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12B1 -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12B1
KR100900712B1 KR1020080131387A KR20080131387A KR100900712B1 KR 100900712 B1 KR100900712 B1 KR 100900712B1 KR 1020080131387 A KR1020080131387 A KR 1020080131387A KR 20080131387 A KR20080131387 A KR 20080131387A KR 100900712 B1 KR100900712 B1 KR 10090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unit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률
Original Assignee
어울림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울림정보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울림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712B1/ko
Priority to MYPI20091600A priority patent/MY144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02H3/063Details concerning the co-operation of many similar arrangements, e.g. in a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2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using digital techniques or per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지에 놓여진 어떤 장치를 운용함에 있어서,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전원이나 통신 회선을 타고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여 장치를 보호하고, 외부의 장치 이상 시 원격에서 해당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공급함으로써 재기동을 통해 상태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365일 24시간 무정지로 외부 장치가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과전원 필터링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는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전원 입력부 및 통신 입력부에서 낙뢰 등에 의해 과전압과 과전류가 유입되면 이를 접지측으로 유도하여 필터링하고, 외부 장치에는 안정된 전원과 네트워크 신호만이 전달될 수 있도록 지능적으로 제어 관리한다. 또 운영 중 외부 장치가 이상 상태라 판단 될 경우에 원격에서 외부장비로 전달되는 전원의 단락을 연산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여 외부 장치가 항시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작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과전압, 과전류, 접지, 전원, 통신 신호, 필터링

Description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부터의 전원 또는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과전압 또는 과전류의 유입을 필터링하여 안정된 전원 공급과 통신 신호를 전달하고, 원격 신호에 따라 지능적으로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 외부 장치를 재기동하는 과전원 필터링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원 입력을 받아서 다수의 전원 출력을 공급해 주는 용도로는 멀티 탭 같은 전원 공급기를 사용하고, 여기에 외부 신호에 의해서 다수의 전원 출력중 각각의 전원을 리셋하는 방법으로 원격 전원 제어기가 사용된다.
즉, 원격 전원 제어기는 멀티 탭의 기능에 외부에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수신부와 해당 신호로부터 어떤 전원 스위치를 동작시킬지 결정하는 변환부, 그리고 출력되는 전원 측에 리셋을 위한 스위치가 추가로 결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멀티 탭과 같은 전원 공급기는 250V를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과전압이나 15A를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유입되면 자체적인 과부하 차단기가 전원선을 단락시켜서, 유입된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전원 출력부를 통해서 더 이상 외부 장치로 전달되지 않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과전압이나 과전류 유입 원인을 제거하고 난 후에 전원 공급기에 있는 전원 재공급 버튼을 눌러주면, 그때부터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기기들은 정전기나 약간 높은 수준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정도는 견딜 수 있으나, 낙뢰나 합선과 같은 매우 높은 레벨의 과전압이나 과전류에는 자체가 손상을 입어 더 이상 전원 공급기로서의 역할을 아예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설사 기기 자체가 손상되기 전에 단락을 시킬 수 있었더라도 한번 단락이 되면 복구 버튼을 누를 때까지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무인 지점 또는 원격지에 있고 365일 24시간 내내 무정지로 서비스를 해야만 하는 장치들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는 일단 전원이 단락되면, 누군가 방문해서 복구 버튼을 눌러줄 때까지 오랜 시간 동안 서비스가 정지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원격 전원 제어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접지를 통해서 약간의 과전압이나 과전류 정도는 처리 가능하겠으나, 낙뢰 또한 합선과 같은 매우 높은 레벨의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걸리면 장비가 파손되거나 전원 공급부의 퓨즈가 나가 버려 무인 지점 또는 원격지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원 이외에도, 네트워크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통신 회선을 타고 낙뢰에 의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유입, 전달되는 경우에도 외부에 연결된 기기가 파손되는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원격 제어기가 전원을 공급해주는 대상 기기인 외부 장치가 운용중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대상 기기 자체를 원격에서 리셋 시켜서 재부팅을 통한 안정된 운영 상태로의 전환을 고려하는데, 만일 대상 기기 자체에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 또는 대상 기기에 해당 명령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를 위해서, 원격 제어기를 활용하여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 공급을 리셋시켜서 해결하기도 한다.
문제는 어떤 경우에는 재부팅을 해도 동일 상황이 유지되거나, 재부팅으로 인해서 다른 기기에 여파를 미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아예 회선을 일정 시간 동안 또는 재작동 개시를 원할 때까지 아예 단락시켜 놓거나, 아니면 일정 시간 경과된 후에 다시 연결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기존의 원격 전원 제어기는 이러한 기능까지는 제공해 주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지만, 무인 또는 원격지에서라도 과전압과 과전류의 유입이 있을 경우, 이를 필터링하여 안정된 전원 공급과 네트워크 회선의 공급, 그리고 이들과 연결된 장비가 365일 24시간 무정지로 문제 없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문제에 대해서 일괄 해결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520199에는 시리얼 단자를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663164 호에는 직렬 신호를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801992에는 외부 장비의 이상 상태 판단을 통한 자동 전원 제어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허들은 365일 24시간 내내 무정지로 서비스를 해야만 하는 통신 장치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걸리는 경우, 무정지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일반적으로 원격지에서 365일 24시간 무정지로 동작하는 통신용 장치가 운용되는 경우에, 운영성 측면에서는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과 끊이지 않는 통신 서비스가 가장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운용 중인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원격에서 리셋 시켜서 재기동을 통한 안정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용 장치를 원격에서 관리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사항은 낙뢰 등과 같이 극도로 높은 전압 또는 전류가 전원선을 통해 유입이 되어 장치가 손상을 입어 작동 불능이 되는 경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회선을 통해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어 장치에 손상이 가서 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경우, 그리고 원격지에서 장치의 이상 상태를 발견하고 원격지에서 장비 자체가 재기동하도록 신호를 보냈으나, 이를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받고서도 조치를 못 취하는 상태에 빠져서 해당 위치로 사람을 보내서 물리적으로 리셋해야 해서 그때까지 서비스가 마비되는 경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 또는 원격지에 놓여진 어떤 장치를 운용함에 있어서,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전원이나 통신 회선을 타고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여 장치를 보호하고, 외부의 장치 이상 시 원격에서 해당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공급함으로써 재기동을 통해 상태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365일 24시간 무정지로 외부 장치가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 로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전원 필터링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전원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전 판단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통신 입력부; 상기 다수의 통신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통신 신호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다수의 제2 과전 판단부; 상기 입력된 전원 또는 상기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접지로 우회 처리하여 필터링하는 접지 처리부; 상기 필터링된 안정된 전원을 다수의 안정된 전원으로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에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전원 출력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로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의 출력을 각각 단속하는 다수의 단속부;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의 재 기동을 조정하는 제어 관리부; 및 상기 접지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필터링된 통신 신호를 다수의 통신 입력부 중의 하나에 상기 통신 신호를 입력한 상기 외부 장치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통신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전압 또는 과전류와 같은 과전원 유입을 차단하여 365일 24시간 정지하지 않고 항상 정상적인 운용성이 필요한 외부 장치로 안정적인 전원 및 네트워크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자체 및 외부 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원격에서 전원의 단락에 의해 외부 장치가 재기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외부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무인 또는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장치에 안정적인 전원과 네트워크의 신호의 공급, 그리고 해당 장치에 이상 발생시 원격에서 전원 제어를 통해 강제로 재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멀티 탭과 같은 전원 공급기나 기존에 특허로 등록된 원격 전원 제어기와는 다르게 전원 입력부와 네트워크 입력부에 과전압과 과전류 유입시 이를 접지를 통해서 흐르도록 유도하거나 출력 전원의 단속을 통해서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여, 유효한 전원과 네트워크 신호만 출력부로 전달되어 외부의 장치가 안정적인 전원을 사용하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장치 이상 시 원격에서 해당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단락하고 연결함으로써 재기동을 통해 상태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과도한 전압과 전류로부터 자체 및 외부 장치를 보호하고 365일 24시간 무정지로 외부 장치가 통신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는 하나의 전원 입력을 받아서 다수의 전원 출력을 공급해 주는 멀티 탭 같은 전원 공급기를 기초로, 낙뢰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인해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전원 또는 통신 회선 등을 통해서 유입되어 전원 공급기 자체 또는 전원 공급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 장치가 손상을 당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기 자체적으로 전원 입력부와 통신 입력부에서 과전압과 과전류는 접지를 통해서 필터링 된 후에 정상적인 전원과 통신 신호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장치의 안정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 장치가 운용 중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원격에서 정해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 공급기 내부에서 이를 연산 처리한 후에 외부 장치에 전달되는 전원의 연결 상태 유지, 또는 단락 상태 유지, 단락 직후 다시 연결, 단락시킨 이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지연시키고 다시 연결하는 방법들을 통해서 외부 장치의 부팅 및 운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전압과 과전류가 필터링 되는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지에 놓여진 통신 장치를 운용함에 있어서,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전원선을 타고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여 외부의 통신 장치에는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 통신 장치에서 전달받은 통신 회선으로부터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여 또 다른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장치들을 보호하고, 또 외부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해서 그 전원으로 동작되는 장치를 필요에 따라 온/오프, 그리고 리셋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해당 장치 앞단에서 이러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외형의 연결부에 대한 설명 사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에 외부 장치들을 연결시킨 사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 입력부(120), 제1 과전 판단부(121), 다수의 통신 입력부(142 및 152), 다수의 제2 과전 판단부(143,153), 접지 처리부(160), 전원 분배부(122), 다수의 전원 출력부(141, 151), 상태 표시부(170),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 수신부(110), 제어 관리부(111), 타이머부(112), 및 다수의 통신 출력부(302,402)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20)는 전원을 입력받는다. 제1 과전 판단부(121)는 상기 전원 입력부(12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전원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다수의 통신 입력부(142 및 152)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300, 400)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하여 통신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수의 제2 과전 판단부(143,153)는 상기 다수의 통신 입력부(142 및 152)에 의해 입력된 통신 신호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접지 처리부(160)는 상기 입력된 전원 또는 상기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과전압 또는 과 전류를 접지로 우회 처리하여 필터링한다. 전원 분배부(122)는 상기 필터링된 안정된 전원을 다수의 안정된 전원으로 분배한다. 다수의 전원 출력부(141, 151)는 상기 전원 분배부(122)로부터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300 및 400)에 각각 출력한다. 상태 표시부(170)는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141, 151)의 전원 공급 및 차단 상태를 표시한다.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122)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141 및 151)로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의 출력을 각각 단속한다.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는 과전압이나 과전류 처리가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 외부로 전달되는 전원출력을 단락시켜서 외부로 과전압이나 과전류의 전달을 차단한다. 수신부(110)는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콘솔 입력을 통해서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관리부(111)는 상기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140,150)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140,150)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300 및 400)의 재 기동을 조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200)로부터 재기동 제어 명령이 상기 수신부(110)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어 관리부(11)가 타이머부(112)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부(110)에 수신된 상기 재기동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전원 공급, 전원 차단, 차단 즉시 공 급, 차단 후 일정 시간 후 재공급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외부 장치(300 및 400)의 재기동을 제어한다.
상기 재기동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 구분, 순번, 및 지연 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관리부(111)는 순번 필드의 자리수와 지연시간 필드의 자리수를 동적으로 조정하면서, 조정 대상과 제어 방법을 정하고, 얼마간의 지연 시간을 유지할 것인 지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원격 제어 명령 신호 구분 사례로써, 제어 명령을 구분하는 신호와 몇 번째의 전원 공급에 대해 얼마간의 지연 시간을 유지하고 제어를 할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제어 명령에 대한 구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명령 구분은 두 자리의 신호(510)로, 그에 대한 내용(511)은 00일 경우에는 단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01일 경우에는 전원을 계속 연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10일 경우에는 단락 직후에 다시 연결하는 리셋을 의미하고, 11일 경우에는 단락 직후에 지정된 지연 시간(519) 만큼 대기한 후에 다시 연결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순번의 자리수는 두 자리의 신호 (512)로, 그에 대한 내용(513)은 00일 경우에는 순번의 자리수가 5개를 의미하고, 01일 경우에는 순번의 자리수가 8개, 10일 경우에는 순번의 자리수가 12개, 11일 경우에는 순번의 자리수가 24개를 의미하며, 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순번은 순번 자리수에서 정한 내용(513)을 기준으로 자리수(514)가 결정되며, 그에 대한 내용(515)에서는 순번 자리수가 00일 경우를 가정해서 5자리로 표시 되는 사례로써, 좌측부터 각 자리의 위치가 1이 됨에 따라서 해당 자리의 단속부(140, 150)에 제어가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10000은 1번 단속부를 제어하라는 의미이며, 01000은 2번 단속부를 제어하라는 의미이며, 11000은 1번과 2번 둘 다 제어하라는 의미이며, 00001은 5번 단속부를 제어하라는 의미이다.
시간 자리수는 두 자리의 신호 (516)로, 그에 대한 내용(517)은 00일 경우에는 지연시간의 자리수가 2개를 의미하고, 01일 경우에는 지연시간의 자리수가 4개, 10일 경우에는 지연시간의 자리수가 6개, 11일 경우에는 지연시간의 자리수가 8개를 의미하며, 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지연 시간은 시간 자리수에서 정한 내용 (517)을 기준으로 자리수(518)이 결정되며, 그에 대한 내용(519)에서는 시간 자리수가 01일 경우를 가정해서 4자리로 표시되는 경우의 사례로써, 0000은 지연시간 없이 즉시를 의미하며, 0001은 1초의 지연시간을 의미하고, 따라서 1111은 15초의 지연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전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의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접지 측으로 필터링되지 않고 상기 전원 분배부(122)로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과전 판단부(212)는 긴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관리부(111)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 관리부(111)는 상기 제1 과전 판단부(121)로부터의 상기 긴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에 리셋 신호를 각각 전달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단속부(140 및 150)로 하여금 상기 전원 분배부(122)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141 및 151)로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한다.
타이머부(112)는 상기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관리부(111)로 제공한다. 다수의 통신 출력부(302,402)는 상기 접지 처리부(160)로부터의 상기 필터링된 통신 신호를 다수의 통신 입력부(142 및 152) 중의 하나에 상기 통신 신호를 입력한 상기 외부 장치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각각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원 필터링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 입력부(120)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곳이며, 이를 통해서 입력된 전원에 과전압과 과전류가 포함되었는 지를 제1 과전 판단부(121)에서 확인하고, 만일 과전압과 과전류가 유입된 경우에는 접지 처리부(160)로 우회시켜 필터링한다.
그 이후 안정된 전원을 전원 분배부(122)에 의해 분배되어 다수의 전원 출력부인 전원 출력부 1(141) 및 전원 출력부 n(151) 측의 단속부 1(140) 혹은 단속부 n(150)으로 전달하는데, 평상시 각각의 단속부들(140, 150)은 연결 상태로 각 전원출력부들(141, 151)로 안정된 전원을 계속 전달해서, 이를 통해 다수의 외부 장치(300, 400)로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포함되지 않은 안정된 전원을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과전 판단부(121)에서 과전압과 과전류를 접지 처리부(160)로 완전 우회 시키지 못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과전 판단부(121)은 상기 제어 관리부(111)로 긴급 제어 신호를 보내서 다수의 단속부(140, 150)에서 외부로 나가는 전원을 모두 단락시켜 차단시키고, 이를 통해 외부에 연결된 장치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한다.
만일 운영 중에 외부 장치 1(300) 내지 제 n 외부 장치(400)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300 및 400)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300, 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켜거나, 끄거나, 또는 껐다가 다시 켜는 리셋, 또는 껏다가 몇 초간 기다린 후에 다시 켜는 리셋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외부 단말기(200) 측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단속 제어 명령과 그에 따른 조건 데이터를 수신부(110)로 전달한다. 여기서, 리셋이라 함은 전원 공급을 차단하였다가 재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관리부(111)는 타이머부(112)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시간 경과 신호, 즉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는데, 전달받은 전원 단속 제어 명령과 조건 데이터(도 4)를 통해서 어느 단속부(140, 150)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조건으로 해당 단속부를 동작할 것인지, 얼마간의 지연 시간을 유지할 것인지 등을 연산하여, 각각의 단속부들(140, 150)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제어하여 전원의 연결, 단락, 단락 직후 다시 연결, 단락 직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연결과 같은 방식으로 외부 장치들(300, 400)에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 상태는 상태 표시부(170)를 거쳐서 전원 제어 관리기(100) 외부에 LED와 같은 표시 소자(도시안됨)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각각의 외부 장치들(300, 400)을 통해서 통신 회선이 통신 입력부(142, 152)로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유입되었는지를 각각의 제2 과전 판단부들(143, 153)을 통해서 확인한다. 만일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접지 처리부(160)로 우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후에 각각의 통신 출력부(144, 154)를 통해서 또 다른 외부 장치, 즉 상기 접지 처리부(160)로부터의 상기 필터링된 통신 신호를 다수의 통신 입력부(142 및 152) 중의 하나에 상기 통신 신호를 입력한 상기 외부 장치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외형의 연결부에 대한 설명 사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에 외부 장치들을 연결시킨 사례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원격 제어 명령 신호 구분 사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수신부
111: 제어 관리부
112: 타이머부
120: 전원 입력부
121, 143, 153: 과전 판단부
122: 전원 분배부
140, 150: 단속부
141, 151: 전원 출력부
142, 152: 통신 입력부
144, 154, 302, 402: 통신 출력부
160: 접지 처리부
170: 상태 표시부
200: 외부 단말기
300, 400: 외부 장치
301: 전원 입력부

Claims (7)

  1.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전원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제1 과전 판단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입력받는 다수의 통신 입력부;
    상기 다수의 통신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통신 신호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다수의 제2 과전 판단부;
    상기 입력된 전원 또는 상기 통신 신호에 포함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접지로 우회 처리하여 필터링하는 접지 처리부;
    상기 필터링된 안정된 전원을 다수의 안정된 전원으로 분배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에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전원 출력부;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로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의 출력을 각각 단속하는 다수의 단속부;
    외부 단말기로부터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원 제어 명령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의 재 기동을 조정하는 제어 관리부; 및
    상기 접지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필터링된 통신 신호를 다수의 통신 입력부 중의 하나에 상기 통신 신호를 입력한 상기 외부 장치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통신 출력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재기동 제어 명령이 상기 수신부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제어 관리부가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재기동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다수의 단속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전원 공급, 전원 차단, 차단 즉시 공급, 차단 후 일정 시간 후 재공급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외부 장치의 재기동을 제어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동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 구분, 순번, 및 지연 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관리부는 순번 필드의 자리수와 지연시간 필드의 자리수를 동적으로 조정하면서, 조정 대상과 제어 방법을 정하고, 얼마간의 지연 시간을 유지할 것인 지를 제어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관리부로 제공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의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접지측으로 필터링 되지 않고 상기 전원 분배부로 넘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과전 판단부는 긴급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관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관리부는 상기 제1 과전 판단부로부터의 상기 긴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속부에 리셋 신호를 각각 전달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단속부로 하여금 상기 전원 분배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로의 상기 다수의 안정된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운영 중에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외부 단말기 측에서 전원 단속 제어 명령과 그에 따른 조건 데이터를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 관리부는 타이머부로부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주기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전달받은 제어 명령과 조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단속부 중 어느 단속부로 제어 신호를 제공할 것인 지, 어떤 조건으로 해당 단속부를 동작할 것인지, 얼마간의 지연 시간을 유지할 것인 지를 연산하고, 상기 다수의 단속부 각각으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전원의 공급, 차단, 차단 직후 다시 공급, 차단 직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공급의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에 전달되 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로의 상기 다수의 전원 출력부의 전원 공급 및 차단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KR1020080131387A 2008-12-22 2008-12-22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KR10090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87A KR100900712B1 (ko) 2008-12-22 2008-12-22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MYPI20091600A MY144437A (en) 2008-12-22 2009-04-20 Intelligent power supply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87A KR100900712B1 (ko) 2008-12-22 2008-12-22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712B1 true KR100900712B1 (ko) 2009-06-08

Family

ID=4098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387A KR100900712B1 (ko) 2008-12-22 2008-12-22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0712B1 (ko)
MY (1) MY144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974B1 (ko) * 2013-06-05 2014-03-25 (주)대산이엔씨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09257B1 (ko) * 2019-02-26 2019-08-09 주식회사 씨앤엘네트웍스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527Y1 (ko) 2001-12-27 2002-03-22 주식회사 영전 원격전원제어장치
KR200341853Y1 (ko) 2003-11-12 2004-02-14 (주)진우인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피관리 장치의 전원 및 콘솔 제어 장치.
KR100526703B1 (ko) 2003-04-30 2005-11-08 (주)소프트위드솔루션 원격 전원 제어기
KR20090001314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펠코리아 이더넷 기반 원격제어용 전원분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527Y1 (ko) 2001-12-27 2002-03-22 주식회사 영전 원격전원제어장치
KR100526703B1 (ko) 2003-04-30 2005-11-08 (주)소프트위드솔루션 원격 전원 제어기
KR200341853Y1 (ko) 2003-11-12 2004-02-14 (주)진우인테크 네트워크를 통한 피관리 장치의 전원 및 콘솔 제어 장치.
KR20090001314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펠코리아 이더넷 기반 원격제어용 전원분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974B1 (ko) * 2013-06-05 2014-03-25 (주)대산이엔씨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KR102009257B1 (ko) * 2019-02-26 2019-08-09 주식회사 씨앤엘네트웍스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4437A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415A (en) Fault tolerant power supply including a switching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plural voltage converters in response to changing input voltage levels
US9531215B2 (en) Transfer switch with arc suppression
KR20010062749A (ko)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원격 전력 관리 시스템
EP2898663B1 (en)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surveillance video cameras and protection cases for such video cameras
CN101083698A (zh) 监视装置
WO2007106062A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ing solid state power controllers
JP3437176B2 (ja) 電源管理装置及び電源管理システム
KR100900712B1 (ko) 지능형 전원 제어 장치
US10951026B2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US9448618B2 (en) Start-up module of redundant power supply having synchronous and sequential booting modes
KR101940811B1 (ko) Rs-232 통신포트 감시를 통한 전원 자동 복구 장치
KR20060091330A (ko) 지능형 회로 차단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180075348A (ko) 전류감시보드 및 그 제어 방법
JP2001045528A (ja) 集合型回線終端装置及び回線終端網
KR101876023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마스터 정보처리장치
WO2013111319A1 (ja) 無人電気所遠隔監視制御装置用再立上げ装置および方法
KR101496985B1 (ko) 중성선 복구 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US1013989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safe control panel installation
RU73576U1 (ru) Коммутируемый сетевой адаптер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агрегатами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по линиям связи
JP3815427B2 (ja) 電源供給装置
RU72806U1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сетевой адаптер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агрегатами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по линиям связи
RU64840U1 (ru) Сетевой адаптер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бесперебойным питанием корпоратив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RU63155U1 (ru) Сетевой адаптер удал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агрегатом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EP3786735B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and method for output modules
CN211127283U (zh) 带有主从冗余供电回路的消防应急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