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036B1 -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036B1
KR100290036B1 KR1019980031049A KR19980031049A KR100290036B1 KR 100290036 B1 KR100290036 B1 KR 100290036B1 KR 1019980031049 A KR1019980031049 A KR 1019980031049A KR 19980031049 A KR19980031049 A KR 19980031049A KR 100290036 B1 KR100290036 B1 KR 10029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rigger
outrigger frame
bus
sid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231A (ko
Inventor
이근식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3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0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하부 골격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웃리거 프레임(20)과,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 중앙부에 용접 고정되는 “ㄷ”형상의 지지 프레임(30)과, 상기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에 일측이 볼팅 결합되고 상면은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40)과,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측단부가 끼워져 용접 고정되도록 상부에 삽지부(51)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결합판(52)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50)과,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결합판(52)이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버스의 상부골격을 이루는 사이드 수직필라(10)로 구성함으로써,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사이드 수직필라(10)와 아웃리거 프레임(20)을 고정 브라켓(50)으로 직접 연결하고, 아웃리거 프레임(20)의 단차부(21)에 용접 고정된 지지 프레임(30)과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을 지지 브라켓(40)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이드 수직필라(10)와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조립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 기술과 같이 크로스 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차체 강성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서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단이 지게 형성하여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아웃리거 프레임의 측단부를 사이드 수직필라에 결합 브라켓으로써 직접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크로스 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차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골격은 ″H″형 사이드레일과 아웃리거 프레임, 그리고 바디, 즉 사이드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 리어 프레임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H″형 사이드레일은 버스의 엔진, 구동장치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버스의 기본 골격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레일에는 사각파이프로 조합된 아웃리거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 아웃리거 프레임의 설치로, 버스의 하부에 엔진룸이 형성되고 화물칸등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사이드 수직필라와 사이드 수평필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부는 루프 프레임과 결합되어 버스의 상부골격, 즉 승객이 탑승하는 승객실 등을 이루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웃리거 프레임의 측단부와 사이드 수직필라의 하부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있었다.
여기서는 버스의 사이드 측면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의 사이드레일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하부골격을 이루는 아웃리거 프레임(110)과,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중앙부 저면에 용접 고정되는 “ㄷ”형상의 지지 프레임(120)과,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외측면 상부에 일단이 볼팅 고정되고 상면은 아웃리거 프레임(110) 저면에 볼팅 결합되는 “ㄱ”형상의 지지 브라켓(130)과,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외측면 하부에 타측이 볼팅 고정되고 일측에는 끼움부(141)가 형성된 결합 브라켓(140)과, 상기 결합 브라켓(140)의 끼움부(141)에 일측단이 끼워져 용접 고정되는 크로스 멤버(150)와, 상기 크로스 멤버(150)의 타측단과 아웃리거 프레임(110) 측단부가 볼팅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160)과, 상기 수직 프레임(160)의 일측면이 용접 고정되고 버스의 상부 골격을 이루는 사이드 수직필라(10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이드 수직필라(100)에 수직 프레임(160)을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수직 프레임(160)이 사이드 수직필라(100)에 결합되면,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저면 중앙부에 지지 프레임(120)의 상면을 위치 시켜 볼팅 고정시킨 다음, 이 지지 프레임(120)의 외측면 상부와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저면 중앙부 일측으로 지지 브라켓(130)을 볼팅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외측면 하부에 결합 브라켓(140) 타측을 볼팅 고정 시키고,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하부에 볼팅 고정된 결합 브라켓(14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141)에 크로스 멤버(150)의 일측단을 끼워 용접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150)의 타측단과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측단부를 수직 프레임(160)의 홈내로 끼운 다음 볼팅 고정시키면 사이드 수직필라(100)와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조립작업에서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측단부와 크로스 멤버(150)의 타측단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는 사이드 수직필라(100)에 수직 프레임(160)을 설치한 다음, 이 수직 프레임(160)의 홈에 아웃리거 프레임(110)과 크로스 멤버(150)를 끼운 다음, 볼팅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 멤버(15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지지 프레임(120)에 결합 브라켓(140)을 설치해야하므로 부품수가 추가되어 제작단가가 상승되었고, 또한 아웃리거 프레임(110)의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조립작업을 할 때에 상당한 애로점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서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단이 지게 형성하여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아웃리거 프레임의 측단부를 사이드 수직필라에 결합 브라켓으로써 직접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크로스 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차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버스의 하부 골격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웃리거 프레임과,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의 저면 중앙부에 용접 고정되는 “ㄷ”형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일측이 볼팅 결합되고 상면은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 측단부가 끼워져 용접 고정되도록 상부에 삽지부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결합판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결합판이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버스의 상부골격을 이루는 사이드 수직필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수직필라 20 : 아웃리거 프레임
21 : 단차부 30 : 지지 프레임
40 : 지지 브라켓 50 : 고정 브라켓
51 : 삽지부 52 : 결합판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 그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측단부를 사이드 수직필라(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5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0)은 상방에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측단부가 끼워져 용접 고정될 수 있도록 삽지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에는 사이드 수직필라(10)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게 외측으로 절곡된 결합판(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단이지게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설치공(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웃리거 프레임(20)의 단차부(21) 끝단 저면에는 “ㄷ”형상 단면구조를 갖는 지지 프레임(30)의 상부가 용접 고정되고, 이 지지 프레임(30)에는 다수개의 볼트공(31)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과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에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40)을 설치하되, 이 지지 브라켓(4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41a)이 관통된 체결판(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설치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웃리거 프레임(20)의 단차부(21) 저면에 지지 프레임(30)의 상면을 접촉시킨 다음,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 프레임(30)이 아웃리거 프레임(20)에 고정되면, 버스의 사이드 골격을 이루는 사이드 수직필라(10)의 내측면에 고정 브라겟(50)의 결합판(52)을 접촉시켜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삽지부(51)에는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측단부를 삽입한 후 용접하여 아웃리거 프레임(20)과 사이드 측면필라(10)를 연결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단차부(21) 저면에 용접 고정된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에 지지 브라켓(40)의 체결판(41)을 밀착시킨다. 이때 체결판(41)에 형성된 체결공(41a)과 지지 프레임(30)의 볼트공(31)을 일치시킨다. 상기 체결공(41a)과 볼트공(31)이 일치되면 볼트(60)를 지지 프레임(30)의 볼트공(31)과 지지 브라켓(40)의 체결공(41a)에 삽입 시킨 다음, 그 볼트(60)의 끝단을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 브라켓(40)이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볼트(60)의 머리는 지지 프레임(3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 브라켓(40)이 지지 프레임(30)에 고정되면, 지지 브라켓(40)의 상면을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에 접촉시키되, 상기 지지 브라켓(4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42)을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설치공에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42)과 설치공이 일치되면 볼트(60)를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설치공과 지지 브라켓(40)의 상면에 천공된 결합공(42)에 삽입 시킨 다음, 그 볼트(60)의 끝단을 너트로 체결시키면 지지 브라켓(40)이 아웃리거 프레임(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사이드 수직필라(10)와 아웃리거 프레이(2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조립작업은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중앙부를 상측으로 단이지게 단차부(21)를 형성하여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중량을 감소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단차부(21)에 지지 프레임(30)을 용접 고정시킨 다음, 상기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과 아웃리거 프레임(20)에 지지 브라켓(40)을 직접 연결하고, 사이드 수직필라(10)와 아웃리거 프레임(20)을 고정 브라켓(50)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크로스 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차체 강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버스의 하부 골격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앙부를 상측으로 단이지게 단차부를 형성하여 아웃리거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또한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을 고정 브라켓으로 직접 연결하고, 아웃리거 프레임의 단차부에 용접 고정된 지지 프레임과 아웃리거 프레임의 저면을 지지 브라켓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 기술과 같이 크로스 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차체 강성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버스의 하부 골격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웃리거 프레임(20);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 중앙부에 용접 고정되는 “ㄷ”형상의 지지 프레임(30);
    상기 지지 프레임(30)의 외측면에 일측이 볼팅 결합되고 상면은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저면에 볼팅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40);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측단부가 끼워져 용접 고정되도록 상부에 삽지부(51)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결합판(52)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50);
    상기 고정 브라켓(50)의 결합판(52)이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고 버스의 상부골격을 이루는 사이드 수직필라(1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30)이 설치되는 상기 아웃리거 프레임(20)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단이지게 단차부(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9980031049A 1998-07-31 1998-07-31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29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049A KR100290036B1 (ko) 1998-07-31 1998-07-31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049A KR100290036B1 (ko) 1998-07-31 1998-07-31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31A KR20000010231A (ko) 2000-02-15
KR100290036B1 true KR100290036B1 (ko) 2001-05-15

Family

ID=1954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049A KR100290036B1 (ko) 1998-07-31 1998-07-31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0354A1 (en) * 2013-05-24 2014-11-27 Champion Bus, Inc.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8936275B2 (en) 2013-05-24 2015-01-20 Champion Bus, Inc. Retractable steps for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10112541B2 (en) 2015-02-20 2018-10-30 Champion Bus, Inc. Low-floor drop fram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33B1 (ko) * 2006-09-25 200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차체
KR101356159B1 (ko) * 2011-12-13 2014-01-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0354A1 (en) * 2013-05-24 2014-11-27 Champion Bus, Inc.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8936275B2 (en) 2013-05-24 2015-01-20 Champion Bus, Inc. Retractable steps for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8967669B2 (en) 2013-05-24 2015-03-03 Champion Bus, Inc. Low floor vehicle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US10112541B2 (en) 2015-02-20 2018-10-30 Champion Bus, Inc. Low-floor drop fram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31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036B1 (ko)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CN110294020B (zh) 一种汽车转向支撑安装支架结构
CN217804559U (zh) 一种车顶行李架安装结构及车辆
CN216886887U (zh) 用于新能源轻卡的电动转向油泵和水泵安装组合支架
KR200260747Y1 (ko) 버스의 엔진 지지구조
JPH0226776Y2 (ko)
KR200212726Y1 (ko) 하이드로 포밍 타입 프론트 서브프레임구조
KR100343853B1 (ko) 차량의 루프래크 고정장치
KR200151509Y1 (ko) 버스의 리어 수직 센터 필라 설치구조
KR200153918Y1 (ko) 버스 사이드 수직필러와 크로스 멤버의 마운팅 구조
KR200151494Y1 (ko) 버스의 서포트 멤버
KR100957333B1 (ko)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20040090610A (ko) 버스용 바디의 데킹 방법
KR200239452Y1 (ko) 차량의센터서포트브라켓조립구조
KR0182899B1 (ko) 배터리 마운팅용 브라케트의 고정구조
KR200162919Y1 (ko) 저상버스용 링크 암 조립체구조
KR200162835Y1 (ko)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20020049399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200224257Y1 (ko) 승합차용 상판 고정수단
JPH01111574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9990043166A (ko) 버스의 시트레일 설치 구조
KR19990006876U (ko) 버스의 아웃리거 조립구조
JPH09188273A (ja) 車両のピラー構造
JP2000332441A (ja) 電器機器収納用箱
KR19990019927A (ko) 버스의 크로스 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