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33B1 -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33B1
KR100957333B1 KR1020040067069A KR20040067069A KR100957333B1 KR 100957333 B1 KR100957333 B1 KR 100957333B1 KR 1020040067069 A KR1020040067069 A KR 1020040067069A KR 20040067069 A KR20040067069 A KR 20040067069A KR 100957333 B1 KR100957333 B1 KR 10095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mounting bracket
rear trailing
mounting portion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599A (ko
Inventor
이동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1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1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2Elastic mounts, e.g. bushings having a pin or stu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elastic 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취부 브라켓을 설치하여,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조립시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별도의 취부 브라켓에 가조립함으로써,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결합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을 갖춘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의 내/외측으로 각각 이격된 취부용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취부용 브라켓에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된 체결용 핀의 양측 선단 부위가 각각 엇갈린 방향으로 지지되어 위치를 구속받도록 가조립된 다음,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상기 체결용 핀이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rear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설치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차체의 저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리어 트레일링 아암에서 전방측 마운팅 부위만을 확대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확대도.
도 8은 도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취부용 브라켓만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크로스 멤버 2-어퍼 아암
3-로어 아암 4-캐리어
5-리어 사이드 멤버 6-리어 트레일링 아암
7-스트럿 바아 8-코일 스프링
9-부시 10-체결용 핀
11,11'-취부용 브라켓
본 발명은 리어 트레일링 아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차체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각각 종래 승용차용 리어 서스펜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리어 서스펜션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차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 멤버(1)의 양측 선단에는 어퍼 아암(2)과 로어 아암(3)을 매개로 캐리어(4)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4)의 전방측 선단과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5) 사이에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이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4)와 차체 사이의 수직한 방향으로 스트럿 바아(7)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로어 아암(3)과 차체 사이의 수직한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4)와 리어 트레일링 아암(6) 및 스트럿 바아(7)는 가조 립 상태로 모듈화된 상태로 납품되어, 조립 공정에서 차체측 크로스 멤버(1)에 어퍼 아암(2)과 로어 아암(3)을 매개로 조립된다.
상기의 조립 과정에서, 특히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을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5)에 체결할 때에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코일 스프링(8)의 반력(차체의 중량에 상당함)에 상당하는 하중을 미리 가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부시(9)와 함께 고정된 체결용 핀(10)을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에 볼트(B)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즉,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고정된 체결용 핀(10)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10a)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도시안됨)을 각각 일치되도록 한 다음, 볼트(B)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체결 부위에 정확하게 일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운팅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 결과, 리어 서스펜션 모듈을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5)상에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체결 부위를 일치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의 소요는 물론, 별도의 마운팅 장비를 이용해야 하므로, 덱 타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취부 브라켓을 설치하여,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조립시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별도의 취부 브라켓에 가조립함으로써,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결합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을 갖춘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의 내/외측으로 각각 이격된 취부용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취부용 브라켓에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된 체결용 핀의 양측 선단 부위가 각각 엇갈린 방향으로 지지되어 위치를 구속받도록 가조립된 다음,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상기 체결용 핀이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리어 트레일링 아암에서 전방측 마운팅 부위만을 확대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인 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위해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에 대한 전체 구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며,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참조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은 차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로스 멤버(1)와, 상기 크로스 멤버(1)의 양측 선단에서 상하의 부위로 어퍼 아암(2)과 로어 아암(3)을 매개로 고정되는 캐리어(4), 상기 캐리어(4)의 전방 부위와 차체의 양측 부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리어 사이드 멤버(5)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6) 및, 상기 로어 아암(3)과 차체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트럿 바아(7)와 코일 스프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에 대한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대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하부에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과의 조립을 위한 한 쌍의 취부용 브라켓(11,11')이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은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선단부의 내/외측에서 각각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은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부시(9)와 함께 고정된 체결용 핀(10)의 양측 선단 부위를 상호 엇갈린 방향, 즉 상측과 하측의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용 핀(10)은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고정된 부시(9)에 끼워지는 것으로, 양측 선단 부위에는 각각 체결용 구멍(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은 내측 취부용 브라켓(11)과 외측 취부용 브라켓(11')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을 중심으로 차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취부용 브라켓(11)은 상기 체결용 핀(10)의 내측 부위를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을 중심으로 차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취부용 브라켓(11')은 상기 체결용 핀(10)의 외측 부위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용 핀(10)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과의 걸림 지지를 위해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10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취부용 브라켓(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수용 공간부(11a)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형태로서, 상단부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저면에 접합되어 고정되고, 하측의 수용 공간부(11a)가 상기 체결용 핀(10)의 내측에 위치한 걸림부(10b)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취부용 브라켓(11')은 역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로 절곡된 형태로서, 상단부가 역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저면에 접합되어 고정되고, 하단부의 걸림 지지부(11a')가 상기 체결용 핀(10)의 외측에 위치한 걸림부(10b)를 안착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용 핀(10)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10a)과 볼트(B) 체결을 위한 체결용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저면에 볼트(B) 체결시킬 때에는, 상기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위치한 부시(9)에 조립된 상기 체결용 핀(10)의 양측 선단 부위를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에 각각 상하로 엇갈린 방향에서 끼워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용 핀(10)의 양측 선단부에서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10b)를 상기 내측 취부용 브라켓(11)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11a)와, 상기 외측 취부용 브라켓(11')에 형성된 걸림 지지부(11a')에 각각 상하로 엇갈리게 걸어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용 핀(10)의 양측 선단 부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부용 브라켓(11,11')에 의해 길이 방향(X)과 선회 방향(Y) 및 상하 방향(Z)으로 각각 구속될 수 있게 되어, 볼트(B)를 이용한 체결 작업시 별도의 마운팅 장비가 없이도 손쉽게 가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저면에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6)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가조립되면,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체결용 구멍(5a)과 상기 체결용 핀(10)의 체결용 구멍(10a)은 서로 대응된 위치가 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체결용 구멍(5a,10a)의 내부로 볼트(B)를 삽입시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5)의 반대편 부위에 고정된 너트(도시안됨)와 체결시키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별도의 취부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를 매개로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용이하게 가조립함으로써,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를 차체의 리어 사이드 멤버상에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차체측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 전방측 마운팅 부위가 결합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을 갖춘 리어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는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의 내/외측으로 각각 이격된 취부용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취부용 브라켓에 상기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전방측 마운팅 부위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된 체결용 핀의 양측 선단 부위가 각각 엇갈린 방향으로 지지되어 위치를 구속받도록 가조립된 다음,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상기 체결용 핀이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용 브라켓은 상기 체결용 핀의 내측 부위를 상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용 핀의 외측 부위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된 내측 취부용 브라켓과 외측 취부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취부용 브라켓은 상기 체결용 핀의 내측에 위치한 걸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외측 취부용 브라켓은 상기 체결용 핀의 외측에 위치한 걸림부를 안착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걸림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핀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취부용 브라켓과의 걸림 지지를 위해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1020040067069A 2004-08-25 2004-08-25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10095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69A KR100957333B1 (ko) 2004-08-25 2004-08-25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69A KR100957333B1 (ko) 2004-08-25 2004-08-25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99A KR20060018599A (ko) 2006-03-02
KR100957333B1 true KR100957333B1 (ko) 2010-05-12

Family

ID=3712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69A KR100957333B1 (ko) 2004-08-25 2004-08-25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3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293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293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99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703B2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KR20070008850A (ko) 멀티링크식 후륜 현가장치
JPH10203293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車輌内に支持する装置
US7717441B2 (en) Suspension mounting crossmember with integrated cab mounts for vehicle having front multilink suspension
CN109955920B (zh) 车身后部构造
KR100599263B1 (ko) 차량용 프론트 서스펜션의 마운팅 구조
BRPI1102739A2 (pt) armação de sustentação para fixação lateral de peças complementares em um suporte longitudinal de uma estrutura de sustentação de veìculo utilitário
JP2004244012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のための多機能ブラケット
US20060125202A1 (en) Mounting structure of stabilizer bar in vehicle
KR100957333B1 (ko) 리어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JP4069605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10095251A (ja) 車体
KR10122037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프레임
KR100290036B1 (ko)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JP3704998B2 (ja) エアスプリング取付構造
US6302418B1 (en) Modular suspension beam
JP6614971B2 (ja) 車椅子リフト装置、車両及び車椅子リフト装置
KR100683203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대차
CN218662034U (zh) 前副车架及车辆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CN210309802U (zh) 全地形车
CN217804902U (zh) 安装支架、车架前端总成及车辆
KR100551254B1 (ko) 카울 크로스멤버
CN219857351U (zh) 一种后副车架
CN113682376B (zh) 一种前宽后窄的变宽度商用车车架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