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094B1 - 자동서류발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서류발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094B1
KR100361094B1 KR1019990008046A KR19990008046A KR100361094B1 KR 100361094 B1 KR100361094 B1 KR 100361094B1 KR 1019990008046 A KR1019990008046 A KR 1019990008046A KR 19990008046 A KR19990008046 A KR 19990008046A KR 100361094 B1 KR100361094 B1 KR 100361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s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timing be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024A (ko
Inventor
홍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Priority to KR101999000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0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39/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L39/16Programming systems for automatic control of sequence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02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10Collecting
    • B41L43/12Collecting and sta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는 여러종류의 민원서식을 인쇄부터 시작하여 인장날인, 요금인쇄, 천공, 편철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인력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서류발급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어 민원인들의 편의를 증진시킴은 물론 서류의 발급비용이 저렴하게 되므로서 예산이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Description

자동서류발급장치{the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본 발명은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법원, 구청, 동사무소, 학교등에서 증명서류의 발급시 증명서류의 인쇄와 인증, 천공 및 철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법원, 구청, 동사무소등에서는 인력의 절감과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법원의 경우에는 등기의 전산화, 구청등에서는 지적전산화, 동사무소등에서는 주민등록전산화등의 보관서류의 전산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산화작업에서도 서류의 내용에 대한 전산화만 이루어져 있을 뿐, 프린터에서 인쇄된 서류에는 수작업으로 담당직원이 수입인지나 수입증지를 붙이고 날인하거나, 별도의 인증기를 통하여 발급된 서류에 대한 인증, 천공 및 철처리 작업이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와같이 전체의 작업에 대한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이러한 서류의 발급을 직접 관공서의 직원이 담당할 수 밖에 없으므로 서류의 발급시간이 지연되게되며 서류발급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명서류의 발급에서부터 요금날인, 인증문날인, 천공, 편철작업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되어 사용인력을 절감하고 서류발급시간이 대폭단축되며 발급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자동서류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민원인들이 직접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서류발급작업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되어 민원인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서류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증되는 서류를 종방향과 횡방향의 양방향에서 선택적으로 날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횡방향서식 및 종방향서식 모두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서류발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인이 가능한 자동서류발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중앙컴퓨터와 연결되며 필요한 서류를 인쇄출력시키는 프린터부, 상기 프린터부에서 출력된 서류를 상부로 공급시키는 중계수단, 상기 중계부에서 급송된 서류를 상방으로 공급하는 급지수단, 상기 급지부에서 공급된 서류에 인증날인하는 인증수단, 인증된 서류를 모아 상하좌우를 정렬시키는 정렬수단, 정렬된 서류를 천공시키는 천공수단, 정렬된 서류를 철하는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편철수단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개략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부가 제외된 자동서류발급장치의 덥개가 벗겨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이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서류발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는 급지부를 도시한 개폐부가 열려진 급지수단의 사시도
도 7은 급지수단 및 인장수단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5의 I-I선을 따라 취한 정렬수단의 단면도
도 9는 편철수단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압인수단의 단면도
도 11 (a)(b)는 용지에 날인된 인장의 형식을 나타내는 날인상태로서
(a)는 제1형식의 날인도
(b)는 제2형식의 날인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A)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컴퓨터(도시않됨)에 접속되며 선택된 서류를 출력시키는 프린터부(1), 상기 프린터부(1)의 배출구 상방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발급서류를 상방으로 공급시키는 중계수단(2), 상기 중계수단에 의해 급송된 발급서류를 상방으로 급송하는 급지수단(3), 상기 급지수단에 의해 급송되는 발급서류에 인증날인하는 인증수단(4), 상기 인증수단을 통과한 인증서류를 모아 상하좌우로 정렬시키는 정렬수단(5), 상기 정렬된 인증서류를 천공하는 천공수단(6), 상기 인증된 서류를 편철하는 편철수단(7)을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부(1)는 자동서류발급장치(A)의 케이스(9)의 하부에 고정되며 중앙컴퓨터(도시않함)에 접속되어 선택된 서류를 출력하며, 서류의 출력시 각 서류의 가액에 따라 요금표시부위에 각 서류의 가액을 표시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프린터부는 선택된 서류를 제1형식 또는 제2형식으로 다양하게 출력시킨다. 본실시예에서 제1형식은 가로방향으로의 서류의 출력이며 제2형식은 세로방향의 서류의 출력을 의미하나 다른 형식으로의 출력도 가능하다.
상기 중계수단(2)은 프린터부(1)의 배출구(11)에 인접한 지지대(12)에 고정되며 하광상협의 상방으로 만곡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2개의 안내대 (2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프린터부(1)에서 배출된 발급서류가 걸림이 없이 상기 급지수단(3)으로의 송출을 유도한다.
상기 급지수단(3)은 상기 중계수단(2)의 직상방에 설치되며 발급서류를 상방으로 이송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급지수단(3)은 직립고정된 고정부 (31)와 그 하단부가 힌지고정되어 상방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부(32) 및 그 사이의 이송통로(30)로 구성되며 발급된 서류는 고정부(31)와 개폐부(32)사이의 이송통로 (30)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통로(30)는 중계수단(2)의 출구와 인접한 하단의 입구(30')는 송입되는 용지의 송입이 용이하도록 하광상협의 형상을 가지며 출구(30'')측의 단부는 용지배출구방향으로 만곡성형되어 있다. 상기 급지수단(3)은 하단에 제1센서(33), 중간에 제2센서(34) 및 상단에 제3센서(35)가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고정부(31)의 상하 및 이송통로(30)의 출구(30'')측 단부에 급송롤러(36)가 설치되고 개폐부(32) 및 출구(30'')측단부의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아이들롤러(37)가 설치되고 고정부(31)의 양측 상단에는 마그네틱잠금부(38)가 설치되어 있다. 하단에 위치된 제1센서(33)는 용지의 급지유무를 감지하고 급지유무 신호를 출력하여 메인 모터(M1)를 구동시킨다. 상기 중간의 제2센서(34)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수단(4)의 후술되는 인증드럼을 구동시킨다. 상기 급송롤러(36)는 메인모터(M1)에 의해 구동되도록 타이밍벨트(391)에 의해 연결된 회전축(39) 상에 설치된다. 제1센서(33)에서 급지가 감지되면 메인모터(M1)가 구동되고 회전축(39)이 회전되어 급송롤러(36)가 회전되어 발급된 서류가 상방으로 이송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3센서(35)는 급지수단(3)의 이송통로(30)의 출구(30'')측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지수단(3)의 배출구(30'')에서 배출되는 용지와 접하여 용지와 접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후술되는 정렬수단(5)에서의 용지의 끼임상태와 배출되는 용지매수를 카운터한다.
상기 인증수단(4)은 상기 급지수단(3)의 고정부(31)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1형식의 인증부(41)와 제2형식의 인증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형식의 인증부(41)는 제1형식으로 발급된 서류를 날인하고 제2형식의 인증부(42)는 제2형식으로 발급된 서류를 날인한다. 상기 제1형식의 인증부(41)는 2개의 인장드럼 (412)(412')이 회전축(411)상에 병설되고 상기 회전축(411)의 일단에는 전자클러치 (4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장드럼(412)은 증지드럼이고 인장드럼(412')은 직인드럼이다. 상기 전자클러치(413)는 상기 메인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4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4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형식의 인증부(42)는 2개의 인장드럼(422)(422')에 회전축(421)상에 병설되고 상기 회전축(421)의 일단에는 전자클러치(4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자클러치 (423)는 메인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42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4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32)의 상기 인장드럼(412)(42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인장드럼(412)(422)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416)(4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렬수단(5)은 상기 급지수단(3)에서 급송된 인장이 날인된 서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급지수단(3)의 배출구(33') 하방에서 출구방향으로 하향경사되고 중간부에 안내홈(511)이 형성된 받침판(51), 상기 안내홈(511)상에 그 상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안내홈(511)을 따라 이동되는 배지부(52), 상기 받침판(51)의 일측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측면상에 측면정렬부(53)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배치된 받침판(51)의 하단에는 배지센서(512)가 설치되어 정렬수단(5)내로 송출된 서류의 첫용지의 도착을 감지하고 또한 정렬수단(5)내에서 배출된 서류의 배지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배지부(52)는 상기 받침판(51)의 하방에 설치된 타이밍벨트(521), 상기 타이밍벨트(521)에 고정되며 그 상단부가 안내홈(511)상에 돌출된 배지편 (522), 상기 타이밍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풀리(523)를 회전시키는 배지모터 (524)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측면정렬부(53)는 피니언(531)이 회전축에 고정된 모터(532), 상기 피니언(531)에 맞물리는 래크(533)의 일단에 고정된 측면정렬판 (5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정렬판(534)의 화살표방향 폭방향좌우로의 이동은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천공수단(6)은 상방으로 탄력지지되며 다수의 홀로 구성되며 소정형태로 천공핀이 삽입되어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판(61), 상기 천공판(61)상에 위치되는 편심드럼(62)이 고정된 회전축(63), 상기 회전축(63)을 구동시키는 천공모터(6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63)의 일단에는 피동풀리(631)가 부착되고 타단에는 리미트스위치(632)와 작동되는 제어판(63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판(633)의 일부 외주면은 함몰부(633a)가 형성되어 리미트스위치(632)를 오프시킨다.
상기 편철수단(7)은 스테이플러(71)가 탑재되며 폭방향좌우로 이동가능한 편철본체(72), 상기 편철본체(72)의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편철본체(72)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73), 상기 타이밍벨트(7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4)로 구성된다. 상기 편철본체(72)는 양측의 지지벽(75)상에 고정된 안내봉(76)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일측 지지벽(75)상에는 편철본체(72)와 연동하여 편철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7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러(71)는 스테이플러모터(711)에 의해 구동되며 편철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스테이플러(71)상에는 핀감지센서(도시않함)가 내재되어 핀이 떨어지면 컴퓨터에 핀보충을 전송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작동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이 ON되어 중앙컴퓨터가 초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가능한 다수의 발급서류 양식이 적시되어 있는 버튼중 발급자가 일버튼을 누르면, 컴퓨터는 이를 인식하고 프린터부(1)에 소정서류의 발급실행을 명령한다. 프린터부(1)는 소정서류의 전체매수를 인쇄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소정의 지정된 위치(인장드럼의 증지드럼이 날인되는 위치가 적당함)에 증지가를 인쇄한다. 일예로 발급되는 서류가 5매이고 천공 및 편철이 요구되며 마지막장에 제1형식의 인장의 날인이 요구되는 경우, 프린터부(1)에서는 소정서류의 특정부위에 증지가를 인쇄함과 동시에 전체매수인 5매를 인쇄출력한다. 프린터부(1)에서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서류는 중계수단(2)의 안내대(21)에 의해 상방의 급지수단(3)으로 이송된다. 상기 급지수단(2)으로 이송되는 서류는 급지수단(3)의 제1센서(33)가 서류의 급지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여 메인모터(M1)를 구동시킨다. 메인모터(M1)가 구동되면 타이밍벨트(391)(414)(424)가 구동되므로 타이밍벨트(391)에 감긴 회전축(39)이 회전되므로 급송롤러(36)가 회전되게 되어 급지된 서류는 이송통로(30)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송된다. 첫번째 매수의 이송시, 인증수단(4)의 제1형식의 인증부(41)와 제2형식의 인증부(42)는 전자클러치(413)(423)가 떨어져 있으므로 구동되지 아니하므로 상방으로 이송되고, 이와같이하여 4번째 매수까지는 이송통로(30)를 통하여 이송되고, 날인이 필요한 5번째 매수의 선단이 제2센서(34)를 통과할 경우, 제2센서(34)가 5번째 용지의 선단에서 일정길이까지를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면, 전자클러치(413)(423)중의 제1형식의 전자클러치(413)가 접속되어 회전축(411)이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인장드럼(412)(412')이 회전되면서 날인이 완료되고 리미트스위치(416)에 의해 인장드럼(412)은 1회전만 수행되게 이와같이 날인이 완료된 소정서류는 급지수단(3)의 이송통로(30)를 통과하면서, 이송통로(30)의 배출구(30'')에 설치된 제3센서 (35)에 의해 서류매수와 서류의 끼임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3센서(35)는 용지와 접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출력하므로 이미 배출된 용지가 이송통로(30)에서 배출되어 정렬수단(5)내에서 끼어 있을경우 다시 배출되는 용지는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므로 제3센서(35)에 접하는 시간이 길게되어 용이하게 서류의 끼인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제3센서(35)에 의해 감지된 배출 용지가 5매인 경우 메인모터(M1)의 작동이 종료된다. 이와같이 배출된 용지는 정렬수단(5)상의 받침판(51)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용지의 선단이 편철수단(7)상에 걸려 정지된다. 이때 소정서류의 첫장의 도착은 받침판(51)의 하단에 설치된 배지센서(512)에 의해 감지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5매가 받침판(51)상에 정렬된 경우, 측면정렬부(53)의 모터(532)가 구동되어 피니언(531)이 회동되어 래크(533)를 2∼3회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면 측면 정렬판(534)은 일정거리 좌우로 왕복이동되므로 용지의 측면을 균일하게 정렬시키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용지의 측면이 정리된 후, 배지부(52)의 배지모터(514)가 구동되어 배지편(512)이 전후로 안내홈(511)을 따라 구동되면 용지의 상하면이 정리되므로 용지의 상하좌우면은 균일하게 정리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용지의 정렬방법은 상하면이 먼저 정리될 수도 있으며, 상하좌우면이 동시에 정리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용지의 상하좌우면이 정렬된 후, 천공수단(6)의 천공모터(64)가 구동되면 회전축(63)이 회동되어 편심드럼(62)이 회동되면, 편심드럼(62)의 후육부가 최저면에 위치되는 순간 천공판(61)이 하강되어 천공작업을 수행하고, 회전축(63)이 1회전하면 제어판(633)에 접하는 리미트스위치(632)가 작동되어 천공모터(64)의 구동이 종료되어 천공작업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정렬된 용지에 대한 천공작업이 종료된 후, 용지의 선단이 편철수단(7)상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편철본체(72)내의 스테이플러모터(711)에 의해 스테이플러(71)가 작동되어 편철작업을 수행하고 구동모터(74)가 구동되어 타이밍벨트 (73)를 가동시켜 편철본체(72)를 이점쇄선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정지되어 다시 스테이플러모터(711)가 구동되어 스테이플러(71)가 작동되어 편철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구동모터(74)가 구동되어 편철본체(72)를 일측단부까지 이동시키고 정지시킨 후, 정렬수단(5)의 배지부(52)의 배지모터(514)가 구동되어 타이밍벨트(521)를 구동시키면 배지편(522)이 안내홈(511)을 따라 하향이동되면서 편철된 용지를 배출시켜 용지의 배출이 종료되고 구동모터(74)가 구동되어 편철본체(72)를 구동시키고 리미트스위치(77)에 의해 원위치로 편철본체의 복귀가 감지되면 구동모터(74)가 정지되어 소정의 서류 자동발급작업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용지가 2매이상인 경우는 천공 및 편철작업이 수행되나 1매인 경우는 편철작업이나 천공작업이 없이 날인작업후 천공이나 편철작업이 없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기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천공수단이 기술되어 있으나, 천공작업이 아닌 압인작업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천공수단의 상기 천공판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판(51)상에 고정된 하부 압인도장(65) 및 회전축(63)상에 고정된 편심드럼(62)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상부 압인도장(66)이 설치되어 천공작업이 아닌 압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는 여러종류의 민원서식을 인쇄부터 시작하여 인장날인, 요금인쇄, 천공, 편철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인력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서류발급시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어 민원인들의 편의를 증진시킴은 물론 서류의 발급비용이 저렴하게 되므로서 예산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 기술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으로 기술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중앙컴퓨터와 연결되며 필요한 서류를 인쇄출력시키는 프린터부, 상기 프린터부에서 출력된 서류를 상부로 공급시키는 상기 프린터부의 배출구에 인접한 지지대에 고정되며 하광상협의 상방으로 만곡연장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2개의 안내대를 갖는 중계수단, 상기 중계수단에서 급송된 서류를 상방으로 공급하는 급지수단, 상기 급지수단에서 공급된 서류에 인증날인하는 인증수단, 인증된 서류를 모아 상하좌우를 정렬시키는 정렬수단, 정렬된 서류를 천공시키는 천공수단, 정렬된 서류를 철하는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편철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서류발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은 상기 급지수단의 고정부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가로방향의 서류가 날인되는 제1형식의 인증부와 세로방향의 서류가 날인되는 제2형식의 인증부로 구성되고, 상기 인증수단의 상기 제1형식의 인증부(41)는 2개의 인장드럼(412)(412')이 회전축(411)상에 병설되고 상기 회전축(411)의 일단에는 전자클러치 (413)가 설치되며, 상기 인장드럼(412)은 증지드럼이고 인장드럼(412')은 직인드럼이고, 상기 전자클러치(413)는 상기 메인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4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4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형식의 인증부(42)는 2개의 인장드럼(422)(422')에 회전축(421)상에 병설되고 상기 회전축(421)의 일단에는 전자클러치(423)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클러치 (423)는 메이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벨트(42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4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32)의 상기 인장드럼(412)(42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인장드럼(412)(422)의 회전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416)(426)가 설치되고, 상기 정렬수단(5)은 상기 급지수단(3)에서 급송된 인장이 날인된 서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급지수단(3)의 배출구(33') 하방에서 출구방향으로 하향경사되고 중간부에 안내홈(511)이 형성된 받침판(51), 상기 안내홈(511)상에 그 상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안내홈(511)을 따라 이동되는 배지부(52), 상기 받침판(51)의 일측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전후진 되는 측면상에 측면정렬부(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배치된 받침판의 하단에는 배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부는 상기 받침판의 하방에 설치된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에 고정되며 그 상단부가 안내홈상에 돌출된 배지편, 상기 타이밍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배지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정렬부는 피니언이 회전축에 고정된 모터,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그의 일단에 고정된 측면정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철수단(7)은 스테이플러(71)가 탑재되며 폭방향좌우로 이동가능한 편철본체(72), 상기 편철본체(72)의 상부가 고정되고 상기 편철본체(72)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73), 상기 타이밍벨트(7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받침판상에 고정된 하부 압인도장과 회전축상에 고정된 편심드럼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상부 압인도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KR1019990008046A 1999-03-11 1999-03-11 자동서류발급장치 KR100361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046A KR100361094B1 (ko) 1999-03-11 1999-03-11 자동서류발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046A KR100361094B1 (ko) 1999-03-11 1999-03-11 자동서류발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24A KR20000060024A (ko) 2000-10-16
KR100361094B1 true KR100361094B1 (ko) 2002-11-18

Family

ID=195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046A KR100361094B1 (ko) 1999-03-11 1999-03-11 자동서류발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0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21B1 (ko) *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이종의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서류 자동 편철기
KR101083003B1 (ko) 2010-02-22 2011-11-15 한국타피컴퓨터(주) 프린터용 자동편철장치
KR102244785B1 (ko) 2019-11-27 2021-04-28 (주)씨아이테크 전자민원창구용 민원서류발급, 세금납부 및 민원신청서 통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11B1 (ko) * 2014-06-18 2016-03-03 박준규 도장 날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174A (ko) * 1997-04-07 1998-11-16 한종호 자동인증기 및 그를 이용한 자동 인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174A (ko) * 1997-04-07 1998-11-16 한종호 자동인증기 및 그를 이용한 자동 인증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03B1 (ko) 2010-02-22 2011-11-15 한국타피컴퓨터(주) 프린터용 자동편철장치
KR101072821B1 (ko) *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이종의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서류 자동 편철기
KR102244785B1 (ko) 2019-11-27 2021-04-28 (주)씨아이테크 전자민원창구용 민원서류발급, 세금납부 및 민원신청서 통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24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97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dicator for indicating punch hole types
US20110215515A1 (e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sheet finishing method
KR100361094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S5986551A (ja) ステープル装置を備えたソ−タ
US6983931B2 (en) Sheet folding and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66502Y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3746472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88246B2 (ja) 用紙偏向装置、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655407B2 (ja) 用紙後処理装置
KR200311213Y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2004106991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84643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961939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36861B2 (ja)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083003B1 (ko) 프린터용 자동편철장치
KR200166503Y1 (ko) 자동서류발급제어장치
KR101553641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4405486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5505154A (ja) 複写機用モジュラー仕上げ機
KR100290612B1 (ko) 자동서류발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42811B1 (ko)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JP423819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83846B1 (ko) 자동 인증 연동기
JP3811076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441897B2 (ja) 用紙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