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03Y1 -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 Google Patents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03Y1
KR200272003Y1 KR2020010041129U KR20010041129U KR200272003Y1 KR 200272003 Y1 KR200272003 Y1 KR 200272003Y1 KR 2020010041129 U KR2020010041129 U KR 2020010041129U KR 20010041129 U KR20010041129 U KR 20010041129U KR 200272003 Y1 KR200272003 Y1 KR 200272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layer
rice
gimbap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수
Original Assignee
임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수 filed Critical 임승수
Priority to KR2020010041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03Y1/ko

Links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고안은 김밥에 있어서, 외측으로부터 심부측으로 김층(1), 방수재층(2), 밥층(3), 부재료층(4)의 순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에 관한 것이다.
김층(1)은 통상적인 식용김으로 구성되고, 방수재층(2)은 계란부침 등 넓고 두께가 얇은 식용재료 중 수분 투과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고, 밥층(3)은 통상적인 밥으로 구성되고, 부재료층(4)은 단무지, 야채, 쇠고기 등 통상적인 김밥용 부재료로 구성된다.
본고안은 외측의 김이 밥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김 고유의 맛과 향, 조직감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김층(1) 과 밥층(3) 사이에 방수재층(2)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부로 한다.
김은 해조류 중 가장 대표적인 식품중의 하나로 김밥을 제조하는데 주재료로 사용된다. 김은 식용유를 표면에 분무하고 90℃내외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열처리 하면 바삭바삭하게 구워져 김 특유의 맛과 향, 조직감을 갖는데, 이것에 수분이 흡수되어 누기가 차면 맛과 조직감 등이 현저하게 떨어져 김 고유의 맛을 잃게 된다.
본고안에 의하면 구운김으로 김밥을 제조하여도 김과 수분함량이 높은 밥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김이 누지지 않고 김 고유의 맛을 가진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Rice rolled in laver got a waterproofing}
본고안의 목적은 김으로 밥을 싸서 만드는 김밥 제조에 있어서, 김과 밥 사이에 방수재층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밥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김에 누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 김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진 김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김은 해조류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식품중의 하나이며 채취한 원료를 일정크기를 갖는 넓고 얇은 형태의 건조김으로 1차 가공되어 식품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1차가공된 김은 김 표면에 참기름 등 식용유를 일정량 도포한 후 90℃내외의 온도에서 수초내지 십수초간 열처리 한 후 식염을 첨가하는 구운김으로 가공되어 이용되거나, 김으로 밥을 싸서 만드는 김밥의 주 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김은 구운김으로 가공시 고유의 맛과 향기가 높아져 주된 가공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운김은 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약한 습도 범위 에서도 쉽게 누기가 찬다. 구운김에 습기가 차면 고유의 바삭바삭한 조직감 과 맛,향 등이 현격하게 떨어져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
쌀에 적당량의 물을 붓고 가열하는 방식으로 취반하여 제조되는 통상적인 밥은 64내지 68%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밥알은 표면과 심부가 구분없이 거의 같은 비율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김밥은 김으로 밥을 싸서 만든 음식으로, 종래의 김밥은 김 위에 밥과 야채,육류 등 부재료를 놓고 그것을 둥글게 말은 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여왔다. 이러한 형태로 제조되는 종래의 김밥은 구운김을 사용하여 김밥을 제조할 경우 김과 밥이 직접 접촉되어 밥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김에 누기가 차 김 고유의 맛과 향기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김밥은 주로 굽지않은 건조김을 사용하여 제조하는데, 그 이유는 김밥을 둥글게 말은 직후에는 김에 누기가 차기 전 이므로 구운김이 아직 바삭바삭한 조직감은 갖고 있게 되며 그것을 일정크기로 자르게 되면 자르는 과정에서 김 조직이 부서져 외관 및 둥글게 말아진 김밥의 형태가 풀어져 좋지 못한 형상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김 위에 밥을 올려 놓기 전에 먼저 구운김을 4cm×8cm내외의 크기로 자른 다음 그 위에 밥을 올려 놓고 둥글게 말아 김밥을 제조하는 방식을 취하면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안은 김과 밥사이에 방수재층을 구성하여 밥에 함유된 수분이 김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구운김으로도 김을 부수뜨리지 않고 김밥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운 김을 먼저 적정 크기로 자른 후 낱장별로 밥을 싸서 제조함으로써 별도로 자르지 않아도 섭취가 가능한 적정크기가 되도록 제조한 김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참고도 이고,
도2는 본고안의 정단면도 이고,
도3은 종래의 김밥 형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김 층 2. 방수재 층 3. 밥 층 4. 부재료 층
본고안은 김층 과 밥층 그리고 부재료층으로 구성된 김밥에 있어서, 김층과 밥층 사이에 방수재층을 구성하여 밥층에 함유된 수분이 김층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참고도 이고, 도2는 본고안의 정단면도 이고, 도3은 종래의 김밥을 보인 단면도 이다.
본고안의 특징부는 김으로 밥을 싸서 만드는 김밥 제조에 있어서, 김층(1) 과 밥층(3) 사이에 방수재층(2)을 구성시킨 것이다. 방수재층(2)은 두께가 얇고 넓이가 넓은 식용재료 중 재료 표면에는 물기가 없는 것이 적용되는데, 0.5mm이내의 두께로 얇게 부침한 계란부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계란 부침은 가열된 번철을 이용하여 계란을 얇게 펼친 상태로 요리하면 만들어 진다. 상기 방수재층(2)은 김밥을 제조할 때 밥에 함유된 수분이 김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즉, 김에 누기가 차는 것을 예방하여 김 고유의 맛과 향이 감소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한편 김층(1)을 구운김으로 사용할 경우 1차가공된 마른김의 일반적인 크기인 25cm×20cm크기의 김으로 김밥을 싸게 되면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절단공정시 김의 조직이 쉽게 부서져 말린상태가 풀어지거나 외관 형상이 좋지 못할 수 있다. 때문에 구운김을 이용하여 김밥을 쌀 경우에는 그대로 섭취 가능한 크기인 4cm×8cm내외의 크기로 먼저 구운김을 절단한 후 각각의 작게 절단된 김에 밥을 싸서 김밥을 제조하게 되면 김의 조직이 부서지거나 말린상태가 풀어지거나 하는 문제점 없이 김밥을 제조할 수 있다.
본고안에 의한 김밥과 종래 김밥의 김층(1)의 수분함량 변화를 35℃품온의 밥을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하고, 적외선 수분측정기(FD-600_2, Japan)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다.
김밥 제조전 구운김의 수분함량은 3.9% 였으며, 구운김을 사용하여 본고안에 의해, 즉 방수재층(2)을 구성하여 김밥을 제조한 후 10분 경과 뒤 김층(1)의 수분함량은 5.8%였으며 누기가 없이 바삭바삭한 조직감과 고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고, 종래 방식대로 방수재층(2) 없이 제조된 김층(1)의 수분함량은 28%로 누기가 차 있었으며 조직감과 맛,향이 크게 저하 되었다. 즉, 김밥 제조에 있어서 방수재층(2)의 구성은 김층(1)에 누기가 차는 것을 예방하여 주어 김 고유의 맛과 조직감, 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본고안은 김층(1)에 누기가 차는 것을 예방하여 줌으로써 김 고유의 맛,향,조직감을 가진 품질 높은 김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김으로 밥을 싸서 만드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김밥에 있어서, 김층(1)과 밥층(3) 사이에 방수재층(2)을 구성하여 밥층(3)에 함유된 수분이 김층(1)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층(2)이 구성된 김밥.
KR2020010041129U 2001-12-31 2001-12-31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KR200272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129U KR200272003Y1 (ko) 2001-12-31 2001-12-31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129U KR200272003Y1 (ko) 2001-12-31 2001-12-31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03Y1 true KR200272003Y1 (ko) 2002-04-12

Family

ID=7308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129U KR200272003Y1 (ko) 2001-12-31 2001-12-31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0A (ko) * 2002-11-01 2002-12-05 김인호 해조(해초) 김밥
KR20160058240A (ko) * 2014-11-11 2016-05-25 감경희 김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0A (ko) * 2002-11-01 2002-12-05 김인호 해조(해초) 김밥
KR20160058240A (ko) * 2014-11-11 2016-05-25 감경희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1650499B1 (ko) * 2014-11-11 2016-08-23 감경희 김밥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660B1 (ko) 순대 핫도그의 제조방법
CN106616457A (zh) 一种雪花鸡柳及其制备方法
JP7153707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巻寿司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調理方法
CA1102612A (en) Laminated food product
KR102057449B1 (ko) 긴꼬리초밥의 제조방법
KR200272003Y1 (ko) 방수재층이 구성된 김밥
CN102726483A (zh) 带馅油炸食品
KR20040028544A (ko) 스프링 롤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8647B1 (ko) 인삼을 이용하여 부각을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제조된 인삼 부각
JP2634204B2 (ja) 電子レンジ加熱に適した冷凍モチ加工品の製造方法
JP3989233B2 (ja) 豚カツレツの製造法及び豚カツレツ
KR20150128102A (ko) 연근을 함유한 돈까스의 제조방법
KR102568575B1 (ko) 증숙 새우 및 궁채 나물을 포함하는 김밥 및 그 제조방법
JP3757314B2 (ja) 易食米飯類及びその揚げ物
JP3049243B1 (ja) さつまいも菓子の製造方法
JPH0644399Y2 (ja) 層状食品
KR20150126988A (ko) 불고기맛 황태 튀김과자 제조방법
KR101495443B1 (ko) 어묵 감자수제비 볶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묵 감자수제비 볶이
KR20150126990A (ko) 카레맛 황태 튀김과자 제조방법
JPS60172273A (ja) でんぷん質薄皮を有する食品
AU772059B2 (en) Filled bagel product and method
KR20210039687A (ko) 김밥용 밥의 제조방법 및 그 밥을 이용한 김밥
JP2004208540A (ja) 豚カツレツの製造法及び豚カツレツ
JP2002119255A (ja) 烏賊加工食品、穀物製シート被包食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1191654A (ja) 無調理麺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