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056Y1 - 도로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도로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056Y1
KR200260056Y1 KR2020010028156U KR20010028156U KR200260056Y1 KR 200260056 Y1 KR200260056 Y1 KR 200260056Y1 KR 2020010028156 U KR2020010028156 U KR 2020010028156U KR 20010028156 U KR20010028156 U KR 20010028156U KR 200260056 Y1 KR200260056 Y1 KR 200260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ane
road
suppor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배
Original Assignee
김익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배 filed Critical 김익배
Priority to KR2020010028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056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 준수가 긴요한 커브길이나 톨케이트 진입로를 포함한 차도가 함류되는 지점에서 무리하게 차선을 변경하므로 인한 충돌 및 추돌사고를 포함하여 서로 엉키게 되므로 인한 접촉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차선 규제봉의 하부 주름관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인하여 탄성 및 탄력이 강하게 형성되면서 차량의 접촉시에도 훼손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부러지거나 깨지지 않고 바로 원상복귀될 수 있도록 규제봉의 내측은 받침대의 요입부가 견고하게 지지하고 그 외측은 지지구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음으로서 신속하게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수리 및 조립이 간단하면서 사출에 의해 대량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차선 규제봉{A divisional strip}
본 고안은 도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 준수가 긴요한 커브길이나 톨케이트 진입로를 포함한 차도가 함류되는 지점에서 무리하게차선을 변경하므로 인한 충돌 및 추돌사고를 포함하여 서로 엉키게되므로 인한 접촉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차선 규제봉의 하부 주름관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인하여 탄성 및 탄력이 강하게 형성되면서 차량의 접촉시에도 훼손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러지거나 깨지지 않고 바로 원상복귀할 수 있는 도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시용 규제봉은 차선 준수가 긴요한 커브길, 유턴지점, 진입로를 포함한 차도가 함류되는 지점 등에서 운전자에게 차선의 위치를 알려주어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켜 주고 있다.
이러한 용도의 종래 도로 표시용 규제봉은 고강도이면서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관체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제1999-8173호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같이 상하고무봉 및 표지병으로 구성하고 하부 고무봉의 하단에는 스프링을 부착하여 도로에 매립되는 표지병에 형성되는 암나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방법이 있으며,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제1997-5363호로 출원된 '차선 규제봉'이 있다.
이는 몸통과 보강몸통의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형성시키고 몸통이 끼워지는 좌대의 하부에 상기 돌출턱이 걸려지는 걸림턱을 형성시킨 후 몸통의 상부에서 하부로 좌대를 끼워 몸통의 돌출턱을 좌대의 걸림턱이 누르면서 좌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 표시용 규제봉은, 나사 조립 방식이나수개의 부품을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고강도이면서 내굴곡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충격시에는 상부의 관체와 받침판이 분리되는 현상이 종종 나타나 이에 따른 도로 표시용 규제봉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립되는 수개의 부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각의 금형제작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과 함께 상호 결합시키는 작업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게 도로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이 규제봉에 강하게 충돌하거나 바퀴로 밟고 지나가더라도 부러지거나 깨지지 않고 즉시 복원되므로 규제봉 자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도로 표시용 규제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속이 빈 탄력봉의 내측벽에 소정의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서 되는 규제봉; 상기 지지구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구의 볼트공과 일치되게 제2볼트공을 마련하고 중앙에는 돌출환테를 구성되게 하고, 상기 돌출환테의 외주연에는 규제봉의 돌기가 요입되도록 소정의 요입부를 형성되게 하는 받침대; 상기 규제봉을 지지하며 규제봉과 받침대를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지지구; 로 구성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하여서 구성되도록 한, 도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구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로 차선 규제봉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규제봉 11. 내측벽
12. 돌기 13. 돌기환테
14. 통기공 15. 지지구
16. 반사판 17. 돌출환테
18. 제2 볼트공 19. 받침대
20. 요입부 21. 볼트
22. 주름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 차선 규제봉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속이 빈 원통형으로 상단부에는 통기공(14), 하단부에는 돌기환테(13)가 구비되며 상측 소정의 위치 원주상에 반사판(21)을 마련하여 도로의 차선에 직설되는 규제봉(10) 상기 규제봉(10)에 끼워지며 하단부의 돌기환테(13)를 눌러 지지하고 볼트공(18)을 형성하여 볼트(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은 일반적인 차선 규제봉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반사판(21) 및 주름관(23), 돌기환테(13)로 이루어진 규제봉(10)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서 상기 규제봉(10)의 내측벽(11)에 소정의 돌기(12)를 다수 형성하여 외벽의 충격에서도 규제봉(10)이 파손되거나 훼손되지 않으면서 상기 규제봉(10)을 바로 원상복귀를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내측벽(11)에 형성된 소정의 돌기(12)는 도 1과 같이 일정한 두께와 높이로 형성시켜 규제봉(10)의 중심이 하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므로 인하여 타격봉(10)이 전체적으로 움직인 후, 바로 원상복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이와 같은 규제봉(10)을 만들기 위해서는 탄성 및 탄력이 강하고 내굴곡성 및 내충격성이 강하도록 폴리 우레탄 재질로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규제봉(10)을 고정시키는 지지구(15)와 받침대(19)는 외부의 잦은 충격에서도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출 형성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벽(11)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2)는 받침대(19)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환테(17)의 요입부(20)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규제봉(10)을 1차로 지지하면서 외부의 힘에 의해 돌기(12)가 요입부(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규제봉(10)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환테(13)에는 다수의 볼트공(18)을 형성시킨 상태이므로 받침대(19)에 형성된 볼트공(18)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조립 및 분해를 손쉽게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의 규제봉(10)과 받침대(19)는 지지구(15)를 사용하여 도로표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지지구(15)는 받침대(19)에 올려진 규제봉(10)을 관통하여 받침대(19) 표면에 밀착되면서 지지구(15)에 형성된 볼트공(18)과 돌기환테(13)의 볼트공(18)을 일치시킨 후 볼트(22)로 체결하여 상기 규제봉(10)을 2차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규제봉(10)을 도로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로의 차선등에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매설공을 형성한 후, 상기 조립된 규제봉(10)을 위치 시킨 후, 보울트를 사용하여 지지구(15)에 형성된 볼트공(18)에 삽입시켜 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본 고안을 규제봉으로 사용하게 되면, 주야간에 운전자가 주행시 상부 반사판(16)이 운전자의 육안에 쉽게 식별이 이루어져 중앙선 침범 등의 운전부주의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운전 미숙으로 규제봉(10)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본 고안의 규제봉은 상하로 복원성과 완충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신속하게 원상복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규제봉(10)은 받침대(19)에 형성된 요입부(20)와 지지구(15)에 의해 외부의 충격시에도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면서 바로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규제봉(1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반사판(16)과 주름관(23) 역시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등이 가해져 휘어지거나 자동차 바퀴 등에 의해 깔렸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나 압력이 없어진 후 규제봉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직립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로 표시용 규제봉의 내측은 받침대의 요입부가 견고하게 지지하고 그 외측은 지지구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음으로서, 차량이 비록 밟고 지나가더라도 신속하게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수리 및 조립이 간단하면서 사출에 의해 대량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속이 빈 원통형으로 상단부에는 통기공, 하단부에는 돌기환테가 구비되며 상측 소정의 위치 원주상에 반사판을 마련하여 도로의 차선에 직설되는 규제봉;
    상기 규제봉에 끼워지며 하단부의 돌기환테를 눌러 지지하고,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지지구; 로 구성되는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속이 빈 탄력봉의 내측벽에 소정의 돌기를 다수 형성하여서 되는 규제봉; 상기 지지구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구의 볼트공과 일치되게 제 2볼트공을 마련하고 중앙에는 돌출환테를 구성되게 하고, 상기 돌출환테의 외주연에는 규제봉의 돌기가 요입되도록 소정의 요입구를 형성되게 하는 받침대; 상기 규제봉을 지지하며 규제봉과 받침대를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지지구; 로 구성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도로 차선 규제봉
KR2020010028156U 2001-09-13 2001-09-13 도로 차선 규제봉 KR200260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6U KR200260056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56U KR200260056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056Y1 true KR200260056Y1 (ko) 2002-01-10

Family

ID=7310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156U KR200260056Y1 (ko) 2001-09-13 2001-09-13 도로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0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081B1 (ko) * 2002-01-09 2005-02-04 아진정공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도로 차선 분리봉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622B1 (ko) * 2003-07-04 2006-09-20 최기주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차선 분리봉의 제조방법
KR20220041626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교체보수가 용이한 볼라드 커버구조
KR20230099194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새로운길 시선유도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081B1 (ko) * 2002-01-09 2005-02-04 아진정공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도로 차선 분리봉 및 그 제조방법
KR100625622B1 (ko) * 2003-07-04 2006-09-20 최기주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차선 분리봉의 제조방법
KR20220041626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교체보수가 용이한 볼라드 커버구조
KR102412446B1 (ko) * 2020-09-25 2022-06-23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교체보수가 용이한 볼라드 커버구조
KR20230099194A (ko) *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새로운길 시선유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651159B1 (ko) 2021-12-27 2024-03-26 주식회사 새로운길 시선유도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2007B2 (ja) 道路標識柱
KR200260056Y1 (ko) 도로 차선 규제봉
JP2002363931A (ja) 道路標識柱
KR200414622Y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JP4465428B2 (ja) 道路標識柱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2605B2 (ja) 道路用標示体
KR200394516Y1 (ko) 차선규제봉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102243192B1 (ko) 무볼트 매립식 차선 규제봉
KR200405973Y1 (ko) 안전 유도봉
KR200385479Y1 (ko) 보ㆍ차도용 경계블록
KR200284962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100086629A (ko) 고무제의 본체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표시대가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차선규제봉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60099890A (ko) 차선 규제봉
KR200403523Y1 (ko) 차선분리 탄력봉
JP4310848B2 (ja) 道路標識柱
KR200326777Y1 (ko) 도로표지병
KR102629872B1 (ko) 차선 규제봉
KR200346217Y1 (ko) 철망이 내입된 차선 규제봉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JPH101919A (ja) 弾性基礎構造
KR200199899Y1 (ko) 안전,광고용 탄력 표지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