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197B1 - 도로용 방음판 - Google Patents

도로용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197B1
KR960007197B1 KR1019930019209A KR930019209A KR960007197B1 KR 960007197 B1 KR960007197 B1 KR 960007197B1 KR 1019930019209 A KR1019930019209 A KR 1019930019209A KR 930019209 A KR930019209 A KR 930019209A KR 960007197 B1 KR960007197 B1 KR 960007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plate
sound
panel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07A (ko
Inventor
양춘국
Original Assignee
양춘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춘국 filed Critical 양춘국
Priority to KR101993001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197B1/ko
Publication of KR94000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용 방음판
제1도는 본 발명의 판넬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판넬에 대한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판넬을 연결하여 방음판을 구성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판넬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방음판의 일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음판 2 : 흡음공
3 : 전면판 5 : 흡음재
5a : 폴리에스테르섬유 5b : 실크망사
7 : 안내판 7a : 공간부
P : 판넬 11 : 결합홈
12 : 결합돌기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으로부터 소음을 차단하는 도로용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로된 판넬을 조립하여 하나의 방음판으로 구성하므로써 제작과 취급이 간편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방음판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된 흡음재를 내장하고 방음판의 전면에 흡음공을 원형으로 다수 형성하며 흡음재와 흡음공 사이에는 격자형의 안내판을 다수 형성하므로써 원형의 흡음공을 통하여 여러각도에서도 소음의 흡음이 탁월하도록 하고, 흡음공을 통과한 소음이 안내판에 안내되어 흡음재를 향하도록 하며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흡음재에 의해 소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방음을 기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로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방음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일정규격의 길이로 기 제작된 방음판을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결합하는 수단에 의해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음판의 전면판은 전체길이를 하나의 판체로 제작하고 전면판에 형성된 일자형의 흡음공이 하방으로 향하게 하며 방음판의 내부에는 유리섬유의 흡음재가 장치된 것인 바, 전면판이 하나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의 무겁고 부피가 커서 어려우며, 제작된 전면판을 뒷판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그 외형이 미려하지 못하여 도로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대두 되었었다.
또한, 하방으로 향한 흡음공이 비록, 직진파동되는 소음의 흡음에는 용이할 수 는 있으나, 여러 각도에서 비롯되는 소음을 흡음하기에는 접합치 못한 구조로 되어 있고, 전면판의 지지 강도가 약하여 풍압이나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쉽게 변형되므로(전면판의 단위 면적량 흡음공이 차지하는 비율을 25% 이상으로 제작하면 지지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흡음공의 점유률을 25% 이하로 제작하여야 함.) 방음판의 내부로 소음을 통과시키는 효과가 미흡하였으며, 흡음공에 통과된 소음이 흡음재에 미처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잔류된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유출되므로써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방음판의 내부에 장치된 유리섬유의 흡음재는 섬유조직 사이가 치밀하지 못하고 재질이 경하여 방음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을뿐 아니라, 풍압이나 진동에 의하여 유리섬유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해로운 분진이 도로상에 비산되어 심각한 공해문제를 유발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방음판의 전면에 부착된 알루미늄재의 전면판에 작은 직경의 흡음공을 원형으로 다수 형성하여 내부의 유리섬유가 비산되지 못하게 하고, 흡음공에 통과된 소음이 반사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1㎜ 두께의 박판으로 된 전면판에 흡음공을 다량 천공시킬 경루 전면판의 지지강도가 약화되어 풍압이나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됨에 따른 표면에 굴곡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면판의 단위 면적당 흡음공의 차지하는 비율은 20%정도에 불과할 수 밖에 없었던바, 흡음공으로 많은 양의 소음을 통과시킬 수 없고 특히 일시에 많은 양의 소음이 발생되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나 철도에서는 흡음공으로 통과되지 못한 소음으로 인하여 실상 그 실효를 거둘 수 없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분할 제작된 판넬을 좌우로 결합하여 방음판의 전면판을 구성하므로써 각각의 작은 크기로 제작된 판넬의 운반과 취급이 간편용이하여 뒷판에 부착하는 작업을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기할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판넬의 재질이 ABS 수지이므로 다양한 색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판넬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색상 배치를 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 있어 도로 미관상 유익한 도로용 방음판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형의 흡음공이 다수 형성된 전면판을 5㎜ 두께의 ABS 수지판으로 제작하므로서 전면판의 단위면적당 흡음공이 차지하는 비율을 45~70%로 구성하여도 지지강도가 유지되어 풍압이나 외부의 충격에 변형되지 않으며, 이러한 흡음공이 높은 점유비율로 인하여 도로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소음과 300~1000Hz의 범위가 큰 소음을 흡음공으로 수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된 흡음재와 공간부의 배치에 의해서 흡음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로용 방음판을 제공하고자 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흡음공과 흡음재 사이에는 안내판에 의하여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흡음공으로 통과된 소음이 안내판에 안내되어 흡음재로 향하게 하고 흡음재로 미처 흡수되지 못한 소음은 공간부내에서 안내판에 희절되어 재차 흡수되므로 외부로 소음이 유출되는 일이 없으며, 방음판의 내부에 장치된 흡음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하므로써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재질적 특성상 탄성이 양호하고 부드러운 기모와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흡수되는 소음 즉, 공기의 파동이 기모와 기공에 의하여 감소되어 소음이 제거되므로써 방음효과가 증대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수의 흡음공(2)이 형성된 전면판(3) 뒷판(4)에 결합하고 내부에 흡음재(5)와 공기층(6)이 형성된 공지의 방음판(1)에 있어서, 좌우측 단부에 결합홈(11)과 결합 돌기(12)가 각각 형성된 판넬(P)을 두께 5㎜의 ABS 수지로 제작하여 3개의 판넬(P)을 결합홈(11)과 결합돌기(12)로 각각 결합하므로써 전면판(3)을 구성하며, 판넬(P)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3)의 뒷판(4)의 단부(4a)를 절곡하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판넬(P)형성된 흡음공(2)을 원형으로 형성하되 전면판(3)의 단위면적당 흡음공(2)이 차지하는 비율을 45~70%로 하여 흡음공(2)으로 소음의 통과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면판(3)의 내측과 흡음재(5) 사이에는 안내판(7)을 격자형으로 부착하고 격자형의 안내판(7) 중앙에 흡음공(2)이 위치되게 하여 다수의 공간부(7a)가 흡음공(2)과 일치되게 하므로써, 흡음공(2)으로 통과된 소음이 공간부(7a)를 통하여 안내판(7)에 유도되어 흡음재(5)로 흡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5a)의 양측면을 실크 망사(5b)로 고착하여 흡음재(5)를 형성하며 흡음재(5)의 두께는 소음 발생량에 따라 가감할 수 있는 것으로 15~60㎜가 양호하다.
[실시예]
뒷판(4)을 아연 도금판으로 제작하고 전면판(3)은 색상이 도색된 합성 수지판으로 제작한 후에 뒷판(4)에 전면판(3)을 부착하여 판넬(P)을 제작하며, 판넬(P)의 규격을 두께 95㎜, 높이 50㎜, 길이 653㎜로 제작된 3개의 판넬(P)을 좌우로 결합하여 총길이 1959㎜의 방음판(1)으로 조립하였으며, 판넬(P)의 내부에 장치된 흡음재(5)는 폴리에스테르섬유(5a)의 양측단부를 실크망사(5b)로 가압하여 부착하고 흡음재(5)의 두께는 50㎜로 제작하였다.
이와같이 제작된 방음판에 대한 흡음율을 종래의 방음판과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의 그래프와 같다.
상기한 실시예와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음판(1)은 소음 주파수 330~1000Hz 사이에서 흡음율이 특히 향상됨을 인지할 수 있는바, 도로나 철도에서 발생되는 소음 주파수 330~1000Hz 사이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의 음판을 도로나 철도에 시공할 경우 특히 방음효과가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방음벽을 도로등에 시공하기 위하여는 일정한 간격으로 H 빔의 지지대를 미설하고 전체길이가 1960㎜인 방음판을 지지대와 지지대사이에 끼워 결합하여, 높이 50㎝의 방음판을 상하로 적층하므로써 필요한 높이로 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시공방법은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이 50㎜, 길이 653㎜로 제작된 판넬(P) 3개를 좌우로 결합하므로써, 총길이 1960㎜의 방음판(1)이 구성되며, 공지의 방법으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판넬(P)의 길이나 방음판(1)의 길이는 공차가 적용되므로 가감될 수 있고, 방음판(1)의 길이로 다르게 구성 할 경우에는 방음판(1)의 길이에 비례적으로 판넬(P)의 길이도 변화될 수 있으므로, 분활된 판넬(P)은 3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취급과 시공이 편리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는 2개나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판넬(P)을 좌·우로 연결하여 방음판의 규격으로 지지대에 결합한 후에는 필요한 방음벽의 높이 만큼 판넬(P)을 상하로 연결하면서 시공하는 것으로 방음벽의 높이를 3,000㎜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500㎜ 높이의 판넬6개를 연결하는 것이다.
판넬(P)의 좌·우로 연결하기 위하여는 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돌기를 조립하므로써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판넬(P)의 전면판(3)은 각각의 색상으로 도색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색상으로된 판넬(P)을 조합하면서 상기한 방법으로 연결하면 다양한 색상의 무늬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도로 미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도로 등의 주변에 시공된 방음벽은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제거하여 주택가 등으로 소음이 파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전면판(3)에 흡음공(2)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각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통과가 용이하고 전면판(3)의 단위 면적당 흡음공이 차지하는 비율이 45~70%되므로 흡임공(2)으로 많은 양의 소음을 통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흡음공으로 통과된 소음 즉, 공기의 파동은 흡음재(5)에 직접 흡수되거나 도는 미처 흡수되지 못하는 잔량은 안내판에 의하여 희절되어 흡음재로 재차 흡수되므로 외부로 소음이 방출되지 않으며, 흡음재에 흡수된 소음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드러운 기모와 무수히 많은 기공에 의하여 공기의 파동이 감쇄되므로 소음이 제거되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흡음공(2)이 형성된 전면판(3)과 뒷판(4)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5)와 공기층(6)이 형성되며 전면판(3)와 흡음재(5) 사이에 안내판(7)이 구성된 공지의방음판(1)에 있어서, 전면판(3)은 5㎜두께의 ABS 수지로 하고 흡음공(2)의 차지하는 비율은 전면판(2)이 차지하는 전면판(3)의 단위면적량 45~70%로 하며, 흡음재(5)는 폴리에스테르섬유(5a)의 양측면에 실크망사(9)를 부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방음판.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판(7)의 격자는 판넬(P)의 흡음공(2)과 흡음공(2)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330Hz~1000Hz 사이에 소음주파수대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방음판.
KR1019930019209A 1992-09-07 1993-09-21 도로용 방음판 KR96000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209A KR960007197B1 (ko) 1992-09-07 1993-09-21 도로용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221U KR950000592Y1 (ko) 1992-09-07 1992-09-07 폐타이어 방음벽
KR92-17221 1992-09-07
KR1019930019209A KR960007197B1 (ko) 1992-09-07 1993-09-21 도로용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07A KR940007307A (ko) 1994-04-27
KR960007197B1 true KR960007197B1 (ko) 1996-05-29

Family

ID=19339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221U KR950000592Y1 (ko) 1992-09-07 1992-09-07 폐타이어 방음벽
KR1019930019209A KR960007197B1 (ko) 1992-09-07 1993-09-21 도로용 방음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221U KR950000592Y1 (ko) 1992-09-07 1992-09-07 폐타이어 방음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73222A (ko)
KR (2) KR950000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506A (ko) * 2014-11-18 2016-05-27 주용산업주식회사 흡음 방음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56B1 (ko) * 2000-03-06 2004-06-23 박기성 방음벽 구조
KR100436157B1 (ko) * 2001-09-12 2004-06-14 박기성 방음판 구조
KR100477856B1 (ko) * 2002-10-09 2005-03-25 주식회사 지엔에프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 구조물
KR20060022450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방음판넬
KR100984967B1 (ko) * 2008-08-18 2010-10-04 에이텍 산업 주식회사 이중 결합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506A (ko) * 2014-11-18 2016-05-27 주용산업주식회사 흡음 방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26U (ko) 1994-04-15
KR950000592Y1 (ko) 1995-02-04
KR940007307A (ko) 1994-04-27
JPH06173222A (ja) 199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601B2 (en)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JP3094030B2 (ja) 音吸収パネル
KR20090004685U (ko) 방음판의 흡음재
KR960007197B1 (ko) 도로용 방음판
US4829728A (en) Soundproof structure for generic interior facing, and particularly for so-called open-space working, interiors
KR100792176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JPH08109688A (ja) 吸音板
KR100398970B1 (ko) 실내용 방음판
KR19980019375A (ko) 흡음형 방음판(sound absorbing type soundproofing plate)
KR100377679B1 (ko) 흡음형 방음판넬
KR100818025B1 (ko) 흡음형 방음판 구조물
KR200212289Y1 (ko) 방음패널 조립체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KR101177068B1 (ko) 굴절형 방음판
KR20020003857A (ko) 사운드 실딩 엘리먼트, 그 용도 및 그 제조방법
RU2173372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шумозащитного экрана
JPH0538103Y2 (ko)
JP2894249B2 (ja) 吸音体及び吸音ユニット
JPS631357Y2 (ko)
JP3209661B2 (ja) 共鳴型吸音板
KR200191496Y1 (ko) 방음벽
KR19980014408U (ko) 흡음형 방음판
JP2005506478A (ja) 一体型防音パネル
JP2953989B2 (ja) 吸音パネル
KR200245964Y1 (ko) 발포 폼을 이용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