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627Y1 -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 Google Patents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627Y1
KR200252627Y1 KR2020010022019U KR20010022019U KR200252627Y1 KR 200252627 Y1 KR200252627 Y1 KR 200252627Y1 KR 2020010022019 U KR2020010022019 U KR 2020010022019U KR 20010022019 U KR20010022019 U KR 20010022019U KR 200252627 Y1 KR200252627 Y1 KR 200252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mpartment
case
temperature
cooling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윤
Original Assignee
(주)동인써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써모테크 filed Critical (주)동인써모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2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627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터의 방열기와 냉방 시스템의 증발기를 일체형 구조로 함으로써 적재칸 내의 공기를 총체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브래킷에 의해 적재칸 내측벽에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적재칸 내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열 또는 보조열원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튜브와 증발기의 냉매튜브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적재칸의 적재공간을 향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송풍팬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Cargo car having a versatile heat exchanger for heater and cooler}
본 고안은 차량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히터의 방열기와 냉방 시스템의 증발기를 일체형 구조로 함으로써 적재칸 내의 공기를 총체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난방시스템은 엔진의 냉각수를 열원으로 하여 열교환기인 방열기 즉 히터코어를 통해 순환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차내에 공급한다. 또한, 차량의 냉장시스템은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에 의해 액화시키고, 팽창밸브에 의해 저온으로 변화시킨 후, 증발기에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적재공간의 공기를 냉방하게 되어 있다.
냉장시스템의 증발기는 난방시스템의 히터코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주위공기와 열교환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증발기와 히터코어는 기본적으로 다수로 절곡된 튜브와 방열핀으로 구성되며, 송풍팬에 의해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동시스템이 구비된 것 이외에,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난방시스템 및 공조시스템이 구비된 특장차량도 요구되기 마련이다. 이는 변질되기 쉬운 적재물을 섬세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수단이 될 것이며 물류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난방시스템과 냉장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공간효율을 상승시키며, 설치비용 및 열효율을 상승시키고 또한 필요에 따라 탑 내부의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온도를 낮게 설정하여 냉장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난방시스템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물운송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질되기 쉬운 식품 또는 특수한 환경에서 보관하여야 하는 식품 등을 적절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이 차량에 배치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의 구동상태를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구성을 예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온도 제어수단을 도시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적재칸 4 ; 엔진
6 ; 압축기 8 ; 응축기
12 ; 증발기 14 ; 히터코어
16 ; 케이스 18 ; 방열핀 20 ; 냉매튜브
22 ; 냉각수튜브 24 ; 송풍팬 26 ;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
상기한 목적은, 식품류를 운반하기 위한 냉장 시스템 및 통상의 난방시스템을 구비하는 화물운송차량에 있어서; 브래킷에 의해 적재칸 내측벽에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적재칸 내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열 또는 보조열원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튜브와 증발기의 냉매튜브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적재칸의 적재공간을 향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송풍팬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적재칸 내부의 공간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적재칸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 및/또는 습도 감지센서와; 감지된 상기 적재칸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냉장시스템 또는 상기 난방시스템을 선택적으로 가동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더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차량에 배치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시스템의 구동상태를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온도 제어수단을 도시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은 온도에 민감한 농수산물 기타 식품류의 운송용으로 사용되는 화물차로서 단열설비가 갖추어진 적재칸(2)을 가진다. 차량의 엔진(4)은 보통 캐빈의 저부에 장착된다. 냉방 또는 냉동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압축기(6), 응축기(8) 및 팽창밸브(도시생략)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 증발기(12)는 적재칸 내의 공기와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적재칸 내부에 치우쳐 설치되는데, 본 고안에 따르면 난방을 위한 히터코어(14)와 일체로 설치된다.
즉, 적재칸(2) 전방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16) 내부에는 증발기용 냉매튜브와 히터코어용 냉각수튜브가 동시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적재칸은 난방 또는 냉방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16)의 전면에는 방열핀(18)이 설치되어 냉매튜브(20)와냉각수튜브(22)의 열교환을 보조하며, 케이스의 배면에는 송풍팬(24)이 설치되어 역시 열교환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냉각수튜브, 송풍팬 및 방열핀을 가지는 케이스를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26)라 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칸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요구하는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제공된다.
제어수단(도 4 참조)은 적재칸(2)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30), 냉장시스템(32) 또는 난방시스템(34)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수단(36),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스위칭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제어회로(38)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습도감지센서(40)가 더욱 설치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 및/또는 습도에 따라 냉장시스템 및 난방시스템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냉장 시스템(32)은 적재칸(2)에 설치되는 증발기(12)를 포함하며, 난방시스템(34)은 적재칸에 설치되는 히터코어(14)를 포함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히터코어와 증발기는 케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26) 내에 설치된다.
적재칸의 온도설정은 운전석에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시보드에는 적재칸의 온도(또는 습도)상황 및 이를 설정할 수 있는 조작부 및 표시부(42)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구성을 예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냉매튜브(20)와 냉각수튜브(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상태에서 촘촘하게 배열된다. 각 튜브의 배면에는 송풍팬(24)이 케이스(16)에 고정 설치되어 전방으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한 공기를 송풍하도록 되어 있다.
냉매튜브의 냉매 유입구(20a)는 팽창밸브와 연결되며, 냉각수 튜브의 냉각수 유입구(22a)는 라디에이터 또는 엔진의 워터펌프(water pump)와 연결된다. 냉매튜브의 냉매 유출구(20b)는 압축기와 연결되며, 냉각수튜브의 유출구(22b)는 다시 엔진을 향하게 된다. 냉매튜브(20)와 냉각수튜브(22)의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형태는 이해의 편이를 위해 단순화시킨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를 인접시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접한 튜브는 방열핀에 의해 서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냉매튜브와 냉각수튜브의 길이 및 송풍팬의 개수 또한 충분히 변경될 수 있는 사항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케이스는 케이스 일측에 마련되는 브래킷을 통해 적재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공조용 열교환기는 적재칸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점유할 수 있도록 박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때에 따라서는 케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재칸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넓은 면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팬 또한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히 냉장 또는 냉동을 요구하는 적재물 이외에도 실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는 적재물을 운반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재물 운송용 차량이 제공된다. 즉, 보다 다양한 화물을 최적의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만이 아니라 습도를 설정할 수 있는 등 적재칸 내의 공기를 총체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적재칸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식품류를 운반하기 위한 냉장시스템 및 통상의 난방시스템을 구비하는 화물운송차량에 있어서;
    브래킷에 의해 적재칸(2) 내측벽에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적재칸 내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서, 엔진열 또는 보조열원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튜브(22)와 증발기의 냉매튜브(20)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적재칸의 적재공간을 향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송풍팬(24)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칸 내부의 공간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도 및/또는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적재칸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 및/또는 습도 감지센서; 감지된 상기 적재칸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냉장시스템 또는 상기 난방시스템을 선택적으로 가동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KR2020010022019U 2001-07-20 2001-07-20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KR200252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9U KR200252627Y1 (ko) 2001-07-20 2001-07-20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9U KR200252627Y1 (ko) 2001-07-20 2001-07-20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627Y1 true KR200252627Y1 (ko) 2001-11-17

Family

ID=7310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19U KR200252627Y1 (ko) 2001-07-20 2001-07-20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6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61316B (zh) 车用热管理系统
US11186141B2 (en) Vehicle-mounted temperature controller
JP6218953B2 (ja) 車両用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US8109327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heat exchange modules with indirect expansion cooling and in-tube electric heating
US6708513B2 (en) CO2-module for cooling and heating
CN107850346B (zh) 制冷系统和车载制冷系统
US6694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ir through a heat exchanger
WO2012086187A1 (ja) 熱交換システム
JP5775661B2 (ja) 自動車用加熱、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US7527091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CN104781627A (zh) 热交换器
US20080148755A1 (en) Cooling apparatus for on-vehicle electronic device
JP2017125673A (ja) 輸送用冷凍装置
US11724623B2 (en) System for cooling a battery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O2013084472A1 (ja) 熱利用システム
KR200252627Y1 (ko)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가지는 화물운송차량
JP2009202773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US20220088996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109414975B (zh) 蓄冷热交换器
JP2006273150A (ja) 車載用空調装置
EP1842704B1 (e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JP2003034131A (ja) 車両空調用蓄冷システム
WO2017163563A1 (ja)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US20220364762A1 (en) Air-conditioning unit,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2007518624A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