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408U - 흡음형 방음판 - Google Patents

흡음형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408U
KR19980014408U KR2019980003632U KR19980003632U KR19980014408U KR 19980014408 U KR19980014408 U KR 19980014408U KR 2019980003632 U KR2019980003632 U KR 2019980003632U KR 19980003632 U KR19980003632 U KR 19980003632U KR 19980014408 U KR19980014408 U KR 199800144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late
absorbing
noise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철
Original Assignee
안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철 filed Critical 안승철
Priority to KR2019980003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408U/ko
Publication of KR19980014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408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음형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이나 철도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자체 내에서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유지하게 하는 방음벽에 사용되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흡음공(12)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무 패드(46)가 부착된 전면판(10)과 오목부(22)가 형성된 뒷판(20)이 측면판(30)과 같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40)와 공기층(48)이 형성된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은 오목부(14)와 경사면(18)을 갖는 볼록부(16)가 다수 형성되고 슬롯형의 흡음공(12)이 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을 제공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쪽의 전면판에 요철을 주고 요철면에 여러 모양의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음재의 소음 흡수 효과를 높이고 요철면을 따라 전면판 양측으로 고무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방음벽 시공후 좌우측으로 스며드는 소음을 감소시켜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전면판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신선감을 줄 수 있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음형 방음판
본 고안은 차량 운행이나 철도 또는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자체 내에서 흡수하여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생활 환경을 유지하게 하는 방음벽에 사용되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음이 발생하는 쪽의 전면판에 요철을 주고 요철면에 여러 형태의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음재의 소음 흡수 효과를 높여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외관상 변화를 주어 신선감을 주는 흡음형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상업 및 공업 지역은 물론 주거 지역까지도 소음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고, 특히 도로변이나 철도변 인근의 주민들은 자동차나 기차의 소음으로 인한 두통 스트레스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 소음의 감소 또는 소멸의 목적으로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에 사용되는 방음판은 통상 대로변에서는 대응하는 진동판의 사이에서 음파를 서로 반사시켜 에너지를 소멸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충분한 방음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음파의 진동을 자체 내에서 흡수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음판은 종래에는 석면판 또는 유리 섬유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보다 다소 진보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은 방음판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 흡음용 방음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방음판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소음이 발생하는 쪽의 전면판(10)은 평평한 민자 형상에 가로로 길게 흡음공(12)이 갤러리형으로 타공되되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 뒷판(20)의 중앙에는 외부의 충격에 강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경사면(24)을 갖는 오목부(22)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0)의 전면에는 고무 패드(46)가 부착되되 측면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 방음벽 시공시 전면판(10)의 좌우측으로 소음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또 고무 패드(46)는 외부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방음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면판(10)과 뒷판(20)의 결합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유리 섬유(50)가 비닐(44)에 의해 밀봉되는 흡음재(40)가 내장되고 뒷판(20)과 흡음재(40) 사이에는 공기층(48)이 형성된다.
흡음재(40)가 내장되고 난 후 측면판(30)이 전면판(10)과 뒷판(20)에 결합되어 방음판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판(10)은 알루미늄판으로 뒷판(20) 및 측면판(30)은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의 방음판은 하방으로 향한 흡음공(12)이 직진 파동되는 소음의 흡음에는 용이하나 여러 각도에서 비롯되는 소음에는 적합치 못한 구조로 되어 있고, 그에 따라 흡음재(40)의 전면(全面)에서 흡음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고 고무 패드(46)가 얇아서 방음판 좌우측으로 소음이 스며들어 소음에 대한 충분한 방음을 하지 못해 방음 효과가 떨어지며, 전면판(10)이 평평한 민자에 갤러리형의 흡음공(12)을 일률적으로 형성하고 있어 외관상 단조롭고 비싼 재질의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있어 제품 단가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음이 발생하는 쪽의 전면판에 요철을 주고 요철면에 여러 모양의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음재의 소음 흡수 효과를 높이고 요철면을 따라 전면판 양측으로 고무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방음벽 시공후 좌우측으로 스며드는 소음을 감소시켜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전면판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신선감을 줄 수 있는 흡음형 방음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무 패드가 부착된 전면판과 오목부가 형성된 뒷판이 측면판과 같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와 공기층이 형성된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오목부와 경사면을 갖는 볼록부가 다수 형성되고 슬롯형의 흡음공이 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방음판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음형 방음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면판, 12: 흡음공, 14,22: 오목부, 16: 볼록부, 18,24: 경사면, 20: 뒷판, 30: 측면판, 40: 흡음재, 44: 비닐, 46: 고무 패드, 48: 공기층, 50: 유리 섬유.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음형 방음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다수의 흡음공(12)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무 패드(46)가 부착된 전면판(10)과 오목부(22)가 형성된 뒷판(20)이 측면판(30)과 같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40)와 공기층(48)이 형성된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은 오목부(14)와 경사면(18)을 갖는 볼록부(16)가 다수 형성되고 슬롯형의 흡음공(12)이 타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 외에, 상기 전면판(10)의 재질은 철판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 외에, 상기 전면판(10)의 오목부(14) 및 볼록부(16)는 라운드되는 곡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 흠음형 방음판의 방음 효과가 떨어지는 원인이 평평한 민자의 전면판(10)에 형성된 갤러리형의 흡음공(12)이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구조라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 여러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흡음이 용이한 구조를 고안하여 소음이 나는 쪽의 전면판(10)에 요철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즉, 상기한 전면판(10)의 요철은 오목부(14)와 볼록부(16)에 의해 증가된 면적만큼 소음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오목부(14)와 볼록부(16) 사이에서 소음이 갇혀 소음의 주파수가 감소한 상태로 흡음공(12)으로 감소된 소음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음향 감쇄 효과를 가져온다.
전면판(10)에 형성된 요철중 들어간 부분을 오목부(14), 나온 부분을 볼록부(16)라하고 오목부(14)와 볼록부(16) 사이의 경사진 면을 경사면(18)이라 하며, 오목부(14), 경사면(18) 및 볼록부(16)에는 흡음공(12)이 총총히 뚫려 있되 가늘고 긴 구멍의 슬롯(slot)형으로 타공된다.
상기 전면부(10)의 오목부(14) 및 볼록부(16)를 라운드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면 흡음공(12)의 소음 흡음율을 높일 수 있어 결국 흡음재(40)의 전면이 흡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10)은 값이 싼 철판으로 하여 두께를 얇게 할 수도 있다.
전면판(10)의 양측에 일부가 돌출되게 부착되는 고무 패드(46)는 상기 전면판(10)의 요철과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음판으로 방음벽을 구축했을 때 예를 들어 도로인 경우 방음벽 앞을 지나가는 차량에서 발생한 음파 즉 소음은 흡음공(12)을 통해 방음판 내부로 유입된다.
차량의 높이가 일률적으로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되는 소음원의 높이 역시 제각각이나, 전면판(10)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으로 직진하는 소음은 오목부(14) 및 볼록부(16)의 흡음공(12)을 통해 흡음재(40)에 흡음되고, 상방이나 하방으로 직진하는 소음은 경사면(18)의 흡음공(12)을 통해 흡음재(40)에 흡음된다.
따라서 소음원의 위치에 관계없이 흡음공(12)을 통해 방음판 내부로 소음을 통과시킬 수 있어서 방음재(40)의 전면이 흡음재(40)의 흡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이나, 경사면(18)의 안쪽이나 오목부(14)에 부딪혀 반사되는 소음은 반사 작용에 의해 반사가 반복된 후 흡음공(12)을 통해 통과되기 때문에 음파가 잘게 부서지게 되고 더욱이 오목부(14)를 라운드된 곡면으로 형성하면 난반사를 일으켜 결국 라운드된 곡면의 중앙 흠음공(12)을 통해 음파가 모아져서 흡음재(40)에 흡음되어 소음 감소 효과가 증대된다.
전면판(10) 좌우측으로 스며드는 소음은 고무 패드(46)가 전면판(10)의 요철과 대응되게 요철이 형성된 채 부착되어 있어서 스며드는 양이 적고 요철의 두께만큼 음파의 두께가 두꺼워서 스며든 소음이 약해지게 되어 소음 저감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상기 전면판(10)의 오목부(14) 및 볼록부(16)에 라운드되는 곡면이 형성된 경우에 고무 패드(46)에는 상기 전면판(10)의 라운드되는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됨이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흡음재(40)를 통과한 미약한 음파와, 전면판(10)과 고무 패드(46) 사이를 통과한 미약한 음파는 공기층(48)을 통해 뒷판(20)에 차단되어 재반사된 후 다시 흡음재(40)에 흡음되어 잔류 음파가 제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음이 발생하는 쪽의 전면판에 요철을 주고 요철면에 여러 모양의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음재의 소음 흡수 효과를 높이고 요철면을 따라 전면판 양측으로 고무 패드를 부착함으로써 방음벽 시공후 좌우측으로 스며드는 소음을 감소시켜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전면판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신선감을 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다수의 흡음공(12)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무 패드(46)가 부착된 전면판(10)과 오목부(22)가 형성된 뒷판(20)이 측면판(30)과 같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40)와 공기층(48)이 형성된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은 오목부(14)와 경사면(18)을 갖는 볼록부(16)가 다수 형성되고 슬롯형의 흡음공(12)이 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재질은 철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오목부(14) 및 볼록부(16)는 라운드되는 곡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의 라운드되는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이 고무 패드(46)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형 방음판.
KR2019980003632U 1998-03-12 1998-03-12 흡음형 방음판 KR199800144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32U KR19980014408U (ko) 1998-03-12 1998-03-12 흡음형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32U KR19980014408U (ko) 1998-03-12 1998-03-12 흡음형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408U true KR19980014408U (ko) 1998-06-05

Family

ID=6971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32U KR19980014408U (ko) 1998-03-12 1998-03-12 흡음형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40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05B1 (ko) * 2008-05-07 2008-10-17 주식회사 상진기연 친환경 도로 파도형 탄소 방음판
KR100927003B1 (ko) * 2009-05-14 2009-11-17 (주)부림종합목재 방음판
KR100974261B1 (ko) * 2010-01-14 2010-08-06 신성컨트롤(주) 요철 은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KR101527159B1 (ko) * 2014-12-24 2015-06-17 주식회사 누리플랜 조립식 방음패널
CN117552593A (zh) * 2023-11-02 2024-02-13 北京市建筑工程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声学墙体及其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05B1 (ko) * 2008-05-07 2008-10-17 주식회사 상진기연 친환경 도로 파도형 탄소 방음판
KR100927003B1 (ko) * 2009-05-14 2009-11-17 (주)부림종합목재 방음판
KR100974261B1 (ko) * 2010-01-14 2010-08-06 신성컨트롤(주) 요철 은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KR101527159B1 (ko) * 2014-12-24 2015-06-17 주식회사 누리플랜 조립식 방음패널
CN117552593A (zh) * 2023-11-02 2024-02-13 北京市建筑工程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声学墙体及其施工方法
CN117552593B (zh) * 2023-11-02 2024-05-24 北京市建筑工程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声学墙体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214B1 (ko) 요철형 방음판
KR19980014408U (ko) 흡음형 방음판
KR100377679B1 (ko) 흡음형 방음판넬
KR100398970B1 (ko) 실내용 방음판
KR200197413Y1 (ko) 요철형 방음판
KR960007197B1 (ko) 도로용 방음판
KR100374410B1 (ko) 벽체 흡음판
KR200212289Y1 (ko) 방음패널 조립체
KR20000016890A (ko) 흡음형 방음판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CN219100373U (zh) 一种墙体用的隔音墙板
CN210315081U (zh) 轨道吸声板
KR100445442B1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0129413Y1 (ko) 조립식 방음벽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JP7401194B2 (ja) 吸音パネル
CN221032300U (zh) 一种防盗门
KR200283302Y1 (ko)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KR200163893Y1 (ko) 방음벽
KR200358320Y1 (ko) 교량용 제진방음판
CN110100060B (zh) 具有消音型材的吸收声音的结构元件以及隔音壁
KR200256149Y1 (ko) 벽체 흡음판
KR200432640Y1 (ko) 방음벽용 소음저감장치
KR200345485Y1 (ko) 소음 저감용 경사식 다중 회절장치를 갖는 방음벽
KR200193227Y1 (ko) 실내용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