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657Y1 -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657Y1
KR200264657Y1 KR2019960030111U KR19960030111U KR200264657Y1 KR 200264657 Y1 KR200264657 Y1 KR 200264657Y1 KR 2019960030111 U KR2019960030111 U KR 2019960030111U KR 19960030111 U KR19960030111 U KR 19960030111U KR 200264657 Y1 KR200264657 Y1 KR 20026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eering
vehicle
roll
compre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779U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0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6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657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 일측방향으로 코너링(CONERING)시 반대측의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STRUT)이 압축되면시 롤(ROLL)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안정성과 더불어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 롤(ROLL)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동차의 차체와 차축에 각각 상,하부브라켓트(11)(12)를 상호대향되게 구비하면서도 이를 사이에 압축 및 팽창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4)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브라켓트(11)(12)에는 파워 스티어링의 파워실린더(17) 및 오일탱크와 배관(18)(19)으로서 각각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15)와 이의 유압실린더(1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1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 롤(ROLL) 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 롤(ROLL)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가 주행중 일측방향으로 코너링(CONERING)시 반대측의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STRUT)이 압축되면서 롤(ROLL)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안정성과 더불어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롤(ROLL)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로서, 근래에는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었으며, 즉, 자동차의 앞바퀴 접지저항이 증대하거나 조향휠의 조작력이 커지고, 또한 신속한 조향조작을 할 수 없는데 따라, 가볍고 신속한 조합조작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오일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서 발생한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에 있어서는 유압을 이용하여 가볍고 신속하게 조향할 수 있도록 하는 본래의 조향기능은 충분히 가질지라도 자동차가 주행시 일측방향으로 코너링을 할 경우 심한 롤현상이 발생되어 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자동차를 일측방향으로 코너링을 하였을 경우 코너링되는 반대측의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는 스트럿의 구조가 압축되면서 필연적으로 롤현상이 발생되어 지는 것이었고, 이러한 롤현상은 자동차의 주행안정성을 저해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자동차의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에 있어서, 이의 유압의 작동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코너링시 반대측 스트럿의 압축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롤현상을 방지토록 하도록 하는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 롤(ROLL)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 구조상에 파워 스티어링의 유압작동에 의해 작용되는 압축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파워 스티어링이 작동시 유압실린더측의 유압이 압축방지수단으로 작용하여 스트럿의 압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관한 파워 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압축조절수단 11.12:브라켓트
13:차축 14:스프링
15:유압실린더 16:피스톤로드
17:파워실린더 l7a,17b:챔버
18,19:배관 20:피스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방지수단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압축조절수단(10)은 차체와 연결되는 상부브라켓트(11)와 차축(13)에 연결되는 하부브라켓트(12)로 구비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스프링(1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브라켓트(11)(12) 사이의 하부브라켓트(12)에는 유압실린더(15)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브라켓트(11)에는 상기 유압실린더(1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16)가 구비되어 이들의 작동으로 양브라켓트(11)(12)의 압축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5)의 하부에는 기존 파워 스티어링 파워실린더(17)의 일측챔버(CHRMBER)(17a)와 배관(18)으로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에는 미도시된 오일탱크와 배관(19)으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파워실린더(17)는 통상의 파워 스티어링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는 피스톤(20)을 중심으로 타측 챔버(17b)을 갖추어 오일펌프의 작동에 따라 각 챔버(17a)(17b)로 유입되는 오일에 의해 통상에서와 같은 조향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축조절수단(10)은 양측에 통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여기서는 그 하나만을 설명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바퀴를 표시하고 있음과 동시에 22는 자동차의 핸들을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파워 스티어링은 핸들(22)의 작동에 의해 오일탱크내의 오일이 파워실린더(17)의 각 챔버(17a)(17b)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되면서 피스톤(20)를 작동시킴으로써 파워 스티어링에 따른 조향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의 작동을 이용하여 롤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즉,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핸들(22)을 일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이의 코너링에 의해 타측에 구비되는 통상의 스트럿구조가 압축작용을 하게 되면서 그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압축조절수단(10)의 상부브라켓트(11)도 차체의 누름작동에 따라 하강됨으로써 스프링(14)을 압축하여 이의 압축력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조절수단(10)에서는 지나친 압축작용에 따라 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즉, 핸들(22)의 조작에 의해 통상에서와 같이 파워실린더(17)의 일측 챔버(17b)내에 오일이 공급되어지면, 피스톤(20)이 타측으로 작동하면서 타측 챔버(17a)내의 오일을 배관(18)을 통하여 압축조절수단(10)의 유압실린더(15)로 공급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15)에서는 자동차의 압축작용에 의해 하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16)를 상부측으로 밀어올려 적정이상의 하강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축과 차체이 연결되는 부분에 파워 스티어링의 유압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조절수단은 구비함으로써 자동차를 일측방향으로 코너링시 파워 스티어링에 따른 유압이 압축조절수단으로도 동시에 작용되어 타측의 스트럿구조가 지나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코너링시 발생되는 롤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와 차축에 각각 상,하부브라켓트(11)(12)를 상호대향되게 구비하면서도 이를 사이에 압축 및 팽창작동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4)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브라켓트(11)(12)에는 파워 스티어링의 파워실린더(17) 및 오일탱크와 배관(18)(19)으로서 각각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15)와 이의 유압실린더(15)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로드(1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을 이용한 롤(ROLL) 조절장치.
KR2019960030111U 1996-09-19 1996-09-19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KR20026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11U KR200264657Y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111U KR200264657Y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79U KR19980016779U (ko) 1998-06-25
KR200264657Y1 true KR200264657Y1 (ko) 2002-11-23

Family

ID=5397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111U KR200264657Y1 (ko) 1996-09-19 1996-09-19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6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7778A1 (en) * 2001-05-31 2002-12-05 Orion Electric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synchronously in a plasma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779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0774B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s
JPH0129731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GB2081191A (en) Vehicle suspension height control
KR200264657Y1 (ko)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을 이용한 롤 조절장치
JPH0585372B2 (ko)
JPH07242114A (ja) 作業車両の懸架装置
JP3019312B2 (ja) トーションバー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06938377U (zh) 一种自动侧倾汽车悬架系统
JP2911556B2 (ja) 車高調整用ジャッキ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用油圧緩衝器
KR100462307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H06247130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S6128210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20055815A (ko) 차량의 안티 롤 제어장치
JPH09300937A (ja) 軸重制御装置
JP2008044571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76443A (ko) 자동차용 롤링억제장치
JPH04169311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KR940006027Y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S6238874Y2 (ko)
JPH02155821A (ja) 自動車に使用されるアクティブ・スタビライザ
JPS6250212A (ja) 多軸車輌の姿勢制御装置
JPH07257129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のワインドアップ抑制装置
JPH09193641A (ja) 車両用懸架装置およびその減衰性能設定方法
JPH06278438A (ja) 作業車両の懸架装置
JPH08169222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