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18Y1 -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18Y1
KR200254418Y1 KR2019990002097U KR19990002097U KR200254418Y1 KR 200254418 Y1 KR200254418 Y1 KR 200254418Y1 KR 2019990002097 U KR2019990002097 U KR 2019990002097U KR 19990002097 U KR19990002097 U KR 19990002097U KR 200254418 Y1 KR200254418 Y1 KR 200254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ash
vehicle
shock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925U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2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1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1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기존 차량에서 사용했던 대쉬 플로어(Dash floor)를 센터 플로어(Center floor)의 하부로 연장 형성시키고 충격 흡수부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 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 하중이 충격 흡수부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여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체 형성 및 충격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대쉬 플로어에 있어서, 대쉬 플로어(30)를 센터 플로어(20)의 하부로 연장 형성하고, 대쉬 플로어(30)의 양측단에는 단면 형상이 ∪ 형태로 형성된 충격 흡수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Dash floor having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승용차 하부의 대쉬 플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차량에서 사용했던 대쉬 플로어(Dash floor)를 센터 플로어(Center floor)의 하부로 연장 형성시키고 충격 흡수부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 사고 발생시 발생하는 충격 하중이 충격 흡수부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여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하부에는 대쉬 플로어(Dash floor)와 센터 플로어(Center floor)가 설치되어 차체의 하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들 구조는 차량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 사고시 차량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도 1은 승용차의 엔진실 하부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4는 대쉬 플로어 부재이고, 5는 센터 플로어부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은 엔진, 2는 범퍼, 3은 타이어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센터 플로어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의 선단면도로서, 센터 플로어(5) 중앙에는 턴넬부(6)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센터 플로어부(5)의 턴넬부(6) 내측으로는 차량의 구동과 관련된 장치들 즉 동력축, 핸드 브레이크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위치하게 되며, 턴넬부(6)의 외측(차량 내부)으로는 차량에 따라 윈도우 조작 버튼 등 운전에 필요한 여러 장치가 부착되게 된다.
도 2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플로어는 중앙에 형성된 턴넬부(6)를 제외하고는 모두 평면으로 되어 있어, 차량의 정면 충돌 또는 측면 충돌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충돌 사고시 발생한 충돌 하중이 차량의 실내로 바로 전달되어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 상해를 입히게 된다. 특히 정면 충돌과 같은 사고시에는 큰 충격량이 전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대쉬 플로어에 충격 흡수 구조를 형성하여 충돌 사고 발생시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체 형성 및 충격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대쉬 플로어에 있어서, 대쉬 플로어(30)를 센터 플로어(20)의 하부로 연장 형성하고, 대쉬 플로어(30)의 양측단에는 단면 형상이 ∪ 형태로 형성된 충격 흡수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승용차의 엔진실 하부에서 본 도면.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쉬 하부 부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의 선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쉬 하부 부재를 사용한 승용차의 엔진실 하부에서 본 도면.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대쉬 하부 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B-B선의 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 센터 트림 15:내부 패널
20:상부 커버 25:메인 트림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쉬 하부 부재를 사용한 승용차의 엔진실 하부에서 본 도면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대쉬 하부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 - B선의 선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하던 대쉬 플로어와는 달리 센터 플로어의 턴넬부와 맞닿아 있는 부분의 측면부에 충격흡수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용차의 하부에 대쉬 플로어와 센터 플로어가 설치되어 차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같다. 센터 플로어(20)의 중앙에는 턴넬부(22)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구동을 위한 여러 장치가 설치된다.
센터 플로어(20)의 전방 하부에는 대쉬 플로어(30)가 설치되어 있다. 대쉬 플로어(30)와 센터 플로어(20)가 맞닿는 부분에는 센터 플로어(20)의 턴넬부(22)와 대쉬 플로어(30)의 턴넬부(32)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어(20)의 하부측에 연장되어 위치한다.
또한 대쉬 플로어(30)는 턴넬부(32)의 양측단으로 충격흡수부(40)를 형성한다. 충격 흡수부(40)는 단면 형상이 ∪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20 - 30 mm 의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도중 사고 등에 의해 정면과 측면에서 강한 충격이 있게 되면 충격에 의해 발생된 충돌 하중은 충격이 시작된 지점에서 다른 방향으로 전달된다.
정면 충돌시 차체 앞부분에서 전해지는 충격하중은 여러 방향의 전달 경로중 차체 하부 전방의 대쉬 플로어(30)로 전달된다. 대쉬 플로어(30)로 전달된 충격은 대쉬 플로어(30)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40)에 전해지게 되고, 충격에 의해 충격 흡수부(40) 자체가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충격흡수부(40)의 변형에 의해 센터 플로어(20)측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은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센터 플로어(20)의 변형은 줄어든다. 센터 플로어(20)의 상부는 승객이 앉아 있는 좌석이기 때문에 센터 플로어(20)의 변형이 줄어드는 것은 승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것과 같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대쉬 플로어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여 센터 플로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승객에게 미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체 형성 및 충격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대쉬 플로어에 있어서, 대쉬 플로어(30)를 센터 플로어(20)의 하부로 연장 형성하고, 대쉬 플로어(30)의 양측단에는 단면 형상이 ∪ 형태로 형성된 충격 흡수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KR2019990002097U 1999-02-10 1999-02-10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KR200254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97U KR200254418Y1 (ko) 1999-02-10 1999-02-10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97U KR200254418Y1 (ko) 1999-02-10 1999-02-10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25U KR20000016925U (ko) 2000-09-25
KR200254418Y1 true KR200254418Y1 (ko) 2002-01-16

Family

ID=5475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97U KR200254418Y1 (ko) 1999-02-10 1999-02-10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925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4364A (ko) 충격 분산기능을 갖는 차량의 전방실내구조
KR200254418Y1 (ko)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KR100199951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측면강성 보강구조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200161942Y1 (ko) 차량의 루프사이드판넬 보강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305174B1 (ko) 자동차용필러의충격흡수구조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19980021212U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KR200152943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100339236B1 (ko)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 장치
KR100357401B1 (ko) 자동차용 전면기둥
KR200161432Y1 (ko) 범퍼 리인포스먼트구조
KR19980048722A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
KR19980027174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9980044125U (ko) 승용차량의 차체 사이드 실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47846U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흡수구조
KR19980025727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이너부 보강구조
KR20030024479A (ko) 자동차용 중앙 바닥 패널의 측면 보강구조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19980033990U (ko) 자동차의 충격완화용 보강재구조
KR20060054795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9980021947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