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964Y1 -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64Y1
KR200245964Y1 KR2020010015116U KR20010015116U KR200245964Y1 KR 200245964 Y1 KR200245964 Y1 KR 200245964Y1 KR 2020010015116 U KR2020010015116 U KR 2020010015116U KR 20010015116 U KR20010015116 U KR 20010015116U KR 200245964 Y1 KR200245964 Y1 KR 200245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recycled
sound
absorb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2020010015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6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재생 PE를 발포하여 흡음판을 다단으로 설치하므로써 제품의 중량과 단가는 낮추면서도 방음의 효과는 상승시키도록 하는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발포율이 각기 다른 3 개의 흡음층을 접합시키는 한편 표층에 흡음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체 흡음층을 전면부만 노출되게 재생 PE를 화이버그라스와 혼합한 후면판으로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흡음공과 흡음층 자체의 무수한 기공에 의해 소음차단과 흡음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무게가 가벼워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재생 PE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Noise protect board using vapor form}
본 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재생 PE를 발포하여 흡음판을 다단으로 설치하므로써 제품의 중량과 단가는 낮추면서도 방음의 효과는 상승시키도록 하는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도로주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기존의 방음벽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흡음공이 수없이 뚫린 알루미늄판을 도로변에 연속 설치하거나 유리섬유(PVE 필름)를 흡음제로 사용하는 방음벽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알루미늄의 사용으로 제작단가가 높고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는 한편 알루미늄 방음벽에 수많은 흡음공을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재질이 금속인 관계로 흡음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소음이 많아 흡음 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파손의 우려가 높고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을 때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된 방음벽은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점을 감안하여 재생 PE를 재료로 하여 발포하여 흡음판을 만들도록하여 경량화와 생산원가를 낮추도록 하는 한편 재생 PE 발포 폼인 흡음판을 다단으로 적층시켜 소음의 차단 및 흡음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발포 흡음판의 사용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의 위험을 줄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발포율이 각기 다른 3 개의 흡음층을 접합시키는 한편 표층에 흡음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체 흡음층을 전면부만 노출되게 재생 PE를 화이버그라스와 혼합한 후면판으로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흡음공과 흡음층 자체의 무수한 기공에 의해 소음차단과 흡음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부분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흡음판 11 : 돌출부 12 : 흡음공
20 : 2차 흡음판 21: 공기층 30 : 3차 흡음판
31 : 공기층 40 : 공명방지판 50 : 후면판
본 고안은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고 무수한 흡음공(12)이 뚫린 삼각형 형태의 돌출부(11)를 연속 형성시킨 1차 흡음판(10)과, 상기 1차 흡음판(10)의 배면에 접착되고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수 개의 공기층(21)을 형성시킨 2차 흡음판(20)과, 상기 2차 흡음판(20)의 배면에 접착되고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며 저면으로 수 개의 공기층(31)을 형성시킨 3차 흡음판(30)과, 상기 1차 흡음판(10)의 전면을 제외한 모든 흡음판(10)(20)(30)을 감싸고 재생 PE를 화이버그라스와 혼합시켜 제작되는 후면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1차 흡음판(10)의 전면부에 형성된 돌출부(11)는 삼각형 형태를 갖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수많은 흡음공(12)이 형성되게 재생 PE를 5배의 발포율로 발포하여 제작하고, 2차 흡음판(20)은 전면부에 수개의 공기층(21)이 형성되게 재생 PE를 10-30배의 발포율로 발포하여 제작하며, 3차 흡음판(30)은 배면부에 수개의 공기층(31)이 형성되게 재생 PE를 5배의 발포율로 발포하여 제작한다.
상기된 1차 흡음판(10)의 전면부에 형성된 흡음공(1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수평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홈형태로 연속 설치한다.
또한 1차 흡음판(10)의 돌출부(11)는 삼각형 형태로 하거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형파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3차 배면판(30)의 배면에는 공명방지판(40)을 형성시키되 상기 공명방지판(40)은 재생 PE를 발포하여 제작하고 모든 흡음판(10)(20)(30)을 통과한 소음이 후면판(50)에 부딪혀 공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도록 발포율을 높이는것이 유리하다.
1,2,3차 흡음판(10)(20)(30)과 공명방지판(4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되 접착 후 열을 가하며 압착시켜 주어 견고하게 일체화 되도록 한다.
후면판(50)은 재생 PE를 화이버그라스와 결합하여 약 3mm 두께로 제작하되 1차 흡음판(10)의 전면부를 제외한 상기된 흡음판(10)(20)(30)과 공명방지판(40)을 감싸서 고정시키게 되며, 높은 인장강도와 탄력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로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에서 자동차 주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의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소음을 흡음시켜 소멸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1차 흡음판(10)은 5배 정도의 발포율을 유지하여 소음의 흡음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1차 흡음판(10)은 다양한 색상으로 발포시켜 제작하므로써 원하는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1차 흡음판(10)의 전면은 무광택처리를 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주도록 한다.
2차 흡음판(20)은 10-30배의 발포율로 발포하여 무수한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1차 흡음판(10)을 통과한 소음을 대부분 흡수하여 소멸시키도록 한다.
3차 흡음판(30)은 5배의 발포율로 발포하여 2차 흡음판(20)에서 흡음하지 못한 소음을 흡수하도록 하며, 공명방지판(40)은 발포율을 높게하여 후면판(50)에서 공명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히 소음전달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후면판(50)은 상기된 흡음판(10)(20)(30)을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 화이버그라스와 결합하여 인장 및 탄력이 높게 하여 도로변에 설치하더라고 견고성을 갖추도록 하며,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여 시인성을 높이는 한편 방음벽에 자동차가 충돌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재생 PE를 발포하여 제작하게 되므로 무수한 기공의 형성으로 방음과 소음흡수율이 높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재생 PE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을 줄여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고 무수한 흡음공(12)이 뚫린 삼각형 형태의 돌출부(11)를 연속 형성시킨 1차 흡음판(10)과,
    상기 1차 흡음판(10)의 배면에 접착되고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가로방향으로 수 개의 공기층(21)을 형성시킨 2차 흡음판(20)과,
    상기 2차 흡음판(20)의 배면에 접착되고 재생 PE를 발포하여 이루어지며 저면으로 수 개의 공기층(31)을 형성시킨 3차 흡음판(30)과,
    상기 1차 흡음판(10)의 전면을 제외한 모든 흡음판(10)(20)(30)을 감싸고 재생 PE를 화이버그라스와 혼합시켜 제작되는 후면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KR2020010015116U 2001-05-23 2001-05-23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KR200245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16U KR200245964Y1 (ko) 2001-05-23 2001-05-23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16U KR200245964Y1 (ko) 2001-05-23 2001-05-23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64Y1 true KR200245964Y1 (ko) 2001-10-29

Family

ID=7305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116U KR200245964Y1 (ko) 2001-05-23 2001-05-23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783B1 (ko) * 2015-04-02 2015-10-02 (주)경일 흡음패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783B1 (ko) * 2015-04-02 2015-10-02 (주)경일 흡음패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6010A2 (en)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JPS6324296A (ja) 音響特性を有する構造部材
JP2006299789A (ja)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JP2004044526A (ja) エンジンカバー
JP2005099789A (ja) 吸音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424A (ko) 허니컴을 이용한 자동차용 언더 커버
KR200245964Y1 (ko)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JPH0781007A (ja) 防音材
JP2005145383A (ja) 車両内装部材
KR960007197B1 (ko) 도로용 방음판
KR200420185Y1 (ko) 소음감쇠기
CN210851601U (zh) 一种隔音美音片及其汽车隔音美音系统
JP2002146727A (ja)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KR200480057Y1 (ko)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JPH11242486A (ja) 吸音材、および遮蔽板
JPH0226973Y2 (ko)
JP4239705B2 (ja) 吸音構造体
KR101631262B1 (ko) 샌드흡음재를 이용한 실내 흡음 패널
CN207607501U (zh) 转向架总成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CN220314906U (zh) 一种隔音隔热效果好的吸音棉
CN210126491U (zh) 一种汽车用隔音内饰板
KR20100019610A (ko)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KR200326776Y1 (ko) 골판틀과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도로방음벽
JPH10264281A (ja) 防音部材
JP5588160B2 (ja) 自動車エンジン用アンダー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