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962A -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962A
KR19980047962A KR1019960066489A KR19960066489A KR19980047962A KR 19980047962 A KR19980047962 A KR 19980047962A KR 1019960066489 A KR1019960066489 A KR 1019960066489A KR 19960066489 A KR19960066489 A KR 19960066489A KR 19980047962 A KR19980047962 A KR 1998004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bracket
support bracket
column support
cow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화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962A/ko
Publication of KR1998004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962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스티어링 어셈블리의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의 구조로서, 간단하면서도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이루어 조립 작업성의 편리함은 물론, 원가 절감에도 이점을 지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을 일측으로 연결하고, 그 다른 일측은 카울패널 측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토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 패널의 일측면으로 고정설치되는 어퍼 브라켓트와; 이 어퍼 브라켓트의 하면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카울 패널의 하면으로 고정설치됨을 물론,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연결 설치되는 로워 브라켓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로 연결설치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토록 하는 브라켓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향장치인 스티어링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타이어의 방향을 조정하는 장치로서, 이의 구성에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작기구와, 이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로 전달하는 기어장치와, 이 기어장치의 작동을 앞바퀴로 전달하는 링크기구가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조작기구의 스티어링 샤프트는, 통상 스티어링 컬럼에 삽입되어 상기 기어장치 측으로 연결되어지는 바, 이 때,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자동차의 전방측 패널인 카울과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자동차 차체에 지지토록 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스티어링에서는 진동특성을 양호하게 보이는 것이는 주과제임에 따라, 이에 연관하여 스티어링 컬럼의 진동특성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의 강성 및 구조의 결합관계가 주요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를 설계하고 있는 바, 도 4에는 종래에 구비되고 있는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1)는 카울 패널(3)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박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는 먼저 덱 크로스 멤버의 통과 구멍부(5)를 형성하여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제1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7, 9)가 포함되고 있다.
이 제1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7, 9)는, 스티어링 컬럼(11)과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부위로서, 상기 구멍부(5)로 덱 크로스 멤버(도시되지 않음)를 삽입시켜 그 강성을 보강받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7, 9)는 상기 카울 패널(3)에 일단을 고정하고 있는 연결 패널(13)에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1)에는 상기 카울 패널(3)에 일측을 고정하면서 상기 제1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7,9)에 연결되고 있는 제2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15,17)가 더욱 포함되고 있는 바, 이 제2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14,17)는 점용접을 통해 상기 카울 패널(3)에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1)는, 다수의 브라켓트가 나사결합 및 점용점을 통해 카울 패널(3)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11)을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는, 전체 구조를 이루는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시, 그 조립작업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될 뿐더러 다수의 부품 사용에 따라 원가 상승을 초래할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에서는 자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마련된 덱 크로스 멤버 삽입용 구멍부가, 제1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에 있어 어퍼 브라켓트 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구멍부에 덱 크로스 멤버가 삽입되어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면, 그 보강정도가 어퍼 브라켓트 쪽으로 더욱 기울게 될 문제점이 있게되므로, 이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의 진동특성은 저하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화된 구조에 따라 조립성이 간편하고, 부품수의 축소로 원가 절감에도 이점을 지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된 구조로 진동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을 일측으로 연결하고, 그 다른 일측은 카울 패널 측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토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 패널의 일측면으로 고정설치되는 어퍼 브라켓트와; 이 어퍼 브라켓트의 하면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카울 패널의 하면으로 고정설치됨은 물론,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연결 설치되는 로워 브라켓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의 어퍼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림 서포트 브라켓트의 로워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에 스티어링 컬럼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 부호 31은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를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는,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와 마찬가지로 그 일측은 스티어링 어셈블리의 스티어링 컬럼(33) 측에, 또한 다른 일측은 카울 패널(35) 측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33)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는, 상, 하로 배치되어 한몸을 이루게 되는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31a,31b)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31a,31b)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은 도 2 및 도 3를 통해 알 수 있다.
우선, 도 2는 상기 브라켓트(31)의 어퍼 브라켓트(31a)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는 일정 형태를 갖으면서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부(310a)의 일측으로 상기 카울 패널(35)의 일측면으로 부착되는 제1 테두리(312a)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310a)의 다른 일측으로는 상기 제1 테두리(312a)에 직교상으로 배치되는 제2 테두리(314a)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제2 테두리(314a)와 상기 커버부(310a)이 양측으로는, 그 소정의 위치에 반구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만곡부(316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만곡부(361a)는 상기 브라켓트(31)의 내부로 가로 질러 배치되는 덱 크로스 멤버(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구멍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뒤의 설명을 통해 더욱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로워 브라켓트(3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시 일정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내부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커버부(310b)의 상단 둘레로 테두리(312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에서 커버부(310b)의 내면에는 스티어링 컬럼(33)의 장착을 위한 볼트 삽입공(314b)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로워 브라켓트(31b)는, 상기 테두리(312b)의 일측부를 상기 카울 멤버(35)의 하단면에 부착시키면서,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와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로워 브라켓트(31b)에도 그 커버부(310b) 및 테두리(312b)의 양측으로 상기 만곡부(316b)와 같은 다른 만곡부(316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만곡부(316b)는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 및 로워 브라켓트(31b)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의 만곡부(316a)와 함께 상기한 구멍부(31c)를 형성하게 된다.(도 1 참조)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는, 다음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33)를 지지하게 된다.
즉, 우선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는,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의 제2 테두리(314a)를 상기 로워 브라켓트(31b)의 테두리(312b)에 맞대어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를 상기 로워 브라켓트(31b)에 부착시킨다. 물론 이 때, 상기 만곡부(316a,316b)들은 상기한 구멍부(31c)가 형성될 수 있도록 맞대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양 브라켓트(31a,31b)가 결합되면,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의 제1 테두리(312a)는 상기 카울 패널(35)의 측면부에, 또한 상기 로워 브라켓트(31b)의 테두리(312b) 일측부는 상기 카울 패널(35)의 하측면으로 부착되므로, 이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는 상기 카울 패널(35)에 연결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가 상기 카울 패널(35)에 연결되면, 상기 스티어링 컬럼(33)은 그에 장착된 브라켓트(35)를 상기 어퍼 브라켓트(31b)에 나사결합으로 연결시키게 됨으로써, 이에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에 지지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도 상기 스티어링 컬럼(33)을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의 강성 증대를 위해, 상기 구멍부(33)로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에 장착되는 덱 크로스 맴버는, 상기 어퍼 및 로워 브라켓트(31a,31b)의 접합면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기 구멍부(33)에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31)에 강성을 부여하게 되므로, 이에 상기 양 브라켓트(31a, 31b)에 부가되는 강성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양호하게 상기 양 브라켓트(31a,31b) 모두에 고르게 부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는,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이 적용된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을 이루는 작업자는, 그 조립작업성에 편리함을 가지게 되며, 적은 부품수의 소요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동특성 향상에 이점을 지닐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그 내부로가로 질러 배치되는 덱 크로스 멤버로부터 강성 부여를 균등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을 일측으로 연결하고, 그 다른 일측은 카울 패널 측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지지토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 패널(35)의 일측면으로 고정설치되는 어퍼 브라켓트(31a)와; 이 어퍼 브라켓트(31a)의 하면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카울 패널의 하면으로 고정설치됨은 물론, 상기 스티어링 컬럼(33)이 연결 설치되는 로워 브라켓트(31b)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 및 로워 브라켓트(31b)의 양측부로는 강도보강용 덱 크로스 멤버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구멍부(31c)가 형성되어지되, 이 구멍부(31c)는 상기 어퍼 브라켓트(31a) 및 로워 브라켓트(31b)의 접합면을 중심으로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KR1019960066489A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KR1998004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489A KR19980047962A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489A KR19980047962A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962A true KR19980047962A (ko) 1998-09-15

Family

ID=6644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489A KR19980047962A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33B1 (ko) * 2004-12-15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용 조향 컬럼의 충격흡수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33B1 (ko) * 2004-12-15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용 조향 컬럼의 충격흡수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8712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JPH08183478A (ja) リインホースメントの支持構造
KR19980047962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서포트 브라켓트 구조
JP3304795B2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取付構造
KR19990020719A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장착 구조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KR10040211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KR19990034722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장착구조
KR100412800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시스템의 진동저감장치
KR100320846B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패널부의 보강구조
KR100534273B1 (ko) 원 박스 차량의 서스펜션 고정용 타워 구조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JP2588982Y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0330792B1 (ko) 자동차차체의카울보강구조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JP4301129B2 (ja) デッキクロスメンバ取付構造
KR0150168B1 (ko) 자동차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19980038139A (ko) 자동차의 선루프 취부구조
KR19980050507U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진동 저감구조
KR0162556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
KR0119237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 브라켓(Bracket)
KR0173655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를 전방플로어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취부구조
KR19980034073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멤버 결합구조
KR100373912B1 (ko)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의 취부구조
KR20030016584A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조립용 멤버의 강성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