001-03-09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3682B2 (ko)
EP (1) EP1275202A1 (ko)
JP (1) JP2003529267A (ko)
KR (1) KR100895961B1 (ko)
CN (1) CN1255944C (ko)
DE (1) DE10015315B4 (ko)
WO (1) WO20010739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59B1 (ko) 2011-07-28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0656A1 (de) * 2007-05-07 2008-11-12 Sick Ag Dämpungsglied mit PIN-Dioden für optischen Entfernungsmesser
EP2099092A1 (en) * 2008-03-04 2009-09-09 Bury Sp.z.o.o A method of transmission of a satellite positioning signal from an external antenna to an unexposed receiver, especially in mechanical vehicles, and a device, which is adapted to use this method
DE102012200265A1 (de) * 2012-01-10 2013-07-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mpfang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m Antennensystem
CN104953959B (zh) * 2015-06-05 2018-06-19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简易稳定放大器
EP3619815B1 (fr) * 2017-05-05 2021-07-21 STMicroelectronics SA Procédé de contrôle de l'adaptation d'une antenne à un chemin de transmission, et dispositif correspond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561A (en) * 1970-02-24 1971-11-30 Ben H Tongue Broadband aperiodic attenuator apparatus
EP0078100A2 (en) * 1981-10-27 1983-05-04 British Gas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al gasification plant
KR100190610B1 (ko) * 1996-05-28 1999-06-01 이형도 자동 이득 제어 회로
JPH11177361A (ja) * 1997-12-10 1999-07-02 Nec Corp Agcアンプ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1522A (en) 1971-12-17 1974-04-02 Du Pont Coating composition of a silicone fluid,a silicone resin and a zirconium silicate hardening agent
US3801922A (en) * 1972-08-21 1974-04-02 Gte Sylvania Inc Rf amplifier control system
JPS6130114A (ja) * 1984-07-20 1986-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ユ−ナ−装置
JPS6361824A (ja) * 1986-08-30 1988-03-18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3156078B2 (ja) * 1989-07-14 2001-04-16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テレビ受信用増幅器
JPH07118617B2 (ja) * 1990-07-19 1995-12-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及び送信装置
EP0506333B1 (en) 1991-03-26 1997-08-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Window glass antenna system for automobile
JPH05300043A (ja) * 1992-04-22 1993-11-12 Pioneer Electron Corp アッテネータ回路
FR2714548B1 (fr) 1993-12-23 1996-03-15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mplificateur à correction de tension de décalage.
DE19547602A1 (de) 1995-12-20 1997-06-26 Sel Alcatel Ag Breitbandverstärkereinheit und Sende-/Empfangseinheit für ein Breitbandkommunikationssystem
DE19644339C1 (de) * 1996-10-25 1998-06-1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Transformation einer Antennenimpedanz
SE508506C2 (sv) * 1997-02-25 1998-10-12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telekommunikation
DE69817016T2 (de) * 1997-12-05 2004-06-09 Thomson Licensing S.A., Boulogne Vhf/uhf antenne mit abstimmanordnung und automatischer verstärkungsregelung
JP2000022466A (ja) * 1998-06-29 2000-01-21 Harada Ind Co Ltd 可変減衰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561A (en) * 1970-02-24 1971-11-30 Ben H Tongue Broadband aperiodic attenuator apparatus
EP0078100A2 (en) * 1981-10-27 1983-05-04 British Gas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al gasification plant
KR100190610B1 (ko) * 1996-05-28 1999-06-01 이형도 자동 이득 제어 회로
JPH11177361A (ja) * 1997-12-10 1999-07-02 Nec Corp Agcアンプ制御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059B1 (ko) 2011-07-28 2013-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5944C (zh) 2006-05-10
KR20030022104A (ko) 2003-03-15
DE10015315B4 (de) 2015-02-05
WO2001073946A1 (de) 2001-10-04
DE10015315A1 (de) 2001-10-04
JP2003529267A (ja) 2003-09-30
CN1421069A (zh) 2003-05-28
US20030160655A1 (en) 2003-08-28
US7253682B2 (en) 2007-08-07
EP1275202A1 (de)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83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load mismatch, and a radio device utilizing the same
US7408413B2 (en) Circuit for accurately controlling power amplifier output power
US6262630B1 (en) Rapidly-responding diode detecto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US103203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a low noise amplifier
US5392464A (en) Directional detector for power level control
CN101036288B (zh) 双重偏置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US4367443A (en) Radio frequency signal power amplifier
KR100665590B1 (ko) 전력 증폭기 회로와 안정화기 회로를 구비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트랜시버 단말기
US5678209A (en) Transmit power level detection circuit with enhanced gain characteristics
US20040108902A1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electric parts and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US5914640A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the input impedance of an RF amplifier an antenna to impedance
US20030011434A1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for cellular telephones
US8180306B2 (en) VSWR compensation circuits for RF transmit chain
JPH06177780A (ja) 送信出力安定回路
EP0601888B1 (en) Variable gain RF amplifier with linear gain control
KR100895961B1 (ko) 제어 가능한 조정 소자 및 안테나 증폭기
JP4246149B2 (ja) 光受信機回路
WO2019024582A1 (en) HYBRID ATTENUATOR IN HIGH LINEARITY QUADRATURE
US20050156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amplifier with adjustable output range
Van Waasen et al. Development of a low-impedance traveling wave amplifier based on InAlAs/InGaAs/InP-HFET for 20 Gb/s optoelectronic receivers
JPH0653761A (ja) 高周波増幅器
US20040004519A1 (en) Broadband amplification apparatus for bandwidth expansion
US11942913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WO2017155631A1 (en) Systems for amplifying a signal using a transformer matched transistor
KR20010108018A (ko) 이동체 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