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947U -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947U
KR19980021947U KR2019960035275U KR19960035275U KR19980021947U KR 19980021947 U KR19980021947 U KR 19980021947U KR 2019960035275 U KR2019960035275 U KR 2019960035275U KR 19960035275 U KR19960035275 U KR 19960035275U KR 19980021947 U KR19980021947 U KR 19980021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llar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center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5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947U/ko
Publication of KR19980021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4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5Canted-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의 급격한 꺾임이나 변형으로 인해 실내밀림량이 과다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량과 인체상해치를 최대한 저감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센터필러(10)의 상,하단 및 중앙상,하부내로 보강부재(21)(22)에 의해 지지되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중공빔(20)과, 충격흡수용 압축코일스프링(30)을 각각 교차로 장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센터필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의 급격한 꺾임이나 변형으로 인해 실내밀림량이 과다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량과 인체상해치를 최대한 저감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테스트로는 전방충돌과 측면충돌이 있으며, 이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이미 각 나라에서는 이러한 충돌시의 안전치를 법규화하여 수입규제 등의 큰 항목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자동차는 대부분이 전방충돌에 대한 안전치는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으나, 측면충돌에 대한 안전치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으로는 차체의 센터필러 하단부 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이며, 실제로 타차량과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에서 충분한 충격흡수를 유도하지 못하여 실내밀림량 과다로 인체상해치중 특히 골반부에 해당하는 펠비스(PELVIS)값이 커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센터필러 구조는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러이너판넬(1)의 외측으로 사이드아웃터판넬(2)이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아웃터판넬(2)의 내부로는 보강멤버(3)가 결합되어 센터필러(4)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센터필러(4)의 지지기반이 매우 취약하므로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4)의 하단부에서 충분한 층격흡수를 유도하지 못하고 순간적인 급격한 꺾임이나 부분적인 급격한 변형이 발생하여, 실내밀림량 과다로 사이드실,도어,루프상단까지의 간접적인 변형을 가져오고 이로 인하여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상해치가 커지는 문제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센터필러(4)가 단순히 보강멤버(3)만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시 어느 정도의 충격력은 흡수하지만, 그 충격력을 넘어서면 센터필러(4)의 하단부가 급격하게 변형 또는 꺾이면서 실내로 침입하게 되어 인체상해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의 급격한 꺾임이나 변형으로 인해 실내밀림량이 과다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량과 인체상해치를 최대한 저감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센터필러내부에 강성을 증대시키는 중공빔과, 충격흡수용 압축코일스프링을 각각 교차로 장착하여, 측면충돌시 상기 중공빔과 압축코일스프링이 강성 및 충격흡수를 이원화구조로 증대시켜 실내밀림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센터필러의 위치를 나타낸 차체골조도.
도 2 는 종래 구조를 나타낸 도 1 의 A - A선 확대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보강구조의 설치상태를 보인 자동차 측면도.
도 4 는 도 3 의 B - B선 확대단면도.
도 5 는 도 3 의 C - C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센터필러 11 : 필러이너판넬
12 : 사이드아웃터판넬 20 : 중공빔
21,22 : 보강부재 30 : 압축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러이너판넬(11)의 외측으로 사이드아웃터판넬(12)이 결합된 센터필러(10)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러(10)의 상,하단 및 중앙상,하부내로 보강부재(21)(22)에 의해 지지되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중공빔(20)과, 충격흡수용 압축코일스프링(30)을 각각 교차로 장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21)(22)는 필러이너판넬(11)과 사이드아웃터판넬(12)의 내면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시키고, 보강부재(11)(12)의 사이 중앙부에 상기 중공빔(20)을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필러이너판넬(11)에는 내측으로 돌츨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0)을 지지하는 돌출부(13)를 형성시킨다.
이때, 본 고안은 도 3 에서와 같이 센터필러(10)의 상단과 중앙하부에 중공빔(20)을 각각 장착하고, 센터필러(10)의 중앙상부와 하단에 압축코일스프링(30)을 각각 장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반대로 센터필러(10)의 상단과 중앙하부에 압축코일스프링(30)을 각각 장착하고, 센터필러(10)의 중앙상부와 하단에 중공빔(20)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센터필러(10)에서 충돌시 강성증대가 요구되는 위치에는 중공빔(20)을 설치하고, 충격흡수가 요구되는 위치에는 압축코일스프링(3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강부재(21)(22)와 중공빔(20)에 의해 센터필러(10)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대되고, 압축코일스프링(30)에 의해 센터필러(10)의 충격흡수가 증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센터필러(10)에 중공빔(20)과 압축코일스프링(30)이 교차로 설치되어 중공빕(20)에서는 버팀력을 증대시키고 압축코일스프링(30)에서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키므로,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10)의 급격한 꺾임이나 부분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실내밀림량 및 인체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센터필러 하단부의 급격한 꺾임이나 변형으로 인해 실내밀림량이 과다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량과 인체상해치를 최대한 저감시키는 동시에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필러이너판넬(11)의 외측으로 사이드아웃터판넬(12)이 결합된 센터필러(10)에 있어서, 상기 센터필러(10)의 상,하단 및 중앙상,하부내로 보강부재(21)(22)에 의해 지지되어 강성을 증대시키는 중공빔(20)과, 충격흡수용 압축코일스프링(30)을 각각 교차로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KR2019960035275U 1996-10-24 1996-10-24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KR199800219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75U KR19980021947U (ko) 1996-10-24 1996-10-24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75U KR19980021947U (ko) 1996-10-24 1996-10-24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47U true KR19980021947U (ko) 1998-07-15

Family

ID=5398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275U KR19980021947U (ko) 1996-10-24 1996-10-24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9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1947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이원화 보강구조
KR100199951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측면강성 보강구조
KR200161942Y1 (ko) 차량의 루프사이드판넬 보강구조
KR100199771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0211576B1 (ko) 이중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KR0178926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의 완충구조
KR100193165B1 (ko) 자동차의 측면충돌대비 도어가니시 보강구조
KR100199414B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하단부 보강구조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19980018092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200254418Y1 (ko)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KR20014945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200160226Y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구조
KR100401861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빔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2179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0140292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0153098Y1 (ko) 충격 흡수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19980048722A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
KR1998001141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19990029883U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19980020875U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단부 보강구조
KR19980021212U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