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35Y1 -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35Y1
KR200162835Y1 KR2019970016404U KR19970016404U KR200162835Y1 KR 200162835 Y1 KR200162835 Y1 KR 200162835Y1 KR 2019970016404 U KR2019970016404 U KR 2019970016404U KR 19970016404 U KR19970016404 U KR 19970016404U KR 200162835 Y1 KR200162835 Y1 KR 200162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ixed
bus
fitted
ste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816U (ko
Inventor
차선홍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16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60N2/012The seat support be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20)과 스텝 커버(130)로써 중앙통로(112)의 양편으로 단턱부(114)를 연결 설치하여 바닥(110)을 구성하고, 사이드 패널(150)의 내측면에는 볼트(170)가 다수개 끼워져 고정된 결합 레일(160)을 용접 고정하며, 그 결합 레일(160)의 볼트(170)에 끼워져 너트(172)로 결합되도록 시트(140)의 일측단에는 구멍(144)이 수개 형성된 고정구(142)를 결합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단에는 단턱부(114)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고정판(148)이 연설된 한 쌍의 다리(146)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텝 커버(130)의 외측 표면에는 요입부(134)를 가로 방향으로 포밍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134)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146)의 고정판(148)의 일측단에는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가 상하 돌출 형성된 절곡부(149)를 형성함으로써, 시트의 설치 작업시 별도의 볼팅 작업이 필요없이 일측의 다리에 형성된 절곡부의 끼움돌부와 걸림돌부를 스텝 커버의 요입부에 끼워 고정하면서, 별도로 스텝몰딩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성을 크게 향상된 고안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본 고안은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의 다리에 형성된 고정판의 일측으로 끼움돌부와 걸림돌부가 형성된 절곡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그 절곡부의 끼움돌부와 걸림돌부가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스텝 커버에는 요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시트의 취부 작업시 절곡부의 끼움돌부와 걸림돌부를 스텝 커버의 요입부에 끼워 간단히 고정토록 함에 따라 볼팅 작업이 필요없고, 기존의 스텝 몰딩을 삭제함에 따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운전자를 위한 시트가 차실내의 조향 핸들쪽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 다수의 탑승자를 위한 시트가 중앙 통로를 기준으로 양편의 단턱진 부위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종방향 배열 설치되어 있는 데, 그 시트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시트당 두사람이 함께 탑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의 설치구조에 있어,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실내의 바닥(10)은 중앙통로(12)의 양편과 후방으로 단턱부(14)를 연이어 형성하되, 그 단턱부(14)와 중앙통로(12)는 내부로 공간부(32)가 형성되게 프레임(20)과 스텝 커버(30)로 연결 설치하는 한편, 상기 단턱부(14)에는 다수개의 시트(4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시트(40)의 일측 하단에는 구멍(44)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관통된 "ㄱ"자형 고정구(53)가 길게 용접 결합되는 동시에, 타측 이면에는 하단이 단턱부(14)에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48)이 서로 연결 설치된 한 쌍의 다리(46)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었다.
이때, 상기 고정구(42)의 구멍(44)으로 각각 끼워져 너트(72)로 고정될 수 있도록 버스의 사이드 패널(50) 내측면에는 볼트(70)가 끼워진 "ㄷ"자형의 결합 레일(60)을 부착 설치하고 있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중앙통로(12)와 단턱부(14)의 표면으로 부착 설치된 매트이고, (90)은 상기 각 매트(80)의 끝단이 겹쳐지는 모서리를 고정하게 된 스텝 몰딩이다.
즉, 종래의 기술 구성에서는 상기 사이드 패널(50)의 내측면에 수개의 볼트(70)가 끼워진 결합 레일(60)을 용접 고정한 이후 시트(40)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구(42)의 각 구멍(44)으로 결합 레일(60)에 끼워 고정된 볼트(70)가 끼워지도록 하여 너트(72)로써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시트(40)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리(46)의 고정판(48)을 단턱부(14)에 상치하고 난 다음, 그 단턱부(14)를 볼트(70)로써 체결 고정토록 하고 있었는 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으로는 시트(40)의 다리(46)에 연설된 고정판(48)을 단턱부(14)에 고정할 경우 각각에 형성된 홀이 일치되지 않아 작업상 애로점이 발생함과 아울러, 이와는 별도로 상기 스텝 몰딩(90)을 구비한 후 취부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의 설치 작업시 별도의 볼팅 작업이 필요없이 일측의 다리에 형성된 절곡부의 끼움돌부와 걸림돌부를 스텝 커버의 요입부에 끼워 고정하면서, 별도로 스텝몰딩을 구비하여 취부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스텝 커버로써 중앙통로의 양편으로 단턱부를 연결 설치하여 바닥을 구성하고, 사이드 패널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다수개 끼워져 고정된 결합 레일을 용접 고정하며, 그 결합 레일의 볼트에 끼워져 너트 결합되도록 시트의 일측단에는 구멍이 수개 형성된 고정구를 결합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단에는 단턱부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고정판이 연설된 한 쌍의 다리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텝 커버의 외측 표면에는 요입부를 가로 방향으로 포밍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의 고정판의 일측단에는 걸림돌부와 끼움돌부가 상하 돌출 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바닥 114 : 단턱부
120 : 프레임 130 : 스텝 커버
140 : 시트 149 : 절곡부
149a : 걸림돌부 149b : 끼움돌부
150 : 사이드 패널 160 : 결합 레일
170 : 볼트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의 시트(140)를 설치함에 있어서, 프레임(120)과 스텝 커버(130)로써 중앙통로(112)의 양편으로 단턱부(114)를 연결 설치하여 버스의 바닥(110)을 구성한다.
또한 사이드 패널(150)의 내측면에는 볼트(170)가 다수개 끼워져 고정된 결합 레일(160)을 용접 고정한다.
그 결합 레일(160)의 볼트(170)에 끼워져 너트 결합되도록 시트(140)의 일측단에는 구멍(144)이 수개 형성된 고정구(142)를 결합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단에는 단턱부(114)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고정판(148)이 연설된 한 쌍의 다리(146)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스텝 커버(130)의 외측 표면에는 요입부(134)를 가로 방향으로 포밍 형성한다.
그 요입부(134)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146)의 고정판(148)의 일측단에는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가 상하 돌출 형성된 절곡부(149)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20)는 상기 단턱부(114)와 중앙통로(112)를 연결하게 된 프레임이고, (132)은 그 스텝 커버(130)와 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트(140)의 다리(146) 하단에 연결 설치된 고정판(148)의 절곡부(149)을 스텝 커버(130)에 끼워 고정한 다음, 시트(140)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일측에 연설된 고정구(142)를 사이드 패널(150)의 결합 레일(160)의 볼트(170)에 각각 끼워 너트(172)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140)의 설치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140)의 설치 과정을 살펴 보자면, 상기 사이드 패널(150)의 내측면 하부에는 "ㄷ"자 형의 결합레일(160)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시트(140)에 하향 돌출된 한 쌍의 다리(146)의 고정판(148)에는 절곡부(149)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절곡부(149)의 내측면에는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를 상,하로 돌출 형성하게 된다. 이때 그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텝 커버(130)의 외측면에는 요입부(134)를 포밍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140)를 단턱부(114)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기 다리(146)의 고정판(148)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부(149)를 스텝 커버(130)의 요입부(134)에 끼운다. 즉 그 요입부(134)에는 상기 절곡부(149)의 끼움돌부(149b)가 하단으로 끼워지면서, 그 상부의 걸림돌부(149a)는 요입부(134)의 상부 내벽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돌부(149a)는 탄지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요입부(134)에 끼워지는 순간 하향으로 약간 휘어진 다음, 완전히 끼워질 때 자체의 복귀력에 의해 상부로 움직여 요입부(134)의 상부 내벽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140)가 도면 4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이렇게 회전된 시트(140)의 일측단에 형성된 고정구(142)의 구멍(144)은 상기 결합 레일(160)에 끼워 고정된 볼트(170)에 각각 끼우게 된다. 이어 그 돌출된 볼트(170)에 너트(172)를 체결하게 되면 시트(140)의 설치 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시트(14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작업과는 역순으로 하면 되는 데, 먼저 상기 너트(172)를 결합 레일(160)의 볼트(170)로부터 풀어 탈거하고 난 다음, 고정구(142)를 결합 레일(160)에서 이탈시키고 나서, 상기 시트(140)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절곡부(149)의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가 상기 스텝 커버(130)의 요입부(134)에서 간단히 빼내는 작업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볼팅되었던 것을 푸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따르면, 중앙통로와 단턱부를 서로 연결하게 된 스텝 커버의 외측면에는 요입부를 형성하고, 시트의 다리에 연설된 고정판의 일측으로는 걸림돌부와 끼움돌부가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절곡부를 하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시트의 설치 작업시 상기 절곡부의 걸림돌부와 끼움돌부가 스텝 커버의 요입부에 끼워져 고정한 다음, 시트의 고정구의 구멍이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결합 레일의 볼트에 끼워 너트로써 각각 체결함에 따라 시트의 다리를 단턱부에 끼워 고정할 경우 별도의 볼팅 작업이 필요없을 뿐더러, 스텝 몰딩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고안이다.

Claims (1)

  1. 프레임(120)과 스텝 커버(130)로써 중앙통로(112)의 양편으로 단턱부(114)를 연결 설치하여 바닥(110)을 구성하고, 사이드 패널(150)의 내측면에는 볼트(170)가 다수개 끼워져 고정된 결합 레일(160)을 용접 고정하며, 그 결합 레일(160)의 볼트(170)에 끼워져 너트(172)로 결합되도록 시트(140)의 일측단에는 구멍(144)이 수개 형성된 고정구(142)를 결합 고정하는 동시에, 타측단에는 단턱부(114)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고정판(148)이 연설된 한 쌍의 다리(146)를 하향으로 돌출 형성한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텝 커버(130)의 외측 표면에는 요입부(134)를 가로 방향으로 포밍 형성하면서, 그 요입부(134)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146)의 고정판(148)의 일측단에는 걸림돌부(149a)와 끼움돌부(149b)가 상하 돌출 형성된 절곡부(14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2019970016404U 1997-06-30 1997-06-30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200162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404U KR200162835Y1 (ko) 1997-06-30 1997-06-30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404U KR200162835Y1 (ko) 1997-06-30 1997-06-30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16U KR19990002816U (ko) 1999-01-25
KR200162835Y1 true KR200162835Y1 (ko) 1999-12-15

Family

ID=1950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404U KR200162835Y1 (ko) 1997-06-30 1997-06-30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16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7309B2 (en) Integrated rear impact guard and pintle hook assembly
WO2009095928A2 (en) Integrated mounting flange for school bus seats
US6145910A (en) Method of installing a vehicle interior
KR200162835Y1 (ko)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JPH10250490A (ja) ルーフラックレール取付構造
KR200153909Y1 (ko)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200153910Y1 (ko)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200162837Y1 (ko) 버스용 시트의 고정구조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20000010231A (ko) 버스의 사이드 수직필라와 아웃리거 프레임의 결합구조
JP3994544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CN216734600U (zh) 一种电动车的踏板固定结构
CN118062113A (zh) 车架后部结构及车辆
KR200154022Y1 (ko) 버스의 바닥재가 설치되는 측면필라의 단면구조
KR200154038Y1 (ko) 버스의 바닥재가 설치되는 측면필라의 단면구조
KR200161451Y1 (ko) 저상버스의 파워스티어링 유닛 마운팅 구조
WO2009095927A2 (en) Riser to cross support joint for modular school bus seats
AU2018282260A1 (en) A bus module and method
KR0120055Y1 (ko) 승용차용 리어범퍼의 설치구조
KR0135111Y1 (ko) 버스 시트의 다리 고정구조
KR20020047975A (ko) 자동차용 시트레그 체결 구조
JPS6324048Y2 (ko)
JPH11115597A (ja) リヤシートバック固定用ブラケット配設構造
KR200151603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설치구조
KR20100042144A (ko) 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