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401B1 -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401B1
KR100356401B1 KR1020000052669A KR20000052669A KR100356401B1 KR 100356401 B1 KR100356401 B1 KR 100356401B1 KR 1020000052669 A KR1020000052669 A KR 1020000052669A KR 20000052669 A KR20000052669 A KR 20000052669A KR 100356401 B1 KR100356401 B1 KR 10035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ame
stamping
loading plat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473A (ko
Inventor
한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임
Publication of KR2001009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62Details or accessories
    • B41K3/64Stamping mechanisms controlled by feed of copy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날인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자동날인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으로 장착되어 인장날인 및 일련번호 날인을 위한 용지가 안착되는 날인지 적재판, 날인지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 급지롤러에 의하여 급지된 용지를 안내하는 안내롤러, 안내롤러로 안내된 용지에 날인을 수행하는 날인수단,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접하도록 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되, 이 승강수단은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된 제 1풀리, 프레임의 하측으로 위치하여 설치된 제 2풀리, 제 1풀리와 제 2풀리에 치합된 타이밍벨트, 제 2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타임밍벨트에 내측 일면에 치합된 제동기어, 제동기어와 결합되며 적재판의 측단에 결합된 설치브라켓, 제동기어의 구동을 제한하도록 적재판의 일측에 구비된 제동수단을 포함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는 타이밍벨트와 제동기어 그리고 제동수단을 사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지의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용지의 급지 효율과 안정성이 종래에 비하여 향상되고, 그리고 용지가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용지의 회수와 날인여부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용지에 대한 잼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커버를 개방하여 보다 손쉽게 잼이 발생한 용지의 회수가 가능한 효과들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An automatic sealing machine and its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고속날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에 인장날인 및 일련번호 날인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동 날인기에 용지의 급지를 위하여 설치된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날인기는 선거용 투표지, 거래용 자기앞수표지, 수험표지,채권지, 증권지 등에 일련번호를 자동적으로 날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날인기 중에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자동날인기의 급지장치(등록번호 실용 제 0122566 호)"가 있다.
이 종래 등록기술에서의 자동날인기에 설치된 급지장치는 용지가 상측 유입, 하측 배출로 되도록 된 구조이고, 날인지 적재판이 상하 승강하도록 된 구조이다. 여기서의 승강구조는 날인지 적재판의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나선장축과 이 나선장축에 나선 결합된 승강체와 나선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평풀리 벨트를 구비하여 날인지 적재판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래 기술에서의 날인지 적재판 승강구조는 나선장축을 동력전달요소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구조의 요소 중의 일부에 손상이 가해지면 날인지 적재판이 수동조작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용지의 배출구조가 하향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지의 배출여부의 확인과 회수에 상당한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용지 경로상에 잼이 발생하게 될 때 이를 확인 회수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인지 적재판이 구동모터에 의한 자동구동과 수동조작이 함께 가능하도록 하여 적재판의 조작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지장치를 가진 자동 고속날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의 유통을 하방 유입으로 상부 배출되도록 하여 날인된 용지의 회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급지장치를 가진 자동날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를 보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커버를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타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급지장치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의 급지장치에 설치된 적재판 작동레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작동레버를 보인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 급지장치의 급지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 급지장치의 급지중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 급지장치에 마련된 급지압 조절장치를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 급지장치에 마련된 급지압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200...급지장치
210...적재판
220...급지롤러
230...승강수단
240...제동수단
244...제동레버
102...안내롤러
105...플래튼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으로 장착되어 날인을 위한 용지가 안착되는 날인지 적재판, 날인지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 급지롤러에 의하여 급지된 용지를 안내하는 안내롤러, 안내롤러로 안내된 용지에 날인을 수행하는 날인수단,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가 급지롤러에 접하도록 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되, 승강수단은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된 제 1풀리, 프레임의 하측으로 위치하여 설치된 제 2풀리, 제 1풀리와 제 2풀리에 치합된 타이밍벨트, 제 2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타임밍벨트에 내측 일면에 치합된 제동기어, 제동기어와 결합되며 적재판의 측단에 결합된 설치브라켓, 제동기어의 구동을 제한하도록 적재판의 일측에 구비된 제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동수단은 제동기어에서 적재판의 하측으로 연장된 축봉, 축봉의 외중에 장착된 보조기어, 보조기어의 골에 착탈되도록 된 물림봉, 물림봉을 회동시키도록 물림봉이 설치되어 적재판의 하측으로 장착된 제동레버, 제동레버를 탄성 지지하도록 적재판의 하면과 제동레버 사이에 설치된 회동탄성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급지롤러의 하측에는 급지롤러의 급지압력을 조절하도록 스프링과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된 압착판과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조절판이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의 측면에는 일단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설치브라켓에 결합되어 적재판의 일측방향에 대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복원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제동기어가 위치한 타이밍벨트의 외측면에는 타이밍벨트에 제동기어의 치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지지된 지지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장착된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의 양측면을 개폐하는 측면커버와(11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커버(1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용지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130)가 전방에 형성되고, 용지의 배출은 상부커버(120)의 위로 형성된 배출부(14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내부 중심부분에는 유입된 용지에 일련번호를 날인하기 위한 날인장치(150)가 장착되고, 이 날인장치(150)를 축지지하는 날인축(160)이 설치된다. 그리고 날인축(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인풀리(15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날인풀리(15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제 3타이밍벨트(190)에 치합되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자동날인장치의 용지 유통경로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자동날인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용지유입은 프레임(100)의 전방 용지 유입부(130)에 마련된 급지장치(200)를 통하여 강제 유입된다. 이 급지장치(200)는 용지가 안착되는 날인적재판(210)과 이 날인 적재판(210)의 용지를 내부로 급지하는 제 1급지롤러(220)와 이 제 1급지롤러(220)와 연동하되 하부에 급지압 조절장치와 접해 있는 제 2급지롤러(22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1급지롤러(220)에 용지가 접하도록 날인 적재판(21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급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날인 적재판(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금속판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설치브라켓(211)이 장착되어 있다. 이 설치브라켓(211)은 적재판(210)의 측면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데. 이것은 프레임(100)에 형성된 상하장공(101)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는 적재판(210)이 위치하도록 하고, 외측으로는 설치브라켓(211)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설치브라켓(211)의 외측면에는 전방측으로 제동기어(212)가 장착되고, 후방측으로 이 제동기어(212)와 거의 인접하여 위치한 지지롤러(213)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승강수단(230)은 프레임(100)의 양측면 상측에 각각 장착된 제 1풀리(231)와 이 상측 제 1풀리(231)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된 하측 제 2풀리(232)를 구비하고, 이 제 1풀리(231)와 제 2풀리(232)에 서로 치합되어 있는 제 1타이밍벨트(2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타이밍벨트(233)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34)에 의하여 구동하는 동력전달풀리(235)가 프레임(100)의 좌측에 설치되고, 이 동력전달풀리(235)와 제 2풀리(232)는 동력전달벨트(237)에 의하여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211)에는 일단이 설치브라켓(211)에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는 복원탄성부재(236)가 설치되어 적재판(210)의 원활한 상측 복원을 돕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판(210)의 하측에는 제동기어(212)의 구동을 제한하는 제동수단(34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동수단(340)은 제동기어(212)의 회전을 제한하여 제 1타이밍벨트(233)의 회전시 적재판(210)이 상하로 승강하도록 하고, 제동기어(212)에 대한 제동을 해제하면 적재판(210)이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동수단(340)의 구성은 도 6,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기어(212)의 축심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재판(2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축봉(241)과 이 축봉(241)의 외주에 장착된 보조기어(2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보조기어(242)의 골부분에 치합되도록 된 걸림봉(24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걸림봉(243)의 회동을 위한 제동레버(244)가 장착된다.
이 제동레버(244)는 적재판(210)에 하면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편(214)에 중간부가 축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축 결합부분에는 일단이 제동레버(244)에 지지되고 타단이 적재판(210)의 하면에 지지되어 제동레버(244)의 탄성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동탄성부재(2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레버(245)의 전방부분에는 측방으로 돌출하여 작동시 사용자가 눌러서 제동레버(245)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24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급지장치(200) 다음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가 날인장치(150)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한 안내롤러(102)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 안내롤러(102)는 급지롤러(220)와 제 2타이밍벨트(103)에 의하여 치합되어 연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제 2타이밍벨트(103)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 등으로 된 동력원이 프레임(100) 내부에 구현되어 제 2타이밍벨트(103)에 급지롤러(220)와 안내롤러(102)들과 함께 치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용지가 안내롤러(102)를 지나면 플래튼롤러(Platen roller, 105)를 만나게 된다. 이 플래튼롤러(105)는 용지의 하면이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용지의 상면으로는 전술한 날인장치(150)에 마련된 날인판과 접하게 되어 용지의 날인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날인장치(150)를 지난 용지는 계속해서 압송롤러(106)를 만나게 되고, 이 압송롤러(106)를 지나면 이후 상향 경사지게 유통경로가 형성되어 용지의 진행이 상향 경사지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상향 경사진 용지의 진행을 위하여 용지의 상측면으로는 다수의 배출롤러(107)가 용지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용지의 하면으로는 프레임(100) 내부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배출벨트(108)가 설치되어 용지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의 용지의 배출은 날인장치(150) 상측의 상부커버(120) 위로 개구된 배출부(140)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날인장치(150)의 회전 원주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잉크 공급장치가 마련된다. 이 잉크 공급장치는 날인장치(150)의 회전시 날인장치(150)의 날인부분이 접하도록 하여 날인장치(150)에 잉크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대체로 롤러 형상으로 마련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있으며, 외부에서 직접 이 롤러로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의 구동중, 별도의 분리 작업없이 잉크의 공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지압 조절장치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급지롤러(221)의 하부에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된 압착판(226)과 이 압착판(226)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프레임(100)에 설치된 브라켓(223)과 이 브라켓(223)과 압착판(226)을 서로 결합시키며 압착판(226)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압착판(226)에 형성된 장공(227)과 이에 결합된 나사(228)를 구비한다.
그리고 브라켓(223)의 내측으로는 압착판(226)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나선축(224)과 이 나선축의 외측에 설치된 스프링(229), 그리고, 스프링(229)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조절판(225)이 설치되어 회전조절판(225)의 조작으로 스프링(229)의 탄성력이 조절되고, 이로인해 압착판(226)에서 제 2급지롤러(221)로 가해지는 압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날인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용지의 유입은 유입부(130)의 급지장치(200)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 용지의 유입을 위하여 최초 적재판(210)에 용지를 안착시킨 후 작동 제어스위치를 온하면 급지장치(200)의 구동모터(234)가 동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로인해 승강수단(230)이 상향 승강하게 된다.
이때의 승강수단(230)의 동작은 먼저 구동모터(234)의 동력이 동력전달풀리(235)를 통하여 전달되고, 계속해서 동력전달풀리(235)의 동력이 제 2풀리(232)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 1풀리(231)와 제 2풀리(232)에 치합된 제 1타이밍벨트(233)는 회전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1타이밍벨트(233)의 회전으로 제 1타이밍벨트(233)에 치합된 제동기어(212)는 제 1타이밍벨트(233)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 제 1타이밍벨트(233)와 함께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의 제동기어(212)는 제동수단(240)이 제동기어(212)를 제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제동기어(212)의 축봉(241)에 설치된 보조기어(242)의 걸림봉(243)이 걸려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적재판(210)의 승강은 복원탄성부재(236)의 탄성복원력으로 더욱 탄력을 받아 신속하게 상향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재판(210)이 승강하여 용지의 윗부분이 급지롤러(220)에 접하여 눌리게 되면 구동모터(234)의 동력이 절환되어 더 이상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급지롤러(220)와 안내롤러(102)로 동력이 전달되면 용지는 순차적으로 한 장씩 급지가 이루어지고, 이때에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용지의 카운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급지롤러(220)를 거쳐 안내롤러(102)로 안내된 용지는 계속해서 플래튼롤러(105)로 유입되며 이때에 날인장치(150)의 날인축(160)이 회전하게 되고, 이 날인축(160)의 회전으로 날인판(미도시)이 회전하여 플래튼롤러(105)와 날인판 사이로 이송된 용지에 대한 날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날인축(160)은 계속된 회전으로 다음 번호의 적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날인판을 거친 용지는 압송롤러(106)를 거치면서 프레임(100)의 후방으로 계속해서 이송됨과 동시에 경로의 상향 굴곡진 부분을 따라 이송되고, 이후 배출롤러(107)와 배출벨트(108) 사이로 이송된다.
이후 배출롤러(107)와 배출벨트(108) 사이로 이송된 용지는 상향 경사지게 이송된 후 상부커버(120)의 상측으로 배출되어 적층됨으로써 용지에 대한 날인이 완료되고, 계속해서 다음 용지의 날인이 상술한 작용설명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날인된 용지가 상술한 경로 상에서 잼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커버(120)를 회동 개방시키면 내부의 용지 경로 상태가 노출되기 때문에 손쉽게 잼이 발생된 용지의 회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용지에 대한 날인이 완료되면 급지장치(200)의 적재판(210)은 급지롤러(220)와 접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 다음 용지에 대한 적재판(210)에 안착은 적재판(210)을 수동으로 하향 복원시킨 상태에서 이루이지게 된다.
이때의 사용은 사용자가 제동레버(244)의 눌림부(246)를 누르고, 적재판(210)을 아래로 당기면 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사용자가 제동레버(244)의 눌림부(246)를 누름으로써 제동레버(244)의 단부에 설치된 걸림봉(243)이보조기어(242)의 골부분으로 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제동기어(212)에 대한 제동력은 해제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판(210)을 아래로 누르면 제동기어(212)가 제 1타이밍벨트(238)를 따라 하방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적재판(210)의 하향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제동레버(244)의 눌림부(246)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제동레버(244)는 회동탄성부재(245)에 의하여 최초 상태로 복원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걸림봉(246)은 보조기어(242)의 골부분으로 복원하여 보조기어(242)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제동기어(212)에 대한 제동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급지장치는 종래의 적재판의 이동이 나사봉으로 이루어지던 것을 타이밍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지는 것으로, 별도의 동력제공 없이 적재판의 수동 복원동작이 가능하고, 승강수단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복원탄성부재와 제동레버의 조작으로 용지의 안착과 급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날인기는 타이밍벨트와 제동기어 그리고 제동수단을 사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지의 급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용지의 급지 효율과 안정성이 종래에 비하여 향상되고, 그리고 용지가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용지의 회수와 날인여부확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용지에 대한 잼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커버를 개방하여 보다 손쉽게 잼이 발생한 용지의 회수가 가능한 효과들이 있다.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장착되어 날인을 위한 용지가 안착되는 날인지 적재판, 상기 날인지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 상기 급지롤러에 의하여 급지된 용지를 안내하는 안내롤러, 상기 안내롤러로 안내된 용지에 날인을 수행하는 날인수단, 상기 적재판에 안착된 용지가 상기 급지롤러에 접하도록 상기 적재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자동날인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된 제 1풀리,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위치하여 설치된 제 2풀리, 상기 제 1풀리와 제 2풀리에 치합된 타이밍벨트, 상기 제 2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타임밍벨트에 내측 일면에 치합된 제동기어, 상기 제동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적재판의 측단에 결합된 설치브라켓, 상기 제동기어의 구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일측에 구비된 제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날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제동기어에서 상기 적재판의 하측으로 연장된 축봉, 상기 축봉의 외주에 장착된 보조기어, 상기 보조기어의 골에 착탈되도록 된 걸림봉, 상기 걸림봉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걸림봉이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의 하측으로 장착된 제동레버, 상기 제동레버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적재판의 하면과 상기 제동레버 사이에 설치된 회동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날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설치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적재판의 일측방향에 대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복원탄성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날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급지롤러의 하측에는 상기 급지롤러의 급지압력을 조절하도록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된 압착판과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조절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날인기.
  5. 제 1항 내지는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어가 위치한 상기 타이밍벨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타이밍벨트에 상기 제동기어의 치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설치브라켓에 지지된 지지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날인기.
KR1020000052669A 2000-04-01 2000-09-06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KR100356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180 2000-04-01
KR1020000017180 2000-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73A KR20010096473A (ko) 2001-11-07
KR100356401B1 true KR100356401B1 (ko) 2002-10-19

Family

ID=1966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669A KR100356401B1 (ko) 2000-04-01 2000-09-06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28Y1 (ko) 2009-04-24 2009-10-28 주식회사 성건하이테크 포장용지 날인장치
KR102229052B1 (ko) 2020-08-13 2021-03-18 김윤환 자동 급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5548A (zh) * 2017-12-22 2018-06-29 黄跃 一种数学教育用数学玩具标号装置
CN113002198A (zh) * 2021-02-20 2021-06-22 刘丽娜 一种印染用自动盖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28Y1 (ko) 2009-04-24 2009-10-28 주식회사 성건하이테크 포장용지 날인장치
KR102229052B1 (ko) 2020-08-13 2021-03-18 김윤환 자동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73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25000A1 (en) Combination folder and sealer machine
US6565077B2 (en) Paper feed apparatus
KR100356401B1 (ko)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JPH021679B2 (ko)
US5931090A (en) Printer
KR200194771Y1 (ko) 자동 고속날인기 및 그 급지장치
US6041693A (en) Paper filter feeder for beverage extractor
WO2002072458A3 (en) An apparatus for receiving, inverting and returning sheets from and to a printer for large-sized paper
JPS5855023Y2 (ja) 紙送り機構
KR200194767Y1 (ko) 자동 고속날인기의 잉크 공급장치
CN220078087U (zh) 一种印刷机的收纸盒
JP4407989B2 (ja) 封筒給紙装置
GB2150921A (en) Automatic shoot feeding device, particularly for copiers and other machines having sheet transport mechanisms and assemblies therewith
JPS6343569Y2 (ko)
EP0440921B1 (en) Paper feeder
CN216359808U (zh) 一种压痕机用的送纸装置和压痕机
KR900003806Y1 (ko) 수동 금박 인쇄기의 금박 필름 인출장치
JPH10244743A (ja) 自動押捺装置
JPS5589140A (en) Feeding device of sheet
KR0122566Y1 (ko) 자동날인기의 급지장치
JP2000118782A (ja) 印刷装置
KR200197603Y1 (ko) 초박형 신용카드 홀로그램 인쇄기의 카드 자동분리 및이송장치
KR850001140B1 (ko) 복사기의 급지장치
JP2683354B2 (ja) 平面加圧式印刷装置
JPH066111Y2 (ja) シ−ト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