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626Y1 -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 Google Patents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626Y1
KR200252626Y1 KR2020010022018U KR20010022018U KR200252626Y1 KR 200252626 Y1 KR200252626 Y1 KR 200252626Y1 KR 2020010022018 U KR2020010022018 U KR 2020010022018U KR 20010022018 U KR20010022018 U KR 20010022018U KR 200252626 Y1 KR200252626 Y1 KR 200252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storage compartment
vehicle
compartmen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윤
Original Assignee
(주)동인써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써모테크 filed Critical (주)동인써모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62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발기가 차량의 외부에 돌출되어 장착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를 적재칸 외부에 설치하되, 적재칸의 벽면에 송풍구와 흡입구를 관통 설치하여 그를 통해 상기 적재칸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적재칸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물류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동차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Cargo car having evaporator being mounted on the outside of container}
본 고안은 냉장·냉동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 및 응축기가 차량의 외부에 돌출되어 장착됨으로써 냉장 또는 냉동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에 관한 것이다.
운반중에도 냉동상태를 유지시켜야 하거나 또는 일정한 저온을 유지시키기 위해 냉장·냉동시스템(이하, 냉동시스템이라 한다)을 적재칸에 구비하고 있는 특장차량(이하, 냉동차량이라 한다)이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차량은 주로 상하기 쉬운 식품류를 운반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단열설비가 된 박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화물 운반용 차량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적하물을 효율적으로 적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적재칸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하겠다.
냉동차량의 냉동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은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스를 응축하여 액화하는 응축기, 냉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팽창밸브 및 주위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기화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종래의 냉동차량의 증발기는 적재칸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형태는 적재칸의 공간을 협소하게 하여 공간 활용도를 낮추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원 고안은 냉동차량의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증발기 등을 적재칸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적재칸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냉동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냉동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장착부위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적재칸 내부에서 본 증발기의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적재칸 4 ; 압축기
6 ; 응축기 8 ; 증발기
10 ; 송풍구 14 ; 송풍팬
16 ; 냉매튜브 18 ; 증발기 본체
20 ; 흡입구멍 22 ; 그릴
24 ; 방열핀
상기한 목적은, 저온 저장이 요구되는 식품류를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증발기를 적재칸 외부에 설치하되, 적재칸의 벽면에 송풍구와 흡입구를 관통 설치하여 그를 통해 상기 적재칸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증발기의 본체는 적재칸 외부에 장착되며, 송풍팬은 적재칸의 벽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냉동차량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은 온도에 민감한 농수산물 기타 식품류의 운송용으로 사용되는 화물차로서 단열설비가 갖추어진 적재칸(2)을 가진다. 냉방 또는 냉동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압축기(4), 응축기(6)가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응축기(6) 및 증발기(8)는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증발기(8)는 적재칸 내의 공기와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적재칸 전방에 관통되는 송풍구(10)와 소통되도록 적재칸 외벽(12)에 고정 설치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증발기를 적재칸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적재칸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증발기가 적재칸 외부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어떠한 형태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해 증발기를 설치하는 방법중 하나는 적재칸 천정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증발기와 적재칸의 소통을 위한 송풍구는 적재칸 천정에 형성될 것이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증발기 장착부위의 일부 단면 구성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적재칸 내부에서 본 증발기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팬(14)이 적재칸(2)의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가 개시된다. 냉매튜브(16) 및 방열핀(24, 도 3 참조)을 내장하는 증발기 본체(18)는 적재칸 전방 외벽에 고정 설치되며, 송풍팬(14)은 적재칸의 전방 벽에 매립 설치된다. 송풍팬은 적재공간을 향해 송풍하도록 설치된다. 적재공간의 공기는 벽면에 관통 형성된 흡입구멍(20)을 통해 증발기 본체(18)로 유입된다.
송풍팬(14)의 전방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22)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해 송풍팬의 설치, 제거 및 소제가 더 용이하게 되며, 공기의 순환은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공히 적용되는 사항은 증발기 본체(18)는 증발기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단열성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도 4는 송풍팬을 제외한 증발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본체의 케이스 외곽으로는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 넓게 방열핀(24)이 도시되어 있다. 냉매튜브는 종래의 방식대로 지그재그 식으로 방열핀 뒤에 고정 설치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재칸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물류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동차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증발기와 적재칸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장착이 적재함 외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증발기 등을 모두 적재함의 외부에서 할 수 있으므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저온 저장이 요구되는 식품류를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응축기(6)와 증발기(8)를 적재칸(2) 외부에 설치하되, 적재칸의 벽면에 송풍구(10)를 관통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로 하여금 그를 통해 상기 적재칸의 내부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본체(18)는 상기 적재칸 외부에 장착되며, 송풍팬(14)은 적재칸의 벽에 매립되도록 송풍구(10) 내에 설치되며, 적재공간의 공기는 송풍구 주위에 관통 형성되는 흡입구멍(20)을 통해 상기 증발기 본체(18)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와 상기 응축기(6)는 일체형으로 적재칸 전방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KR2020010022018U 2001-07-20 2001-07-20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KR200252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8U KR200252626Y1 (ko) 2001-07-20 2001-07-20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8U KR200252626Y1 (ko) 2001-07-20 2001-07-20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626Y1 true KR200252626Y1 (ko) 2001-11-17

Family

ID=7308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18U KR200252626Y1 (ko) 2001-07-20 2001-07-20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6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89B1 (ko) 2006-12-20 2007-11-30 조병재 냉동차량용 냉각기
KR100880789B1 (ko) 2007-09-19 2009-02-02 고홍달 냉동차량의 독립작동형 노즈마운팅식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89B1 (ko) 2006-12-20 2007-11-30 조병재 냉동차량용 냉각기
KR100880789B1 (ko) 2007-09-19 2009-02-02 고홍달 냉동차량의 독립작동형 노즈마운팅식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4197B1 (en) Multi-compartment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with evaporator isolation valve
US8037704B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US20170314841A1 (en) Ice-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0351042B2 (e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0137258A1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KR200252626Y1 (ko)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JP2003287342A (ja) 冷蔵庫
KR200341847Y1 (ko) 복수의 증발기에 의한 구획공간별 개별 온도제어가가능한 냉동탑차
CN1552593A (zh) 冷冻车
JPH10185394A (ja) 冷凍冷蔵庫
JP2009216292A (ja) 輸送用冷凍装置
KR100817328B1 (ko) 냉장고의 냉기 순환 시스템
JP4984783B2 (ja) 冷蔵庫
CN112334717A (zh) 多温度运输制冷系统及方法
JPH1120460A (ja) 車両用冷凍装置
CN210772906U (zh) 一体式制冷机组及冷藏车
KR200252627Y1 (ko)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KR102439937B1 (ko) 냉동탑차용 샌드위치 축냉 패널 냉동기
EP3760483B1 (en) Engine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with air management valve
JP5476813B2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KR200156950Y1 (ko) 차량용 냉동장치의 벽면매립형 증발기
KR100522795B1 (ko) 직냉식 냉장고
KR200215492Y1 (ko)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CN113753410A (zh) 单元配送箱及具有其的物流配送车
JP2984475B2 (ja) コンテナ用冷凍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