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028B1 -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028B1
KR101765028B1 KR1020170006401A KR20170006401A KR101765028B1 KR 101765028 B1 KR101765028 B1 KR 101765028B1 KR 1020170006401 A KR1020170006401 A KR 1020170006401A KR 20170006401 A KR20170006401 A KR 20170006401A KR 101765028 B1 KR101765028 B1 KR 10176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mold
movable
surface treatmen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387A (ko
Inventor
남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17000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2Vibratory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haking out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2Cleaning, working on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탈사장치는 주입주형체(SC)에 충격을 가하여 주물(CR)의 표면에 부착된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기(3); 상기 탈사기(3)에 의해 주형이 제거되는 복수의 주물(CR)을 정해진 배열로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수납하도록 거치위치(D)에 대기하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때 상기 주물(CR)의 수납을 종료하고 후처리위치(F)로 이동하는 이동식 거치대(5); 상기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된 상기 주물(CR)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표면처리기(7); 및 투입위치(A)의 상기 주입주형체(SC)를 상기 탈사기(3)로, 상기 탈사기(3)에서 상기 주형이 제거된 상기 주물(CR)을 상기 거치위치(D)의 상기 이동식 거치대(5)로 각각 운반하는 매니퓰레이터(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주입주형체를 탈사하고, 탈사된 주물 표면의 주형 찌꺼기나 기타 이물질을 깨끗이 없애는 일련의 과정이 투입 및 회송용 컨베이어, 매니퓰레이터, 인덱스테이블, 그리고 이송레일 또는 호이스트 등에 의해 자동화되므로, 작업능률이나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환경 오염의 피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Shell Removing Apparatus For Lost Wax Cas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트왁스 주조법에 의해 주물을 제작하는 공정 중, 주형 내의 용탕이 응고되어 형성된 주입주형체에서 주형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주물을 만들어 내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탈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스트왁스 주조법이란 원하는 형상의 모형을 밀랍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밀랍모형 위에 주물사를 피복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소정 강도의 주형을 만든 뒤, 고온 가열에 의해 밀랍모형을 제거한 주형 내부에 용탕을 부어 응고시킨 뒤, 외부의 주형을 제거함으로써 고정밀의 주조품을 제작하는 주조법으로서, 내부에 응고된 용탕과 외부의 주형으로 이루어진 주입주형체에서 주형을 제거하여 주물을 뽑아내는 탈사과정을 반드시 거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종전에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밀폐용 게이트를 가지는 탈사기(공개실용신안 실 1999-004713호)와 같은 탈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 탈사기(101)는 도시된 것처럼, 주물(C)이 수용되는 방음 챔버(103), 이 방음 챔버(103) 내에 설치된 타격 기구(105), 방음 챔버(103)의 측부에 설치된 집진 덕트(107), 방음 챔버(103) 하단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게이트(109), 그리고 이 게이트(109)를 개폐하는 유압 실린더(1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방음 챔버(103)의 내부에서 타격 기구(105)에 의해 주물(C)을 타격하여, 주물(C) 표면의 주물사를 제거할 때, 유압 실린더(111)의 동작에 의해 게이트(109)로 방음 챔버(103)의 개구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타격 기구(105)에 의한 주물(C) 타격 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발생한 분진을 집진 덕트(107)를 통해 외부의 집진기로 유도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탈사기(101)는 방음 챔버(103) 내에 탈사 전후의 주물(C)을 입출하고, 탈사 결과 발생한 폐사를 배출하는 작업 등 작업 전반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져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탈사 시 발생한 폐사를 방음 챔버(103)에서 제거하고자 게이트(109)를 개방한 때 방음 챔버(103) 내에 잔류하는 분진이나 폐사가 외부로 비산되거나, 폐사 컨베이어(113)에 의해 실어 나를 때 분진이나 폐사가 비산되므로, 작업자는 물론 작업환경에 피해를 입히는 환경 오염의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실 1999-0047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탈사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주물 표면에서 외부의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 공정을 탈사 준비단계에서부터 탈사 정리단계까지 전체적으로 자동화함으로써, 탈사 작업 시 주물에서 떨어져 발생하는 폐 주물사 또는 기타 분진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입주형체에 충격을 가하여 주물의 표면에 부착된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기; 상기 탈사기에 의해 주형이 제거되는 복수의 주물을 정해진 배열로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수납하도록 거치위치에 대기하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때 상기 주물의 수납을 종료하고 후처리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식 거치대; 상기 이동식 거치대을 수용하도록 상기 후처리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식 거치대에 수납된 상기 주물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표면처리기; 및 투입위치의 상기 주입주형체를 상기 탈사기로, 상기 탈사기에서 상기 주형이 제거된 상기 주물을 상기 거치위치의 상기 이동식 거치대로 각각 운반하는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거치대를 상기 거치위치에서 상기 후처리위치로, 그리고 상기 후처리위치에서 상기 거치위치로 각각 이동시키는 이송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테이블은 이송수단을 따라 상기 거치위치에서 상기 후처리위치로, 그리고 상기 후처리위치에서 상기 거치위치로 각각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식 거치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탈사기로부터 전달되는 주물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의 빈 걸림홈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거치대의 방향을 조정하는 인덱스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탕 주입공정에서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킨 주입주형체를 투입위치로 연속해서 공급하는 탈사 준비단계; 상기 탈사준비단계에서 상기 투입위치로 공급된 상기 주입주형체를 탈사기로 이동시키는 탈사 장입단계; 상기 탈사 장입단계에서 상기 탈사기로 장입된 상기 주입주형체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주형 내에서 응고된 주물의 표면에서 상기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단계; 상기 탈사단계에서 표면의 주형이 제거된 상기 주물을 거치위치에서 대기하는 이동식 거치대에 정해진 배열에 따라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묶음으로 수납하는 표면처리 준비단계; 상기 표면처리 준비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거치대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주물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이동식 거치대와 함께 후처리위치에 설치된 표면처리기에 장입하는 표면처리 장입단계; 상기 표면처리 장입단계에서 상기 표면처리기 내에 장입된 상기 주물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표면이 마감 처리된 상기 주물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로부터 탈거하여 방출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물이 탈거된 상기 이동식 거치대를 상기 거치위치로 이동시키는 탈사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이전 단계인 용탕 주입공정에서 주형에 주입되어 주형 내부에서 응고된 주물과, 외부에 남아 있는 주형으로 이루어진 주입주형체를 탈사기에서 충격하여 주물 표면 붙은 주형을 떼어내고, 쇼트블라스트와 같은 표면처리기에 의해 주물 표면에 잔류하는 주형 찌꺼기나 기타 이물질을 깨끗이 없애 주물 제작을 완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투입 및 회송용 컨베이어, 매니퓰레이터와 같은 매니퓰레이터, 인덱스테이블, 그리고 이송레일 또는 호이스트 등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는 이송테이블 등에 의해 자동화되므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공정에서 배제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작업능률이나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진폐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피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탈사기를 도시한 개략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사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거치대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인덱스테이블과 그 위에 지지된 이동식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탈사장치에 호이스트를 적용한 부분 발췌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탈사장치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탈사기(3), 이동식 거치대(5), 표면처리기(7), 및 매니퓰레이터(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여기에서 먼저 상기 탈사기(3)는 로스트왁스 주조법에 의한 주물 제조방법 중 용탕 주입공정에서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시킨 주입주형체(SC)에서 주형을 제거하여 주물(CR)을 빼내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주입주형체(SC)를 고정시킨 후 주입주형체(SC)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떤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주형체(SC)를 측면에서 고정하고, 위쪽에서 충격을 가하는 구조의 탈사기(3)를 그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이 탈사기(3)는 예시된 것처럼, 몸체프레임(11)에 측면으로 설치된 복수의 고정수단(13,14)에 의해 주입주형체(SC)를 파지하여 시트(16) 위에 고정하며, 시트(16) 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몸체프레임(11) 위쪽에 설치된 충격수단(15)에 의해 주입주형체(SC)의 상단에 충격을 가하여 주물(CR) 표면에 붙어 있는 주형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주물(CR)은 자체로 하나의 제품을 이룰 수 있으나, 주조공정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동일한 제품을 트리 형태로 묶어 제작하는 경우가 더 많다.
상기 이동식 거치대(5)는 탈사를 마친 주물(CR) 여러 개를 표면처리기(7)에 의해 동시에 표면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데 모아 수납하기 위한 거치수단으로서, 탈사기(3)에 의해 주형이 제거된 복수의 주물(CR)을 정해진 배열로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수납하도록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위치(D)에 대기한다. 따라서, 예컨대 빈 걸림홈(21)이 없어 주물(CR)의 추가 수납이 불가한 때 또는 정해진 대기시간이 경과된 때 등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때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주물(CR)의 수납을 종료하고 후처리위치(F)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식 거치대(5)는 표면처리기(7)로 원통형의 쇼트 블라스트가 사용되는 경우,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으로 된 원통형 행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원통형 행거 형태의 이동식 거치대(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표면처리기(7) 내부에 최대한으로 주물(CR)을 수납할 수 있도록, 표면처리기(7)의 내부 용적에 따라 또는 주형의 크기에 따라 층수가 결정되는 복층 구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동식 거치대(5)는 도시된 것처럼, 각 층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배열된 복수의 환형 프레임(17)과, 이들 복수의 환형 프레임(17)을 지지하면서 연결하도록 수직하게 배열된 복수의 기둥 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환형 프레임(17)은 표면 처리에 효과적인 자세로 주물(CR)을 배열할 수 있도록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원주방향으로 45도 간격을 두고 8 개의 걸림홈(21)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걸림홈(21)은 트리 형태로 된 주물(CR) 상단의 주물헤드(CH)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주물헤드(CH)는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역원뿔대 형태를 취한다. 또한, 이동식 거치대(5)는 필요에 따라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단의 방사상 횡봉(25) 중심에 흡착부(23)가 부착된다.
상기 표면처리기(7)는 주형이 떨어진 주물(CR)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평면도인 도 2에 정면도의 상태로 도시되는 바, 다양한 종류의 마감 처리장치가 채용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쇼트블라스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면처리기(7)는 표면처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나란히 후처리위치(F)에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표면처리기(7)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복수의 주물(CR)을 하나의 묶음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한 상태 그대로 내부에 수용한다. 이를 위해 표면처리기(7)는 외벽 전면에 개폐도어(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또한, 표면처리기(7)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뒤쪽에 주물버킷(27)이 구비되는 바, 표면처리기(7) 내에서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된 상태로 표면 처리된 뒤, 수작업이나 매니퓰레이터로 빼내어진 주물(CR)을 일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매니퓰레이터(9)는 위와 같이 탈사 및 표면 처리되는 주물을 각 구간마다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자동화기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주형체(SC)가 투입되는 투입위치(A), 주입주형체(SC)가 탈사되는 탈사위치(B), 탈사된 주물(CR)이 거치되는 수납지점(C)이 모두 선단에 위치하는 파지구(29)의 작동반경(r)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매니퓰레이터(9)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용 컨베이어(50) 말단의 투입위치(A)로 이송된 주입주형체(SC)를 파지구(29)로 잡아 탈사기(3) 내의 탈사위치(B)로 장입하고, 이후 탈사가 완료된 즉, 주형이 제거된 주물(CR)을 탈사기(3)에서 빼내 거치위치(D)에 있는 이동식 거치대(5)의 수납지점(C)에서 차례로 복수의 주물(CR)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탈사장치(1)는 주물(CR)을 마감 처리하기 위해, 거치위치(D)에서 복수의 주물(CR)이 수납된 이동식 거치대(5)를 직접 표면처리기(7) 내부에 장입하도록 되어 있는 바, 거치위치(D)의 이동식 거치대(5)를 후처리위치(F)로, 반대로 후처리위치(F)의 이동식 거치대(5)를 거치위치(D)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식 거치대(5)는 거치위치(D)와 후처리위치(F) 사이에 이송테이블(30)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탈사장치 위쪽에 설치된 호이스트(41)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거치위치(D) 또는 후처리위치(F)에서 후처리위치(F) 또는 거치위치(D)로 각각 이동한다. 이때, 이동식 거치대(5)의 모든 움직임은 천장에 설치된 호이스트(41)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호이스트(41)는 승강팁에 전자석을 장착하여 이동식 거치대(5)의 흡착부(23)를 자력에 의해 착탈함으로써 이동식 거치대(5)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주물 탈사장치(1)는 인덱스테이블(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인덱스테이블(20)은 이동식 거치대(5)의 배치 방향을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거치대(5)를 지지하도록 거치위치(D)에 설치되는 바, 탈사기(3)로부터 매니퓰레이터(9)에 의해 자동으로 연속해서 전달되는 복수의 주물(CR)을 이동식 거치대(5)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인덱스테이블(20)은 외곽에 설치된 광센서 등 감지수단(37)에 의해 수납지점(C)에서 빈 걸림홈(21)이 확인될 때까지 상단의 지지판(35)을 돌려 이동식 거치대(5)를 회전시킨다. 이때, 지지판(35)은 아래에 연결된 구동모터(33)와 전동벨트(39)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물 탈사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위치(A)까지 주입주형체(SC)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용 컨베이어(50)와, 투입위치(A)까지 이송되었으나 탈사기(3)로 장입되지 못한 주입주형체(SC)를 보관위치로 회송하는 회송용 컨베이어(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투입용 컨베이어(50)는 통상의 컨베이어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주형체(SC)가 일시 보관되는 보관위치와 탈사기(3)로 투입되는 투입위치(A) 사이에 배치되는 바, 냉각이 완료되어 보관위치에 임시 보관된 주입주형체(SC)를 연속해서 투입위치(A)까지 이송하여 매니퓰레이터(9)에 의해 탈사기(3)에 투입되도록 한다. 또한, 회송용 컨베이어(60)도 마찬가지로 통상의 컨베이어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주형체(SC)의 회송이 이루어지는 회송위치(E)와 보관위치와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송용 컨베이어(60)는 투입용 컨베이어(50)에 의해 투입위치(A)까지 이송되어, 매니퓰레이터(9)에 의해 탈사기(3)로 이송되었지만, 선행 주입주형체(SC)의 탈사가 종료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탈사기(3)로 장입되지 못하고 회송위치(E)로 되돌아온 주입주형체(SC)를 보관위치로 회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1)의 탈사공정에 따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탈사공정은 로스트왁스 주조법에 의해 주물(CR)을 제작하는 전체 공정 중에 일부로서, 용탕 주입공정에서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켜 제작한 주입주형체(SC)로부터 주형을 제거하여 주물(CR)을 완성하는 공정인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사 준비단계(S10), 탈사 장입단계(S20), 탈사단계(S30), 표면처리 준비단계(S40), 표면처리 장입단계(S50), 표면처리단계(S60), 그리고 탈사 정리단계(S7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탈사 준비단계(S10)는 탈사공정의 전단계인 용탕 주입공정에서 제작된 주입주형체(SC)를 냉각이 이루어지는 보관위치로부터 투입위치(A)로 연속해서 공급하는 준비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투입용 컨베이어(50)를 통해 복수의 주입주형체(SC)가 연속해서 투입위치(A)로 공급된다.
상기 탈사 장입단계(S20)는 위 탈사 준비단계(S10)에서 투입위치(A)로 연속 공급되는 주입주형체(SC)를 탈사기(3)로 이동시켜 장입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매니퓰레이터와 같은 매니퓰레이터(9)에 의해 투입위치(A)의 주입주형체(SC)가 탈사기(3)에 장입되는 바, 그리퍼 등과 같은 파지구(29)에 의해 주입주형체(SC)의 주물헤드(CH)가 파지되어, 투입위치(A)의 주입주형체(SC)를 탈사기(3) 내의 탈사위치(B)로 이동시킨다.
상기 탈사단계(S30)는 위와 같이 탈사위치(B)로 장입된 주입주형체(SC)를 탈사기(3)에 의해 탈사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사기(3) 내에 장입된 주입주형체(SC)가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3,14)에 의해 시트(16) 위에 고정된 뒤, 상단의 충격수단(15)에 의해 주물헤드(CH) 부위에 충격을 받거나 진동을 받음으로써, 주입주형체(SC) 내부의 주물(CR)에서 외부의 주형이 떨어져 제거된다. 이때, 떨어진 주형 찌꺼기는 수작업에 의해 또는 자동 이송장치에 의해 수거용기로 운반된다.
상기 표면처리 준비단계(S40)는 위 탈사단계(S30)에서 주형이 제거된 주물(CR)을 표면의 마감 처리하기 위해 묶음으로 수납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탈사위치(B)에서 탈사기(3)에 의해 표면의 주형의 제거된 주물(CR)을 매니퓰레이터(9)에 의해 거치위치(D)에서 대기하는 이동식 거치대(5)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매니퓰레이터(9)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탈사기(3) 내에 서있는 주물(CR)의 주물헤드(CH)를 파지구(29)에 의해 파지하여 거치위치(D)로 이동시키며, 이동된 주물(CR)을 거치위치(D)에 대기 중인 이동식 거치대(5)의 빈 걸림홈(21)에 연속적으로 수납한다.
이와 같이, 수납지점(C)에 위치하는 하나의 걸림홈(21)에 하나의 주물(CR)이 거치되는 방식으로 연속해서 이동식 거치대(5)에 하나의 묶음으로 수납되는 복수의 주물(CR)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식 거치대(5)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는 일정한 배열로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되는 바, 이동식 거치대(5)는 인덱스테이블(20)에 의해 원주방향의 배치가 조정됨으로써, 빈 걸림홈(21)이 자동적으로 수납지점(C)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인덱스테이블(20)은 감지수단(37)에 의해 수납지점(C)에 위치하는 이동식 거치대(5)의 걸림홈(21)에 주물(CR)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 걸림홈(21)에 이미 주물(CR)이 걸려 있다면, 지지판(35)을 회전시켜 수납지점(C)에 빈 걸림홈(21)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표면처리 장입단계(S50)는 위 표면처리 준비단계(S40)에서 이동식 거치대(5)에 하나의 묶음으로 수납된 복수의 주물(CR)을 이동식 거치대(5)와 함께 표면처리기(7) 안으로 장입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위치(D)의 인덱스테이블(20)과 후처리위치(F)의 표면처리기(7)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송테이블(30) 위에 싣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천장에 설치된 호이스트(41)에 매달아 이동식 거치대(5)를 표면처리기(7) 내부의 후처리위치(F)에 장입함으로써, 쇼트블라스팅과 같은 표면처리 가공을 준비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60)는 위 표면처리 장입단계(S50)에서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된 채로 표면처리기(7) 안으로 장입된 주물(CR)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쇼트블라스트와 같은 표면처리기(7)에 의해 내부에 장입된 주물(CR)의 표면이 쇼트블라스팅에 의해 깨끗하게 마무리 가공된다.
끝으로, 상기 탈사 정리단계(S70)는 위 표면처리단계(S60)에서 표면이 마감 처리된 주물(CR)을 표면처리기(7) 외부로 이동시키는 한편, 주물(CR)이 모두 탈거된 이동식 거치대(5)를 거치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으로서, 이 단계에서는 표면 처리가 끝난 주물(CR)이 수작업이나 또 다른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표면처리기(7) 내부의 이동식 거치대(5)에서 방출위치(G)에 설치된 주물버킷(27)으로 옮겨지며, 이 주물버킷(27)을 거쳐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또한, 표면 처리된 주물(CR)이 모두 탈거된 이동식 거치대(5)는 위 표면처리 장입단계(S50)에서 이동식 거치대(5)를 후처리위치(F)로 이동시킨 이송테이블(30)이나 호이스트(41)에 의해 거치위치(D)로 되돌아 새로운 주물(CR)의 수납을 대기한다.
1 : 탈사장치 3 : 탈사기
5 : 이동식 7 : 표면처리기
9 : 매니퓰레이터 11 : 몸체프레임
13, 14 : 고정수단 15 : 충격수단
20 : 인덱스테이블 21 : 걸림홈
23 : 흡착부 27 : 주물버킷
29 : 파지구 30 : 이송테이블
31 : 이송레일 33 : 구동모터
35 : 지지판 37 : 감지수단
40 : 적재테이블 41 : 호이스트
50 : 투입용 컨베이어 60 : 회수송 컨베이어
A : 투입위치 B : 탈사위치
C : 수납지점 CH : 주물헤드
CR : 주물 D : 거치위치
E : 회송위치 F : 후처리위치
G : 방출위치 SC : 주입주형체

Claims (4)

  1. 주입주형체(SC)에 충격을 가하여 주물(CR)의 표면에 부착된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기(3);
    상기 탈사기(3)에 의해 주형이 제거되는 복수의 주물(CR)을 정해진 배열로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수납하도록 거치위치(D)에 대기하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때 상기 주물(CR)의 수납을 종료하고 후처리위치(F)로 이동하는 이동식 거치대(5);
    상기 이동식 거치대(5)을 수용하도록 상기 후처리위치(F)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된 상기 주물(CR)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표면처리기(7);
    투입위치(A)의 상기 주입주형체(SC)를 상기 탈사기(3)로, 상기 탈사기(3)에서 상기 주형이 제거된 상기 주물(CR)을 상기 거치위치(D)의 상기 이동식 거치대(5)로 각각 운반하는 매니퓰레이터(9); 및
    상기 이동식 거치대(5)를 지지하도록 상기 거치위치(D)에 설치되어, 상기 탈사기(3)로부터 전달되는 주물(CR)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5)의 빈 걸림홈(21)에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거치대(5)의 방향을 조정하는 인덱스테이블(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거치대(5)를 상기 거치위치(D)에서 상기 후처리위치(F)로, 그리고 상기 후처리위치(F)에서 상기 거치위치(D)로 각각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3. 삭제
  4. 용탕 주입공정에서 주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킨 주입주형체(SC)를 투입위치(A)로 연속해서 공급하는 탈사 준비단계(S10);
    상기 탈사 준비단계(S10)에서 상기 투입위치(A)로 공급된 상기 주입주형체(SC)를 탈사기(3)로 이동시키는 탈사 장입단계(S20);
    상기 탈사 장입단계(S20)에서 상기 탈사기(3)로 장입된 상기 주입주형체(SC)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주형 내에서 응고된 주물(CR)의 표면에서 상기 주형을 제거하는 탈사단계(S30);
    상기 탈사단계(S30)에서 표면의 주형이 제거된 상기 주물(CR)을 거치위치(D)에서 대기하는 이동식 거치대(5)에 정해진 배열에 따라 걸어 고정하여 연속해서 묶음으로 수납하는 표면처리 준비단계(S40);
    상기 표면처리 준비단계(S40)에서 상기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주물(CR)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5)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이동식 거치대(5)와 함께 후처리위치(F)에 설치된 표면처리기(7)에 장입하는 표면처리 장입단계(S50);
    상기 표면처리 장입단계(S50)에서 상기 표면처리기(7) 내에 장입된 상기 주물(CR)의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S60); 및
    상기 표면처리단계(S60)에서 표면이 마감 처리된 상기 주물(CR)을 상기 이동식 거치대(5)로부터 탈거하여 방출위치(G)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물(CR)이 탈거된 상기 이동식 거치대(5)를 상기 거치위치(D)로 이동시키는 탈사 정리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방법.
KR1020170006401A 2017-01-13 2017-01-13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76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401A KR101765028B1 (ko) 2017-01-13 2017-01-13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401A KR101765028B1 (ko) 2017-01-13 2017-01-13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315A Division KR101699150B1 (ko) 2015-02-16 2015-02-16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387A KR20170019387A (ko) 2017-02-21
KR101765028B1 true KR101765028B1 (ko) 2017-08-29

Family

ID=5831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401A KR101765028B1 (ko) 2017-01-13 2017-01-13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512A (zh) * 2018-07-17 2018-09-25 芜湖固高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熔模法铸造用破壳机
KR102230022B1 (ko) * 2019-09-05 2021-03-18 박경원 주물 탈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3836A (ja) * 2011-11-16 2013-05-30 Daifuku Co Ltd 物品仕分設備の物品入出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857A (ko) 1999-02-10 2000-09-15 밍 루 무정류자 전동기의 보조마그네트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3836A (ja) * 2011-11-16 2013-05-30 Daifuku Co Ltd 物品仕分設備の物品入出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387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150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US10675814B2 (en) Unit for cleaning additive manufacturing plates
US20180236504A1 (en) Device for the dry-cleaning of an additive manufacturing plate
KR101765028B1 (ko) 로스트왁스 주물 탈사장치 및 그 방법
CN107774976A (zh) 铸造系统
CN114378277B (zh) 一种电脑组件生产用全自动压铸设备
CN104439208B (zh) 活塞环铸造落砂自动线
RU26208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я в виде сборного бетона
JP3343551B2 (ja) 鋳造方法及び鋳造ライン
EP0443287B1 (en) A horizontally parted molding machine of stationary drag core box type
EP245517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t met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plant
CN208583965U (zh) 一种长铸件的渣包浇口自动去除装置
US20050072552A1 (en) Foundry and plant layout method for it
CN214640118U (zh) 一种钢丸填埋壳型铸造生产设备
CN102380609B (zh) 铸造生产线以及落砂方法
JP2019209379A (ja) 鋳造物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2002248542A (ja) 鍛造プレス装置
CN108637208A (zh) 一种长铸件的渣包浇口自动去除装置
EP063643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chusshaubenreinigung bei der Herstellung giessfertiger Masken bzw. Kernpakete
CN109483712B (zh) 一种小型混凝土块加工设备
JP5246224B2 (ja) 鋳造ラインおよび砂落し方法
JP4468742B2 (ja) 鋳物の取り出し方法
CN215357976U (zh) 一种用于清理刹车盘的抛丸机
US3284861A (en) Jolt de-sanding machine for mould flasks
JPH03285758A (ja) 鋳型ばら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