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91Y1 - 통닭 구이기 - Google Patents

통닭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91Y1
KR200246191Y1 KR2020010018794U KR20010018794U KR200246191Y1 KR 200246191 Y1 KR200246191 Y1 KR 200246191Y1 KR 2020010018794 U KR2020010018794 U KR 2020010018794U KR 20010018794 U KR20010018794 U KR 20010018794U KR 200246191 Y1 KR200246191 Y1 KR 200246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far
ocher
burner
chic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섭
Original Assignee
김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섭 filed Critical 김인섭
Priority to KR2020010018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91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닭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와 원적외선 세라믹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의 고른 구이와 통닭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통닭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10)와; 다수의 봉(22)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너(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받침부(20)와;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받침부(20) 위에 설치되며, 상기 버너(1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발생부(30)와; 다수의 봉(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 상단에 설치되는 제 2받침부(40)와; 황토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2받침부(40) 위에 설치되며, 버너(1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황토부(50)와; 다수의 봉(62)으로 이루어져 상기 황토부(50) 위에 형성되는 구이부(60)와; 상기 버너(10), 제 1 및 제 2받침부(20,40) 원적외선 발생부(30), 황토부(50), 구이부(60)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과; 상기 하우징(70)의 상단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부(60) 상단에 고기가 구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공(82)이 다수 형성된 커버부(80)와; 상기 하우징(70)의 외부면에 내화벽돌(92)이 설치되어 하우징(7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열 발산 방지부(90)로 구성된 것으로, 버너의 열을 받아 가열되는 원적외선 발생부는 일정시간 가열 상태가 지속됨으로서 가스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며,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고, 상기 가열된 원적외선 발생부의 열이 그 상면에 위치되는 황토부에 전달되어가열됨으로 열이 직접 생닭에 전달되지 않아 생닭의 구이시 겉부분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부분을 고루 익도록 하며, 가열된 황토부는 생닭의 구이시 영양분의 손실 방지 및 고기의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닭의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황토부로 흡수되고, 기름이 흡수된 황토부는 상기 황토부가 가열됨에 따라 기름을 태우게 됨으로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닭 구이기{A Cooker for Fowl}
본 고안은 통닭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와 원적외선 세라믹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의 고른 구이와 통닭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통닭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닭을 굽기 위한 종래의 구이 방법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정한 틀을 갖는 구이기와 그 상면으로 위치되는 석쇠의 상면으로 생닭을 얹혀 놓은 다음 상기 구이기 내부 저면으로 가스나 숯불 및 장작을 이용하여 생닭을 굽게된다.
그러나, 상기 생닭을 굽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가스, 숯불, 장작은 직접적인 열에 의해 굽게되는 것으로 생닭의 겉부분이 먼저 익은 다음에 속부분이 익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생닭의 겉부분이 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장작은 고기 맛을 제대로 내기 위해서는 참나무와 같은 양질의 장작을 사용해야 되며, 만약 건축 폐자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통닭에 화학물질의 유해 독성이 스며들거나 냄새가 베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스는 생닭을 지속적으로 굽기 위해서 그 소비량이 많아 영업상의 이윤을 얻기 힘들고, 숯불의 경우는 생닭을 굽는 작업자가 숯불의 열에 노출된 상태에서 구워야 하기 때문에 여름철의 경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생닭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으로 인해 구이기 내부가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이기 내부에 황토와 원적외선 세라믹을 설치하여 생닭의 구이시 상기 황토와 원적외선 세라믹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생닭의 고른 구이와, 생닭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통닭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버너 20: 제 1 받침부
22, 42, 62: 봉 30: 원적외선 발생부
40: 제 2 받침대 50: 황토부
60: 구이부 70: 하우징
80: 커버부 82: 배출공
84: 힌지 90: 열발산 방지부
92: 내화벽돌 94: 황토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와;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너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받침부와;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받침부 위에 설치되며, 상기 버너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발생부와;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 상단에 설치되는 제 2받침부와; 황토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2받침부 위에 설치되며, 버너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황토부와;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황토부 위에 형성되는 구이부와; 상기 버너, 제 1 및 제 2받침부 원적외선 발생부, 황토부, 구이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부 상단에 고기가 구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다수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내화벽돌이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열 발산 방지부로 구성된 통닭 구이기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닭 구이기의 구성은,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10)가 구비되고, 다수의 봉(22)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너(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받침부(20)가 형성된다.
한편,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받침부(20) 위에 설치되며, 상기 버너(1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발생부(30)가 형성되며, 다수의 봉(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 상단에 설치되는 제 2받침부(40)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황토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2받침부(40) 위에 설치되며, 버너(1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황토부(50)가 형성되고, 다수의 봉(62)으로 이루어져 상기 황토부(50) 위에 형성되는 구이부(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10), 제 1 및 제 2받침부(20,40) 원적외선 발생부(30), 황토부(50), 구이부(60)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70)의 상단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부(60) 상단에 고기가 구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공(82)이 다수 형성된 커버부(80)가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0)의 외부면에 내화벽돌(92)이 설치되어 하우징(7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열 발산 방지부(9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통닭 구이기의 작용은, 상기 하우징(70)의 내부 바닥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너(1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 버너(10)의 상단으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다수의 봉(22)으로 이루어진 제 1 받침부(20)를 고정한다.
상기 제 1 받침부(20)의 고정은 상기 버너(10)의 상단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하여 다수의 봉(22)을 동일 선상으로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나열시키며, 그 고정은 상기 하우징(70) 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다수의 상기 봉(22)과 동일한 개수로 상기 봉(22)의 간격과 동일하게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에 봉(22)을 고정시킨다. 또한 그 고정 방법을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받침부(20) 위에 다수의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발생부(30)을 형성한다. 상기 원적외선 세라믹은 상기 제 1 받침부(20) 저면으로 위치된 버너(10)의 열을 공급받아 가열됨으로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가열된 원적외선 세라믹은 일정시간 가열 상태가 지속됨으로 가스의 사용량을 절감 시킬 수 있으며,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고 통닭의 단백한 맛을 높여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의 상단으로 상기 제 1 받침부(20)와 동일한 형상, 동일한 고정 방법으로 제 2 받침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받침부(40)의상면으로는 황토부(50)가 형성된다.
상기 황토부(50)는 황토 재질을 사용하여 일정 길이의 봉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다수의 봉을 적재한 것이다.
상기 제 2 받침부(40) 위에 형성된 황토부(50)는 상기 버너(10)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의 열이 직접 생닭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이 열은 상기 황토부(50)로 전달되어 가열됨으로서 생닭의 구이시 겉부분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부분을 고루 익도록 하게 하며, 가열된 황토부(50)는 생닭의 구이시 영양분의 손실 방지와 고기의 독성을 제거하여 고기의 맛을 유지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생닭의 구이시 발생되는 기름은 황토부(50)로 떨어지게 되어 이를 흡수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황토부(50)는 흡수된 기름을 태우게 됨으로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황토부(50)의 상단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구이부(60)는 다수의 봉(6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제 1, 제 2 받침부(20,40)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이부(60)의 상면에 생닭을 얹여 놓은 상태에서 굽게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 상단 일단에 힌지(84) 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부(80)는 상기 구이부(60) 상면에 생닭을 얹혀 놓고 구울 때 상기 커버부(60)가 구이부(60)를 덮은 상태가 되는데 이는, 상기 버너(10)에 의해 가열되는 원적외선 발생부(30)와, 가열된 원적외선 발생부(30)의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는 황토부(50)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 및 복사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와, 황토부(50)에서 발생되는 이로운 성분이 생닭으로 스며들게 하고,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생닭의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는 상기 커버부(80) 상면에 다수 형성된 배출공(82)으로 연기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이부(60)에서 생닭을 구울 때 상기 하우징(7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 즉, 상기 버너(10)에서 발생되는 열과 이로 인해 가열되는 원적외선 발생부(30)와 황토부(50)는 그 열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건 즉, 여름철에는 많은 땀을 흘리게 되고, 체력을 소모시킴으로 그 열이 상기 하우징(70)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80)를 제외한 하우징(70)의 외관으로 내화벽돌(92)을 조적한 열발산 방지부(90)가 형성되고, 상기 열발산 방지부(90) 외관의 미려함을 가미시킬 수 있도록 황토흙(94)이 도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통닭 구이기는, 버너의 열을 받아 가열되는 원적외선 발생부는 일정시간 가열 상태가 지속됨으로서 가스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며, 통닭의 불필요한 지방질을 제거하고, 상기 가열된 원적외선 발생부의 열이 그 상면에 위치되는 황토부에 전달되어 가열됨으로 열이 직접 생닭에 전달되지 않아 생닭의 구이시 겉부분을 태우지 않으면서 속부분을 고루 익도록 하며, 가열된 황토부는 생닭의 구이시 영양분의 손실 방지 및 고기의 독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닭의 구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황토부로 흡수되고, 기름이 흡수된 황토부는 상기 황토부가 가열됨에 따라 기름을 태우게 됨으로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10)와;
    다수의 봉(22)으로 이루어져 상기 버너(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받침부(20)와;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받침부(20) 위에 설치되며, 상기 버너(10)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원적외선 발생부(30)와;
    다수의 봉(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30) 상단에 설치되는 제 2받침부(40)와;
    황토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2받침부(40) 위에 설치되며, 버너(10)의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는 황토부(50)와;
    다수의 봉(62)으로 이루어져 상기 황토부(50) 위에 형성되는 구이부(60)와;
    상기 버너(10), 제 1 및 제 2받침부(20,40) 원적외선 발생부(30), 황토부(50), 구이부(60)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과;
    상기 하우징(70)의 상단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부(60) 상단에 고기가 구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공(82)이 다수 형성된 커버부(80)와;
    상기 하우징(70)의 외부면에 내화벽돌(92)이 설치되어 하우징(7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열 발산 방지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닭 구이기.
KR2020010018794U 2001-06-22 2001-06-22 통닭 구이기 KR200246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794U KR200246191Y1 (ko) 2001-06-22 2001-06-22 통닭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794U KR200246191Y1 (ko) 2001-06-22 2001-06-22 통닭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91Y1 true KR200246191Y1 (ko) 2001-10-17

Family

ID=7310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794U KR200246191Y1 (ko) 2001-06-22 2001-06-22 통닭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571A (ko) * 2021-08-31 2023-03-07 권혁남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571A (ko) * 2021-08-31 2023-03-07 권혁남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KR102516300B1 (ko) * 2021-08-31 2023-03-29 권혁남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626718B1 (ko) 장작을 이용한 고기 구이 장치
KR200246191Y1 (ko) 통닭 구이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100569211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292912Y1 (ko) 고기 구이판용 숯판부재
KR20190096790A (ko) 조리용 솥
KR200321211Y1 (ko) 구이용 숯불 가마
KR200427285Y1 (ko) 구이기용 간접가열커버
KR200352731Y1 (ko) 황토가마 육류구이 장치
KR200249198Y1 (ko) 석쇠판 및 고기구이판 겸용 고기구이기
KR102235285B1 (ko) 복합 가스 구이기용 숯불 발화장치
KR200222824Y1 (ko) 통닭구이용 황토가마
KR102359096B1 (ko) 수직화통이 구비된 직화구이기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KR100581976B1 (ko) 구이통이 내장된 회전구이기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KR200365008Y1 (ko) 육류조리용 가마
JPH0325717Y2 (ko)
KR200227187Y1 (ko) 고기구이기용 연소통
KR200342607Y1 (ko) 맥반석 고기구이기
KR20240057643A (ko) 분해조립되는 가마형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