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27Y1 - 원격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27Y1
KR200269527Y1 KR2020010040277U KR20010040277U KR200269527Y1 KR 200269527 Y1 KR200269527 Y1 KR 200269527Y1 KR 2020010040277 U KR2020010040277 U KR 2020010040277U KR 20010040277 U KR20010040277 U KR 20010040277U KR 200269527 Y1 KR200269527 Y1 KR 200269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controller
remote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전
Priority to KR2020010040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27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전자장치들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각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에 인접한 곳에 개별적으로 배치시킨 후, 전기·전자장치의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과,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을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연결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단순화되고, 각 전기·전자장치들을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전력손실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가능한 한 억제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격전원제어장치{Remote control equipment for power source}
본 고안은 전기·전자장치들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단순화되고, 각 전기·전자장치들을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전력손실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가능한 한 억제되도록 된 원격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전원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으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ON/OFF스윗치들(SW1,SW2,SW3,SW4,SW5,SW6)이 케이스에 내장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전원제어장치(100)의 ON/OFF스윗치(SW1,SW2,SW3,SW4,SW5,SW6)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전원제어장치(100)는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을 ON/OFF스윗치들(SW1,SW2,SW3,SW4,SW5,SW6)에 개별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원격전원제어장치(100)의 케이스에 해당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을 연결하기 위한 기구들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요소의 증가로 인해서 원격전원제어장치(100)의 부피가 대형화되고, 제품비용이 비싸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이 원격전원제어장치(100)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이 길어질 수 밖에 없고,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기저항이 증대되어전력손실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과 원격전원제어장치(100)가 가급적 인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원격전원제어장치(100)와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배치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고, 배선작업도 상당히 복잡하고 난이하게 된다.
도 2는 도 1과는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는 종래 원격전원제어장치(200)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에 의하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으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릴레이들(R1,R2,R3,R4,R5,R6)과 ; 릴레이들(R1,R2,R3,R4,R5,R6)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 ; 중앙처리장치(CPU)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I) 및;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메인 출력유닛(MO)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우선 상기 릴레이들(R1,R2,R3,R4,R5,R6)이 모두 OFF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유닛(I)을 조작하여 임의의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를 선택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입력유닛(I)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릴레이(R1 ; R2 ; R3 ; R4 ; R5 ; R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릴레이(R1 ; R2 ; R3 ; R4 ; R5 ; R6)가 ON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릴레이(R1 ; R2 ; R3 ; R4 ; R5 ; R6)가 ON되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릴레이(R1 ; R2 ; R3 ; R4 ; R5 ; R6)와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을 통해서 해당 전기·전자제어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전원제어장치(200) 역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을 릴레이(R1,R2,R3,R4,R5,R6)에 개별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원격전원제어장치(200)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선작업이 편리하고 단순화되고, 각 전기·전자장치들을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전력손실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가능한 한 억제되도록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전원제어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진 원격제어기와 전원제어기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대응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와,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RC)로 구성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전원제어장치는,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와,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RC)로 구성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각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에 인접한 곳에 개별적으로 배치시킨 후, 전기·전자장치의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과,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을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연결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개별적으로 연결하므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과 원격제어기(RC)간의 배선작업이 단순하면서 편리해지고, 원격제어기(RC)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전자장치들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의 길이와,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전기저항에 의한 전력손실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이 가능한 한 억제되고, 각 장치들의 배치자유도가 크게 향상된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원격제어기(RC)는, 입력유닛(I)과 ; 입력유닛(I)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중앙처리장치(CPU) ; 중앙처리장치(CPU)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데이터전송가능하게 변환한 후에 이를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 출력하는 변환기(D) 및;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메인 출력유닛(MO)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는,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이를 판별한 후에, 릴레이(R)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처리유닛(P)과 ; 처리유닛(P)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과,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릴레이(R)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전원제어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해 보면, 사용자가 입력유닛(I)을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기·전자장치(E1)를 선택하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입력유닛(I)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서,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변환기(D)로 출력하게 되고, 변환기(D)에서는 중앙처리장치(CPU)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데이터 전송가능하게 변환한 후에 이를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 출력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 출력되어진 제어신호는 이후 데이터전송라인(DL)을 통해서 각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처리유닛(P)으로 전송되는데,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는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어서, 각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처리유닛(P)에서는 해당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고유 어드레스와, 데이터 전송라인(DL)을 통해서 입력되어진 제어신호의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가를 판별한 후,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릴레이(R)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으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전기·전자장치(E1)로 공급되도록 하고,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R)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아서 해당 전기·전자장치(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입력유닛(I)에 의해 선택되어진 전기·전자장치(E1)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CPU)에서는 메인 출력유닛(MO)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작동상태가 메인 출력유닛(MO)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전송라인(TL)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변조신호를 디지털 복조신호로 변환한 후에 이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출력하는 디지털변환기(DD)를 원격제어기(RC)에 보강 설치하면, 사용자가 입력유닛(I)을 수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무선이나 유선으로 각 전기·전자장치(E1,E2,E3,E4,E5,E6)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으로의 전원공급을 감지하여 이를 처리유닛(P)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센서(S)를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설치하면, 원격제어기(RC)의 사용시 사용자가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공급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전원공급감지센서(S)에는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면 처리유닛(P)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면 처리유닛(P)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처리유닛(P)에 전원공급감지센서(S)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처리유닛(P)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처리유닛(P)으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이후 데이터 전송라인(DL)을 통해서 변환기(D)로 전송되어 판독된 후에 중앙처리장치(CPU)로 입력되며, 중앙처리장치(CPU)에 처리유닛(P)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메인 출력유닛(MO)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 전원이 공급되고있음이 메인 출력유닛(M0)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반면, 중앙처리장치(CPU)에 처리유닛(P)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서 작동제어되는 메인 출력유닛(MO)을 통해서 현재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유닛(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전원제어기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출력유닛(O)을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궂이 원격제어기(RC)로 가지않더라도 전원제어기의 출력유닛(0)을 통해서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E6)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각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에 인접한 곳에 개별적으로 배치시킨 후, 전기·전자장치의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과,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설치위치로부터 가장 인접한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을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연결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을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전기·전자장치들(E1,E2,E3,E4,E5,E6)과 원격제어기(RC)간의 배선작업이 단순하면서 편리해지고, 원격제어기(RC)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전자장치들의 전원라인(PL1,PL2,PL3,PL4,PL5,PL6)의 길이와, 메인 전원공급라인(MPL)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전기저항에 의한 전력손실과, 전기저항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이 가능한 한 억제되고, 각 장치들의 배치자유도가 크게 향상되는 잇점도 기대된다.

Claims (5)

  1.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와,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의 작동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RC)로 구성되고, 원격제어기(RC)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라인(DL)에 각 전원제어기들(PC1,PC2,PC3,PC4,PC5,PC6)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RC)는, 입력유닛(I)과 ; 입력유닛(I)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중앙처리장치(CPU) ; 중앙처리장치(CPU)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데이터전송가능하게 변환한 후에 이를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 출력하는 변환기(D) 및; 중앙처리장치(CPU)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원격전원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메인 출력유닛(MO)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는, 데이터 전송라인(DL)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서 이를 판별한 후에, 릴레이(R)에 선택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처리유닛(P)과 ; 처리유닛(P)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메인 전원공급라인(MPL)과, 해당 전기·전자장치(E1 ; E2 ; E3 ; E4 ; E5 ; E6)의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릴레이(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RC)에, 네트워크전송라인(TL)으로부터의 아날로그 변조신호를 디지털 복조신호로 변환한 후에 이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출력하는 디지털변환기(DD)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전원라인(PL1 ; PL2 ; PL3 ; PL4 ; PL5 ; PL6)으로의 전원공급을 감지하여 이를 처리유닛(P)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감지센서(S)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기(PC1 ; PC2 ; PC3 ; PC4 ; PC5 ; PC6)에, 처리유닛(P)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 전원제어기의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출력유닛(O)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전원제어장치.
KR2020010040277U 2001-12-27 2001-12-27 원격전원제어장치 KR200269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277U KR200269527Y1 (ko) 2001-12-27 2001-12-27 원격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277U KR200269527Y1 (ko) 2001-12-27 2001-12-27 원격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527Y1 true KR200269527Y1 (ko) 2002-03-22

Family

ID=7307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277U KR200269527Y1 (ko) 2001-12-27 2001-12-27 원격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12B1 (ko) 2008-12-22 2009-06-08 어울림정보기술주식회사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12B1 (ko) 2008-12-22 2009-06-08 어울림정보기술주식회사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1836B1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low voltage switching devices
AU743838B2 (en) Control device for a welding apparatus
JP2006337193A (ja) 電力計測装置
JP6500559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269527Y1 (ko) 원격전원제어장치
JP2000221218A (ja) 電力検知ユニット、コネクタ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電力使用状態管理システム
TW200515111A (en) Adapter for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and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se two elements
JP3480704B2 (ja) リモート電源制御回路
JP5378249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147747A (ja) Usbハブ一体化電源供給装置
JPH0793053A (ja) Posシステム用制御ボード
KR101098432B1 (ko) 멀티탭 및 리모트 콘트롤러 및 멀티탭의 원격 제어 방법
JP2020191592A (ja) リモコン装置
JP6997634B2 (ja) Nc接点スイッチを使用した回路制御装置
JP2000329589A (ja) 計測・表示分離型指示計器
JP7404216B2 (ja) 照明器具
JP2010093590A (ja) コンセントシステム
JP2002110301A (ja) 遠隔操作盤(on/of)付ソケット
KR20160016116A (ko)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JP3425087B2 (ja) 配線システム
JP2945519B2 (ja) 制御装置
JP2008199250A (ja) 大規模施設用照明器制御システム
JP20030058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19990012277U (ko) 중앙집중식 전원제어장치
JP2015149807A (ja) 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端末およびディジタル形保護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