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285B1 -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285B1
KR960013285B1 KR1019940011751A KR19940011751A KR960013285B1 KR 960013285 B1 KR960013285 B1 KR 960013285B1 KR 1019940011751 A KR1019940011751 A KR 1019940011751A KR 19940011751 A KR19940011751 A KR 19940011751A KR 960013285 B1 KR960013285 B1 KR 96001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block element
block
cylind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302A (ko
Inventor
윤호진
Original Assignee
윤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진 filed Critical 윤호진
Priority to KR101994001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285B1/ko
Publication of KR95003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7/00Hammers; Forging machines with hammers or die jaws acting by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 (BURR)제거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엘레멘트 공급장치부의 작동상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엘레멘트 운방장치부의 작동상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엘레멘트 안정장치부의 작동상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엘레멘트 완성가공후 제거된 버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장치부의 작동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엘레멘트 공급장치부의 저장공급통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에레멘트 완성가공용 금형의 사시도.
제12도의(a)(b)도는 기존의 블럭밴드 엘레멘트가 단조가공시 그 테두리에 버가 형성됨을 보여주는 일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프레스 장치
3a,3b : 상, 하부금형부 4 : 엘레멘트 공급장치부
5 : 엘레멘트 운반장치부 6 : 엘레멘트 안정장치부
7 : 스크레이퍼 장치부 8a,8b : 버제거용 상,하부금형
9a,9b : 버제거구멍 11 : 상판
12 : 공급실린더 13 : 공급구
14 : 꽂이부 15 : 저장공급통
16 : 운반실린더 17 : 이동대차
18 : 레일 19 : 승강실린더
20 : 고정피스톤 21 : 운반암
22 : 공기흡착구 23 : 실린더
24 : 부착판 25 : 소형 실린더
26 : 안정구 27 : 지지대
28 : 핀축 29 : 실린더
30 : 스크레이퍼 31 : 공기호오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됨과 동시 그 표면에 음양모양이 각인되게 단조가동되는 손목시계용 블럭 밴드의 엘레멘트에 있어서, 그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 반드시 형성되는 테두리인 버(burr)를 자동으로 제거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시계의 블럭밴드를 구성하는 블럭엘레멘트는 주로 스테인레스스틸판재를 프레스펀칭하는 가공수단으로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그 후가공 공정으로 표면에 여락지의 음양모양을 새겨넣는 단조가공을 수행하는데 이때 단조가공되는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는 블럭엘레멘트의 평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는 테두리인 버가 반드시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버가 형성되게 하는 이뉴는 단조가공후 단조금형에서의 탈형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반대로 버를 형성시키지 아니할 경우에는 단조가공된 블럭엘레멘트를 단조금형에서의 탈형이 힘들게 되는것(블럭엘레멘트 자체가 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단조용 구멍 속으로 몰입되는 현상)은 물론 탈형작업시 각인된 음양모양에 흠집(단조용 구멍 속에 꼭끼인 것을 억지로 빼어낼때 생기게 되는 흠집)을 생기게 할 염려로 인해 제품의 불량화를 유발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현재의 가공방법에 있어서는 블럭엘레멘트의 단조가공시 블럭엘레멘트 자체의 둘레에 테두리인 버를 형성시켜 단조가공시 블럭엘레멘트가 단조 구멍 속으로 들어가지 않게 하여야만 온전한 블럭엘레멘트의 피단조가 공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조가공된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 형성된 버를 제거하여야만 블럭엘레멘트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버의 제거는 필수적이였으며,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피단조가공물인 블럭엘레멘트 하나하나를 프레스장치에 설치된 버제거용 금형에 얹어 놓고 프레싱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으로 행하여 왔었기 때문에 작업성이 더딘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금형 위에 피가공물을 얹어 놓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피가공물인 블럭엘레멘트의 버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완성된 블럭엘레멘트의 생산능률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프레스장치의 상부금형을 제외시킨 상태하에서 각 부분별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기대(1) 후방측에 프레서장치(2)다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스장치(1)의 하부금형부(3b)를 기준하여 도면상 우측에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와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가 설치되며, 좌측에는 엘레멘트 안전장치부(6)가 설치되고, 또 하부금형부(3)의 전방측에는 스크레이퍼 장치부(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엘레멘트 공급장치부(5)는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 각인되게 단조가공되어 둘레부분에 테두리와 같은 버(burr)(b)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엘레멘트(BE)를 하나씩 공급하는 작용을 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부는 제2도 및 제3도의 도시예와 같이 상판(11)저부에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급실린더(12)와 이의 피스톤(12a)선단에 공급구(13)가 착설되어 있으며, 공급구(13)의 선단에 형성된 공급홈(13a)은 상판(11)의 선단측 꽂이부(14)에 수직상으로 꽂아진 저장공급통(15)의 밑으로 블럭엘레멘트(BE)를 하나씩 받아 운반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저장공급통(15)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꽂이부(14)에 걸쳐지는 걸침구(15a)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저장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유리문(15b)이 상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측에는 저장실에 저장된 블럭엘레멘트와 유리문을 받쳐주는 받침판(15c)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저장공급통(15)의 유리문(15b)상단에는 저지금구 등을 보울트로 부착시켜 유리문을 설치하여 저장실을 닫아주면 유리문 하단이 받침판(15c)에 접하는 상태가 되게 하여 받침판을 빼어 내더라도 유리문이 더이상 밑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였으며, 저장공급통(15)의 하부측에 받침판(15c)를 끼운 상태에서 내부 저장실(부호 생략)에 다수의 블럭엘레멘트(BE)를 적층, 저장한 다음 유리문을 닫아 놓게 되면 다수의 블럭엘레멘트의 공급이 용이해지며, 이와 같이 블럭엘레멘트가 저장된 저장공급통(15)을 꽂이부(14)에 꽂아준 다음, 받침판(15c)을 빼내면 적층, 저장된 블럭엘레멘트가 저장공급통의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공급실린더(12)에 의해 전,후로 작동하는 공급구(13)의 공급홈(13a)이 저장공급통(15)밑에 위치하여 떨어지는 블럭엘레멘트를 수용하되 최하단의 것 하나만을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제2도 참조)
상기와 같이 저장공급통 (15)의 저장실 최하단에 위치한 것이 공급홈(13a)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급실린더(12)가 작동하면 피스톤(12a)이 출현작동을 하게 되므로서 공급구 (13)는 그 선단의 공급홈(13a)에 하나의 블럭엘레멘트를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로 공급하는 것이다.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는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에서 공급된 블럭엘레멘트(BE)를 하부금형부(3b)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이를 제4도와 제5도의 도시예로 설명하면, 운반실린더(16)의 피스톤(16a) 선단에 레일(18)위를 타고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차(17)를 부착시키며, 이동대차의 상면에는 승강실린더(19)가 복수개의 고정피스톤축(20)에 끼워진 채로 상, 하로 승강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의 승강작동은 공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실린더(19)의 전면에서 운반암(21)이 부착되며, 그 선단측에 설치한 공기흡착구(22)가 전기한 공급구(13)의 공급홈(13a)으로 공급된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착구(22)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공기흡착구가 하강작동으로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할때 탄력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서 흡착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공기흡착구(22)가 블럭엘레멘트의 흡착작용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운반실린더(16)가 작동하여 피스톤(16a)이 레일(18)위에 안착되어 있는 이동대차(17)를 전방측으로 일정거리로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운반암 (21)선단부의 공기흡착구 (22)는 하부금형(3b)에 조립한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9a) 직상방에 멈추게 되고, 이와 때를 같이하여 승강실린더(19)가 하강작동하여 흡착, 운반한 블럭엘레멘트를 버제거구멍(9a)에 얹어 놓는 상태가 되면 공기흡착구 (22)는 공기의 흡착작용을 멈추게 되어 블럭엘레멘트는 버제거구멍에 안치된 상태가 된다. 한편, 버제거구멍 위에 블럭엘레멘트를 안치시킨 후에는 승강 실린더(19)가 상승작동하여 공기 흡착구(22)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어서 운반실린더(16)는 피스톤(16a)을 잡아당기는 작동을 하여 이동대차(17)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음의 운반작동을 대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버제거용 하부금형(8)에 대하여 설명하면, 버를 제거하고자 하는 블럭엘레멘트가 제12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된 것일 경우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은 블럭엘레멘트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버제거용 하부금형(8b)에는 블럭엘레멘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개의 버제거구멍(9a),(9b)을 형성하는데, 두개의 버제거구멍은 서로 대칭상태가 되게 구성하였다(제11도 참조).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은 하나인데 비추어 버제거용 하부금형 (8b)에는 두개의 버제거구멍(9a),(9b)을 형성시킨 이유는 상부금형에 비해 버제거구멍의 사용수명이 짧기 때문에 사용하던 한개의 버제거구멍이 마모되면 버제거용 하부금형을 반대적으로 돌려 사용하므로서 하부금형 자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한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가 블럭엘레멘트를 하부금형(8b)으로 운반작동을 완료한 상태가 되면 엘레멘트 안정장치부(6)가 작동을 개시하다.
즉, 제6도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3)의 피스톤(23a)선단에 정착시킨 부착판(24)의 상면에 소형실린더(25)가 하면측의 안정구(26)를 하향으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실린더(23)가 작동하여 피스톤(23a)을 출현시켜주면 부착판(24)의 하측에 설치된 안정구(26)가 버제거구멍(9a)에 안치된 블럭엘레멘트 위에 멈춘후 소형실린더(25)의 작동으로 하향이동하여 블럭엘레멘트(BE)를 탄력적으로 눌러주어 블럭엘레멘트가 버제거구멍(9a) 에 안정되게 안치되게 하여 블럭엘레멘트의 버제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9a)에 블럭엘레멘트를 안정되게 안치시킨 후에는 피스톤(23a)의 몰입작동으로 안정구(26)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어스 프레스장치(2)가 작동하여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이 하강작동하여 버제거구멍(9a)에 안치된 블럭엘레멘트를 프레싱하면 블럭엘레멘트의 몸체는 버제거구멍(9a)으로 빠져나가고 (제8도 참조),테두리의 버(b)는 버제거구멍(9a)의 상면 주위에 남아있게 되는데, 상부금형부(3a)에 장착된 버제거용 상부금형(3a)가 블럭엘레멘트를 프레싱하고 상승한 다음에는 스크레이퍼 장치부(7)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즉, 지지대(27)에 핀축(28)으로 부착된 실린더(29)의 피스톤(29a)가 출현작동하면 그 선단에 형성된 스크레이퍼(30)가 버제거용 하부금형(3b)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전진이동하여 버제거구멍(9a) 주위에 남아있는 버를 긁어내며, 이때 스크레이퍼(30) 상면에 밀착시킨 공기분출호오스(31)에서는 압축공기가 순간적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버가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버제거구멍 주위에서 들뜨게 하는 작용을 하여 스크레이퍼(30)로서의 긁는 작용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스크레이퍼(30)가 버제거용 하부금형(3b) 상면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전진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29)의 후방부를 코일스프링(32)으로 탄력설치하고 또 실린더 자체는 핀축(28)을 기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각 장치부에 설치된 실린더 각각은 압축공기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공기의 공급계통은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전자 또는 컴퓨터회로장치에 의하여 모든 연계작동이 자동으로 콘트롤되고록 구성된 것으로, 블럭엘레멘트의 버를 제거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를 제거하고자 하는 블럭엘레멘트(BE)를 저장공급통(15)속에 일렬로 적층, 저장한 다음 유리문 (15b)을 닫고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의 꽂이부(14)에 꽂아준 후 받침판(15c)을 빼낸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을 빼내면 저장공급통(15)의 저장실에 적층, 저장된 최하단의 블럭엘레멘트는 공급구(13)의 공급홈(13a)으로 떨어져 수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장치의 스위치를 온(ON)동작시키면 제일 먼저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의 공급실린더(12)가 작동하여 피스톤(12a)을 출현작동시켜 공급구(13)의 공급홈(13a)에 수용된 블럭엘레멘트가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의 공기흡착구(22) 직하방으로 이동하여 잠시 멈추게 되며(제3도 참조),이러한 작동완료신호를 엘레멘트 운반장치(5)가 받아 승강실린더(19)를 작동시킴과 동시 공기흡착구(22)가 공기를 빨아들이는 작용을 하도록 하므로서 하강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19)와 함께 운반구(21)및 공기흡착구(22)가 하강하여 공급구의 공급홈(13a)에 수용된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함과 동시 승강실린더(19)는 다시 상승작동하여 공기흡착구(22)가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흡착구가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하여 상승이동한 상태가 되면 공급실린더(12)는 공급구(1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함과 동시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의 운반실런더(16)가 작동하여 피스톤(16a)을 출현작동시키면 이동대차(17)는 레일(18)을 타고 하부금형부(3b)로 이동하게 되며, 블럭엘레멘트 흡착한 공기흡착구(22)가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9a)의 직상방까지 이동하면 운반실린더(16)가 작동을 정지하고, 이어서 승강실런더(19)가 다시 하강작동하여 공기흡착구(22)에 흡착된 블럭엘레멘트가 버제거구멍(9a)에 안착되는 상태에 이르면 공기흡착구의 흡착작용(공기를 빨아들이는 작용)이 멈춤과 동시 승강실린더(19)가 상승작동을 개시하여 공기흡착구(22)가 블럭엘레멘트를 놓고 상승이동한 다음(제5도 참조)운반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이동대차와 공기흡착구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작동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공기흡착구(22)에 의하여 안치된 블럭엘레멘트는 버 (b)의 하부측 몸체만 버제거구멍(9a)에 삽입된 상태이나 그 삽입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압압작용으로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흡착구가 원위치로 복귀한 후에는 엘레멘트 안정장치부(6)의 실런더(23)의 작동으로 피스톤(23a)의 선단에 부착된 부착판(24)이 하부금형부(3b)상방으로 진입하여 멈추게 되면 소형실린더(25)가 작동하여 안정구(26)가 버제거구멍(9a)에 안치된 블럭엘레멘트의 상면을 압압하여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 형성된 버(b)가 버제거구멍(9a)주위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안정시키게 된다.
상기의 안정구(26)는 블럭엘레멘트(BE)의 표면을 훼손하지 않는 재질이면서 단단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같이 버제거구멍(9a)에 블럭엘레멘트를 안정되게 안치시킨 후에는 안정구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어서 프레스장치(2)가 작동하여 상부금형부(3a)를 하강작동시키면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이 블럭엘레멘트의 상면을 프레싱하면서 버제거구멍(9a)속으로 밀어 넣어 하부금형부(3b)의 밑으로 탈형시키게 되는데, 이때 버제거구멍(9a) 주위에는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던 버(b) 만 남아있게 된다(제9도 참조).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의 프레싱작동으로 블럭엘레멘트에서 버(b)를 제거한 후 상승이동한 다음에는 스크레이퍼 장치부(7)가 작동을 개시하여 스크레이퍼(30)를 전진시켜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9a)주위에 남아있는 버(b)를 긁어내는데, 이때 공기분출호오스(31)에서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뿜어내어 버제거구멍(9a) 주위에 있는 버(b)가 공기분출압에 의해 들뜨게 하면서 스크레이퍼(30)로 긁어내므로서 버(b)의 제거작용이 원활해지며, 제거된 버(b)는 하부금형부(3b) 후방측으로 튕겨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블럭엘레멘트가 수직으로 적충, 저장된 저장공급통을 꽂아 놓은 엘레멘트 공급장치부의 공급작동에서부터 스크레이퍼 장치부의 버 제거작동에 이르기까지 자동으로 연계하여 작동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블럭엘레멘트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버의 제거작업이 신속, 정확한 이점이 있을뿐 아니라 버의 제거공정을 자동화 하였으므로 불량유발을 극소화시키면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지 않는 안전한 버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수직으로 적층, 저장된 블럭엘레멘트를 한개씩 간헐, 공급하는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와; 상기 엘레멘트 공급장치부에서 블럭엘레멘트 한개가 공급되면 공기흡착구(22)가 작동하여 공급된 블럭엘레멘트를 진공흡착하여 하부금형부(3b)에 장착된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9a 또는 9b)으로 운반, 안치시키는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와; 상기 엘레멘트 운반장치부의 운반 및 안치작동완료후 상기 버제구멍에 불안정상태로 안치된 블럭엘레멘트의 상면을 압압하여 안정상태로 하여 주는 안정구(26)가 장착된 엘레멘트 안정장치부(6)와; 상기 엘레멘트 안정장치부의 작동완료후 상부금형부(3a)에 장착된 버제거용 상부금형(8a)이 프레싱작동을 개시하여 안정된 블럭엘레멘트를 상기 버제거구멍으로 탈형시킨 다음 상기 버제거구멍 주위에 남아있게 되는 버를 압축공기의 분출작용으로 들뜨게 함과 동시 스크레이퍼(30)로 긁어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장치부(7)와를 구비하여 상기 각 장치부들이 순차적인 연속작동을 자동으로 연속하여 반복작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블럭엘레멘트에 형성되어 있는 버를 자동으로 연속제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멘트 공급장치부(4)의 꽂이부에는 유리문(15b)이 착탈되는 저장공급통(15)에 수직으로 적층, 저장된 블럭엘레멘트중 맨밑의 것부터 공급구(13)의 선단에 형성된 공급홈(13a)에 한개씩 차례로 수용되게 한 다음 공급실린더(12)의 작동으로 상기 공급구를 전진작동시켜 상기 공급홈에 수용된 블럭엘레멘트를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의 공기흡착구(22)직하방으로 공급하는 간헐적 작동을 자동으로 반복되게 함을 특징을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는 레일 (18)위를 왕복하는 이동대차(17) 상면에 고정피스톤(20)을 타고 승강작동하는 승강실린더(19)의 전면에 형성시킨 공기흡착구(22)로서 상기 공급홈(13a)으로 공급된 블럭엘레멘트를 흡착토록 한 다음 운반실린더(16)로 상기 이동대차를 전진이동시켜 상기 공기흡착구가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버제거구멍 직상방에 이르면 상기 승강실런더의 작동과 상기 공기흡착구의 흡착작용의 중단으로 블럭엘레멘트를 상기 버제거구멍에 내려 놓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레멘트 운반장치부(5)가 블럭엘레멘트의 운반 및 안치작동을 완료하면 엘레멘트 안정장치부(6)의 실린더(23)가 작동하여 부착판(24)의 안정구(26)가 블럭엘레멘트 상방으로 이동한 다음 소형실린더(25)의 작동으로 상기 안정구가 하강하여 버제거구멍(9a 또는 9b)에 안치된 블럭엘레멘트의 상면을 압압하여 블럭엘레멘트가 상기 버제거구멍에 안정상태로 안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제거용 하부금형(8b)의 일측 버제거구멍에 안정되게 안치된 블럭엘레멘트를 버제거용 상부금형(8a)으로 프레싱가공으로 블럭엘레멘트의 탈형작동 완료후 스크레이퍼 장치부(7)가 작동하여 상기 버제거구멍 주위에 남아 있는 버를 공기호오스(31)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로 들뜨게 함과 동시 스크레이퍼(30)로 긁어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엘레멘트를 프레싱하여 탈형시키는 베제거용 상부금형(8a)은 하나로 구성되며, 버제거용 하부금형(8b)에는 두개의 버제거구멍(9a) 또는 (9b)을 대칭상으로 형성하여 그 두개의 버제거구멍을 교대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버제거용 하부금형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용 블럭엘레멘트의 버 제거장치.
KR1019940011751A 1994-05-28 1994-05-28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KR96001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751A KR960013285B1 (ko) 1994-05-28 1994-05-28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751A KR960013285B1 (ko) 1994-05-28 1994-05-28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02A KR950031302A (ko) 1995-12-18
KR960013285B1 true KR960013285B1 (ko) 1996-10-02

Family

ID=193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751A KR960013285B1 (ko) 1994-05-28 1994-05-28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920B1 (ko) * 2018-04-05 2019-07-23 이원희 단조품 트리밍 및 검사 자동화 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497B1 (ko) * 2018-07-25 2020-11-03 주식회사 불스원 골반 시트
CN114850294A (zh) * 2022-05-06 2022-08-05 北京富元乐世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冲孔去毛刺一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920B1 (ko) * 2018-04-05 2019-07-23 이원희 단조품 트리밍 및 검사 자동화 시스템과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02A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2300B2 (ja) 光学ガラス素材の移載装置
CN108857080A (zh) 一种cob基板的全自动激光打标设备
KR960013285B1 (ko)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CN210285884U (zh) 一种凸轮轴加工装置用上料机构
CN211545451U (zh) 一种自动贴膜平台
CN110980252A (zh) 一种圆盘转动式开板收纳装置
CN214926811U (zh) 一种模具加工用自动取模装置
CN219485298U (zh) 抛光机
CN213563071U (zh) 一种玩具轮胎冲裁加工系统
CN213617083U (zh) 一种塑料制品成型用的打孔装置
CN106881429B (zh) 一种废料推送翻转机构及冲压模具
CN110153607B (zh) 一种钢板自动切割装置
CN113787149A (zh) 一种全自动fpc排废设备
CN108942365B (zh) 一种电机端盖多孔钻床设备的自动上下料装置
CN112091099A (zh) 一种工件中部冲压拉延翻边方法
JPH03204158A (ja) 自動低圧鋳造装置
JP2569309Y2 (ja) プレス装置のワーク自動取り出し装置
CN216913693U (zh) 化纤纺丝组件半自动分解机
KR200247354Y1 (ko) 화살대 가공장치
CN215145895U (zh) 龙门式激光切割机用双吸盘支架锯片工作台
KR200156037Y1 (ko) 인쇄회로기판의 절단장치
CN211510460U (zh) 自动化拆装模盖的转印纸更换装置
JPH0560632U (ja) プレス装置のワーク自動取り出し装置
CN219144692U (zh) 一种转盘式冲压装置
CN215248077U (zh) 汽车零部件加工用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