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043Y1 -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043Y1
KR200268043Y1 KR2020010036566U KR20010036566U KR200268043Y1 KR 200268043 Y1 KR200268043 Y1 KR 200268043Y1 KR 2020010036566 U KR2020010036566 U KR 2020010036566U KR 20010036566 U KR20010036566 U KR 20010036566U KR 200268043 Y1 KR200268043 Y1 KR 200268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upport
handrail
support bracket
han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우정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기업(주) filed Critical 우정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36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0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11)의 측벽에 한쌍의 지지격벽(12)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형성되며 그 지지격벽(12)의 일측에 한쌍의 너트삽입홈(13)이 형성된 핸드레일(10)과, 일단에 상기 핸드레일(10)의 지지격벽(12)을 지지하는 가이드판(21)이 형성된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핸드레일(10)의 너트삽입홈(13)을 통해 안내슬롯(11)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가이드판(21)과 함께 지지격벽(12)을 물어 잡아 고정시키는 고정판(30)으로 이루어져, 핸드레일을 지지브라켓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건물내 승강기의 이동통로의 측벽과 승강기의 사이에서 지지브라켓을 보울트체결할 필요가 없게 되어 핸드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 Hand rail device for elevator }
본 고안은 승강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승강기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는 탑승객들이 승강기의 상승/하강시 작용하는 관성에 대하여 탑승시간동안 편하고 안전하게 의지할 수 있도록 승강기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내벽둘레를 따라 설치된 것으로, 승강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손잡이의 역할 이외에도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는 손으로 잡는 핸드레일(110)이 고정브라켓(120)으로 승강기의 측벽(101)에 보울트결합되는 것인데, 상기 고정브라켓(120)과 핸드레일(110)이 일체로 고정되어 승강기의 측벽에 설치시 체결너트(130)를 조이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는, 승강기를 건물내부의 승강기 이동통로의 측벽에 인접하게 설치한 후에 설치되는데, 상기 핸드레일(110)과 고정브라켓(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120)의 일단에 형성된 보울트부(121)를 승강기의 측벽(101)을 관통하여 돌출시킨 후 그 보울트부(121)에 체결너트(130)를 결합해야 하고, 그로 인해 승강기와 건물 벽체의 사이로 체결너트(130)를 넣어 체결해야 하는데, 승강기와 벽체의 사이공간이 좁아 체결너트(13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최근에는 승강기를 작동시키는 기술의 발달로 승강기의 이동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승강기와 건물벽체 사이의 간격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어 건물벽체와 승강기의 사이에서 작업을 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기를 설치하기 전에 승강기에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승강기에 미리 보울트결합하고 승강기의 설치후에 승강기의 내부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의 측벽에 한쌍의 지지격벽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형성되며 그 지지격벽의 일측에 한쌍의 너트삽입홈이 형성된 핸드레일과, 일단에 상기 핸드레일의 지지격벽을 지지하는 가이드판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핸드레일의 너트삽입홈을 통해 안내슬롯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가이드판과 함께 지지격벽을 물어 잡아 고정시키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핸드레일을 지지브라켓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승강기에 지지브라켓을 장착한 상태에서 건물내에 승강기를 먼저 설치한 후 핸드레일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브라켓에 핸드레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핸드레일 11 : 안내슬롯
12 : 지지격벽 13 : 너트삽입홈
14 : 캡 20 : 지지브라켓
21 : 가이드판 22 : 체결너트
25 : 체결보울트 30 : 고정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내측으로 일단이 돌출되게 승강기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정체결되는 지지브라켓(20)과, 승강기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20)의 선단에 결합되는 핸드레일(10)을 포함한다.
상기 핸드레일(10)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1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11)의 측벽에 한쌍의 지지격벽(12)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형성되며, 그 지지격벽(12)의 일측에 한쌍의 너트삽입홈(13)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캡(14)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지지격벽(12)은 안내슬롯(11)의 측벽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지지격벽(12)과 지지격벽(12)의 사이로 체결보울트(25)가 출입할 수 있게 되고, 그 사이의 간격이 가이드판(21)과 고정판(30)의 너비보다 좁아 고정판(30)이 지지격벽(12)과 평행한 상태로는 통과할 수 없게 되며, 반대로 고정판(30)이 안내슬롯(11)에 삽입된 후에는 지지격벽(12)에 걸려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된다.
상기 각 지지격벽(12)의 일측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너트삽입홈(1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30)가 가이드판(21)에 체결보울트(25)로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슬롯(11)으로 삽입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10)을 승강기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이 승강기의 측벽에 보울트결합되고, 타단이 수직상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며, 그 타단에 상기 핸드레일(10)의 지지격벽(12)을 지지하는 판형상의 가이드판(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21)에 고정판(30)이 보울트체결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20)은 'L'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일단이 승강기의 측벽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면 타단은 수직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그 선단에 핸드레일(10)이 얹혀져 고정결합되며, 승강기를 건물내에 설치하기 전에 승강기의 측벽을 관통한 후 체결너트(22)를 조여 먼저 설치되므로써, 건물내의 승강기 이동통로의 측벽과 승강기 사이의 간격이 좁아 체결너트(22)를 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21)은 지지격벽(12)을 물어 잡아 핸드레일(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일단에 그 지지브라켓(2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체결보울트(25)가 수직상방향으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가이드판(21)과 함께 지지격벽(12)을 물어 잡아 핸드레일(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핸드레일(10)의 너트삽입홈(13)을 통해 안내슬롯(11)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가이드판(21)과 지지격벽(12)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판(21)과 보울트결합되어 지지격벽(12)을 물어 잡으므로써 핸드레일(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내부로 돌출된 지지브라켓(20)의 선단에 평면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된 가이드판(21)에 고정판(30)이 소정간격을 두고 체결보울트(25)로 체결되어 핸드레일(10)에 간편하게 끼움으로써 핸드레일(1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핸드레일(10)의 지지격벽(12)에 형성된 한쌍의 너트삽입홈(13)의 간격이 지지브라켓(20)과 지지브라켓(20)의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지지브라켓(20)을 승강기의 측벽에 먼저 결합시킨 상태에서 너트삽입홈(13)으로 가이드판(21)에 보울트결합된 고정판(30)을 통과시켜 안내슬롯(11)에 끼우고, 가이드판(21)과 고정판(30)의 사이에 지지격벽(12)이 끼워지도록 좌우측으로 핸드레일(10)을 이동시킨 다음, 체결보울트(25)를 조임으로써 가이드판(21)과 고정판(30)이 지지격벽(12)을 견고하게 물어 잡을 수 있게 되고, 반대로, 핸드레일(10)을 지지브라켓(20)에서 탈거시킬 때에도 체결보울트(25)를 적당히 푼 다음 가이드판(21)과 고정판(30)이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삽입홈(13)을 통해 고정판(30)을 꺼낼 수 있게 되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20)이 'L'자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판(21)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수직상방향으로 체결보울트(25)가 체결될 수 있게 되므로써 체결보울트(25)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보울트(25)를 조여 전진시키는 방향이 승강기의 측벽에서 핸드레일(10)쪽을 향하게 되면, 핸드레일(10)과 승강기 측벽사이의 간격이 좁아 드라이버나 드릴을 사용하여 체결보울트(25)를 조이기가 용이하지 않으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수직상방향으로 체결보울트(25)를 전진시킴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핸드레일(10)을 지지브라켓(20)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승강기에 지지브라켓(20)을 장착한 상태에서 건물내에 승강기를 먼저 설치한 후 핸드레일(10)을 결합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건물의 벽체와 승강기의 사이의 좁은 간격에 의해 지지브라켓(20)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에 의하면, 핸드레일과 지지브라켓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건물내 승강기의 이동통로의 측벽과 승강기의 사이에서 지지브라켓을 보울트체결할 필요가 없이 핸드레일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유지보수 또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승강기의 내측벽에 고정설치되어 탑승자가 기대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에 있어서,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슬롯(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11)의 측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지지격벽(12)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격벽(12)의 일측에 한쌍의 너트삽입홈(13)이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핸드레일(10)과;
    일단이 승강기의 측벽을 관통하여 보울트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에서 수직상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형성되며, 타단에 가이드판(21)이 돌출형성된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핸드레일(10)의 너트삽입홈(13)을 통해 안내슬롯(11)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가이드판(21)과 지지격벽(12)을 사이에 두고 보울트체결되어 그 지지격벽(12)을 물어 잡는 고정판(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KR2020010036566U 2001-11-27 2001-11-27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KR200268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66U KR200268043Y1 (ko) 2001-11-27 2001-11-27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66U KR200268043Y1 (ko) 2001-11-27 2001-11-27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043Y1 true KR200268043Y1 (ko) 2002-03-15

Family

ID=7307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66U KR200268043Y1 (ko) 2001-11-27 2001-11-27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0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33025A (ja) 排気抜取り装置に対するレール上の装置
KR200268043Y1 (ko) 승강기용 핸드레일장치
JP2007161447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装置
US5131505A (en) Guide rail system for elevators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JPH07117947A (ja) エレベータ用フェッシアプレート
JP2008179460A (ja) エレベータ乗り場出入口の据付装置
JP2888393B2 (ja) エレベータのユニットブロック
JP2003327371A (ja) エレベーター用フェッシアプレート
JP2006206216A (ja) エレベータの戸の案内装置
JP2013124142A (ja) エレベータのタイブラケット装置
JPH0111664Y2 (ko)
JPH11263565A (ja) エレベータの敷居
JP2004035218A (ja) エレベーター据付作業用型板装置
JPH0768023B2 (ja) エレベ−タのガイドレ−ル装置
KR102341567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장식패널 장착구조
KR0139080Y1 (ko) 난간고정용브라켓
JPH036623Y2 (ko)
KR20020079129A (ko) 칸막이의 연결장치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JPH021327Y2 (ko)
JPH01303287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H11343690A (ja) 外壁パネルの支持装置
KR940002171Y1 (ko) 엘리베이터카의 조립장치
JPH05155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