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92Y1 -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92Y1
KR200210792Y1 KR2019980012112U KR19980012112U KR200210792Y1 KR 200210792 Y1 KR200210792 Y1 KR 200210792Y1 KR 2019980012112 U KR2019980012112 U KR 2019980012112U KR 19980012112 U KR19980012112 U KR 19980012112U KR 200210792 Y1 KR200210792 Y1 KR 200210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ain nut
main
box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275U (ko
Inventor
최인규
Original Assignee
김재기
주식회사안동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기, 주식회사안동기공 filed Critical 김재기
Priority to KR2019980012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9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9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너트(50) 상단과 승하강박스(30)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너트(50)의 나사부분이 마모되어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승하강박스(30)가 일시 하강하면 이를 받쳐주어 메인너트(50)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너트(60)와, 상단은 상기 승하강박스(30)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보조너트(60)의 플랜지(62)에 형성된 관통홈(61)에 삽입되며 최초 측정된 간격(A) 보다 간격(A)이 줄어들면 메인너트(50)가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가이드핀(70)과, 상기 보조너트(60)의 한쪽에 형성된 근접핀(63)과 마주하고 고정편(41)에 의해 승하강박스(3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갑자기 근접핀(63)에서 벗어나면 메인너트(50)가 파손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12)의 전원을 차단하는 근접센서(40)로 구성하여, 철도차량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메인너트(50) 파손시 보조너트(60)가 메인너트(50)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동시에 모터(12)의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인너트(50)의 마모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메인너트(50)가 파손되기 전에 미리 메인너트의 마모량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차량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메인너트 파손시 보조너트가 메인너트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동시에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메인너트의 마모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메인너트가 파손되기 전에 미리 메인너트의 마모량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 전철등과 같이 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철도차량은 상당히 중량물이다. 따라서 철도차량을 검사하거나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철도차량 밑에서 직접 작업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적인 리프팅 잭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 다음 작업을 해야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종래 리프팅 잭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크게 본체와, 본체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축설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회전 하면 승하강박스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메인너트와, 상기 메인너트에 의해 승하강박스가 상승하면 철도차량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승하강박스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리프팅 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리프팅 잭은 본체를 철도차량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리프팅 잭을 위치시킨 다음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스크류가 회전하고, 이 회전하는 스크류를 따라 리프팅 잭이 상승하기 때문에 철도차량이 일정 높이로 들리게 된다.
이러한 종래 메인너트를 장기간 사용할 때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나사부분이 마모되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이를 대처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철도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항상 내포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 리프팅 잭에서 메인너트는 기능면에서 뿐만 아니라 안전면에서도 많은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너트의 나사 마모량을 수시로 점검하여야 하는데 구성상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메인너트의 마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완전히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철도차량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메인너트 파손시 보조너트가 메인너트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동시에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너트의 마모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므로서 메인너트가 파손되기 전에 미리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리프팅 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탠 요부 확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스크류 12 ; 모터
20 ; 리프팅 잭 30 ; 승하강박스 40 ; 근접센서
41 ; 고정편 50 ; 메인너트 60 ; 보조너트
61 ; 관통홈 62 ; 플랜지 63 ; 근접핀
70 ; 가이드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메인너트 상단과 승하강박스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너트의 나사부분이 마모되어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승하강박스가 일시 하강하면 이를 받쳐주어 메인너트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너트와,
상단은 상기 승하강박스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보조너트의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며 최초 측정된 간격 보다 간격이 줄어들면 메인너트가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가이드핀과,
상기 보조너트의 한쪽에 형성된 근접핀과 마주하고 고정편에 의해 승하강박스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갑자기 근접핀에서 벗어나면 메인너트가 파손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리프팅 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탠 요부 확대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본 고안도 본체(10)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축설되고 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와, 상기 스크류(11)가 회전 하면 승하강박스(30)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메인너트(50)와, 상기 메인너트(50)에 의해 승하강박스(30)가 상승하면 철도차량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승하강박스(30)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리프팅 잭(20)으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메인너트(50)가 파손되더라도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보조너트(60)와, 이 보조너트(60) 부근에 설치되는 가이드핀(70) 및 근접센서(40)가 동원된다.
보조너트(60)는 메인너트(50) 상단과 승하강박스(30)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너트(50)의 나사부분이 마모되어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승하강박스(30)가 일시 하강하면 이를 받쳐주어 메인너트(50)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핀(70)은 상단은 상기 승하강박스(30)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보조너트(60)의 플랜지(62)에 형성된 관통홈(61)에 삽입되며 최초 측정된 간격(A) 보다 간격(A)이 줄어들면 메인너트(50)가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여 메인너트의 교체시기를 결정하게 한다.
근접센서(40)는 보조너트(60)의 한쪽에 형성된 근접핀(63)과 마주하고 고정편(41)에 의해 승하강박스(3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갑자기 근접핀(63)에서 벗어나면 메인너트(50)가 파손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12)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메인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너트(60)는 최초 도2에서와 같이 메인너트 (50)상단과 승하강박스(30)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승하강박스(30)에서 일정한 간격(A)을 유지하고 근접센서(40)는 근접핀(63)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팅 잭(20)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을 올리고 내리는 과정을 장기간 반복하게 되면 스크류(11)를 따라 승하강하는 메인너트(50)는 철도차량의 자체 중량에 의해 나사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메인너트(50)의 나사가 조금 마모되면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스크류(11)를 따라 메인너트(50)가 마모량 만큼 하강하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볼 때 승하강박스(30)도 마모된 만큼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보조너트(60)는 승하강박스(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승하강박스(30)가 마모량 만큼 하강하더라도 스크류(11) 상에서 최초 설정된 간격(A)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최초 측정된 간격(A) 보다 간격(A)이 좁아진 것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모량에 따라 메인너트(50)의 교환시기를 결정하여 적절한 시기에 교체 하면 된다.
한편, 작업을 하다가 갑자기 메인너트(50)의 마모량이 심하거나 파손될 경우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도3에서와 같이 승하강박스(30)가 하강하여 근접센서(40)가 스크류(11)상에 위치한 보조너트(60)의 근접핀(63)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근접센서(40)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12)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박스(30)는 급하강 하지 못하고 보조너트(60)에 걸려 강제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리프팅 잭에 별도의 보조너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메인너트가 파손시 상기 보조너트가 메인너트 역할을 수행하므로 철도차량이 전복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안전하게 철도차량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승하강박스와 보조너트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핀에 최초 설정전 간격 보다 간격이 좁아지면 메인너트가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너트의 마모량에 따라 적절하게 메인너트의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축설되고 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와, 상기 스크류(11)가 회전 하면 승하강박스(30)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메인너트(50)와, 상기 메인너트(50)에 의해 승하강박스(30)가 상승하면 철도차량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승하강박스(30) 하단에 일체로 부착되는 리프팅 잭(20)에 있어서,
    상기 메인너트(50) 상단과 승하강박스(30)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너트(50)의 나사부분이 마모되어 철도차량의 중량에 의해 승하강박스(30)가 일시 하강하면 이를 받쳐주어 메인너트(50)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너트(60)와,
    상단은 상기 승하강박스(30)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보조너트(60)의 플랜지(62)에 형성된 관통홈(61)에 삽입되며 최초 측정된 간격(A) 보다 간격(A)이 줄어들면 메인너트(50)가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는 가이드핀(70)과,
    상기 보조너트(60)의 한쪽에 형성된 근접핀(63)과 마주하고 고정편(41)에 의해 승하강박스(3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갑자기 근접핀(63)에서 벗어나면 메인너트(50)가 파손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12)의 전원을 차단하는 근접센서(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안전장치.
KR2019980012112U 1998-07-03 1998-07-03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KR200210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12U KR200210792Y1 (ko) 1998-07-03 1998-07-03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12U KR200210792Y1 (ko) 1998-07-03 1998-07-03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75U KR19980059275U (ko) 1998-10-26
KR200210792Y1 true KR200210792Y1 (ko) 2001-02-01

Family

ID=6950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12U KR200210792Y1 (ko) 1998-07-03 1998-07-03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86B1 (ko) 2010-05-10 2011-05-06 임선영 리프팅잭 시스템의 자동레벨 조정장치
KR101032690B1 (ko) 2010-05-10 2011-05-09 임선영 리프팅잭 장치
KR101974639B1 (ko) * 2018-07-03 2019-05-02 (주)신우 프론티어 다단의 스크류에 의한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86B1 (ko) 2010-05-10 2011-05-06 임선영 리프팅잭 시스템의 자동레벨 조정장치
KR101032690B1 (ko) 2010-05-10 2011-05-09 임선영 리프팅잭 장치
KR101974639B1 (ko) * 2018-07-03 2019-05-02 (주)신우 프론티어 다단의 스크류에 의한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75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114076A1 (en) Elevator equipped with safety device for operator protection in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US7338248B2 (en) Battery chang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ATE37701T1 (de) Arbeitsweise zum verladen eines flurfoerderzeuges sowie stuetzwagen dafuer.
KR200210792Y1 (ko)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안전장치
KR1005605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DE3570099D1 (en) Train for the renewal of tracks provided with supporting and guiding means for its advance
KR920001419Y1 (ko) 차량 정비용 승강기의 차륜고정장치
KR200345342Y1 (ko)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JP2509382Y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1950607B1 (ko) 코크스 오븐용 승강장치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KR200226088Y1 (ko) 차량용 리프트
US3921762A (en) Vehicle lift adapter
KR100280151B1 (ko) 철도차량용 리프팅 잭 전복 방지장치
JPH06199495A (ja) 自動車整備用ピットのテーブルリフト
KR100418946B1 (ko) 2주식 리프트의 안전 시스템
KR100454576B1 (ko) 차량용 화물하역장치
JPH10109895A (ja) 自動車用リフト装置
KR200213946Y1 (ko) 트로리바 통전 램프 교환 유도장치
CN218931603U (zh) 一种举升设备
CN211252591U (zh) 一种用于钢轨探伤车的原地掉头装置
KR20080078094A (ko) 폐차량의 부속품 탈거장치
KR980008107U (ko) 자동차의 리프트 브라켓트구조
KR200157075Y1 (ko) 교각용 판체의 보강대 가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