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558Y1 - 자동접지봉합기 - Google Patents

자동접지봉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558Y1
KR200246558Y1 KR2019990005982U KR19990005982U KR200246558Y1 KR 200246558 Y1 KR200246558 Y1 KR 200246558Y1 KR 2019990005982 U KR2019990005982 U KR 2019990005982U KR 19990005982 U KR19990005982 U KR 19990005982U KR 200246558 Y1 KR200246558 Y1 KR 200246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grounding
roller
ground
g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452U (ko
Inventor
조민연
Original Assignee
조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연 filed Critical 조민연
Priority to KR2019990005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55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558Y1/ko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접지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각종 통지서, 문서, 고지서등을 한장씩 자동공급시켜서 접지 및 봉합을 원활히 할수 있고 또 접지상태를 가동중에도 손쉽게 조정시켜서 정확한 접지작업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문서의 공급로울러가 계속적인 회전으로 문서공급시켜 접지하도록 하였으나 접지기의 가동중에는 접지상태의 조정이 않되어 가동을 중단시킨 후 조정해야 하는 불편점이 있고 또 연속의 공급으로 인해 겹친 문서발생으로 불량율이 많고 접지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접지로울러 후미측에 압착로울러를 설치하여 접지한 문서가 압착과 동시에 봉합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압착로울러의 전후상부에 센서를 설치하고 문서공급로울러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시킬수 있는 솔레노이드와 연결시켜서 공급로울러의 회동으로 접지할 문서를 공급시켜 접지로울러에 의하여 접지가 완료되어 나갈때 센서가 감지하도록 하고 또 솔레노이드에 의거한 문서공급로울러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하게 하여 문서한장씩 접지와 봉합이 이루어져 나가도록 하므로 접지상태의 길이조정이 간편하고 접지와 봉합이 원활히 되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접지봉합기 {Automatic paper folding and sealing machine}
본 고안은 각종 통지서, 문서, 고지서 등을 한장씩 접어서 봉합하는 자동접지봉합기에 관한 것으로 종이공급판위에 쌓아 놓은 문서는 스스로 한장씩 3개의 공급로울러에 의하여 용이하게 공급되어지게 하고 접지로울러 및 문서안내판에 의하여 접지가 되면 후부의 압착로울러에서 양측의 접착부를 압착시켜서 봉합시킴과 동시에 압착로울러 후미위에 설치시킨 센서에서 봉합지가 통과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여 그 감지된 센서에 의해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서 작동간이 공급로울러의 회전과 정지를 간헐적으로 하게 하므로 문서 한장씩 정밀하고 정확히 접지와 봉합작업을 원할히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문서의 공급로울러가 계속적인 회전으로 접지될 문서공급이 연속 주입되어졌으나 접지상태의 정검과 조정이 시동중에는 않되어 가동을 중단시켜 조정해야 하는 폐단이 있고 또 연속의 공급으로 인하여 겹쳐진 문서공급으로 불량물이 많고 접지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결함이 있었고 또한 인쇄기에서 인쇄된 문서의 접지부를 점선절단부로 형성하여 접는 수단이 있었고 또 제본의 접지기는 인쇄지를 공압흡지구로서 물어 공급로울러에 공급시키도록 된 것도 있었으나 점선절단에 의한 접지수단은 인쇄기에 부설된 기구이므로 독립된 접지기로 이용할수 없고 또 봉합이 이루어지지 못한 폐단이 있으며 또 공압흡지구에 의한 문서의 공급수단은 공압기를 겸비해야 하는 등 구비시설이 복잡하고 방대하여 간단한 구성의 탁상용으로는 이용될수 없을 뿐더러 간단한 문서의 접지작업에는 부적당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개선하고, 탁상위에 안착시켜 탁상용으로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을 뿐더러 누구나 손쉽게 조작 이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문서 한장씩 접지 및 봉합작업이 끝날때 문서가 공급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3개의 공급로울러는 작은 톱니의 고무링이 끼워져서 착탈이용토록 하여 마모시 교체사용이 간편하도록 하고 또 작은 톱니로 인하여 하부의 탄성편위에서 문서를 용이하게 물어 공급하도록 하고 또 종이공급판 선단에는 중간의 공급로울러와 접촉케 된 곡철사가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공급문서의 공급상태를 쉽게 알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상,하 접지로울러의 우측에는 중량의 금속으로 된 압착로울러를 설치하여 접지된 문서를 압착시키므로 접착부의 봉합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 그 압축로울러 후미위에는 센서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도록 전자판과 배선으로 연결하므로 솔레노이드에 설치된 작동간의 키돌기가 공급로울러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연결기어의 연결축에 설치된 제동철사간의 첨단부에 접촉 제동케 되어 공급로울러 회동을 중지하게 하고 또 작동간의 키돌기 접촉이 제동철사간 첨단부와 이탈로 해제되면 다시 회동작용을 하게 하여 종이한장씩의 공급으로 접지와 봉합작업이 끝나고 다시 한장씩 공급작업이 되게하는 간헐적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착안된 것으로 문서의 접지와 봉합이 정밀하고 정확히 되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접지기의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본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 접지로울러의 동력전달계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급지로울러의 회동을 솔레노이드 작동간과 연결하여
작용을 설명하는 일부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하여 이루어진 접지형태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접지로울러에 의해 형성된 접지형태, 도 6은 압착로울러에 의해
형성된 접지형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기판 2 : 안내판 4, 4': 종이지지판
5 : 공급로울러 6 : 고무링 7 : 탄성편
11 : 장축 12 : 기어 13, 13' : 연결기어
15 : 제동철사간 15' : 첨단부 16 : 솔레노이드
17 : 작동자 18 : 작동간 18' : 키돌기
19 : 복귀스프링 20, 20': 접지로울러 21,21': 접지로울러
23,23': 문서안내판 25 : 길이조정판 27,27': 압착로울러
28 : 센서 33,33' : 연결기어 44 : 연결축
양측 기판(1)(1') 중간에 문서공급을 위한 안내판(2)을 수평 설치한 그 안내판(2)의 앞쪽에 중간이 접어지는 종이공급판(3)과 문서의 싸이즈에 따라서 폭조정이 되는 종이지지판(4)(4')을 각각 설치하고 또 안내판(2) 위에는 3개의 공급로울러(5)를 장축(11)으로 기판(1)(1')에 설치하여 외부기어(12)와 연결축설하고 또 공급로울러(5) 외면에는 작은 톱니고무링(6)이 로울러위에 끼워져서 착탈이 가능케하여 마모시 교체이용이 되게 함과 동시에 톱니로 인해 종이와의 마찰이 좋게 하여 문서를 용이하게 공급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3개의 공급로울러(5)중 중간부의 공급로울러(5)의 바닥인 안내판(2)에는 탄성편(7)을 설치하여 중간부 공급로울러(5)의 톱니 고무링(6)과의 마찰을 좋게 하여 문서의 공급을 용이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종이공급판(3) 선단에는 중간의 공급로울러(5)와 접촉케 된 곡철사(37)가 있는 리미트 스위치(38)를 설치하여 공급문서의 공급상태를 쉽게 알수있게 하였다.
또한 장축(11)의 외측기어(12)에는 연결축(44)으로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 (13')를 설치하여 연결기어(13)는 외측기어(12)와 연결기어(13')는 연결기어(33')와 각각 치합회동하게 설치하고 또 연결축(44)에 제동철사간(15)을 감아서 고정시킨 제동철사간(15) 첨단부(15')가 하부로 노출되어 솔레노이드(16) 전후진의 작동자(17)에 연결 설치한 ┌ 형 작동간(18)의 키돌기(18')와 접촉되어 걸리거나, 이탈될수 있게 구성하고 또 작동간(18)에는 복귀스프링(19)을 설치하여 작동자(17)가 복귀작용을 할수 있게 하였다.
또한 안내판(2) 안쪽인 기판(1)(1')에는 상부 접지로울러(20)(20')와 하부 접지로울러(21)(21')를 상,하로되게 설치하고 그 상,하부의 접지로울러(20)(20') (21)(21')의 상부 경사위치와 하부 경사위치에는 각각 위치조정구(22)(22')로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문서안내판(23)(23')을 경사형으로 설치하고 문서안내판(23) (23')에는 입구가 접지로울러(20)(20')(21)(21')로 향하는 안내실(24)이 형성되고 또 그 안내실(24)의 길이조정사용이 가능하게 길이조정판(25)을 설치하고 레일(26)을 따라 상하 이동조정시켜 접지길이를 조정사용 할수 있도록 하였다. 접지로울러 (21)(21') 후미에는 압착로울러(27)(27')을 서로 접동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후미위에 접지의 통과여부에 따라 감지케 된 센서(28)를 설치하여서 솔레노이드(16)와 연결하므로 솔레노이드(16)의 작동을 센서(28)에서 감지 신호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력전달은 도 3에서와 같이 기판(1') 하부에 설치된 가변형 모터(29)의 벨트(31)로 압착로울러(27') 일측에 설치된 풀리(27a)에 연결작동하게 하고 또 압착로울러 (27)(27')와 접지로울러(20)(20')(21)(21')는 외측에 기어(32)(32')(32a)(32a') (32b)(32b')를 형성하여 서로 치합회전하게 되어 있고 또 압착로울러(27')의 기어 (32)')와 접지로울러(21')의 기어(32a')사이에 연결기어(33)을 설치하여 동력전달을 하도록 하고 또 접지로울러(20')와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사이에 또한 연결기어(33')를 설치하여 치합회동하게 하였다. 또한 기판(1) 상위에는 전자판(34)를 설치하여 메인스위치(35)와 조작버튼(36)을 설치 배선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7은 접지된 문서 , 37'는 압착로울러(27)(27')로 납짝하게 압착시킨 문서이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판(1)(1') 사이에 수평설치한 종이공급판(3)위 종이지지판(4)(4')사이에 접어 봉합시킬 문서를 적재 공급하게 되고 또 기판(1) 상면에 설치시킨 전자판(34)의 메인스위치(35)를 온시키고 조작버튼(36)을 누르므로서 가동케 된다.이때 가변형 모터(29)의 가동으로 벨트(31)로 연결된 풀리(27a)에 의해서 도 3에서 도시와 같이 압착로울러(27)(27')의 기어(32)(32')가 상호 접촉회동을 하고 또 기어(32')와 치합회동케 된 연결기어(33)에 의해 하부 접지로울러(21)(21')의 기어(32a)(32a')와 상부 접지로울러(20)(20')의 기어(32b)(32b')가 서로 치합회동케 되며 또 연결기어(33')에 의하여 연결축(44)으로 연결설치된 동력전달의 기어(13)(13')가 회전을 하게 되어서 장축(11)으로 설치된 3개의 공급로울러(5)와 접지로울러(20)(20')(21)(21') 및 압착로울러(27)(27')가 각각 회동운동을 하게 되어 종이공급판(3)위에서 공급시킨 문서를 공급시켜 접지와 봉합을 하게 된다. 이때 접지와 봉합은 3개의 공급로울러(5)의 회동으로 물려 공급된 문서는 안내판(2)위를 따라 전진되면서 접지로울러(20)(20')에 물려 들어감과 동시에 문서끝이 문서안내판(23)의 안내실(24)내로 유도 주입되어지고 또 길이조정판(25)에 닿으면 더이상 주입되어지지 못하므로 이때 문서는 아래쪽으로 꺽기면서 접혀져서 접혀진 부분이 접지로울러(20')와 접지로울러(21) 사이에 물려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접지된 부분은 다시 물려나오면서 다시 하부의 문서안내판(23')의 안내실(24)내로 유도 주입되어지고 또 길이조정판(25)에 닿으면 더이상 주입되어지지 못하므로 이때 한번 접은 문서는 다시 꺽겨 접어지면서 접지로울러 (21)(21')에 물려 전진하게 된다.이때 접지되어 나오는 접지문서는 양 갓부에 접착부를 가지고 있을때는 압착로울러(27)(27')에 통과 압착되어 봉합되어지고 접착부가 없는 문서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압착된 상태로 배출되어 나온다. 또 센서(28)에 의하여 접지 및 봉합문서의 배출을 센서(28)에 의하여 감지하게 되고 통과되면 이 감지신호는 도 4에 도시된 솔레노이드(16)에 전달되어 솔레노이드(16)의 작동자(17)의 흡입작용으로 복귀스프링(19)을 당기면서 작동자(17) 선단에 설치된 ┌ 형 작동간(18) 선단의 키돌기(18')가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13')의 연결축(44)에 권취하여 고정한 제동철사간(15) 첨단부(15')에 걸려 있을때는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13')는 공회전을 하고 또 반대로 ┌ 형 작동간(18) 선단의 키돌기(18')가 제동철사간(15)의 첨단부(15')에서 아래로 이탈되면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13')는 연결기어(33')에 의해 동력전달을 하게 하므로 3개의 공급로울러(5)가 회동을 하게 되어 이때는 한장의 문서가 다시 물려 공급케 되므로 한장씩의 문서를 정확히 접지와 봉합작업을 할수 있게 된다.또한 본 고안은 공급로울러(5) 3개를 모두 외면에 톱니가 있는 고무링(6)을 착탈할수 있게 끼워져 있으므로 마모시의 교체 사용이 간편하고 또 중간의 공급로울러(5) 밑 안내판(2)에는 탄성편(7)이 설치되어 탄력으로 탄성편(7)과 공급로울러 (5)의 고무링(6)이 접촉 상태에서 회전케 되므로 문서의 공급이 원활하고 정확히 물려들어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판(1)(1')내에 종이공급판(3)과 안내판(2)위의 공급로울러(5)와 접지로울러(20)(20')(21)(21') 및 압착로울러(27)(27')가 결합구성되어 간단한 구성체로 되어 있어 탁상위에 재치하여 탁상용으로 간단히 설치 이용할수 있어 편리하고 누구나 조작사용이 되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접지로울러(21)(21')를 통과 배출되는 접지문서가 압착로울러(27)(27')를 한번더 통과하면서 납짝한 상태로 압착되므로 문서의 정돈과 처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고 또 압착로울러(27)(27')를 통과하면서 나가는 문서는 센서(28)에 의하여 감지되어지고 동시에 센서(28)의 작동신호로 가동케 된 솔레노이드(16)의 작동과 정지기능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13')는 공회전과 또 회전작용을 간헐적으로 하도록 연결기어(33')에서 동력 전달을 받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연결기어(13)에 치합된 외측기어(12)를 통해 동력전달을 받게되는 장축(11)에 고정되어 있는 3개 공급로울러(5)는 이에따라 한장씩의 문서를 정확히 공급시키게되는 효과가 있고 또 공급된 문서는 접지와 봉합작업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불량물이 없이 능률적인 작업을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기판(1)(1') 중간에 안내판(2)을 수평설치한 경사부위에 3개의 공급로울러(5)를 장축(11)으로 축설하고 그 내측에 접지로울러(20)(20')와 접지로울러(21) (21)'를 상하로 접동되게 설치한 상하 경사위치에 길이조정판(25)을 가진 문서안내판 (23)(23')을 설치한 접지기에 있어서,
    동력전달의 연결기어(13)(13')를 연결축 (44)으로 설치하여 연결기어(13)는 장축(11)의 외측기어(12)와 연결기어(13')는 연결기어(33')에 각각 치합되게 설치하고 연결축(44)에는 제동철사간(15)을 권취고정하여 첨단부(15')가 하부로 노출되게 하고 센서(28)와 연결된 솔레노이드(16)의 작동자(17)에 복귀스프링(19)을 가진 ┌형 작동간(18)을 설치하여 작동간(18)의 키돌기(18')가 제동철사간(15)의 첨단부 (15')에 접촉과 이탈 될수 있게 하고 접지로울러(21)(21') 후부에는 압착로울러 (27)(27')와 센서(28)를 설치하여 된 자동접지봉합기.
KR2019990005982U 1999-04-13 1999-04-13 자동접지봉합기 KR200246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82U KR200246558Y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접지봉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82U KR200246558Y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접지봉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52U KR20000019452U (ko) 2000-11-15
KR200246558Y1 true KR200246558Y1 (ko) 2001-09-26

Family

ID=5476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82U KR200246558Y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접지봉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5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76B1 (ko) 2007-05-28 2008-07-09 윤석훈 결합 일체형 접지봉함기
KR101310034B1 (ko) 2013-05-14 2013-09-24 대영정보시스템(주) 우편물 봉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77B1 (ko) * 2007-06-19 2008-07-09 윤석훈 접지기와 봉함기를 연결하는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76B1 (ko) 2007-05-28 2008-07-09 윤석훈 결합 일체형 접지봉함기
KR101310034B1 (ko) 2013-05-14 2013-09-24 대영정보시스템(주) 우편물 봉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52U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306305C2 (ko)
WO2013164877A1 (ja) 折り目入れ折り装置
EP2233279A1 (en) Cloth bonding apparatus
KR200246558Y1 (ko) 자동접지봉합기
US5331910A (en) Sewing machine with auxiliary transport rollers, belt, and cutter
US2847213A (en) Sheet feeding apparatus
CN214529612U (zh) 一种针织罗纹面料生产的罗纹机
CN208607721U (zh) 一种薄片类介质处理装置
JP3030873U (ja) ウェブを自動的に送るための装置
CN208183249U (zh) 一种自动送料平缝机
US5738346A (en) Apparatus for stitching collated sheets
CN107097553B (zh) 一种自动配页装置
KR100356401B1 (ko)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DE3166302D1 (en) A device for folding and making a hem on the end edges of a piece of cloth e.g a sheet
KR200194771Y1 (ko)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CN208326777U (zh) 一种印花自动送料装置
JP3137622U (ja) 壁紙糊付機
JP3616427B2 (ja) 孔版印刷装置
KR100953669B1 (ko) 재봉기용 재봉물 펼침장치
CN213413264U (zh) 一种纸板定位推送机构及纸板印刷开槽生产线
TWI725787B (zh) 列印裝置以及排紙控制模組
KR200314193Y1 (ko) 낱장우편물 자동봉합기
US1778433A (en) Adjustable apron feed for glue machines
CN209352322U (zh) 不停机自动补收纸装置
JP3805044B2 (ja) 連続帳票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