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544Y1 -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544Y1
KR200268544Y1 KR2019970037750U KR19970037750U KR200268544Y1 KR 200268544 Y1 KR200268544 Y1 KR 200268544Y1 KR 2019970037750 U KR2019970037750 U KR 2019970037750U KR 19970037750 U KR19970037750 U KR 19970037750U KR 200268544 Y1 KR200268544 Y1 KR 200268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loor panel
hole
weld nu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243U (ko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37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5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관한것으로써, 자동차의 하부차체를 형성하는 플로어패널(1)에 시트의 시트쿠션의 고정편(2b)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래킷(1b)을 용접하여 시트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일정 중앙부에 상기 플로어패널(1)의 구멍(1c)과 연통하는 관통구멍(11a)이 천공된 상부면(11), 상기 상부면(11)가 대향하며 상기 관통구멍(11a)에 연통하는 구멍(12a)이 천공되며 외측면에 웰드너트(20)가 용접되는 하부면(12), 및 상기 상부면(11)과 하부면(12)의 각각의 측벽을 일체로 폐쇄하는 각각의 측면(13;14)이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브래킷(10)이 상기 플로어패널(1)의 하부면에 용접되며, 상기 시트쿠션의 고정편(2b), 지지브래킷(1b), 플로어 패널(1), 및 상기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30)가 상기 웰드너트(20)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웰드너트의 파손 또는 일탈시 웰드너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THE SEAT TO THE BODY}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자동차의 후방시트를 플로어 패널에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웰드너트의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의 전방에는 운전자 및 전방 탑승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착석할 수 있는 독립형 전방시트가 제공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다수의 탑승자가 동시에 착석할 수 있는 후방시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시트중 전방시트는 하부차체를 형성하는 플로어 패널상에 레일을 설치한 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후방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차체의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 플로어 패널(1)상에 다수의 장착브래킷을 용접 설치한 후 후방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쿠션(2) 및 시트백(3)을 볼팅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후방 플로어패널(1)에 제공된 고정 브래킷(1a)에 상기 시트쿠션(2)의 전방 하부에 제공된 고정편(2a)이 볼트 고정되고, 또한 플로어패널(1)에 제공된 지지 브래킷(1b)에 상기 시트쿠션(2)의 후방에 제공된 고정편(2b)이 볼트 고정된 후, 시트백(3)의 하부를 상기 시트쿠션(2)의 후방부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시트백(3) 또한 도시되지 않은 고정편에 볼트를 고정시켜 후방시트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여 왔다.
한편, 시트쿠션(2)의 고정편(2b)과 플로어패널(1)의 지지브래킷(1b)간의 장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브래킷(1b)의 내측에는 웰드너트(4)가 제공되어있어 고정편(2b)의 구멍과 지지브래킷(1b)의 구멍이 연통상태에서 볼트(5)를 연통구멍에 삽입시켜 웰드너트(4)에 체결함으로써 시트쿠션(2)이 플로어패널(1)에 체결장착된다.
그러나 종종 상기 지지브래킷(1b)에 제공된 웰드너트(4)가 오용접, 파손 또는 일탈되는 경우 볼트(5)가 정확히 체결고정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교체해야 하는바, 이때 상기 지지브래킷 전체를 플로어 패널에서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로어패널에 오용접 및 지지브래킷을 해체하는중에 플로어패널 및 지지브래킷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웰드너트의 오용접, 파손 또는 일탈의 경우 지지브래킷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시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플로어패널에 장착함은 물론, 시트의 분해가 용이한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방시트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방시트와 차체간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로어패널 1b: 지지브래킷
10: 고정브래킷 11: 상부면
12: 하부면 13,14: 측면
20: 웰드너트 30: 볼트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하부차체를 형성하는 플로어패널(1)에 시트의 시트쿠션의 고정편(2b)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래킷(1b)을 용접하여 시트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일정 중앙부에 상기 플로어패널(1)의 구멍(1c)과 연통하는 관통구멍(11a)이 천공된 상부면(11), 상기 상부면(11)가 대향하며 상기 관통구멍(11a)에 연통하는 구멍(12a)이 천공되며 외측면에 웰드너트(20)가 용접되는 하부면(12), 및 상기 상부면(11)과 하부면(12)의 각각의 측벽을 일체로 폐쇄하는 각각의 측면(13;14)이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브래킷(10)이 상기 플로어패널(1)의 하부면에 용접되며, 상기 시트쿠션의 고정편(2b), 지지브래킷(1b), 플로어 패널(1), 및 상기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30)가 상기 웰드너트(20)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장착구조에 적용되는 고정브래킷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시트 장착구조에는 시트의 고정편이 직접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에 부가하여 고정브래킷(10)이 적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브래킷(1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는바, 중앙부에 관통구멍(11a)이 천공된 상부면, 상기 관통구멍(11a)에 연통하는 구멍(12a)이 천공된 하부면(12), 및 상기 상부면(11)과 하부면(12)을 각각 상호 연결시키는 측면(13,14)이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면(11,12,13,14)은 충분한 강도를 지님은 물론, 특히 상기 상부면(11) 및 하부면(12)은 다소의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상세히 후술되는 볼트의 체결시 볼트에 탄성 보지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브래킷(10)의 하부면(12)에는 웰드너트(20)가 용접되는바, 상기 웰드너트(20)에는 상기 고정브래킷(10)의 상부면(11) 및 하부면(12)에 각각 천공형성된 관통구멍(11a,12a)과 연통하는 체결구멍(20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체결구멍(20a)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웰드너트(20)에는 볼트(30)가 체결고정되는바, 상기 볼트(30)는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브래킷(10)에 삽설되는 로드부(30a)와 상기 로드부(30a)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30b)를 구비한다.
이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이용한 시트의 장착 방식 및 그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플로어 패널(1)에 구멍(1c)을 천공한후 상기 구멍(1c)에 상기 고정브래킷(10)의 각각의 구멍(11a,12a)을 연통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브래킷(10)의 상부면(11)을 플로어 패널(1)의 배면에 예컨대 스폿용접하여 고정브래킷을 플로어패널에 장착한다. 이같은 상태에서, 시트 지지브래킷(1b)을 플로어 패널(1)상에 용접한다.
이후 작업자는 시트쿠션의 고정편(2b)을 상기 시트 지지브래킷(1b)상에 재치시키는바, 이때 상기 고정편(2b)에 천공된 구멍(2c)은 상기 지지브래킷(1b)에 천공된 구멍(1d)과 연통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각각의 구멍(1c,1d,2c)과 고정브래킷(10)의 각각의 관통구멍(11a,12a) 및 웰드너트(20)의 체결구멍(20a)이 연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연통구멍에 볼트(30)의 로드(30a)를 삽입한 후 볼트(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30)의 로드(30a)가 웰드너트(20)의 체결구멍(20a)에 체결고정됨으로써 시트쿠션이 플로어패널에 장착된다.
이같은 볼트의 장착시 고정브래킷의 상부면(11)과 하부면(12)에는 다소의 탄성력이 발휘되어 볼트와 너트에 탄성보지력이 제공됨으로써 견고한 체결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시트 장착구조에 의하면, 시트쿠션의 고정편을 지지브래킷에 고정시키기위한 볼트가 체결되는 웰드너트가 하부차체를 구성하는 플로어패널의 하부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웰드너트의 파손 또는 일탈시 웰드너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하부차체를 형성하는 플로어패널(1)에 시트의 시트쿠션의 고정편(2b)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래킷(1b)을 용접하여 시트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일정 중앙부에 상기 플로어패널(1)의 구멍(1c)과 연통하는 관통구멍(11a)이 천공된 상부면(11), 상기 상부면(11)가 대향하며 상기 관통구멍(11a)에 연통하는 구멍(12a)이 천공되며 외측면에 웰드너트(20)가 용접되는 하부면(12), 및 상기 상부면(11)과 하부면(12)의 각각의 측벽을 일체로 폐쇄하는 각각의 측면(13;14)이 일체로 절곡형성되는 고정브래킷(10)이 상기 플로어패널(1)의 하부면에 용접되며, 상기 시트쿠션의 고정편(2b), 지지브래킷(1b), 플로어 패널(1), 및 상기 고정브래킷(10)을 관통하는 볼트(30)가 상기 웰드너트(20)에 체결고정되는 시트와 차체의 장착구조.
KR2019970037750U 1997-12-16 1997-12-16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KR200268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750U KR200268544Y1 (ko) 1997-12-16 1997-12-16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750U KR200268544Y1 (ko) 1997-12-16 1997-12-16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243U KR19990025243U (ko) 1999-07-05
KR200268544Y1 true KR200268544Y1 (ko) 2002-10-14

Family

ID=5389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750U KR200268544Y1 (ko) 1997-12-16 1997-12-16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5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208B1 (ko) * 1999-11-02 2006-09-29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체의 리어플로어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44B1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새한산업 회전방지 하드웨어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208B1 (ko) * 1999-11-02 2006-09-29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체의 리어플로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243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5739B1 (en) Fuel tank fitting structure
KR200268544Y1 (ko) 시트와차체의장착구조
JP3553578B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の取付構造
EP0842805B1 (en) A motor-vehicle dashboard
JP2008502857A (ja) 自動車部品の取り付け装置
KR100290036B1 (ko)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100188599B1 (ko) 콘솔박스의 고정구조
JPH11240391A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KR19980047962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KR100957333B1 (ko)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200291316Y1 (ko)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조립체
KR20220152740A (ko) 차량용 샤시모듈 장치
KR200229855Y1 (ko) 쇽업소버의마운팅구조
JPH1058937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KR19980040072U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바의 설치구조
KR100271882B1 (ko) 자동차의 엠블렘 일체화 본네트 스트라이커
KR0173655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를 전방플로어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취부구조
KR200149528Y1 (ko) 리어 수평 필라와 수직 필라를 고정하는 필라 서포트 패치구조
KR0124509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크로스 로워 멤버 어셈블리
KR19980047345U (ko) 전기자동차의 플로워 패널
JPH10244962A (ja) 自動車のカウル部構造
KR19980048886U (ko) 전방단부패널과 지지패널의 취부구조
KR100448798B1 (ko)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KR200143935Y1 (ko) 에어백이.에스.피.에스.유닛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