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811B1 -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 Google Patents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811B1
KR102042811B1 KR1020190010758A KR20190010758A KR102042811B1 KR 102042811 B1 KR102042811 B1 KR 102042811B1 KR 1020190010758 A KR1020190010758 A KR 1020190010758A KR 20190010758 A KR20190010758 A KR 20190010758A KR 102042811 B1 KR102042811 B1 KR 10204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inlet
document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54Auxiliary folding, cutt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F13/64Collecting
    • B41F13/66Collecting and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문서 편철장치는, 프린터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소정 매수 단위로 모아 편철 후 배출하는 문서 편철장치(A)에 있어서, 프린터(P)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프린터(P)에서 인쇄되어 출력되는 출력물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구(110)와, 전면 일측으로 상기 인입된 출력물이 편철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및 상기 인입모터(21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아이들러(214)가 구비된 이송모터부(210)와, 상기 인입된 출력물을 한 곳으로 이송시켜 소정의 매수만큼 적재시키는 적재부(220)를 포함하는 용지이송부(200); 상기 적재부(220)에 적재된 출력물이 소정 매수만큼 모여지면 출력물의 일측 선단 위치에 대해 편철하는 편철부(300); 상기 편철부(300)에 의해 편철이 완료된 출력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410)를 포함하는 용지배출부(400); 및 상기 용지이송부(200), 상기 편철부(300) 및 상기 용지배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이 선단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문서 출력 진행 방향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적재된 출력물이 일측단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출력물의 일측단 방향을 향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출력물이 선단 및 측단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Document broaching device with dual pass ramp}
본 발명은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린터와 연결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정렬된 상태로 적재한 후 설정된 매수마다 편철하고, 편철 완료된 출력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연속해서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편철장치란 보고서, 팜플렛, 증명서류 등 프린터와 같은 인쇄장치에 연결되어 편철을 요하는 복수의 면들을 구비한 문서를 자동으로 편철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증명서류발급장치는 물론 각종 증명서류를 자주 발급하는 관공서 등에서는 문서편철장치가 프린터에 연결되는 경우 사무처리에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문서편철장치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97400에 개시된 문서편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문서편철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용지피딩부에 의한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용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하측으로 경사진 용지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지피딩부에 의하여 이송된 편철된 복수의 용지들을 스토퍼에 의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편철 후, 스토퍼의 지지를 해제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지지면에서 자유낙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피딩을 위한 구성을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고 복수개의 구동롤러들을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하나의 구동벨트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문서편철장치는 적재된 용지 측단을 가압함으로써 용지들을 정렬하기 위해 인쇄면 상단을 기준으로 측단을 정렬하는 문서정렬부가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문서편철장치는 적재된 용지들을 정렬하기 위해 양측에서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된 것으로서 단순히 양측면에서 용지들을 가압하는 것만으로는 용지들이 고르게 정렬되지 않고 결국 문서정렬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편철이 이루어짐으로써 문서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동력원(모터)을 통해 프린터로부터 출력된 출력물을 인입하는 공정과 편철 후 배출하는 공정이 이루어지다보니 편철 후 배출되는 출력물이 완전히 배출된 이후 시간차를 두고 프린터로부터 출력된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서 연속된 문서를 편철하여 출력할 경우 문서 발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9740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린터와 연결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선단 및 일측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재한 후 설정된 매수마다 편철할 수 있고, 편철 완료된 출력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연속해서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는, 프린터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소정 매수 단위로 모아 편철 후 배출하는 문서 편철장치(A)에 있어서, 프린터(P)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프린터(P)에서 인쇄되어 출력되는 출력물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구(110)와, 전면 일측으로 상기 인입된 출력물이 편철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및 상기 인입모터(21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아이들러(214)가 구비된 이송모터부(210)와, 상기 인입된 출력물을 한 곳으로 이송시켜 소정의 매수만큼 적재시키는 적재부(220)를 포함하는 용지이송부(200); 상기 적재부(220)에 적재된 출력물이 소정 매수만큼 모여지면 출력물의 일측 선단 위치에 대해 편철하는 편철부(300); 상기 편철부(300)에 의해 편철이 완료된 출력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410)를 포함하는 용지배출부(400); 및 상기 용지이송부(200), 상기 편철부(300) 및 상기 용지배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이 선단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문서 출력 진행 방향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적재된 출력물이 일측단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출력물의 일측단 방향을 향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출력물이 선단 및 측단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부에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한 커버(13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130) 내측에는 상기 적재부(220)로 이송하는 출력물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돌출된 면이 형성된 가이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모터부(210)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상기 인입모터(211)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원동기어(212); 상기 원동기어(212)의 동력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212)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213); 상기 원동기어(212) 및 상기 종동기어(21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방향을 전환 및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기어(2141)와, 출력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이들기어(214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풀리(2142)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14); 및 상기 원동기어(212)와 상기 아이들러(214)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와 상기 아이들러(214)와 연결되어, 상기 원동기어(212)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가 회전 시 상기 아이들러(214)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220)는,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어 이송되는 출력물의 선단이 앞으로 쏠리도록 경사진 경사부(221); 상기 경사부(221)를 지나는 출력물이 편철되기 위해 적재되어 대기하기 위한 평지부(222); 및 상기 경사부(221) 및 상기 평지부(222) 상부에 설치되고 출력물과 밀착되는 레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을 양측 방향에서 정렬시키는 문서정렬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220)는, 출력물이 적재되는 선단에는 출력물이 정지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셔터(22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철부(300)는, 상기 셔터(225)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 하 수직운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철부(300)는, PC와 연결된 온라인 상태일 경우 PC의 신호에 의해 설정 매수만큼 적재되면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거나, PC와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일 경우 기 설정된 설정시간동안 프린터(P)로부터 출력된 출력물이 인입되지 않을 때 즉시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지배출부(400)는, 출력물 배출 시 출력물이 밀착된 상태로 압박시키기 위한 가압부(4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린터와 연결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선단 및 일측 방향을 향해 한 곳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재한 후 편철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최종적으로 편철 후 배출되는 문서의 편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편철 완료된 출력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출력물이 즉시 인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연속해서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철된 문서 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이 설정 시간 동안 인입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편철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문서 편철장치와 PC가 통신하지 않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문서를 편철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셔터가 동작하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가압부가 동작하는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가 프린터에 설치되어 출력물이 배출되는 즉시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는, 프린터(P)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소정 매수 단위로 모아 편철 후 배출하는 문서 편철장치(A)로서, 프린터(P)와 연결되어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선단 및 일측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재한 후 설정된 매수마다 편철할 수 있고, 편철 완료된 출력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연속해서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A)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이하, "문서 편철장치"라 한다)(A)는, 크게 본체(100), 용지이송부(200), 편철부(300), 용지배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프린터(P)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프린터(P)에서 인쇄되어 출력되는 출력물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구(110)와 전면 일측으로 상기 인입된 출력물이 편철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입구(110)는 하측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프린터(P)의 출력물이 출력되는 용지배출구 위치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120)는 사용자가 출력물 수거가 용이하도록 전면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문서 편철장치(A)는 프린터(P)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로 설치되고, 프린터(P)의 커버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로 프린터(P) 상부에 올려놓음으로써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부에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한 커버(130)가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30) 내측에는 상기 적재부(220)로 이송하는 출력물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돌출된 면이 형성된 가이드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131)는 상기 커버(13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출력물이 통과할 때 상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상측에서 이송 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함으로 출력물의 너비와 적어도 같거나 더 크게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에는 본 발명의 문서 편철장치(A)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미도시)가 전면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지이송부(200)는 크게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어 인입되는 출력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모터부(210) 및 상기 이송모터부(210)에 의해 이송된 출력물이 편철되기 위해 적재되는 적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터부(210)는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및 상기 인입모터(21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아이들러(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터부(210)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상기 인입모터(211)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원동기어(212), 상기 원동기어(212)의 동력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212)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213), 상기 원동기어(212) 및 상기 종동기어(21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이들기어(2141), 출력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이들기어(214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풀리(2142)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14) 및 상기 원동기어(212)와 상기 아이들러(214)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와 상기 아이들러(214)와 연결되어, 상기 원동기어(212)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가 회전 시 상기 아이들러(214)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터부(2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인입모터(211)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출력물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상기 인입모터(211)에는 모터축 상에 상기 원동기어(212)기 결합되며, 상기 원동기어(212)는 방향을 전환 및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기어(2141)와 출력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이들기어(214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풀리(2142)와 벨트(215)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여러 위치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원동기어(212)는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된 2쌍의 아이들기어(2141)와 풀리(2142)에 상기 벨트(215)로 연결되어 3각형 구도를 완성하여 상기 인입모터(211)의 회전과 연동하여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프린터(P)로 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은 상기 인입구(110) 부근에 설치된 아이들기어(2141)와 풀리(2142) 사이로 통과하여 이송되고, 이렇게 이송된 출력물은 적재부(220) 부근에 설치된 아이들기어(2141)와 풀리(2142) 사이로 통과함으로써 적재부(220)까지 이송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213)는 상기 원동기어(212)의 동력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212)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부분으로, 상기 인입모터(211)의 회전 동력을 확장하여 전달하기 위해 상기 원동기어(21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종동기어(213)는 출력물이 통과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이들기어(214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풀리(2142)와 벨트(215)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여러 위치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원동기어(212)로부터 전달된 회전 동력을 이어받아 출력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인입모터(211) 1개로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아이들기어(2141)와 풀리(2142)를 통해 출력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부(220)는 상기 인입된 출력물을 한 곳으로 이송시켜 소정의 매수만큼 적재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이 선단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문서 출력 진행 방향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적재된 출력물이 일측단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출력물의 일측단 방향을 향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출력물이 선단 및 측단으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재부(220)는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어 이송되는 출력물의 선단이 앞으로 쏠리도록 경사진 경사부(221), 상기 경사부(221)를 지나는 출력물이 편철되기 위해 적재되어 대기하기 위한 평지부(222) 및 상기 경사부(2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출력물과 밀착되는 레일(2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적재부(220)의 경사부(221)는 출력물 진행방향의 선단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게 경사진 부분으로, 상기 인입모터(211)의 구동에 의해 인입되어 이송된 출력물이 상기 경사부(221)에 도달하면 출력물이 자연스럽게 자중에 의해 앞으로 쏠리도록 적재됨으로써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평지부(222)는 상기 경사부(221)와 이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경사부(221)를 지나 모여지는 출력물이 편철되기 위해 최종적으로 적재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편철부(300)에 의해 편철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21)와 상기 평지부(2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물이 선단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문서 출력 진행 방향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고, 적재된 출력물이 일측단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출력물의 일측단 방향을 향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출력물이 선단 및 측단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삭제
한편,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을 양측 방향에서 정렬시키는 문서정렬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서정렬부(224)는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기로서 상기 적재부(220)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출력물의 측단을 밀어 중앙으로 모아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문서정렬부(2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221)와 평지부(22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부(220)는 출력물이 적재되는 선단에는 출력물이 정지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셔터(22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철장치의 셔터가 동작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셔터(225)는 출력물이 적재부(220)를 통과하여 편철공정이 이루어지기 전 출력물을 정지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기로서 2개로 이루어진 한 쌍의 블레이드가 하나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셔터(225)는 하나의 블레이드는 길이가 짧게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는 길이가 길게 구성되며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작동 시 2개의 블레이드가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셔터(225)는 회동 시 블레이드 끝단이 상측을 향해 회동하면서 출력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부(220)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인입되어 이송하는 출력물의 후단이 들뜨지 않게 가이드하는 후단가이드(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단가이드(225)는 'ㄴ'자형 가이드부재가 회동되는 구조로서, 상기 적재부(220)의 경사부(221)로 출력물이 진입할 때 출력물의 후단이 들뜨면서 이송되는 경우에 출력물의 후단의 움직임을 상측에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경사부(221)로 진입하는 출력물은 후단이 들뜨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경사부(221)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편철부(300)는 상기 적재부(220)에 적재된 출력물이 소정 매수만큼 모여지면 출력물의 일측 선단 위치에 대해 편철하는 부분이다. 상기 편철부(300)는 상기 용지이송부(200)의 적재부(220)로 적재된 다수의 출력물을 한데 모아 하나의 묶음으로 철하기 위한 부분으로, 내부에 스템플러(미도시)가 설치되고, 편철 작업 시 상기 스템플러가 내려오면서 다수의 출력물을 하나의 묶음으로 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편철부(300)는 내부에 스템플러 심이 소정의 단위로 내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스템플러 심은 5000 piece 단위로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철부(300)는 상기 셔터(225)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 하 수직운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부(220)에 모아진 다수의 출력물이 설정된 매수만큼 적재된 경우 상기 편철부(300)의 스템플러가 하측으로 내려와 편철이 완료되고 스템플러가 상측으로 복귀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셔터(225)가 하측으로 내려오도록 작동하여 편철된 출력물이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셔터(225)는 적재부(220)에 모아진 다수의 출력물이 설정된 매수만큼 적재된 경우 편철부(300)의 스템플러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편철하고, 완료되면 스템플러가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225)가 하측으로 하강하여 편철된 출력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셔터(225)와 편철부(300)가 연동하여 동작한다.
한편, 상기 편철부(300)는 일반적으로 PC와 네트워크 통신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PC와 연결된 온라인 상태일 경우 PC의 신호에 의해 설정 매수만큼 적재되면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거나, 또는 PC와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일 경우 기 설정된 설정시간동안 프린터(P)로부터 출력된 출력물이 인입되지 않을 때 즉시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PC와 연결되어 PC로부터 편철 작업 지시 명령이 전달될 경우와 PC와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일 경우 모두 편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지배출부(400)는 상기 편철부(300)에 의해 편철이 완료된 출력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용지배출부(400)는 출력물을 배출하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410)가 출력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구(12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모터(410)는 기본적으로 내부 모터축 상에 메인기어(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기어 주변에 종속기어(미도시)가 설치되는 구조로서 감속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배출모터(410)는 모터의 회전 수를 낮추기 위해 감속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철장치의 가압부가 동작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지배출부(400)는 출력물 배출 시 출력물이 밀착된 상태로 압박시키기 위한 가압부(4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물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이송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하여 내려온 상태가 됨으로써 저항없이 출력물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출력물 적재가 완료되어 편철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출력물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420)가 작동하여 아이들기어(2141)와 거의 밀착된 상태까지 회동 상승하여 상기 아이들기어(2141)과 가압부(420) 사이에 다수의 출력물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됨으로써, 배출모터(410) 작동 시 인입모터(211)도 함께 작동하여 후측에서 출력물을 밀어줄 수 있어 편철이 완료된 출력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용지이송부(200), 상기 편철부(300) 및 상기 용지배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인입모터(211), 문서정렬부(224), 셔터(225), 편철부(300), 배출모터(410) 및 가압부(420)가 연계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의 작동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입모터(211)를 통해 프린터(P)로부터 출력된 출력물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되어 적재부(220)까지 이송되는 과정, 편철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출력물을 배출하는 과정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외부의 PC와 통신하여 PC로부터 출력물 매수에 대한 설정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에 따라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철장치가 프린터에 설치되어 출력물이 배출되는 즉시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문서 편철장치(A)는 출력물의 편철작업이 완료되어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경우 이와 동시에 동시에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인입되도록 프로그램 세팅될 수 있다. 즉 편철된 출력물이 배출되고 다시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되는 사이의 시간을 단축하여 연속해서 편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최종 출력물을 편철하는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인입모터(211)와 배출모터(410)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별도로 제어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현 가능한 것으로, 각각 인입모터(211)와 배출모터(410)의 개별 제어를 이용하여 출력물 배출시간 및 인입시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모터(410)를 통해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하는데 있어서 상기 인입모터(2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압부(420)를 동작시킬 수 있고, 새로운 출력물이 인입되기 전 편철된 출력물 배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가능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철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및 도 7의 B부분 확대도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프린터와 다른 출력형태를 갖는 주민등록등본과 같은 서류의 자동 무인발급기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는 문서 편철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의 특징은 일반적인 무인발급기와 같이 출력물이 발급기의 후방부분에 형성된 배출부(미도시)를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형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편철장치 후방에 출력물이 인입될 수 있는 보조인입부(600)를 형성하여 일반적인 프린터의 연결과 부인발급기의 연결을 선택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인입부(600)는 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되며 무인발급기(P)의 배출부(미도시)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출력되는 출력물이 인입되는 보조인입구(610)와, 상기 보조인입구(610)의 내측에 출력물을 용지이송부(200)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더(620) 및 상기 가이더(620)에 의하여 유도되는 출력물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아이들러(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러(2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이들기어(2141)와 풀리(2142)가 서로 밀착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아이들기어(2141)가 종동기어(213)와 밸트(215)로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가이더(620)에 위치된 각각의 아이들기어(2141)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원동기어(212)로부터 전달된 회전 동력을 이어받아 출력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더(620)를 통하여 용지이송부(200)측으로 이송된 출력물은 앞서 설명한 용지이송부(200)와 철편부(300) 및 용지배출부(400)를 통과하며 출력물이 정렬되고 편철된 후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철장치(A)는, 프린터(P)와 연결되어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선단 및 일측 방향을 향해 한 곳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재한 후 편철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최종적으로 편철 후 배출되는 문서의 편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편철 완료된 출력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새로운 출력물이 즉시 인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연속해서 편철된 출력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철된 문서 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프린터(P)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이 설정 시간 동안 인입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편철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문서 편철장치(A)와 PC가 통신하지 않는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문서를 편철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문서 편철장치 P: 프린터
100: 본체 110: 인입구
120: 배출구 130: 커버
131: 가이드부 200: 용지이송부
210: 이송모터부 211: 인입모터
212: 원동기어 213: 종동기어
214: 아이들러 2141: 아이들기어
2142: 풀리 215: 벨트
220: 적재부 221: 경사부
222: 평지부 223: 레일
224: 문서정렬부 225: 셔터
226: 후단가이드 300: 편철부
400: 용지배출부 410: 배출모터
420: 가압부 500: 제어부
600: 보조인입부 610: 보조인입구
620: 가이더

Claims (10)

  1. 프린터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프린터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물을 소정 매수 단위로 모아 편철 후 배출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A)에 있어서,
    프린터(P) 상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프린터(P)에서 인쇄되어 출력되는 출력물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구(110)와 상기 인입구(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보조인입부(600) 및 상기 인입구(110) 또는 보조인입구(600)로 인입된 출력물이 편철 후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인입구(110) 또는 보조인입부(600)로 인입되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및 상기 인입모터(211)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아이들러(214)가 구비된 이송모터부(210)와, 상기 인입된 출력물을 한 곳으로 이송시켜 소정의 매수만큼 적재시키는 적재부(220)를 포함하는 용지이송부(200);
    상기 적재부(220)에 적재된 출력물이 소정 매수만큼 모여지면 출력물의 일측 선단 위치에 대해 편철하는 편철부(300);
    상기 편철부(300)에 의해 편철이 완료된 출력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410)를 포함하는 용지배출부(400); 및
    상기 용지이송부(200), 상기 편철부(300) 및 상기 용지배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220)는,
    상기 인입구(110)로 인입되어 이송되는 출력물의 선단이 앞으로 쏠리도록 경사진 경사부(221)와, 상기 경사부(221)를 지나는 출력물이 편철되기 위해 적재되어 대기하기 위한 평지부(222) 및 상기 경사부(221)의 상부에 설치되고 출력물과 밀착되는 레일(223)을 포함하며,
    적재된 출력물이 선단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문서 출력 진행 방향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고, 적재된 출력물이 일측단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출력물의 일측단 방향을 향해 옆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출력물이 선단 및 측단으로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모터부(210)는,
    출력물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인입모터(211);
    상기 인입모터(211)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원동기어(212);
    상기 원동기어(212)의 동력에 의해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212)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기어(213);
    상기 원동기어(212) 및 상기 종동기어(213)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이들기어(2141)와, 출력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이들기어(214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풀리(2142)를 포함하는 아이들러(214); 및
    상기 원동기어(212)와 상기 아이들러(214)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와 상기 아이들러(214)와 연결되어, 상기 원동기어(212) 또는 상기 종동기어(213)가 회전 시 상기 아이들러(214)가 함께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215);를 포함하며,
    상기 편철부(300)는,
    PC와 연결된 온라인 상태일 경우 PC의 신호에 의해 설정 매수만큼 적재되면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거나,
    PC와 연결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일 경우 기 설정된 설정시간동안 프린터(P)로부터 출력된 출력물이 인입되지 않을 때 즉시 출력물 편철이 이루어지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부에 유지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한 커버(13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130) 내측에는 상기 적재부(220)로 이송하는 출력물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돌출된 면이 형성된 가이드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20)는,
    적재된 출력물을 양측 방향에서 정렬시키는 문서정렬부(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20)는,
    출력물이 적재되는 선단에는 출력물이 정지되어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셔터(2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25)는,
    적재부(220)에 모아진 다수의 출력물이 설정된 매수만큼 적재된 경우 편철부(300)의 스템플러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편철하고, 완료되면 스템플러가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225)가 하측으로 하강하여 편철된 출력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셔터(225)와 편철부(300)가 연동하여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부(400)는,
    출력물 배출 시 출력물이 밀착된 상태로 압박시키기 위한 가압부(4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인입부(600)는,
    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되며 출력물이 인입되는 보조인입구(610)와, 상기 보조인입구(610)의 내측에 출력물을 용지이송부(200)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더(620) 및 상기 가이더(620)에 의하여 유도되는 출력물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아이들러(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KR1020190010758A 2019-01-28 2019-01-28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KR10204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58A KR102042811B1 (ko) 2019-01-28 2019-01-28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758A KR102042811B1 (ko) 2019-01-28 2019-01-28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811B1 true KR102042811B1 (ko) 2019-11-27

Family

ID=6872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758A KR102042811B1 (ko) 2019-01-28 2019-01-28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8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465A (ja) * 2001-09-19 2003-03-25 Canon Inc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311213Y1 (ko) * 2002-12-27 2003-04-23 신재일 자동서류발급장치
KR20110097400A (ko) 2010-02-25 2011-08-31 신철은 문서편철장치
KR101072821B1 (ko) *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이종의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서류 자동 편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465A (ja) * 2001-09-19 2003-03-25 Canon Inc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311213Y1 (ko) * 2002-12-27 2003-04-23 신재일 자동서류발급장치
KR20110097400A (ko) 2010-02-25 2011-08-31 신철은 문서편철장치
KR101072821B1 (ko) *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이종의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서류 자동 편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9334B2 (ja) シート断裁方法、シート断裁装置、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900961A (zh) 纸张后处理装置、纸张后处理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DE602005005896T2 (de) Bogenfalzeinrichtung
GB2096975A (en) Stacking overturning splaying out the stacks and restacking
JP383212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102042811B1 (ko) 듀얼패스 진입로가 형성된 문서 편철장치
US5501442A (en) Dual mode tamper/offsetter
JP2007031055A (ja) 後処理装置
CN109972298A (zh) 一种拼块缝合压线一体机
JP2013107752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083003B1 (ko) 프린터용 자동편철장치
JP4311810B2 (ja) 中綴折機
JP4531688B2 (ja) 後処理装置
KR100361094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JP2000218957A (ja) 折丁集積体形成装置及び中綴製本機への折丁集積体供給システム
US452254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nished booklets
JP202102471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094612A (ja) 用紙積載装置、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629209B (zh) 片材折叠装置、片材处理装置、图像形成装置和片材折叠方法
JP659186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157245B2 (ja) 用紙積載機構及び用紙処理装置
JP5081290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441897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4251828B2 (ja) 用紙処理方法及び用紙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4150124B2 (ja) シート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