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068B1 - 굴절형 방음판 - Google Patents

굴절형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068B1
KR101177068B1 KR1020110111363A KR20110111363A KR101177068B1 KR 101177068 B1 KR101177068 B1 KR 101177068B1 KR 1020110111363 A KR1020110111363 A KR 1020110111363A KR 20110111363 A KR20110111363 A KR 20110111363A KR 101177068 B1 KR101177068 B1 KR 10117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raction
case
soundproof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to KR102011011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배면판(110)과 상/하부판(120)(130)이 구비되어 전방이 개구된 단면 'ㄷ'자 형상의 함체를 이루고, 상기 상부판(120) 말단에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0);
다수의 개구공(202)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다수의 굴절부(210)가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걸림턱(122)에 걸리는 레일돌기(230)가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상기 하부판(130)에 걸리는 탄성돌기(240)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0) 전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면판(200);을 포함하여 상기 전면판(200)을 상기 케이스(100)에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굴절부(210)를 조립식으로 형성하되, 상기 굴절부(210)로 소음을 감쇄시키며 개구공(202)으로 흡음하여 흡음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방음판에 굴절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하여 감쇄시켜 줄 수 있게 되고, 방음판의 규격에 따라 굴절부의 설치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을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굴절형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절형 방음판{Refraction type soundproofing pannel}
본 고안은 굴절형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음판을 굴절형으로 개선하여 현저한 방음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되,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편리한 제작이 가능한 굴절형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의 시공은 도로변, 절도 및 지하철, 경전철, 고속도로, 공장주변, 아파트 단지의 주거지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시켜 생활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설치된다. 통상,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담장은 벽돌을 적층하되, 전면으로부터 소정깊이의 개구부를 두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형태가 있다. 또는 일정간격의 지주를 세우고, 그 사이에 소정높이와 길이, 폭을 갖는 방음판을 삽입 고정하는 형태로 방음판이 적층되는 높이에 따라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그 주변에서 발생되는 자동차 소음, 경적소리 등을 흡음하여 소진시킴으로써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방음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실용신안등록 제20-0331611호 "굴절형 방음판넬"(공고일 2003. 10. 20.)이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굴절형 방음판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전면에 일정한 높이와 형태로 돌출되는 굴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굴절부에는 다수의 개구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차량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일차적으로 굴절부를 통해 점차적으로 감쇠된 다음 굴절부 내부에 설치된 흡음재로 흡음감소 기능을 다중으로 실현함으로써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굴절형 방음판은 다수의 굴절부를 하나의 판을 성형하여 형성하여 방음판에서 전면판으로 설치하는 구성임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마다 그 규격에 맞는 형태로 굴절부가 형성된 전면판을 마련하여야 한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편리하게 굴절부를 형성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음판에 굴절부를 형성하여 흡음 효율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굴절부를 편리하게 형성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굴절형 방음판을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음판 전면에 굴절부를 형성하되, 굴절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방음판의 규격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를 조절하여 굴절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판에 굴절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음하여 감쇄시켜 줄 수 있게 되고, 방음판의 규격에 따라 굴절부의 설치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을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면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면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면판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판에 형성되는 굴절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이한 케이스에 흡음재를 채우고 전면판을 조립하여 방음판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에 전면판을 조립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판이 연결돌기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을 지주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 방음판의 흡음율 시험에 의한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11은 본 고안 방음판의 음향투과손실 시험에 의한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본 발명에서는 방음판에 굴절부를 형성하여 흡음 효율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굴절부를 편리하게 형성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면판)과 상/하부판이 구비되어 전방이 개구된 단면 'ㄷ'자 형상의 함체를 이루고, 상기 상부판 말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다수의 개구공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다수의 굴절부가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레일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상기 하부판에 걸리는 탄성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상기 전면판)을 상기 케이스에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굴절부를 조립식으로 형성하되, 상기 굴절부로 소음을 감쇄시키며 개구공으로 흡음하여 흡음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정형 방음판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도 1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은 소음을 흡음할 수 있는 공지의 흡음재가 채워지는 케이스(100)에 다수의 굴절부(210)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면판(200)이 마련되어 순차적으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된다.
케이스(100)는 배면판(110)과 상/하부판(120)(130)이 구비되어 전방이 개구된 단면 'ㄷ'자 형상의 함체를 이룬다. 양쪽 측면에는 측면판이 마련되어 조립될 수 있는바, 별도로 마련하여 리벳으로 조립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아연도강판으로 그 두께는 1.6~3mm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판(120) 말단에는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걸림턱(122)은 상부판(120) 말단이 내측으로 꺾여 있는 형태로서 상부판(120)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하여 조립하여 줄 수 있다.
전면판(200)은 소음이 관통하는 다수의 개구공(2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면으로 다수의 굴절부(210)가 돌출된다. 다양한 소재를 채택하여 상기 전면판(200)을 형성할 수 있으나, 프로필렌 또는 알루미늄 소재를 채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강도 등을 고려하여 1~3m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부(210)는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이 60~80mm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굴절부(210) 사이에 평평한 면인 평면부(220)가 형성된다. 두께는 전면판(200)과 마찬가지로 1~3mm로 형성할 수 있으며, 굴절부(210)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02)이 형성된다.
상기 굴절부(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대하여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전면에 대하여 일측면이 일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전면으로부터 측면이 일체로 둥글게 형성되는 라운드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채택한다.
상기 굴절부(210)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공(202)은 지름 6~7mm로서 간격은 9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굴절부(210)의 측면에 천공되는 개구공(202)은 상기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공(202) 보다 면적이 넓게 하여 타원형태로 형성되게 하는데, 도 1과 같이 굴절부(210)가 돌출된 방향으로 길이가 7~11mm이고 폭은 6~7mm 이며 간격은 9mm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2와 같이 지름 4~5mm로서 간격은 7mm로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202)에 비해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과 측면의 개구공(202)의 지름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소음발생에 따른 소음진동 파장의 변화를 갖게 하여 소음 감쇠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굴절부(210)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공(202)의 지름을 6~7mm로하고 간격은 9mm로 형성하는 한편, 굴절부(210)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공(202)는 지름 4~5mm로서 간격은 7mm로 형성하는 경우에 따른 소음의 흡수율을 시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이하 시험결과치를 제시한다.
시험방법은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방법으로서 KS F 2805에 의해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시험결과표와 같이 나타났으며 도 10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주파수[Hz] 흡음율 주파수[Hz] 흡음율
125 0.38 800 0.92
160 0.46 1000 0.86
200 0.72 1250 0.87
250 1.01 1600 0.84
315 0.97 2000 0.82
400 0.93 2500 0.80
500 0.92 3150 0.77
630 0.88 4000 0.71
즉,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결과치 중에서 주파수 500Hz일 때 흡음율은 0.92이고, 2000Hz일 때 흡음율은 0.82로 측정되어 결국, 환산하면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의 제7조 흡음율의 평균이 70%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방법으로서 건물부재의 공기 전달음 차단성능 실험실 측정방법으로서 KS F 2808:2001에 의해 아래 표2에서 같이 측정치가 나타났으며, 도 11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주파수[Hz]
음향감쇄계수
(음향투과손실)
[dB]

주파수[Hz]
음향감쇄계수
(음향투과손실)
[dB]
100 19.3 800 37.8
125 21.9 1000 37.0
160 19.1 1250 42.1
200 19.4 1600 40.5
250 25.6 2000 39.4
315 26.8 2500 39.5
400 31.2 3150 41.5
500 34.5 4000 44.1
630 36.4 5000 43.7
즉,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결과치 중에서 주파수 500Hz일 때 음향투과손실은 34.5dB로 나타나고, 주파수 1000Hz일 때 음향투과손실은 37.0dB으로 측정되어 결국,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의 제6조 방음판에 대한 음의 투과손실의 기준치(500Hz의 음에 대하여 25dB이상, 1000Hz의 음에 대하여 30dB이상)이상의 측정치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200)에 형성되는 굴절부(210)는 3개를 한 조로 하여 하나의 전면판(200)에 3개의 굴절부(210)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판(200)을 케이스(100)의 길이에 맞게 차례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방음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2mm 정도의 방음판을 형성할 때에는 4개의 전면판(200)을 마련하여 케이스(100)에 설치하게 된다.
전면판(200)을 케이스(100)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판(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2)에 걸리는 레일돌기(23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판(130)에 걸리는 탄성돌기(240)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레일돌기(230)가 전면판(20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2)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탄성돌기(240)가 하부판(130)에 걸림으로써 전면판(200)이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130)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240)는 상기 하부판(13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게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돌기(240)가 하부판(130)의 내벽에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걸리게 되는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00)에는 케이스(1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의 스페이서(250)를 더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50)는 말단이 케이스(100) 내부에서 배면판(110)에 접함으로써 전면판(200)을 지지하게 되는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조립상태 유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00)의 양쪽 측면에는 연결돌기(260)와 연결홈을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260)가 연결홈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을 형성하고 방음벽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00)를 마련한다.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배면판(110)과 상부판(120) 하부판(130)을 가지는 케이스(100)를 마련하고, 양쪽 측면은 별도의 판을 리벳으로 고정하여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케이스(100)가 마련되면 케이스(100) 내부에 흡음재를 채운 다음 배면판(110)의 전면에 전면판(200)을 차례로 조립한다. 하나의 방음판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스(100) 하나당 네 개의 전면판(200)을 조립하여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면판(200)에 형성되어 있는 굴절부(210) 내부에 흡음재를 별도로 채워준 상태로 전면판(200)을 조립하여 줄 수 있다.
전면판(200)을 조립할 때에는 전면판(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돌기(230)가 케이스(100) 상부판(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2)에 먼저 걸어준 다음 전면판(200)의 하부를 케이스(100) 하부판(130) 쪽으로 밀어서 탄성돌기(240)가 밀려 들어가 하부판(130) 안쪽 면에 접하면서 걸리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다수의 전면판(200)을 마련하여 반복하고, 전면판(200) 사이의 결합을 위해 전면판(200)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돌기(260)를 마주보는 지점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끼워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방음판이 형성되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300) 사이에 끼워서 방음벽을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배면판, 120 : 상부판,
122 : 걸림턱, 130 : 하부판,
200 : 전면판, 202 : 개구공,
210 : 굴절부, 220 : 평면부,
230 : 레일돌기, 240 : 탄성돌기,
250 : 스페이서, 260 : 연결돌기,
300 : 지주.

Claims (6)

  1. 배면판(110)과 상/하부판(120)(130)이 구비되어 전방이 개구된 단면 'ㄷ'자 형상의 함체를 이루고, 상기 상부판(120) 말단에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0);
    다수의 개구공(202)이 형성되고, 전면으로 다수의 굴절부(210)가 돌출되며, 상단에 상기 걸림턱(122)에 걸리는 레일돌기(230)가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상기 하부판(130)에 걸리는 탄성돌기(240)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0) 전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면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200)에는 상기 레일돌기(230)가 형성된 부분에서 케이스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의 스페이서(250)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250)가 전면판(200)을 지지하여 조립상태를 유지케 하고,
    상기 전면판(200)을 상기 케이스(100)에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방음판에 굴절부(210)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상기 굴절부(210)로 소음을 감쇄시키며 개구공(202)으로 흡음하여 흡음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30)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기(240)는 상기 하부판(13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돌기(240)가 하부판(130)의 내벽에 걸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10)는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 60~80mm이 등간격지게 형성되며, 두께 1~3mm를 갖는 것으로서, 굴절부(210)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0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10)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공(202)은 지름 6~7mm로서 간격은 9mm로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210)의 측면에 천공되는 개구공(202)은 지름 4~5mm로서 간격은 7mm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10)는 전면에 대하여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전면에 대하여 일측면이 일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전면으로부터 측면이 일체로 둥글게 형성되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
KR1020110111363A 2011-10-28 2011-10-28 굴절형 방음판 KR10117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63A KR101177068B1 (ko) 2011-10-28 2011-10-28 굴절형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63A KR101177068B1 (ko) 2011-10-28 2011-10-28 굴절형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068B1 true KR101177068B1 (ko) 2012-08-24

Family

ID=4688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63A KR101177068B1 (ko) 2011-10-28 2011-10-28 굴절형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7985A (zh) * 2022-04-16 2022-07-08 中铁城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高架隔音屏障及其安装方法
EP4079968A1 (en) 2021-04-22 2022-10-26 Anas S.p.A. Noise barrier with wave-shaped-sound-absorbing panels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0B1 (ko) * 2010-06-25 2010-10-26 거포산업 주식회사 방음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0B1 (ko) * 2010-06-25 2010-10-26 거포산업 주식회사 방음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968A1 (en) 2021-04-22 2022-10-26 Anas S.p.A. Noise barrier with wave-shaped-sound-absorbing panels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CN114717985A (zh) * 2022-04-16 2022-07-08 中铁城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高架隔音屏障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81B1 (ko)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KR101465932B1 (ko) 조립식 철재 칸막이
JP2006316467A (ja) 遮音二重壁構造
KR100930498B1 (ko) 가설용 방음 벽체
KR101177068B1 (ko) 굴절형 방음판
KR101824209B1 (ko) 저주파 대역을 위한 공명을 이용하는 흡음장치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100786226B1 (ko) 터널식 흡음형 방음판
CN208830588U (zh) 智能装配式建筑专用型材
KR101104997B1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KR100634348B1 (ko) 방음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12289Y1 (ko) 방음패널 조립체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KR101044027B1 (ko) 방음패널
JP5225638B2 (ja) 建物の吸音構造、それを備えた建物及び吸音構造の製造方法
KR200331611Y1 (ko) 굴절형 방음판넬
KR101888039B1 (ko)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JP3957128B2 (ja) 吸音機構
JP2005506478A (ja) 一体型防音パネル
CN215368410U (zh) 一种便于组装的建筑隔音建筑板
KR101332622B1 (ko) 조립식 확산형 방음판
CN220117498U (zh) 一种带有吸声材料的降噪隔声板
KR200321307Y1 (ko) 방음패널
JP2017210827A (ja) 天井パネル及び組立式防音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