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54Y1 - 화살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화살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54Y1
KR200247354Y1 KR2020010016887U KR20010016887U KR200247354Y1 KR 200247354 Y1 KR200247354 Y1 KR 200247354Y1 KR 2020010016887 U KR2020010016887 U KR 2020010016887U KR 20010016887 U KR20010016887 U KR 20010016887U KR 200247354 Y1 KR200247354 Y1 KR 200247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old rod
support
bar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점식
Original Assignee
송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점식 filed Critical 송점식
Priority to KR2020010016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54Y1/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살대, 낚싯대, 골프채 등으로 성형된 원통형 관체와 그 성형을 위한 금형봉을 분리하고, 분리된 금형봉을 가공하여서 재사용하기 위한 화살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다수개의 공작물을 담아두면 이송수단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고 이송로봇 및 공급수단을 통해 탈형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탈형수단을 통해 분리된 화살대는 수납구에 담겨짐은 물론, 분리된 금형봉은 공급수단을 통해 가공수단으로 공급되고, 가공되어진 금형봉은 취출수단으로 하여금 배출되어져 수납구에 담겨짐으로서, 전체적인 작업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제품 생산공정의 개선은 물론 생산라인의 자동화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살대 가공장치{AN ARROW SHAFT MANUFACTURING DEVICE}
본 고안은 화살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살대, 낚싯대, 골프채 등으로 성형된 원통형 관체와 그 성형을 위한 금형봉을 분리하고, 분리된 금형봉을 가공하여서 재사용하기 위한 화살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살대, 낚싯대, 골프채 등의 원통형 관체로 성형하기 위해 금형봉의 외주면에 성형소재를 감은 후 건조하게 된다. 이렇게 성형된 공작물은 원통형 관체와 금형봉을 분리하고, 분리된 금형봉의 표면을 가공한 후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관체 및 성형된 관체를 분리하는 작업이 난해하고, 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위와 같이 분리된 금형봉을 가공하는 장치로의 공급 및 가공된 공작물의 배출작업이 작업자로 하여금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에 따른 작업자의 부주의나 수작업에 의한 품질의 저하는 물론, 가공성이 불균일해지고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이에 따른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또한, 작업자가의 부주의에 따른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수단으로 금형봉을 자동으로 공급함은 물론, 가공된 공작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생산라인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살대 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2의 B - 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C - C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108: 수납구 20: 이송수단
30: 이송로봇 50: 탈형수단
70: 공급수단 90: 가공수단
100: 취출수단 110: 공작물
112: 화살대 114: 금형봉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는 금형봉(114)을 중심으로 화살대, 낚싯대, 골프채 등의 원통형 관체 특히, 화살대(112: 이하 '화살대'라 함)로 성형된 공작물(110)로부터 상기 금형봉(114)을 분리하여서 재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일정한 장소의 공작물(110)을 이송하여 화살대(112)와 금형봉(114)을 분리한 후, 상기 금형봉(114)을 가공하는 가공수단(70)으로 이송되고, 가공된 금형봉(114)을 취출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으게 된다. 상기 가공수단(70)은 금형봉(114)의 표면을 크리닝하는 제 1가공부(93)와, 이형제를 도포하는 도포구(94)와, 도포된 이형제의 표면을 다듬는 제 2가공부(95) 및 그 표면에 광택을 내어 마무리하는 제 3가공부(96)를 거쳐 가공이 마무리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살대 가공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살대 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작물(100)이 담겨지는 수납부(14)의 일측부에는 수직가이드(12)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가이드(12)의 일측부에는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공작물(110)을 하나씩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이송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공작물(110)을 집어서 아래에 설명되어질 탈형수단(50)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로봇(30)이 설치된다.
상기 공작물(110)을 수납하고 후방의 탈형지지구(69) 측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화살대(112)의 양측으로 돌출된 금형봉(114)의 일단부가 삽입구멍(71)에 삽입되고, 상기 탈형지지구(69)의 타측으로 돌출된 금형봉(114)의 일단부를 잡아 당겨서 상기 공작물(110)로부터 금형봉(114)을 분리시키며, 상기 금형봉(114)이 분리된 화살대(112)를 배출하는 탈형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탈형수단(70)으로부터 분리된 금형봉(114)을 받아서 상기 가공수단(90)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9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공수단(90)을 통해 가공되어져 후방으로 배출되는 금형봉(114)을 취출하는 취출수단(100) 및 그 금형봉(114)이 담겨지는 수납구(105)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수납부(14)의 일측부에 승강실린더(24)와 결합되어져 양측의 승강안내구(22)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지지대(1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지지대(14)는 상부에 승강구(16)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져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구(16) 및 수직가이드(12)의 상단부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구(22)의 상단부는 수평실린더(26)와 결합된다. 상기 이송로봇(30)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구(16)에서 안착부(58)로 아래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받침대(28)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58)의 상부에는 양단부가 프레임(2)에 고정된 지지바(38)가 횡설되고, 상기 지지바(38) 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회동구(40)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구(40)는 양측 프레임(2)에 설치된 제 1실린더(36)와 결합되고 돌출바(42)가 하향 돌출되어져 상기 경사받침대(28)의 끝단부와 접한다.
상기 탈형수단(50)은 상기 탈형지지구(69)의 타측부에 횡설된 안내바(46)를 따라 전-후로 작동되고 전방의 제 2실린더(48)와 결합된 작동구(44)는 상단 일측부의 경사부에 돌출바(56)가 상향 돌출되어져 상기 공작물(110)이 안착되는 안착부(58)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처럼, 상기 탈형지지구(69)의 타측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테이블(80)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80)의 상부에는 상기 금형봉(114)의 돌출부를 잡는 핑거(76)가 장착된 슬라이더(74)가 후방의 제 4실린더(72)와 결합되어져 안내부(78)를 따라 전-후로 작동된다.
상기 돌출바(56)는 작동구(44)의 일측에 설치된 제 3실린더(52)와 결합되어져 상기 안착부(58)의 일측을 개방함으로서 상기 금형봉(114)이 분리된 화살대(112)가 상기 경사부를 타고 아래로 떨어져서 하부의 수납구(60)에 담겨진다. 상기 테이블(80)의 전방 즉, 아래에서 설명되어질 경사지지대(82)의 상부에는 제 5실린더(62)를 지지하는 지지대(68)와, 상기 제 5실린더(62)와 결합된 절곡부재(64)가 설치된다. 상기 절곡부재(64)의 하단부에는 상기 경사지지대(82)의 상단면과 접하는 걸림바(6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수단(90)은 상기 탈형수단(5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지지대(82)는 연장되어져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회동바(84)의 타단부의 삽입홈(86)과이어진다. 상기 회동바(84)는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제 6실린더(88)와 결합되어져 상-하로 작동되고, 그 아래에는 금형봉(114)이 올려지는 받침대(92)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84)는 받침대(92)의 절개부 사이로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취출수단(60)은 상기 가공수단(90)을 통해 가공되어져 배출되는 금형봉(114)이 올려지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취출받침대(104)가 설치되고, 상기 취출받침대(104)는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된 제 7실린더(106)와 결합된다. 상기 취출받침대(104)의 상부는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102)로 덮여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봉(114)이 삽입되는 삽입구멍(71)의 입구측에는 에어공급장치와 연결된 공기분사노즐(도면에 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삽입구멍(71)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들 및 피스톤로드와의 각 결합부는 원활한 작동을 위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식별번호 (1)은 베이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화살대 가공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수납구(10)에 담겨진 공작물(100)은 수직가이드(12) 측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수평실린더(26)가 승강지지대(14)를 밀어서 상기 승강지지대(14)의 일측 즉, 수납부(10) 측으로 돌출된 승강구(16)의 돌출부(17)가 수납부(1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승강지지대(14)는 하강되고 상기 수평실린더(26)로 당겨져서 상기 돌출부(17)가 수납부(10) 측으로 돌출되어져 그 위에 선택된 하나의 공작물(100)이 올려진다. 상기 공작물(110)은 핑거(32)가 집어서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사받침대(28)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어져 상기 안착부(58)에 안착된다.이때, 상기 경사받침대(28)의 단부를 규제하는 돌출바(42)는 상기 제 1실린더(36)가 작동하여 회동시켜 개방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 2실린더(48)가 작동하여 상기 공작물(110)이 탈형지지구(69) 측으로 이동되어져 금형봉(114)이 삽입구멍(71)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화살대(112)는 탈형지지구(69)의 측면에 걸리게 된다. 이후 상기 제 4실린더(72)가 작동하여 슬라이더(74)가 전진되고 상기 핑거(76)가 돌출된 금형봉(114)을 잡고 상기의 제 4실린더(72)가 후진하여 당기면 화살대(112)로부터 금형봉(114)이 분리된다.
이후, 상기 돌출바(56)가 회동하여 안착부(58)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화살대(112)는 상기 작동구(44)의 경사부를 따라 아래로 굴러 떨어져서 수납구(60)에 담겨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핑거(76)가 금형봉(114)을 놓으면 경사지지대(82)를 따라 이동되어져 삽입홈(86)에 담겨진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던 금형봉(114)은 걸림바(66)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제 5실린더(62)가 작동하여 걸림바(66)를 들어올림으로서 금형바(114)는 이동된다.
다음, 상기 회동공급바(84)는 제 6실린더(88)가 작동하여 아래로 회동되고 상기 금형봉(114)의 후방 단부가 가공수단(90)의 제 1가공부(93)에 공급되어져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공을 마친 금형봉(114)은 배출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져 상기 취출받침대(104)에 올려지면 상기 제 7실린더(106)가 작동하여 상기 취출받침대(104)를 아래로 당겨서 수납구(108) 측으로 기울이고 상기 금형봉(114)은 굴러서수납구(108)에 담겨진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부에 다수개의 공작물을 담아두면 이송수단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고 이송로봇 및 공급수단을 통해 탈형수단으로 공급되고, 상기 탈형수단을 통해 분리된 화살대는 수납구에 담겨짐은 물론, 분리된 금형봉은 공급수단을 통해 가공수단으로 공급되고, 가공되어진 금형봉은 취출수단으로 하여금 배출되어져 수납구에 담겨짐으로서, 전체적인 작업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제품 생산공정의 개선은 물론 생산라인의 자동화를 이루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금형봉(114)을 중심으로 원통형 관체로 성형된 공작물(110)의 상기 금형봉(114)을 분리하여서 가공하는 가공수단(70)이 구비된 통상의 화살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100)이 담겨지는 수납부(14)의 일측부에는 승-하강하면서 상기 공작물(110)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의 상부에 설치되어져 상기 공작물(110)을 집어서 탈형수단(50)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로봇(30)과;
    상기 공작물(110)을 수납하여 후방의 탈형지지구(69)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탈형지지구(69)의 삽입구멍(71)을 통해 타측으로 돌출된 금형봉(114)의 일단부를 잡아 당겨서 상기 공작물(110)로부터 금형봉(114)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봉(114)이 분리된 화살대(112)를 배출하는 탈형수단(50)과;
    상기 탈형수단(70)으로부터 분리된 금형봉(114)을 받아서 상기 가공수단(90)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90)이 설치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90)을 통해 가공되어져 배출되는 금형봉(114)을 취출하는 취출수단(1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수납부(14)의 일측부에 수직가이드(12)와, 승강실린더(24)와 결합되어져 승강안내구(22)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지지대(14)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지지대(14)는 상부에 공작물(100)이 올려지는 승강구(16)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안내구(22)의 상단부는 수평실린더(26)와 결합되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수단(50)은
    상기 탈형지지구(69)의 타측부에 횡설된 안내바(46)를 따라 전-후로 작동되고 전방의 제 2실린더(48)와 결합된 작동구(44)는 상단 일측부의 경사부에 돌출바(56)가 상향 돌출되어져 상기 공작물(110)이 안착되는 안착부(58)가 형성되며;
    상기 탈형지지구(69)의 타측에서 상기 금형봉(114)의 돌출부를 잡는 핑거(76)가 장착된 슬라이더(74)가 후방의 제 4실린더(72)와 결합되어져 테이블(80)에 장착되어져 전-후로 작동되면서 상기 금형봉(114)을 분리시키며;
    상기 돌출바(56)는 작동구(44)의 일측에 설치된 제 3실린더(52)와 결합되어져 상기 안착부(58)의 일측을 개방함으로서 상기 금형봉(114)이 분리된 화살대(112)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90)은
    상기와 같이 분리된 금형봉(114)이 경사지지대(82)를 따라서 제 6실린더(88)와 결합되어져 상-하로 작동되는 회동바(84)에 올려져서 상기 가공수단(9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60)은
    상기와 같이 가공된 금형봉(114)이 올려지는 취출받침대(104)의 하부가 제 7실린더(106)와 결합되어져 일측의 수납구(108)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봇(30)의 하부에는 안착부(58)와 연결되어져 상기 공작물(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받침대(28)가 설치되며;
    제 1실린더(36)가 결합된 지지바(38) 상의 회동구(40)의 돌출바(42)가 상기 경사받침대(28)의 끝단부를 규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70)은 금형봉(114)의 표면을 크리닝하는 제 1가공부(93)와,그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도포구(94)와, 도포된 이형제의 표면을 가공하는 제 2가공부(95) 및 제 3가공부(9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살대 가공장치.
KR2020010016887U 2001-06-07 2001-06-07 화살대 가공장치 KR200247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87U KR200247354Y1 (ko) 2001-06-07 2001-06-07 화살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87U KR200247354Y1 (ko) 2001-06-07 2001-06-07 화살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354Y1 true KR200247354Y1 (ko) 2001-10-22

Family

ID=7306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87U KR200247354Y1 (ko) 2001-06-07 2001-06-07 화살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2363B (zh) 用于电火花线切割机的操作装置
KR101699150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KR200247354Y1 (ko) 화살대 가공장치
JP2946058B2 (ja) インサ−ト成形方法およびインサ−ト成形装置
WO1988007420A1 (en) Mold lubricant discharging apparatus for knockout systems
EP0443287B1 (en) A horizontally parted molding machine of stationary drag core box type
KR101765028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JP2002248542A (ja) 鍛造プレス装置
KR950035566A (ko) 부품공급장치 및 부품공급방법
CN111136861B (zh) 一种注塑成品去水口下料机构、生产装置及生产方法
KR100610653B1 (ko) 금속 성형품의 표면 연마 세정 장치 및 그 방법
KR960013285B1 (ko)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US5701946A (en) Apparatus for shooting foundry cores or molds
CN218134588U (zh) 一种消声件用脱模设备
JP3900316B2 (ja) プレス成形品の取外し方法、及びその取外し装置
JPH03204158A (ja) 自動低圧鋳造装置
JPH05244917A (ja) 果実のへた取り・切断装置
KR200247352Y1 (ko) 화살대 가공장치
CN221050911U (zh) 一种具有剔除机构的自动化上下料装置
JP2586956B2 (ja) 中子除去方法
JPS62192247A (ja) ダイカスト用トリミング装置における製品搬送装置
JPS58203011A (ja) 射出成形品自動取出装置
CN217200299U (zh) 喷嘴芯体理料装置
CN215512115U (zh) 一种灯头水口清理装置
JPH06166065A (ja) ロボットハ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