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132Y1 -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132Y1
KR200266132Y1 KR2020010036052U KR20010036052U KR200266132Y1 KR 200266132 Y1 KR200266132 Y1 KR 200266132Y1 KR 2020010036052 U KR2020010036052 U KR 2020010036052U KR 20010036052 U KR20010036052 U KR 20010036052U KR 200266132 Y1 KR200266132 Y1 KR 200266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ar
cutting
lif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6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132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연주 슬라브 생산시 생성되는 절단설을 수거 처리하기 위한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켓의 교환작업에 있어 자동화를 추구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버켓 교환시기 자동 감지 및 교환하기에 용이한 위치로 버켓을 자동 이동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버켓 카(2)상에 실린더(50)(51)(52)(53) 및 리프팅 암(30)(31)(32)(33)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상,하부플레이트(20)(21)를 설치하여 버켓(1)을 교환작업이 용이한 위치로 들어 올려주는 리프팅 장치부와, 버켓(1) 내부에 쌓이는 절단설 및 버켓의 중량을 감지하여 교환의 여부를 콘트롤 판넬(65)로 전송해주는 센서(60)(61)(70)(71)부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전송 신호에 의해 버켓 카(2)의 이동 및 실린더(50)(51)(52)(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판넬(65)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상황을 해소하고 정확하고 안전한 작업 방법으로 버켓 교환작업을 행함으로써 작업자와 설비의 효율적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HANGE OF BUCKET FOR REMOVING SCRAPS FROM SLABS}
본 고안은 연연주 슬라브 생산공정에서 생성되는 절단설을 수거처리하기 위한 버켓의 교환작업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베이스 하부 즉 지하에 위치한 버켓의 교환작업을 행함에 있어 버켓카의 이동과 리프팅 등 일관된 작업이 센서와 리프팅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단설 버켓 교환장치는 작업자가 버켓 카 내부에 채워지는 절단설의 높이 정도를 일일 또는 수시점검에 의해 확인한 다음 천정기중기의 와이어 줄걸이를 하기 위해 버켓 카를 로컬판넬로 운전을 하여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버켓 카에 대해 천정기중기의 와이어 줄걸이 작업을 한 후 버켓 카의 상승 및 교환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수순을 거치게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작업을 함에 있어서는 시간적, 인력적인 손실이 상당하고 천정기중기 운전 실수등으로 인한 작업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것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1,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버켓과 버켓 카의 구성을 보인 것인데, 버켓(1)은 연주공정에 의한 슬라브생산시 디버링머신에 의해 슬라브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제거되어 하부로 떨어지는 절단설을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많은 절단설이 버켓(1) 내부로 떨어져 쌓이게 되면 이 버켓을 정해진 곳으로 이동 처리하고 빈 버켓을 교환배치해 주어야 하며, 이 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로 버켓 카(2)라고 하는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버켓(1)과 버켓 카(2)는 도2와 같이 콘크리트 베이스(90) 아래 쪽으로 설치되는 바, 버켓 카(2)는 주행레일(29)을 따라 일정구간을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버켓 카(2) 상에 얹혀지는 버켓(1)은 절단설 제거장치 즉 디버링머쉰(91) 직하부에 위치하여 롤러테이블(99)상을 진행하는 슬라브(100)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기 디버링머쉰(91)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절단설을 받아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버켓(1) 내부에 쌓인 절단설의 양 정도를 확인한 작업자가 주행 모터(80)를 기동하게 되면 주행 풀리(81)에 의해 주행 와이어로프(22)가 진행하여 디버링머쉰(91) 하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콘크리트 베이스(90)의 또 다른 개구부하부로 버켓 카(2)가 이동 도착된다. 이 개구부를 통하여 천정기중기(95)의 와이어로프(96)를 버켓(1)에 걸어 상기 버켓(1)을 콘크리트 베이스(90)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버켓(1) 내부로 쌓이는 절단설의 높이(양)를 제대로 확인하여 버켓을 제때에 이동처리하지 못하면 절단설이 버켓 상부로 넘치는 현상으로 콘크리트 베이스와 밀착되어 버켓의 이동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또 넘쳐 나온 절단설들이 버켓 카 주변으로 비산되어 주변기기에 고장을 일으키게 되므로 제거작업을 다시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버켓(1)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천정기중기(95)를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고 보조작업자는 콘크리트 베이스(90) 하부에서 와이로프(96) 줄걸이작업을 보조하여 줄걸이가 완료된 시점에서 작업자가 천정기중기를 권상하기 시작하면서 버켓의 일부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개구부의 일부가 충돌되는 현상이 빈발하고 심한 경우는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겪게 되는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점은 새로운 버켓을 다시 버켓 카 위에 안착시키는 작업 과정에서도 수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는 자동화된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켓 및 버켓 카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버켓 교환작업 상황도로서, (가)는 버켓 카 정상작업 위치도, (나)는 천정기중기를 이용한 버켓 교환작업 상황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리프팅부 조립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중량감지 센서부의 설치 개요도,
도6은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높이감지 센서부의 설치상태 사시도 및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로 리프팅된 버켓 및 버켓 카의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켓 2 : 버켓 카
20 : 버켓 카 상부플레이트 21 : 버켓 카 하부플레이트
22 : 주행 와이어로프 23 : 중량감지 로드
24 : 스프링 26 : 버켓 카 주행 휠
27 : 주행 와이어 클램퍼 29 : 버켓 카 주행 레일
30,31,32,33 : 리프팅 암 40,41,42,43 : 실린더홀더
50,51,52,53 : 리프팅 실린더 60,61 : 중량감지용 센서
65 : 콘트롤 판넬 70,71 : 높이감지 센서
80 : 버켓카 주행 모터 81 : 버켓 카 주행 풀리
90 : 콘크리트 베이스 91 : 디버링머쉰
92 : 로컬판넬 95 : 천정기중기
96 : 줄걸이용 와이어로프 99 : 롤러테이블
100 : 슬라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켓 교환작업을 함에 있어 버켓 내부에 적당량의 절단설이 쌓이고 일정한 높이가 되면 버켓이 자동으로 교환 위치로 이동이 되도록 고안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장치중 버켓 카(2) 상부에 설치제공되는 리프팅장치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동 장치의 결합 배치도이다.
이 장치는 버켓카(2) 상부의 좌,우에 한 쌍씩 대향배치되는 4개의 실린더(50,51,52,53)와, 이 실린더의 지지 역할을 하는 실린더홀더(40,41,42,43)가 있으며, 리프팅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리프팅 암(30,31,32,33)이 있고, 이 암의 상부에서 버켓(1)의 받침대 역할과 상기 실린더 및 리프팅 암들의 작용을 실질적인 리프팅 작용을 하게 되는 버켓카 상부플레이트(20)가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실린더(50~53) 세트와 4개의 리프팅 암(30~33)세트가 장착되는 버켓 카 하부 플레이트(21)도 그 구성품이며, 이 플레이트(20)(21) 내부로 도5와 같이 중량감지 로드(23)와 완충 스프링(24)이 조립되어 버켓 카(2) 내부로 장착된다.
도5에서와 같이 버켓 카 하부플레이트(21)의 아래측으로는 중량감지용 센서(60,61)가 부착설치되어 있으며, 이 센서가 콘트롤 판넬(65)에 전기적으로 연결설치되어 버켓 카의 이동 및 정지, 리프팅 작업을 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6의 높이감지용 센서(70,71)는 버켓카(2)의 외벽 진행방향 측면에 부착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버켓 카 상부플레이트(20)의 아래측으로 조립된 4개의 리프팅 암(30,31,32,33) 세트는 각각의 실린더(50,51,52,53)의 작동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바, 실린더 로드 현출길이의 장단에 따라 리프팅 암 각도의 변화가 생겨 버켓 카 상부플레이트(20)가 상승 하강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7의 상태에서 버켓(1)이 버켓 카 상부플레이트(20)상에 놓여지면 그 버켓(1)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0)가 아래로 눌리어져 이동되면서 이에 설치지지된 로드(23)의 단부가 감지 센서(60)에 감지된다. 이 감지 신호가 콘트롤 판넬(65)에 전달되면 리프팅장치가 작동되고, 리프팅장치의 작용에 의해 정확한 위치까지 하강 완료되면 버켓이 상승되어 있는 동안에 이를 감지하던 높이감지 센서(70,71)가 감지해제되면서 버켓카(2)는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절단설이 버켓(1)내부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절단설이 내부에 떨어져 쌓임에 따라 버켓(1)을 지지한 상부플레이트(20)가 스프링(24)의 탄발력을 이기고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절단설의 중량이 설정된 중량에 이르면 로드(23)의 단부가 센서(61)에 감지되면서 버켓 카(2)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동된 버켓 카(2)가 도2와 같은 천정기중기(95)가 있는 다른 개구부에 이르면 버켓 카(2)상의 리프팅장치가 다시 도7의 상태로 작동되어 절단설이 쌓인 버켓(1)을 교환 작업위치로 상승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절단설 수거처리 버켓(1) 내부에 떨어져 쌓이는 절단설의 양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버켓을 적시에 이동 및 교환처리할 수 있으므로 절단설의 수거처리가 종전보다 훨씬 더 간편,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경감되는 것은 물론 장치의 고장과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상부플레이트(20) 및 하부플레이트(21)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이 플레이트와 버켓 카(2) 사이에 실린더(50)(51)(52)(53)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리프팅 암(30)(31)(32)(33)들을 배치하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0)(21)사이에 중량감지 로드(23)와 스프링(24)을 설치하되 하부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상기 중량감지 로드(23)의 단부를 감지하는 센서(60)(61)를 설치하고, 상기 버켓 카(2)의 외벽부에는 높이감지 센서(70)(71)를 설치하며, 상기 센서(60)(61)(70)(71)들을 콘트롤 판넬(65)에 전기적으로 연결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KR2020010036052U 2001-11-22 2001-11-22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KR200266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52U KR200266132Y1 (ko) 2001-11-22 2001-11-22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052U KR200266132Y1 (ko) 2001-11-22 2001-11-22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132Y1 true KR200266132Y1 (ko) 2002-02-27

Family

ID=7311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052U KR200266132Y1 (ko) 2001-11-22 2001-11-22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1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945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upper waste layer resulting in cutting plastic porous concrete blocks or the like
KR200266132Y1 (ko) 절단설 버켓 교환작업 보조 장치
CN215179198U (zh) 一种带有防护装置的混凝土压力试验机
CN111071933A (zh) 双块式轨枕模具自动吊装系统
JPH0810938A (ja) 取鍋の付着物除去装置
CN111844473B (zh) 基于计算机控制的瓷砖切割装置及切割方法
KR101256509B1 (ko) 전기로의 리멜트 샘플 자동 채취 장치
JPH07280459A (ja) 排滓機の掻板レベル設定装置
CN210059776U (zh) 浇冒口自动分离装置
CN209906197U (zh) 一种铸坯吊装夹具
CN201940684U (zh) 一种剪板机接板装置
CN219489272U (zh) 电梯控制柜及曳引电梯
CN217192555U (zh) 浇包扒渣装置
KR20030095011A (ko) 연속주조용 턴디쉬의 교체시점 제어방법
CN217257185U (zh) 一种钢模找平装置
CN211028162U (zh) 电梯立柱、支柱、打板、角钢数控钻孔生产线
CN211619251U (zh) 钢管流水线下线装置
CN218693416U (zh) 一种公路施工用钢筋截断设备
CN217619921U (zh) 自动矫直辊表面修磨z轴升降装置
KR200210792Y1 (ko)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CN216609166U (zh) 岩棉板连续切割机
CN112429668B (zh) 一种升降机及其作业方法
CN217862122U (zh) 一种桥梁护栏打孔装置
CN207258706U (zh) 一种长圆柱型玻璃管落料装置
CN217126603U (zh) 一种电梯对重顶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