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492Y1 -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92Y1
KR200215492Y1 KR2020000026942U KR20000026942U KR200215492Y1 KR 200215492 Y1 KR200215492 Y1 KR 200215492Y1 KR 2020000026942 U KR2020000026942 U KR 2020000026942U KR 20000026942 U KR20000026942 U KR 20000026942U KR 200215492 Y1 KR200215492 Y1 KR 200215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vehicle
cooling
plat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상
장인성
Original Assignee
홍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식 filed Critical 홍명식
Priority to KR2020000026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9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인에 의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으로 냉각 장치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냉동 냉장 차량 내를 냉각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냉각 대상물을 싣는 벽체의 실링(11) 내측으로 우레탄 폼(1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브라인을 내장한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한 브라인 플레이트(10)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측 및 측벽(18) 또는 천정 중 어느 한곳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인은,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가 오일분리기(2)에서 냉매와 오일이 분리되어, 오일은 오일냉각기(3)로 냉매는 응축기(4)로 보내어 지고, 응축기(4)로 보내어진 고온 고압의 냉매액은 판형 중간 냉각기(5)에서 열교환하여 액분리기(6)로 보내어 지고, 액분리기에서 나온 냉매는 브라인칠러(7)로 유입되어, 브라인 탱크(8)로부터 나오는 브라인과 열교환하여 브라인을 냉각하고 다시 압축기(1)로 보내어 지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하여 냉각이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cooling system of automobile using brine}
본 고안은 브라인(brine)을 이용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동 냉장차량에 적합하게 구성한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농수산물 등의 저온저장 물류 시스템은 대부분이 콘테이너 박스에 증기 압축시스템을 탑재하여 소비지까지 운반하면서 지속적으로 냉동기를 가동하여 보냉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소비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냉동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냉동 냉장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은 보통의 승용차가 에어컨을 가동할 경우, 약 15% 정도 연료가 더 소비되는 점을 감안할 때 냉동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중량까지 감안한다면 약 20%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차량에서 브라인을 이용한 새로운 냉각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브라인(BRINE)은 일반적으로 '2차 냉매' 라고도 하는 바, 증발기에서 증발하는 냉매의 냉동력을 피냉각물질 또는 냉장품에 전달하는 부동액으로서의 냉매를 '1 차 냉매'라 하면 브라인을 '2 차 냉매'라고 흔히 말한다.
물은 냉방용으로 섭씨 0 도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0 도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브라인을 사용한다.
예들들어, 염화칼슘 수용액은 제빙용, 냉장용으로, 보통 섭씨 -40 까지 사용가능하고,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식료품과 접촉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섭씨 영하 15 - 18 도 까지 사용 가능하며, 에칠렌글리콜은 소형 기계에 사용 가능하며, 프로필렌글리콜은 식품 냉동의 동결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메칠렌 크로라이드는 초저온형에 사용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브라인을 이용한 냉각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 플레이트를 차량 내에 장착하는 것에 대한 구성의 여러 실시예
도 3 및 도 4 는 차량의 측벽에 브라인 냉각 장치를 구성한 예
본 고안의 구성은, 브라인을 이용하여 냉동 냉장 차량 내를 냉각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냉각 대상물을 싣는 벽체의 실링(11) 내측으로 우레탄 폼(1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브라인을 내장한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한 브라인 플레이트(10)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측 및 측벽(18) 또는 천정 중 어느 한곳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인은, 다음과 같은 순환 과정에 의하여 냉각된다.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가 오일분리기(2)에서 냉매와 오일이 분리되어, 오일은 오일냉각기(3)로 냉매는 응축기(4)로 보내어 지고, 응축기(4)로 보내어진 고온 고압의 냉매액은 판형 중간 냉각기(5)에서 열교환하여 액분리기(6)로 보내어 지고, 액분리기에서 나온 냉매는 브라인칠러(7)로 유입되어, 브라인 탱크(8)로부터 나오는 브라인과 열교환하여 브라인을 냉각하고 다시 압축기(1)로 보내어 지는 순환 과정을 거쳐 브라인이 냉각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다른 특징 및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장치는, 도 1 과 같은 브라인 냉각 시스템과 차량 내에 장착되는 브라인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즉, 브라인 냉각 유니트로서 브라인을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하여, 냉각 플레이트에 브라인을 봉입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물류 시스템에 간단히 장착하여 소비지까지 상품의 신선도를 유지 가능토록 한다.
먼저, 도 1 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는 오일분리기(2)에서 냉매와 오일이 분리되어, 오일은 오일냉각기(3)로 냉매는 응축기(4)로 보내어 진다.
응축기(4)로 보내어진 고온 고압의 냉매액은 판형 중간 냉각기(5)에서 열교환하여 액분리기(6)로 보내어 진다.
액분리기에서 나온 냉매는 브라인칠러(7)로 유입되어, 브라인 탱크(8)로부터 나오는 브라인과 열교환하여 브라인을 냉각하고 다시 압축기(1)로 보내어 지는 순환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하여 냉각되어 지는 브라인은 냉동 냉장 식품 운반용 차량의 냉동 및 냉장고 내에 설치된 브라인 쿨링 유니트에 충전된다. 이 경우, 브라인 충전호스(30)에 의하여 차량 내에 브라인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브라인을 충전한 냉동 냉장 차량은 원거리 소비지까지 식품의 선도를 유지하면서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냉각 장치에서 응축기(4) 및 오일 냉각기(3)의 냉각은 냉각탑(9)을 이용한다.
그러면, 도 2a - 2d 를 참고로, 차량 내에 설치되는 브라인 냉각 장치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차량은 종래의 냉동 및 냉장 차량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냉동 및 냉장고 내에 브라인 냉각 장치인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즉, 차량 내에 유동 브라인을 내장하는 외관상 판상의 브라인 플레이트(10)가 여러가지 형태로 설치된다.
도 2 a 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 플레이트(10)의 설치 구조의 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럭 등의 천정 실링(11) 아래에 우레탄폼(12)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13) 역시 동일한 구조 사이에 수직으로 파티션 형식으로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브라인 플레이트(10)의 설치 구조는, 도 2a 를 '가' 방향에서 본 도 2b 에서 보듯이, 장공(16)을 갖는 플레이트(14)를 천정 및 바닥면(13)에 나란히 고정하고 그 사이에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 후, 볼트(15)로 조여 고정하는 형식으로 설치한다.
도 2c 는 차량의 천정에 매달어 설치한 예를 든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17)에 의하여 천정에 고정한다. 행거(17)의 형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고정하는 브라인플레이트(10)의 형상에 따라 어떠한 형상이든 고정 편리하게 어떠한 형태로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이 행거의 형상에 대하여는 특정할 필요가 없이 어떠한 것을 사용할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는 것을 생략한다.
도 2 d 는 또 다른 실시예로 행거(17)에 의하여 차량의 측벽(18)에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행거(17)와 볼트(19), 예를들어 캐리지(carriage) 볼트로 고정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브라인 쿨링 플레이트는, 냉동 및 냉장고 내의 벽체 구조 내에 브라인 배관 구조를 삽입하여 차량의 벽체 구조 자체에 브라인을 충전하는 것이다.
도 3 에서는, 냉동 차량의 벽체구조(28)에 브라인배관(27)이 포함되게 구성하 였다.
도 4 는 도 3 의 다른 실시예로 벽체(28)구조 자체에 내부가 격벽(26)을 형성하여 이 각각의 격벽(26)이 도 3의 배관(27)과 같이 이어진 형태로 연속적으로 내장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콘테이너를 제작하면 내부에 브라인 쿨링 플레이트를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콘테이너 벽체 구조에 브라인을 충전하기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일단 차량 주행시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연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내에 탑재 설치하는 브라인 플레이트(10)는 착탈 가능한 구조이어서 냉각을 요하는 식품의 냉각 온도에 따라 필요에 따라 브라인 플레이트(10)의 설치 갯수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조절에 의하여 냉각에 따른 상품 가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특히 냉동 냉각 차량에 한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를 응용한 어떤 다른 장치에 본 고안과 동일한 장치를 구성한 것 역시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브라인을 이용하여 냉동 냉장 차량 내를 냉각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의 냉각 대상물을 싣는 벽체의 실링(11) 내측으로 우레탄 폼(1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브라인을 내장한 브라인 플레이트(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라인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인 플레이트(10)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측 및 측벽(18) 또는 천정 중 어느 한곳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라인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인 플레이트(10)는 차량의 측벽(28)에 배관(27)이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브라인을 주입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라인 냉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인은,
    압축기(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증기가 오일분리기(2)에서 냉매와 오일이 분리되어, 오일은 오일냉각기(3)로 냉매는 응축기(4)로 보내어 지고, 응축기(4)로 보내어진 고온 고압의 냉매액은 판형 중간 냉각기(5)에서 열교환하여 액분리기(6)로 보내어 지고, 액분리기에서 나온 냉매는 브라인칠러(7)로 유입되어, 브라인 탱크(8)로부터 나오는 브라인과 열교환하여 브라인을 냉각하고 다시 압축기(1)로 보내어 지는 순환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하여 브라인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라인 냉각장치
KR2020000026942U 2000-09-26 2000-09-26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KR200215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42U KR200215492Y1 (ko) 2000-09-26 2000-09-26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42U KR200215492Y1 (ko) 2000-09-26 2000-09-26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92Y1 true KR200215492Y1 (ko) 2001-03-15

Family

ID=7305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942U KR200215492Y1 (ko) 2000-09-26 2000-09-26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4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0754B1 (en) Hybri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475584B2 (ja) 蓄熱式保冷車又は保冷庫及び蓄熱材供給システム
CN105318632B (zh) 冰箱
JP5076231B2 (ja) 保冷車の保冷方法、保冷システム
WO2000049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ice cream
US3705500A (en) Nitrogen spray refrigeration system for perishables
US2521272A (en) Refrigerator car
US20160144763A1 (en) Eutectic device for a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cooling and installing the eutectic device
KR20140120646A (ko) 냉동 및 냉장화물 운송차량용 냉각장치
KR200215492Y1 (ko) 차량용 브라인 냉각 장치
CN102007348A (zh) 具有弯曲蒸发器表面的冰箱
US3638443A (en) Spray refrigeration system for freeze-sensitive product
CN206984771U (zh) 一体式分层冷链物流移动冷藏箱
EP1939554B1 (en) Container with eutectic plates and refrigerator with such a container
CN203806445U (zh) 一种冰板冷冻柜
JP5964702B2 (ja) 冷却庫
JP5260091B2 (ja) 輸送用冷凍装置
JPH06211294A (ja) 蓄冷式冷凍冷蔵箱体
CN1552593A (zh) 冷冻车
CN207881316U (zh) 冷藏冷冻双功能疫苗柜
KR200252626Y1 (ko) 외부 장착형 증발기를 가지는 냉동차량
KR0173847B1 (ko) 저온 쇼 케이스
JP2008070078A (ja) 冷蔵庫
CN218640969U (zh) 一种冷藏车车厢
CN209783093U (zh) 箱体结构及车载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